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윤동주의 「간(肝)」과 프로메테우스: 비교를 통한 읽기

        신경숙 ( Kyung Sook Shin ) 한국비교문학회 2015 比較文學 Vol.0 No.67

        이 논문은 윤동주의 「간」을 비교를 통해 읽는 시도다. 「간」에서 시인 윤동주의 고뇌가시에서 인유(引喩)하는 프로메테우스 (Prometheus)의 고뇌와 중첩되면서, 당대 지식인들이 경험한 첨예한 갈등들, 시대적 조건과 그 조건을 살아가는 개인의 고뇌를 재현함을 밝힌다. 이 재현은 보편적이면서 동시에 특수하고, 시인의 고통을 공시적이면서 통시적인 방식으로 좌표화하는 시인 고유의 시학을 드러낸다. 「간」에서 시인은 동양의 설화와 서양의 신화를 조우시켜 대중적이고 전통적인 요소를 당시 근대의 기호이며 제도라할 수 있는 서양문학 속의 인물과 겹쳐놓고, 이를 통해서 전통과 근대, 동양과 서양,저항의 언어와 자기희생의 언어를 교차시킨다. 이 논문에서는, 구체적으로, 프로메테우스의 형상화에 초점을 맞춘다. 인간을 위해 불을 훔치고 제우스의 몰락을 예견하기때문에 제우스에 의해 처벌받는 혁명적 인물, 프로메테우스가 아이스퀼로스(Aeschylus), 앙드레 지드 (Andre Gide), 퍼시 B. 셸리 (Percy B. Shelley)같은 작가들을 통해 윤동주에게 수용되면서 재형상화 되고 있음을 보이고, 특히 아이스퀼로스의 비극, 『프로메테우스의 결박』(Prometheus Bound)과, 영국 낭만 시인 셸리의 프로메테우스 다시 쓰기라 할 수 있는 서재극, 『프로메테우스의 해방』(Prometheus Unbound,1819)에서의 프로메테우스가 식민지 지식인들에게 저항의 정신으로 수용되었음을 논의한다. 윤동주의 시에서 독수리에게 자신의 간을 내주는 프로메테우스는, 한 편으로는 매우 급진적인 연민의 정서를 품은 셸리 극의 주인공 프로메테우스와 닮았다. 다른한 편, 마태오 복음의 구절을 연상시키면서 목에 맷돌을 달고 바다에 빠지는 프로메테우스는 “불도적한 죄”를 저지른 ‘죄인’으로서, 인간이 어둠 속 미몽에 머무르지 않도록 명민하게 깨어있는 의식의 ‘불’을 갖게 해 준 장본인, 즉 유혹자인 동시에 속죄양인인물로 변모한다. Yun Dong-Ju’s 1941 poem “The Liver” yokes together the Korean oral tale, “Rabbit Visits the Dragon Palace” with the Greek myth of Prometheus. In this essay, I examine some important possible sources for the poem, including Aeschylus’s Prometheus Bound, Kim O-Seong’s series of essays published in The Chosun Ilbo in 1939 as well as P. B. Shelley’s Prometheus Unbound (1819), where Prometheus is more enduring, radically more forgiving and more self-sacrificing than in any other account of the Promethean myth. As a symbol of the spirit for human liberation, enduring intellect, and transgressive imagination, the Romantic Prometheus, I argue, was met with welcome in colonial Korea. While Kim’s column represents the anxiety of the intellectual during the period as something abstract and universal.as a conflict of the rational intellect in an oppressive historical moment, Yun’s poem focuses on the speaker’s internal conflict, constructing a figure of the poet as a Prometheus drowning, with a grinding mill dangling around his neck. I first sketch the transformations of the Prometheus figure undertaken by Aeschylus and Shelley, before discussing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Prometheus in colonial Korea. I then attribute the figuration of Prometheus in Yun’s poem to Shelley’s Prometheus Unbound by discussing the significant similarities in characterization. In conclusion, I show that Prometheus suffers a metamorphosis in the poem, being described as a seducer and a self-sacrificing redeemer of humankind, whose fire gave humanity (self-) knowledge, self-consciousness, and prophetic vision, thus bringing on himself and the poet a “sad” calling.

      • KCI등재

        신화와 비극의 탈신화화 - 괴테 『프로메테우스』 단편(斷片)을 중심으로

        양시내 한국브레히트학회 2024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 No.51

        프로메테우스에 대한 괴테의 오랜 관심의 흔적은 송가 「프로메테우스」나 동명의 드라마 『프로메테우스』 그리고 축제극 『판도라』를 통해서 확인된다. 송가 「프로메테우스」가 슈트룸 운트 드랑 세계관을 집약하고 있는 한 사조의 대표작으로 평가받아 온 반면, 드라마『프로메테우스』는 완성되지 못했다는 한계 때문인지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송가의 세계관을 포섭하고 있는 단편(斷片) 『프로메테우스』의 ‘미완’은 슈트룸 운트 드랑의 뒤를 잇는 괴테 고전주의 극작론에 대한 예비적 징후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이에 본고는 『프로메테우스』가 어떻게 내용 층위에서 프로메테우스 신화의 차용과 변용을 통해 슈트룸 운트 드랑의 시대 정신을 입체적으로 구현하는지 고찰하고, 이러한 ‘탈신화화’가 형식 층위에서는 어떻게 드라마의 미완과 관련되는지 추적하여, 슈트룸 운트 드랑 시기에 발표된 이 작품이 선취하고 있는 괴테 비극관의 맹아를 탐색한다. 나아가 『프로메테우스』에서 이중의 탈신화화, 즉 프로메테우스 신화의 탈신화화와 비극의 탈신화화 과정이 서로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상보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Prometheus ist ein Mythos, der Goethes Interesse über lange Zeit hinweg wach gehalten hat. Die Spuren seines Interesses daran finden sich in der Hymne <Prometheus>, dem gleichnamigen Drama <Prometheus-Fragment> und dem Festspiel <Pandora>. Die später als das unvollendete <Prometheus-Fragment> verfasste Hymne <Prometheus> wurde als ein repräsentatives Werk von Strum und Drang angesehen. Im Gegensatz dazu hat <das Prometheus-Fragment> möglicherweise aufgrund seiner Unvollständigkeit kaum Beachtung gefunden. Diese Arbeit richtet gleichwohl ihr Augenmerk darauf, dass <das Prometheus-Fragment>, das den Zeitgeist des Sturm und Drang aufnimmt, in seiner Unvollständigkeit Goethes klassische Dramatik, die dem Sturm und Drang folgt, vorwegnimmt. Daher wird in dieser Arbeit zuerst untersucht, wie <das Prometheus-Fragment> auf inhaltlicher Ebene durch die ‘Selektion’ und ‘Variation’ des Prometheus-Mythos den Zeitgeist des Sturm und Drang verkörpert. Darauf aufbauend wird weiter untersucht, wie die ‘Entmythologisierung’ auf formaler Ebene, also auf der Ebene des Genres mit der Unvollständigkeit des Dramas in Zusammenhang steht. Das Ziel dieser Arbeit ist es, zu bestätigen, dass in dem <Prometheus-Fragment> sozusagen eine doppelte Entmythologisierung stattfindet, nämlich die Entmythologisierung des Prometheus- Mythos per se und die Entmythologisierung der Tragödie, die ineinandergreifen und sich wechselseitig ergänzen.

      • KCI등재

        프로메테우스 신화의 변이와 비극의 변형 - 아이스퀼로스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의 분석적 고찰

        양시내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3 독일언어문학 Vol.- No.101

        Die Analyse der Rezeption und Transformation der griechischen Mythologie in der Literatur bietet die Möglichkeit, einen umfassenden Überblick über die Entwicklung der westlichen Geistesgeschichte zu gewinnen. In diesem Zusammenhang gehört Prometheus, der die dramatische Konfrontation zwischen absoluter Macht und dem Menschen verkörpert, zu den mythologischen Figuren, die literarische Höhen und Tiefen erlebt haben. Während der Zeit des Absolutismus wurde die Herausforderung des Zeus durch Prometheus negativ dargestellt. In der humanistischen Ära, in der humanistische Ideale hochgeschätzt wurden, wurde diese Herausforderung als heroische Tat betrachtet. Aus diesem Grund präsentiert Hesiod Prometheus als einen rebellischen Gegenspieler, während Aischylos Prometheus als Symbol des humanistischen und demokratischen Zeitgeistes darstellt. Das Ziel dieses Beitrags besteht darin, Der Gefesselte Prometheus von Aischylos sowohl inhaltlich als auch in Bezug auf seine formale und theatralische Ebene umfassend zu analysieren. Hierbei werden Hesiods Epen als Prätexte auf der Inhaltsebene betrachtet, um die Rezeption und Transformation des Prometheus-Mythos in Aischylos’ Der Gefesselte Prometheus vergleichend zu untersuchen. In theatraler Hinsicht untersucht dieser Beitrag, wie die Einzigartigkeit dieses Werkes, die Bestrafung des Prometheus bereits im Prologos, mit den tragischen Merkmalen in einem aristotelischen Sinne parallel verlaufen lassen kann, um die dramatischen Merkmale abzuleiten. 문학에서 그리스 신화가 수용되고 또 변용되는 양상을 분석하는 작업은 역동적으로 변화해온 서구 시대 정신의 변화 과정을 들여다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이런 맥락에서 절대 권력과 인간의 대립 및 갈등을 극적으로 형상화하는 프로메테우스는 문학적으로 역동적으로 수용되어 온 신화 캐릭터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절대 권력의 가치를 중시했던 시기엔 제우스에 대한 프로메테우스의 도전이 부정적으로 그려졌으며, 인본주의적 가치를 중시했던 시기에 이 도전은 영웅적 행위로 그려졌다. 일례로 헤시오도스는 프로메테우스를 제우스를 속인 사기꾼이자 신의 권위에 도전하는 불손한 존재로 그렸으며, 아이스퀼로스는 프로메테우스를 절대 권력을 약화하고 휴머니즘적이고 민주주의적인 세계관을 옹호하는 시대의 대변자로 구현했다. 본 논문은 아이스퀼로스의 결박된 프로메테우스 를 내용적 층위와 형식적 층위에서 분석함으로써 작품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다. 우선 내용적 층위에서는 헤시오도스의 서사시들을 선행텍스트로 간주하고, 아이스퀼로스가 이 텍스트들을 차용하고 전복하는 방식을 중점적으로 고찰한다. 형식적 층위에서는 프로메테우스의 ‘비밀’을 키워드 삼아 이미 극의 도입부에 프로메테우스에 대한 형벌이 집행되는 독특한 구조를 지닌 이 작품이 어떻게 작품 마지막까지 비극적 속성을 견지할 수 있는지 분석해 본다.

      • KCI등재

        오픈소스 Prometheus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전연구

        안성열(Seong Yeol An),차윤석(Yoon Seok Cha),전은진(Eun Jin Jeon),권귀영(Gwi Yeong Gwon),신병춘(Byeong Chun Shin),차병래(Byeong Rae Cha)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1 스마트미디어저널 Vol.10 No.2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성장 동력인 사물인터넷 (IoT) 기술은 자율 형으로 상호 소통하며 공간과 상황에 따른 데이터를 복합처리 할 수 있는 단계로 성장하였다. 이에 따라 IT 인프라 구조는 점점 복잡해지고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분야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모니터링 기술은 과거에도 사용되었지만, 빠르게 변하는 ICT 기술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은 오픈소스 기반 Prometheus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고 테스트 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IoT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간단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Exporter를 통해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Prometheus는 데이터를 Pull 기반으로 수집한 뒤 Grafana를 사용하여 하나의 대시보드에 통합하고 데이터를 시각화함으로써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a key growth engin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grown to a stage where it can autonomous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process data according to space and circumstances. Accordingly, the IT infrastructure becomes increasingly complex and the importance of the monitoring field for maintaining the system stably is increasing. Monitoring technology has been used in the past, but there is a need to find a flexible monitoring system that can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ICT technology. This paper conducts research on designing and testing an open source-based Prometheus monitoring system. We builds a simple infrastructure based on IoT devices and collects data about devices through the Exporter. Prometheus collects data based on pull and then integrates into one dashboard using Grafana and visualizes data to monitor device information.

      • KCI등재

        『해방된 프로메테우스』에 나타난 P. B. 셸리의 여성주의적 양성성

        박현경(Hyun-Kyung Park) 19세기영어권문학회 2010 19세기 영어권 문학 Vol.14 No.2

        This paper is to study P. B. Shelley's feminist concept of androgyny in Prometheus Unbound. In rewriting of Aeschylus' Prometheus Bound, Shelley acknowledges that he takes Plato rather than Aeschylus as his model to overcome injustice and superstition and to present “beautiful idealism of moral excellence.” What Shelley was mainly concerned with and focused on was androgyny in Plato's The Symposium. He was deeply interested in Aristophanes' discourse on androgyny as a revolutionary power against Zeus' tyranny. Shelley's Prometheus, as a figure of poet, shows romantic concept of androgyny; he accepts pain, tries to escape from his narrow self, pities others even enemy, and aspires to be one with his “antitype” Asia. Passive as he is, Prometheus completes inner, peaceful, and the whole revolution with his self-emancipating and other-acknowledging qualities. On the other hand, Asia, not as a passive mistress but as an active heroine, reveals the same qualities with Prometheus'. She is awakened from her long wait, and quests for the everlasting deep truth. After her journey to the cave of androgynous Demogorgon, Asia recognizes her intrinsic insight into the truth and her power to change the world. Prometheus and Asia, while performing each inverted gender role, achieve androgyny and accomplish cosmic revolution. Shelley's romantic revision of Prometheus' myth shows his feminist view with his idealization of androgyny as a potential for revolution.

      • KCI등재

        변증법으로 본 셸리의 『해방된 프로메테우스』

        황은수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16 영어영문학연구 Vol.58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Prometheus Unbound based on Hegelian dialectic. Prometheus Unbound is a dramatic poem which reveals Shelley’s idealism to seek a beautiful society. Shelley shows the liberation and freedom of humankind from the tyranny through the righteous hero, Prometheus. This poem which tells us the realization of ideal society and its process based upon love can be connected with Hegel’s dialectic that history develops through the conflict and struggle between thesis and antithesis. Firstly, Prometheus’ bringing fire and wisdom to the mankind is ‘thesis’ and his receiving physical punishment from Jupiter is ‘antithesis’. And Prometheus’ liberation by his endurance and Asia’s love can be told as synthesis. Secondly, analyzing the change of Prometheus’ psychology according to the ‘dialectic of master and slave’, his heart of hatred is the heart of slave and his heart of endurance conquering the hatred of Jupiter is the heart of master. So it can be said that the success of master’s heart after the struggle between two hearts within Prometheus brought his true liberation. Through this poem, Shelley shows us the hope that ideal society can be realized based upon love and endurance without surrender and compromise.

      • KCI등재

        그리스인 프로메테우스의 아랍 여행 -프로메테우스 신화 차용과 아랍적 변용-

        임병필 ( Byung Pil Lim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2012 지중해지역연구 Vol.14 No.1

        Many Greek myths were borrowed in the lots of Arabic poems in modern times. In fact the Greek myths were tabooed because of their gods` tales. In the Arabic poetry built up on Islam that believes in the Only God Allah, another gods were naturally tabooed. Meantime some poets in the beginnings of twenties introduced the Greek myths in their poems. But the full-scaled start was from the 1950`s Tammuzian poets who wrote their many poems by the myths and prototypes having the image of the death and revival. They want to express their own and their countrymen`s hopes for the revival from their collapse and hopelessness through the Greek myths of the death and revival. Especially, some poets borrowed some images from the myth of Prometheus. They were the Tusian poet Abu al-Qasim al-Shabbi, the Iraqi poet Abdu al-Wahab al-Bayyati, and the Palestinian-Iraqi poet Jabra Ibrahim Jabra. First, Shabbi expressed his own sufferings of his heart disease and his counterforces through Prometheus` eternal punishment and his pecked liver. And also he borrowed the image of the air king from the eagle of Zeus and declared to live as a grand-looking person like an eagle. Next, Bayyati borrowed the image of chained Prometheus to express the suppressed freedom of Iraq. And hetook the cruel image of the eagle which pecked the liver of Prometheus to show the dictatorship and his puppets which suppressed himself and his countrymen through the terrorism. Finally, Jabra borrowed the sacrifice and endure of Prometheus which stole the fire from Zeus and after that was punished to the endless pain but didn`t regret at all. And it`s to symbolize the unyielding resistance of Algerians which resisted against the French trusteeship for 130 years. And also he borrowed the Zeus to show the terror and extortion of the French imperialism and borrowed the eagle of Zeus` errand to express the cruel puppet government of the French imperialism. Like this some modern Arabic poets effectively and successfully expressed their sufferings and the hope for their life through the myth of Prometheus.

      • KCI등재

        카프카의 「프로메테우스」와 프라하의 시오니즘

        김연수 한국독일현대문학회 2020 뷔히너와 현대문학 Vol.0 No.55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Kafkas Prosawerk Prometheus analysiert, indem es im Kontext des (kulturellen) Zionismus in Prag beleuchtet wird, der zu dieser Zeit für Kafka eine unmittelbare Realität war. Dabei wird Kafkas Absicht betrachtet, den griechischen Prometheus-Mythos im Kontext der politischen und kulturellen Zionismusbewegungen in Prag angesichts des aufstrebenden Nationalismus und der antisemitischen Tendenzen radikal zu transformieren. Kafka interpretiert den Prometheus-Mythos als ätiologische Sage und erzählt ihn in vier verschiedenen Versionen, in die die Sage im Laufe der Geschichte den Zeitumständen entsprechend verwandelt wurde. Die Hauptmotive der vier Versionen - Bestrafung, Schmerz sowie Einswerden von Prometheus mit dem Felsgebirg, Vergessen, Müdigkeit und Unerklärbarkeit - werden mit versteckten Bildern aus der chassidischen Geschichte Die Geschichte von den sieben Bettlern und von Moses Tod im Pentateuch beleuchtet. Dadurch werden sowohl die Kluft zwischen den Kulturzionisten und den westeuropäischen Juden als auch das paradoxe Einswerden von Vergessen und Erinnerung gezeigt, das auch das am häufigsten genannten Charakteristikum der Assimilationskultur benennt. Auf diese Weise wird die Beziehung zwischen dem Prometheus-Mythos in der vergangenen Tradition und dem "unerklärlichen Felsgebirg" in der Moderne sichtbar gemacht. Dies kann auch für die Beziehungen zwischen der jüdischen Tradition und den westeuropäischen Juden gelten, indem Kafkas Prosatext Prometheus als das "unerklärliche Felsgebirg" in Bezug auf das Judentum fungiert.

      • KCI등재

        트랜스휴먼 시대 포스트 프로메테우스의 두 양상 - 데츠오(<아키라>)와 쿠사나기(<공각기동대>)의 다른 실천에 관한 고찰 -

        안숭범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9

        This study is an attempt to focus on and reinterpret the antisocial attitude and epical process of manifestation exhibited by the two main characters from renowned SF cyberpunk works, <AKIRA> and <Ghost in the Shell>. Specifically, the apocalyptic atmosphere inherent in the two animated films and the nature of “resistance” as performed by the two characters are examined in correlation with the myth of Prometheus. First, Tetsuo from <AKIRA> exhibits the characteristic of Prometheus from 『The Theogony』, and thus of a “stealer.” The relationship between Zeus and Prometheus in 『The Theogony』 can be paralleled to that between the outburst of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Tetsuo. Tetsuo introduces the concealed potential of destruction posed by technology into his body to be born into a transhuman that punishes both himself and the existing civilization. The image of body transformation which is visualized toward the end of the narrative represents our vague fear toward transhumans, and unveils the character’s function as a “constructive destructor” amid the unrepentant technological civilization. On the other hand, Kusanagi from <Ghost in the Shell> resembles the “Prometheus bound” as a punishment from Zeus since the beginning of the narrative. She is bound by the very fruit of technology such as the “cyberbrain,” “cyborg body” and “the vast and infinite net.” Simultaneously, she is a transhuman chained by a fractured sense of identity. Her escape from the authoritative power of the technological civilization after an agonizing process of deliberation on her limits towards the end of the narrative reminds viewers of Prometheus from 『Prometheus desmotes』. Without giving in to the force of technological power represented by cyberbrain and cyborg body, She steps forward into the creation of a new world of life and calls attention to the meaning of “Entwurf (project)” that Jean-Paul Sartre argued. Therefore, at the ending of <Ghost in the Shell> Kusanagi represents “destructive construction,” compared to Tetsuo’s death symbolizing “constructive destruction” in <AKIRA>. 본 연구는 SF 사이버펑크물로 잘 알려진 <아키라>와 <공각기동대>를 대상으로 두 주인공의 대사회적 태도와 그들의 서사적 실천 과정에 주목해 재해석하려는 시도다. 특히 두 애니메이션의 묵시록적 분위기와 두 주인공이 행하는 ‘저항’의 성격을 프로메테우스 신화와의 관련성 속에서 변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아키라>의 데츠오는 『신통기』에 등장하는 프로메테우스의 성격, 곧 ‘훔친 자’의 특징을 보여준다. 『신통기』 속 ‘제우스-프로메테우스’의 관계는 <아키라>에서 ‘폭주하는 기술문명-데츠오’의 관계로 파악할 수 있다. 데츠오는 은폐되어 온 기술문명의 파괴적 잠재력을 신체에 들인 후, 스스로를 향한 처벌과 기존 문명을 처벌하는 트랜스휴먼이 된다. 서사 말미 가시화되는 신체변형 이미지는 트랜스휴먼에 대한 우리의 막연한 공포를 상징하는 것으로 반성없는 기술문명 속에서 ‘창조적 파괴자’로 기능하게 된 그의 성격을 드러낸다 하겠다. 한편 <공각기동대>의 쿠사나기는 서사 초반부터 제우스의 형벌에 의해 ‘묶인 자’로 등장한다. 그녀는 ‘전뇌’, ‘사이버 보디’, ‘광범위한 네트’라는 기술 결정체에 묶인 자이면서 분열적 정체감에 포박당한 트랜스휴먼이기도 하다. 그 때문에 자기 한계를 놓고 고민하다가 기술문명의 규제력을 스스로 이탈하는 그녀의 최후는 『결박당한 프로메테우스』 속 프로메테우스를 떠올리게 한다. 그녀는 전뇌화·의체화로 대변되는 기술권력의 힘에 굴하지 않고 새로운 생명 세계의 창조로 나아가며, 사르트르가 말한 ‘기투’의 의미를 환기시킨다. 그 때문에 <아키라> 속 아키라의 최후가 ‘창조적 파괴’라면, <공각기동대>에서 쿠사나기의 최후는 ‘파괴적 창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에른스트 블로흐와 그리스 신화

        김진(Jin Kim)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7 No.1

        에른스트 블로흐가 제시한 희망철학의 기본정신은 그의 프로메테우스 해석으로부터 나온 것이다. 희망의 가능 근거는 미래 시간의 지평이며, 그로부터 우리는 ‘아직-아님’이라는 시간성의 계기를 발견할 수 있다. 블로흐는 역사의 참된 창조는 세계의 시초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마지막에 있다고 보았다. 세계 종말에서의 참된 창조는 기존의 것에 대한 부정에 그치지 않고 새롭게 하는 혁명적 사건에 의해서 실현된다. 블로흐는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인간상을 프로메테우스 신화에서 찾았다. 다른 그리스의 신들과는 달리 프로메테우스는 인간에게 불과 기술을 전수하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종교적 신앙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프로메테우스는 운명과 죽음 앞에서 무력해지는 올림포스의 신들과는 달리 앞에서만 본 예술종교의 한계를 넘어서서 현실적 고통과 폭압적 질서에 굴복하지 않고 해방과 자유를 성취하고자 노력했다. 프로메테우스는 아이스퀼로스의 비극 속에서 종교적 의미를 얻게 되었고, 괴테와 블로흐 등을 거쳐서 희망철학적 인간상으로 정립될 수 있었다. 블로흐가 희망철학에서 구축한 인간상에 가장 근접한 자가 바로 프로메테우스인 것이다. 희망은 학문의 역사에 한 번도 등장한 적이 없는, 이른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것’, ‘아직 완성되지 않은 것’에서 ‘아직-아님’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블로흐는 자신의 희망 사유에서 미래, 전초, 새것의 범주를 새롭게 도입한다. 이전 철학자들이 말하는 ‘본질’은 ‘과거적 본성의 총체’이다. 그러나 블로흐는 단호하게 본질은 결코 과거 속에 있지 않으며, 세계의 전초에 있다고 말한다. 그것은 우리에게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아직 달성되지 않은 ‘고향’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러한 블로흐의 희망사유는 카드모스, 아이스클레피오스, 오르페우스, 디오니소스, 예수 그리스도로 이어지는 ‘프로메테우스 영향사’를 통해 확립되었다. The basic spirit of the philosophy of hope proposed by Ernst Bloch comes from his interpretation of Prometheus. The possible ground of hope is the horizon of the future time, from which we can find the temporal moment of ‘Not-Yet’. Bloch believed that the true creation of history was not at the beginning of the world but at the end of it. The true creation at the end of the world is realized not by the denial of the existing but by the revolutionary event that renews everything. Bloch saw that Prometheus is able to perform its tasks. Unlike other Greek gods, Prometheus was not the subject of religious beliefs despite his intention to deliver fire and techniques to humans. Prometheus, unlike the gods of Olympus, who were helpless in the face of fate and death, went beyond the limitations of the art religion that was seen only from the front, and tried to achieve liberation and freedom without submitting to realistic pain and oppressive order. Prometheus gained religious significance in the tragedy of Aeschylus, and was able to be established as a human figure for the philosophy of hope through Goethe and Bloch. The closest human image to Bloch"s philosophy of hope is the Prometheus. Hope has the character of ‘Not-Yet’ in the ‘Not-yet-realized’ and ‘not-yet-completed’, which have never appeared in the history of wisdom. Bloch introduces a new category of ‘future’, ‘front’, and ‘the new’ in his hope thoughts. The ‘essence’(Wesen) of the former philosophers is ‘the totality of the past nature’(Ge-wesenheit). But Bloch decisively says that the essence is not in the past, but in the front of the world. It is also a matter of ‘hometown’(Heimat) that has not yet been realized, not yet to be achieved. This Bloch’s philosophy of hope was established through the Prometheus influence, which leads to Cadmus, Aesculapius, Orpheus, Dionysus, and Jesus Chr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