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oward Public Pastoral Theology: A Renewed Paradigm of Care

        이창규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7 장신논단 Vol.49 No.3

        This paper examines how pastoral theology has expanded its focus from narrowly defined care of individuals to the welfare of the public. The field of pastoral theology now seeks greater concern for wider cultural, social, moral, political, and spiritual issues. More specifically, this work explores the “public” model of pastoral theology, which views personal issues for care in social-structural terms, including gender, race, class, disability, culture, politics, and economics. To achieve this goal, this paper attempts to engage in a constructive conversation of pastoral theology with public theology. It argues that the public model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public pastoral theology-is the pastoral theological approach that envisions a community of care which works to enhance the well-being of both the individual and the society. I mainly utilized North American literature with the inclusion of some Korean-American ideas to support my claims. Public pastoral theology has two important concerns: the public silence of mainstream Christianity on key social issues, and the limitations exhibited by the pastoral focus on the individual alone. Pastoral theology with a public concern endeavors to provide care for individual needs by analyzing social, political, and spiritual dimensions. It attempts to accomplish the common good and offers care that is more authentic for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While the clinical model of ministry emphasizes the individualistic care of people with psychological resources, the public model of pastoral theology has a renewed interest in cultural, social, contextual, and public dimensions of caregiving ministries, through which it provides transformative challenges to systems of power that violate and oppress individuals and communities. Public pastoral theology encourages a critical conversation with other disciplines, develops sound theories and practices, and influences other disciplines, offering cultural analysis in a concrete and practical way. It endeavors to transform our community and society, developing policy interpretation and public debate, public norms,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caring for individuals, cultures, and the natural. The theology of Andrew Sung Park, a renowned Korean-American theologian, provides a powerful theological and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practice of public pastoral theology, emphasizing the public ethos of hahn, jung, and mut. Park suggests a practical program for a “new world order” to heal the pains of han. He articulates his vision of a global church in which “a community of economic democracy,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of corporative political power” is established. Park’s theology of mutual enhancement integrates the Eastern ideas of communalism with Western perspectives of individualism and thus provides an optimal millieu for the authentic community public pastoral theologians strive to create.

      • KCI등재

        공공신학의 관점에서 본 존 칼빈의 신학

        김민석 ( Minseok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21 한국개혁신학 Vol.69 No.-

        최근 한국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그리고 교회와 신학계 안에서 '교회의 공공성', '공적영역에서 교회의 역할'과 같은 주제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사실 이러한 주제들은 이미 세계 곳곳의 기독교인들과 대학을 포함한 다양한 연구 기관들에 의해서 '공공신학'(Public Theology)이라는 방법론을 통하여 활발하게 논의 중이다. 반면에 한국에서는 상대적으로 공공신학이 충분히 다뤄지지 못하고 있다. 특히 보수 개혁주의 신학계에서는 공공신학이 의심스러운 방법론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 공공신학의 형식과 내용을 분석해보면, 공공신학과 개혁주의 신학 사이에 공유할 수 있는 지점이 생각보다 많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공공신학의 렌즈를 통하여 존 칼빈(John Calvin)의 생애와 신학사상 그리고 제네바(Geneva)에서의 그의 목회와 활동을 조명한다. 칼빈은 그의 사상을 개진해 나감에 있어서 교회 전통을 중요하게 여겼고, 교부들과 고대 철학자들의 사상을 적절하게 인용하였다. 나아가 인문학과 과학 그리고 법학적 지식을 풍부하게 활용하면서 복음과 신앙의 원리를 설명하려 노력하였다. 하지만 동시에 그는 철저하게 ‘오직 성경’ 위에 자신의 삶과 사상의 기준을 세웠다. 그가 종교의 개혁뿐만 아니라 사회의 개혁에도 힘썼음이 강조되어야한다. 이러한 강조는 그가 공공선을 위하여 정치와 사회를 향하여 기독교 신앙에 기반을 둔 적절한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부터 나온다. 그는 항상 선지자적 목소리를 내는 것을 주저하지 않았다. 그는 다른 지역의 신학자들과 교류하며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그의 신학은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여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이렇게 종교개혁자 존 칼빈을 공공신학자의 모델로 제시하는 것에 의해 오늘날 논의되고 있는 공공신학의 담론에 새로운 시좌를 열어가게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칼빈의 신학사상과 공공신학 사이의 교집합을 발견하는 것에 의해 공공신학을 향한 한국개혁교회의 바른 이해도 촉구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국 교회는 교회 내부를 향해 사회 문제들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할 것이고, 교회 외부를 향해 복음에 기반한 도덕적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기여할 것이다.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the issues such as 'the publicity of the church'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he public square' among Korean Christians, churches and academics. Indeed, Christians and various research institutes including universities around the world are vigorously discussing these issues through the approach of 'public theology'. Contrariwise, public theological discourses are insufficient in Korea. In particular, conservative Korean church tends to regard public theology as a suspicious approach. However, indeed, when analyzing the structures and contents of public theologies, we will probably realize that there are many sharable points between public theology and reformed theology. With this in mind, this project examines John Calvin’s life, thoughts and his ministry in Geneva through the hermeneutic lense of public theology. Calvin regarded the traditions of the church as important in advancing his thoughts and appropriately quoted the ideas of the Fathers and ancient philosophers. Furthermore, he tried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Gospel and faith while making abundant use of humanities, science, and legal knowledge. At the same time, however, he thoroughly set the standard of his life and thoughts on the basis of Sola Scriptura.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he worked not only for religious reform but also for social reform. This emphasis comes from his suggestion of an appropriate direction based on Christian faith toward politics and society for the common good. He always did not hesitate to speak up a prophetic voice. He interacted with and influenced theologians from other regions, and his theology transcends time and space, and is still influential all over the world. By presenting the Reformer, John Calvin, as a model of public theologian, this project will provide a new perspective to the discourse of public theology that is being discussed today. In addition, the discovery of the intersection between Calvin's theological thought and public theology will urge the Korean Reformed church's correct understanding of public theology. To do so, the Korean church will provide people inside the church with the ability to respond to social issues and contribute to people outside the church by presenting the moral direction based on the gospel.

      • KCI등재

        한국적 공공 신학에 관한 연구 : 민중 신학에서 공공 신학으로

        김승환 ( Kim Seung-hwan )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4 신학과 사회 Vol.38 No.3

        본 논문은 한국적 공공 신학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의 대표적인 신학인 민중신학이 최근의 공공 신학과의 관계에서 어떻게 전환되어야 하는지를 다룬다. 1970~80 년대 민중 신학은 소외된 자들과 연대하며 사회 참여를 강조했으나, 1990년대 이후 새로운 시대적 변화와 요청에 응답하는 신학적 패러다임 전환이 이뤄지기 시작했다. 이런 흐름에서 소개된 공공 신학은 교회의 공적 대화와 참여를 강조하며, 사회에서 교회를 건강한 파트너로 인식하게 하는 신학적 토대를 제공한다. 하지만 한국의 공공 신학은 주로 서구 공공 신학의 방법론에 의존해왔기에 한국적 상황에 맞는 한국적 공공 신학 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민중 신학과 공공 신학의 관계를 분석하고, 민중 신학의 요소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공공 신학적으로 변형할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민중 신학에서 공공 신학으로 전환되는 요소들을 소개하고, 한국적 공공 신학의 방향성과 실천 방법을 서술할 것이다. Until recently, Korean public theology has been predominantly influenced by the methodologies of Western public theology. Western societies have a long history of democratic experience, and Western churches have historically engaged in public life in various forms, thereby shaping the methodologies of public church and public theology. Building on the discussions and methods developed by Western churches and theologians,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distinctly Korean public theology that is contextually appropriate. To achieve this, the study will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injung theology, a prominent Korean theological movement, and public theology. It will critically engage with the foundational principles of Minjung theology to suggest necessary adaptations for public theology. Specifically, the study will outline thre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Minjung theology and propose how these can be translated into a framework for public theology. Finally, the study will propose a new direction for Korean public theology and offer practical approaches for its implementation, thereby establishing a contemporary and contextually relevant Korean public theology.

      • KCI등재

        오늘 우리를 위한 디트리히 본회퍼: 공공신학의 관점에서 막스 스택하우스와의 비교를 통하여

        김현수(Kim Hyun-Soo)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2 신학사상 Vol.0 No.157

        본 논문은 세 질문에 따라서 막스 스택하우스와 디트리히 본회퍼의 공공신학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공공신학은 무엇인가? (정의) 둘째, 왜 신학은 공적인 영역으로 나가야 하는가? (이유) 셋째, 어떻게 신학은 공적인 영역으로 나아가는가? (방법) 스택하우스에게 첫째, 공공신학은 타학문 혹은 타종교와 더불어 대화하는 변증학이자, 기독교 관점에서 인권과 정의와 같은 공적인 사안을 다루는 사회윤리이다. 둘째, 교회와 세상의 주이신 하나님은 세상의 공적인 현실에서 스스로 정의를 실현해 나가는 섭리의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신학은 필연적으로 공적이어야 한다. 셋째, 스택하우스의 방법론은 신학이 도덕적이고 영적인 에토스를 형성함으로써 정치, 사회, 경제와 같은 세상의 공적인 영역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는 에토스론이다. 본회퍼에게 첫째, 공공신학은 내용적으로 비종교적 기독교 해석에서 찾아지는데, 그의 비종교적 해석은 외적인 형태(형이상학)로나 내적인 형태(개인주의)로 나타나는 현실 도피주의에 반대하면서 공적인 현실에의 참여를 주장한다. 둘째, 신학이 공적이어야 하는 이유는 하나님이 인간이 되시므로 인간의 공적인 현실에 들어오셨다는 데 있다. 셋째, 본회퍼 공공신학의 방법으로서 책임윤리는 부당하게 고통 받는 타자의 현실에 참여하므로 그 현실을 개혁하는 사회변혁의 윤리이다. By raising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this article mainly intends to compare and analyse the public theology of Dietrich Bonhoeffer and Max L. Stackhouse. (1) What is public theology? (definition of public theology) (2) Why does theology go public? (reason for public theology) (3) How does theology go public? (method of public theology) For Stackhouse, on the one hand, (1) public theology is defined as apologetics and Christian social ethic at the same time. (2) The reason for doing public theology is the sovereignty of God the Lord who leads the world to the just realities of the Kingdom through the divine providential grace. (3) The method of Stakhouse’s public theology is ethology which is interested in the forming the ethos such as world-views and duties. For Bonhoeffer, on the other hand, (1) there is no any formal definition of public theology. Against escapism, however, his public theology concerns the participation of the church in public issues. (2) Theology must go public because God became human which means that God wants human beings to live a truly human life. (3) Bonhoeffer’s method for theology to go public is his famous responsible ethic which mainly focuses on the humanization of those who are suffering by the unjust realities of the world.

      • KCI등재

        교회의 ‘공적 관계성’의 관점에서 장신신학 읽기‚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성명에 대한 신학적 윤리적 분석과 평가를 중심으로 ‚

        이창호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1

        The essence of the Christian church as a public entity lies in its public nature. The public nature of the church has as its essential element its relationship with the secular realm, which involves a variety of public relations and interactions formed by public subjects and socio-political transformations created by such interactions. Therefore, it is considered as an ethical mandate for the church to form public relations with the secular realm and participate publicly in it. If the church’s public participation is an ethical mandate, what is it like and how can the church participate in the public sphere as an agent of public transformation? On what grounds should the public relationship of the church be justified? To respond properly to these questions and fulfill public responsibilities is one of the Christian church’s most important duties. In this paper, I attempt to explore the public relationship of the theology of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and offer constructive suggestions conducive to enriching the Christian church’s understanding of public relationships. First, I will examine the theological statements of PUTS issued in 1985, 2002, 2003 and 2015 in terms of public relationship and discuss theological justifications about the formation of public relations and the pursuit of public transformations. Second, I propose four ideal types of public participation, highlighting classic and contemporary theologians who represent each type and justify these types theologically. Also, I attempt to define the place of the theology of PUTS by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theology’s understanding of public relationship in light of the four types. Lastly, I conclude with several ethical suggestions which are conducive to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the theology of PUTS and enriching the public relationship of world Christianity. 공적 실체로서 기독교회의 본질은 공공성에 있다. 기독교회의 공공성은 공적 영역과의 관계성을 결정적인 요소로 내포하는데, 이 관계성은 필연적으로 그 관계에 참여하는 주체들 사이의 관계 형성과 상호작용을 동반하며 그러한 상호작용은 공적 변화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가 세상과 공적 관계를 형성 하고 또 공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당위적인 명령이라고 해야 할 것이 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 과제 수행의 일환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의 신학 곧 장신신학의 공적 관계성을 탐색하고 그러한 탐색을 통해 기독교의 공적 관계성 이해를 이론적으로 또 실천적으로 성숙시키는 데 이바지하는 것이다. 먼저 1985년, 2002년, 2003년, 2015년에 발표된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성명들을 ‘공적 관계 성’의 관점 곧 교회와 세상의 공적 관계 형성, 공적 참여와 변화(혹은 변혁) 추구 등의 관점에서 논하고, 공적 관계 형성과 변혁 추구에 대한 신학적 정당화에 대해 탐구할 것이다. 다음으로 기독교의 공적 관계성의 패러다임적 모형을 탐색하고그 신학적 근거를 논구하고자 하는데 크게 네 가지 모형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장신신학의 ‘공적 관계성’을 이 모형들의 관점에서 분석·평가함으로써 장신신학의 위치를 탐색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장신신학의 정체성 강화와 세계 기독교의 공적 관계성 성숙에의 기여를 목적으로 하는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조직신학 : 비판적 공공관계신학 -기독교의 공적 신뢰도 제고를 향한 공공신학의 새 지평

        문영빈 ( Young Bin Moo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5 神學과 宣敎 Vol.46 No.-

        현재 한국 기독교 신뢰도 위기상황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본고는공공관계(Public Relations, PR) 담론과 신학의 창조적 접목을 시도해공공신학의 새 지평으로서 ‘공공관계신학’이란 담론 창출의 가능성을모색한다. 최근 PR 담론의 핵심 개념들인 ‘공적 신뢰’와 ‘정당성’은 이런위기상황에 처한 기독교 신학에 새로운 통찰력과 자원을 제공해 줄수 있는데, 본고는 이 개념들에 초점을 맞춘다. 먼저, PR의 표준 유형론을중심으로 주요 패러다임의 역사적 전환을 개관한다. 다음, 위르겐 하버마스의 공론장이론 중심으로 PR 비판론을, 니클라스 루만의 기능주의사회학 관점에서 PR 옹호론을 차례로 살펴봄으로써 PR에 대한 균형잡힌 시각을 제시한다. 또한 최근 주목받는 비판적 PR 담론을 고찰한다. 이 담론은 다양한 비판이론들을 PR 담론으로 수용한 ‘비판적 자기성찰’로서 PR 실천과 담론의 부정적 이미지 해체와 공적 신뢰도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루만의 시스템이론의 ‘성찰’ 개념과하버마스의 비판이론 및 비판적 PR 담론의 ‘비판’ 개념을 생산적으로융합한 ‘비판적 성찰’ 개념을 중심으로 ‘비판적 공공관계신학’ 담론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이것은 전통적 변증신학 패러다임을 넘어, 기독교의공적 신뢰도 제고를 목적으로 성서의 권위에 근거해 공공의 관점에서비정상적 기독교를 비판해 정상적 기독교의 재건을 촉구하는 신학 패러다임이다. 이 패러다임은 위기상황에 처한 기독교의 신뢰 회복을 향한새로운 돌파구를 열어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비판적 공공관계신학의역사적 사례이자 근간으로 루터의 프로테스탄트 신학을 살펴본다. This article develops the paradigm of public relations theology as a new horizon of public theology by assimilating PR discourse into theology, with an aim to promote the public trust of Christianity in Korea, which is currently facing a daunting crisis in the public arena, primarily due to its self-seeking attitudes insensitive to public expectations. At stake is public trust, a notion which has attracted central attention in recent PR discourse, which thus could offer a helpful resource for theology in this dire situation. For nearly a century, PR discourse has matured through coping with formidable criticisms leveled against its liaison with corporations in pursuit of private interests, accompanied by a number of important paradigm shifts: from “propaganda” to “two-way communication” and to “co-creation of meaning.” The most remarkable recent development is the assimilation of a variety of criticisms within PR discourse itself, which gave rise to the discourse of critical public relations that devotes itself to the critical self-reflection of PR. With this backdrop in place, I substantiate the notion of critical reflection by integrating Jurgen Habermas` critical theory with Niklas Luhmann`s systems theory that highlights systemic reflection vis-a-vis complex environment. The current crisis of Christianity urges theology to adopt an aggressive strategy which I call critical public relations theology over against traditional apologetic theology. Luther`s theology provides a paradigmatic case of the former, as it boldly criticized the illegitimate performances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from the standpoint of the public, appealing to the authority of sola scriptura, with the consequence of redeeming the public trust of authentic Christianity - this Protestant spirit is demanded again as a remedy for the current crisis of Christianity.

      • KCI등재

        현대 신학의 지평에서 공공성의 방향성과 역할 논의에 관한 연구: ‘곁으로’(in-between) 신학을 중심으로

        한상민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2 영산신학저널 Vol.- No.59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onstructive approach to the direction and role of theology and church in terms of their relations to public life.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a new form of public theology which shows its distinctive theological paradigm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present time. In so doing, it stresses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public sphere and its theological foundations. It also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revitalizing public solidarity in theology and genuine Christian community’s spirit for ‘common good.’ Given that, this study introduces a new theological paradigm called ‘In-Between’ theology for a new approach to public life. This particular theology has strong biblical foundation of covenant theology and conservative theological doctrine that is based on a pilgrim theology. This paradigm acknowledges that its theological emphasis needs to be connected with its distinguishing spiritual affections(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making firm solidarity, and, at the same time, under the title called ‘Sacred void and intimate encountering’ it requests the Christian community to participate this public ministry in order to provide legitimate solutions for several social-political and cultural-religious problems. This study, thus, seeks to affirm that Christian ethics which is developed and shaped by the beliefs and practices of life and ministry of Jesus Christ is social ethics in terms of doing (public) theology in the way of bringing forth a transformation of will and character, as it can be lived out in the community of faith and in the world at large. Therefore, it is radical and revolutionary ethics. In this light,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meaning and role of contemporary theology and church practices in order to accommodate present social contexts. This provides a more adequate and suitable theological paradigm for spiritual awakening and transformation of the society with some theological responsibilities. Consequently, it introduces distinctive theological findings of a new theological paradigm called ‘In-Between’ theology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nd revitalizing the public life and sociality of theology and the church. In this line of thinking, this research gives a few constructive theological implications on public theological life of church with infus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and the nature and meaning of community. In addition, conclusive thoughts which ‘in-between’ theology can also serve to be a bridge between Christianity and secular society will be able to be construed in terms of common good and solidarity for the needy.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신학의 관점에서 신학과 교회에 요구되는 공공성의새로운 방향성과 역할을 현재 상황과의 관계 안에서 상세히 탐구하고자 하는의도가 있다. 이 연구는 현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형태의 공적 신학의 틀과 방법을 담은 신학 패러다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런 시도를 통해 참된 공적 연대와기독교 본연의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데 강조점이 있다. 따라서 건설적인 형태의 공공신학을 위한 공론장의 필요성과 그와 관련된 신학적 근거와 배경 소개를 출발점으로 삼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시대의 필요(needs)에 적합한 현대 신학의 공공성의 내용과 방향성을 정통 신학과 성경적 메시지와 접맥시켜제시한 후에 ‘곁으로 신학’이라는 명칭으로 소개될 새로운 공적 신학의 본질과궁극적 목적을 탐구하고자 한다. 다음으로는 실천적인 측면이 강조된 신학의역할에 관한 내용을 ‘거룩한 공백과 친밀한 채움’이라는 주제 아래 기독교인과 신앙 공동체의 참여를 독려하여 참된 연대(solidarity) 형성을 토대로 한 신학적담론을 제공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현대 신학에서 공공성을 강조한신학을 통해 무엇을 기대할 수 있을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공적 신학과는 달리 그 신학적 출발점을 언약사상에 기초한 순례자 신학에 기반을 둔다. 아울러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사역을 바탕으로 한 기독교 윤리는 곧사회적 윤리이며 이것은 혁명적 윤리가 되어야 한다는 당위성을 강조하고자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시대적 필요에 설득력 있고 현실적인 응답의 신학을 제공하고 동시에 신앙적 측면에서 좀 더 명확하게 사회 변혁을 위한 교회와 신학의 역할을 연구하고자 한다. 신학과 교회의 공공성 확장과 사회적 책임을 ‘곁으로’ 신학이라는 패러다임을 통해 이와 같은 시도의 학문적 정합성뿐 아니라 실천적 결단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공공신학 분야의 시야를 넓혀줄 수 있는 기독교 영성이 융합된 공동체 개념을 담은 담론을 제시함으로써 기독교와사회를 연결하는 가교의 역할을 연구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공적 신학의 방향과 역할들을 제안한다.

      • KCI등재

        하인리히 베드포드-슈트롬이 제시한 공공신학의 특징

        김민석 ( Kim Minseok ) 한국조직신학회 2021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3 No.-

        공공신학적 논의의 길지 않은 역사와 공공신학이 논의되는 각 지역의 다양한 상황으로 인해 공공신학의 개념은 ‘다양성’과 ‘모호성’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공공신학자들은 종종 공공신학(public theology)이라는 단수형이 아닌 공공신학들(public theologies)이라는 복수형으로 표현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성과 모호성에도 불구하고 공공신학들이 가지는 공통점이 존재함을 부정할 수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하인리히 베드포드-슈트롬(Heinrich Bedford-Strohm)은 최근 공공신학의 여섯 가지 특징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성경적-신학적 특징, 이중 언어 능력, 간학문적 특징, 정치적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역량, 예언자적 속성, 상호 맥락적 본질이다. 본 연구는 그의 다양한 저작들 속에서 발견되는 공공신학의 이러한 특징들을 분석하여 체계화하고 다른 신학자들의 주장들과 비교함으로써 공공신학을 더 구체적으로 이해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e notion of public theology is characterized by ‘diversity’ and ‘ambiguity’ due to the short history of public theological discourses and the various contexts of each region where public theology is discussed. For this reason, public theologians often argue that it should be expressed in the plural form of public theologies rather than the singular form of public theology. However, despite the diversity and ambiguity, it cannot be denied that public theology has something in common. In this context, Heinrich Bedford-Strohm recently presented six characteristics of public theology, namely, its biblical-theological profile, its bilingual ability, its inter-disciplinary character, its competency to provide political direction, its prophetic quality, and its inter-contextual nature. This study aims to help understanding of public theology more concretely by analyzing and systematizing these characteristics of public theology found in his various works, and comparing it with the arguments of other theologians.

      • KCI등재

        공적신학의 모델들- 2010-2017년의 연구흐름을 중심으로

        김동건(Kim, Dong-Ku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8 신학사상 Vol.0 No.180

        공적신학은 최근 10년의 신학흐름에서 가장 활발한 주제 중에 하나이다. 공적신학은 신학의 여러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으며, 관점이 다양하기 때문에 정의 내리기가 쉽지 않다. 본 논문은 2010-2017년 사이의 공적신학의 연구 흐름을 분석하여, 네 가지 모델로 제시하였다. 모델의 분류는 공적신학의 목표, 역할, 관점 등을 기준으로 삼았다. 네 모델의 명칭은 전통 모델, 실천 모델, 상황 모델, 글로벌 모델로 명명했다. 공적신학의 네 모델을 통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공적신학의 특징들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논문은 네 모델이 서로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이 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공적신학의 여러 모델 중에 지역교회를 중심으로 하는 모델이 없다는 점을 한계로서 지적할 것이다. Public theology is one of the most active topics of theology in the last decade. Public theology is hard to define. There is disagreement among scholars about the purpose and role of public theology. I analyzed the studies of public theology between 2010 and 2017 and classified them into four models. 1) The traditional model seeks biblical and theological justification for public theology. The traditional model considers the connection between public theology and Christianity or the church. 2) The praxis model seeks the public role of theology with a strong will for praxis. The praxis model shares viewpoints with various doing theology, such as liberation theology, feminist theology, and black theology. 3) The contextual model seeks the role of public theology in concrete contexts. The contextual model has a pluralistic nature in that it tolerates the diversity of all religions, philosophies, and ideologies in ‘contexts’. 4) The global model pursues the ‘common good’ of humanity at the global level. The global model s interest is clearly ecosystem, environment, land, and the earth. These four models have their own advantages. I argue the need for a local church model, since there is no church-based model.

      • KCI등재후보

        복음주의와 공공신학

        조영호 ( Young Ho Cho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7 조직신학연구 Vol.27 No.-

        본 논문의 주제는 공공 영역과 공론장에서 복음주의 신학과 교회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오늘 복음주의는 정체성의 위기와 비전 상실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경험의 원인을 우리는 ‘공공성 상실’과 ‘기독교 지성의 부재’로 이해한다. 이러한 이해 속에서 현대 공공신학자들의 논의를 통해 공론장에서 한국 교회가 어떻게 기독교적 대안을 제시 할 수 있는지, 공공선을 위해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것을 위해 우리는 몇 가지 주제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우선, 복음주의란 무엇인지, 그 정체성에 대한 정의를 내려보고, 복음주의와 종교개혁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현대 복음주의자들이 제기했던 신학적 문제, 특히 공공성 상실에 대한 비판과 기독교적 공공 지성의 부재에 대한 비판을 알아보고 복음주의 신학을 공공 신학적 관점에서 파악할 것이다. 복음주의가 제기한 공공 신학적 문제를 오늘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기 위해 우리는 현대 공공신학자 두 명, 스택하우스와 하우어워스(Stanley Hauerwas)의 신학을 검토할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신학적 검토를 마무리한 후 한국 복음주의 신학과 복음주의 교회를 위한 몇 가지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곳에서 제시한 대안은 세 가지 제시하였다: 1) 기독교적 공공 지성을 양성 2) 잃어버린 언어의 회복 3) 그리고 현대 공공 신학 방법론적 차이의 조화 가능성 The theme of this thesis is to try to explore alternative gospel theology,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church in public areas and public forums. Today’s gospel experiences a crisis of identity and loss of vision. We understand the cause of such experience as ‘loss of publicity’ and ‘absence of Christian intelligence’. Among these understandings, through discussion by contemporary public theologians, how the churches of Korea can present Christian alternatives in public forums, what role do they have for public good? I want to see if it can do or not. Because of this, we critically consider several topics. First of all, let’s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spel and religious reform by defining the identity of what the gospel is. Then criticism of theological problems raised by contemporary evangelists, especially criticism of the loss of public nature and lack of Christian public intelligence will be examined and gospel theology grasped from the public theological viewpoint. In order to reinterpret the public theological issue raised by the gospel from today’s point of view, we will review the theology of two modern public theologians, Stackhouse and Hauerwas (Stanley Hauerwas). After completing these historical and theological studies, I will try to present some proposals for the Korean evangelical theology evangelical church. The options presented here presented three: 1) Training Christian public intelligence 2) Recovery of lost languages 3) And the possibility of harmonization of differences in modern public theology method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