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자상거래에서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를 유발하는 원인과 보호반응에 관한 연구: 주인-대리인 이론을 중심으로

        김종기 ( Jong Ki Kim ),김진성 ( Jin Sung Kim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14 情報시스템硏究 Vol.23 No.4

        Under the premise that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can atrophy e-commerce by causing particular behaviors of Internet users, this study focused on exploring the causes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the related information privacy protective responses of Internet users, and measures for alleviating the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incipal-agent theory,`` and established the following as factors that cause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of Internet users: perceived information non-transparency; perceived action uncertainty. Also, the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caused by the factors were established as the cause of information privacy protective responses of Internet users. Also, the concept of ``signaling`` and ``incentive,`` which were presented to solve the adverse selection and moral hazard issue in the host-agent theory, was introduced to establish the following as factors that alleviate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trust; informativeness. Those factors were included in the research model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The analysis has revealed that both the perceived information non-transparency (p<0.01) and perceived action uncertainty (p<0.01) as to websit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lso,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of Internet users (p<0.01)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information privacy protective responses who strive to protect their personal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trust and informativeness, which were established as factors that can alleviate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were empirically analyzed, trust and informativeness had the effect of alleviating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was confirmed: Boosting the trust of Internet users in websites and offering useful information related to personal data can play a key role in alleviating the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of Internet users.

      • KCI등재

        중국 소셜미디어에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

        장형여,이세진 부산대학교 중국연구소 2022 Journal of China Studies Vol.25 No.4

        The use of big data has benefits for everyday life and can enhance various activities such as information collection, shopping, and education through the Internet; however, negative effects such as privacy infringements cannot be ignored. Concerns over data security and privacy violations are growing as a result of regular unsavory incidents such as data leakage and illegal sales on the Internet. This study applied the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EPPM) which is a model explaining the persuasive effect of the fear message through the perceived threat and the perceived efficacy after exposure to the message. EPPM proposes that if the perceived threat and perceived efficacy are higher, the 'risk control process' that attempts to control the risk by implementing the suggested action of the fear appeal message are also higher; on the other hand, EPPM proposes that the ‘fear control process’ rejects the fear appeal message itself in situations of high perceived threat and low perceived efficacy. Focusing on the EPPM, this study attempted to study the effect of the privacy concerns of Chinese social media users in the context of advertising avoidance. In addition, perceived threat and efficacy were considered as factors that have a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s and advertising avoidance.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678 Chinese social media users. There were two major findings. First, it was found that users’ privacy concerns on social media had a positive (+) effect on advertising avoidanc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privacy concerns and advertising avoidance on social media,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threats and perceived effica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is study examined privacy concerns of social media users and verified the effect of privacy concerns on advertising. This study used the risk control and fear control processes in the EPPM to explain advertising avoidance. In addition, privacy concerns on social media,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n issue, were assessed, and the effect of privacy concerns on advertising was verifi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theoretically useful for further study of the problems related to privacy concerns. In addition, in practical terms, it is expected to be a necessary guideline for companies targeting Chinese consumers to establish advertising and marketing strategies on social media that users deem to be safe.

      • KCI등재

        빅데이터 시대의 개인정보 과잉이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영향

        이환수(Hwansoo Lee),임동원(Dongwon Lim),조항정(Hangjung Zo)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3 지능정보연구 Vol.19 No.1

        Big data refers to the data that cannot be processes with conventional contemporary data technologies. As smart device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produces vast amount of data, big data attracts much attention from researchers. There are strong demands form governments and industries for bib data as it can create new values by drawing business insights from data. Since various new technologies to process big data introduced, academic communities also show much interest to the big data domain. A notable advance related to the big data technology has been in various fields. Big data technology makes it possible to access, collect, and save individual’s personal data. These technologies enable the analysis of huge amounts of data with lower cost and less time, which is impossible to achieve with traditional methods. It even detects personal information that people do not want to open. Therefore, people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the Internet or online services have some level of privacy concerns, and such feelings can hinder continued use of information systems. For example, SNS offers various benefits, but users are sometimes highly exposed to privacy intrusions because they write too much personal information on it. Even though users post their personal information on the Internet by themselves, the data sometimes is not under control of the users. Once the private data is posed on the Internet, it can be transferred to anywhere by a few clicks, and can be abused to create fake identity. In this way, privacy intrusion happen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perceived personal information overload in SNS affects user’s risk perception and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lso,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rns and user resistance behavior. A survey approach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are employed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is study contributes meaningful insights for academic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who are planning to develop guidelines for privacy protection. The study shows that information overload on the social network services can bring the significant increase of users’ perceived level of privacy risks. In turn, the perceived privacy risks leads to the increased level of privacy concerns. IF privacy concerns increase, it can affect users to from a negative or resistant attitude toward system use. The resistance attitude may lead users to discontinue the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s. Furthermore, information overload is mediated by perceived risks to affect privacy concerns rather than has direct influence on perceived risk. It implies that resistance to the system use can be diminished by reducing perceived risks of users. Given that users’ resistant behavior become salient when they have high privacy concerns, the measures to alleviate users’ privacy concerns should be conceived. This study makes academic contribution of integrating traditional information overload theory and user resistance theory to investigate perceived privacy concerns in current IS contexts. There is little big data research which examined the technology with empirical and behavioral approach, as the research topic has just emerged. It also makes practical contributions. Information overload connects to the increased level of perceived privacy risks, and discontinued use of the information system. To keep users from departing the system, organizations should develop a system in which private data is controlled and managed with ease. This study suggests that actions to lower the level of perceived risks and privacy concerns should be taken for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우려와 지각된 효능감이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연구

        장형여(Zhang, Xinyu),이세진(Lee, Se-Jin) 한국OOH광고학회 2022 OOH광고학연구 Vol.19 No.4

        최근 잇따른 개인정보 유출로 프라이버시 보호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Privacy Calculus)은 개인이 정보공개를 할 때 비용-이익(cost-benefit) 분석을 하고 이익이 위험보다 높을 때만 개인이 정보공개를 한다는 이론으로, 정보공개를 촉진하는 순방향 요인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지각된 위험에 대한 프라이버시 우려에도 주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의 광고회피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소셜미디어에서 느끼는 프라이버시 우려와 지각된 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소셜미디어에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효능감이 조절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둘째, 프라이버시 우려, 광고회피, 지각된 효능감의 관계를 한국과 중국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비교함으로써 두 국가의 사용자들이 인지하는 프라이버시 우려의 정도와 광고회피의 정도, 그리고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셜미디어에서 한국 소비자는 중국 소비자보다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지각된 효능감은 높았으며, 광고회피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프라이버시 우려의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소셜미디어에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모두에게서 프라이버시 우려는 광고회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보다 중국 소비자의 경우, 두 변인의 관계는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효과는 지각된 효능감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한국 소비자의 경우, 소셜미디어에서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난 반면, 중국 소비자의 경우, 프라이버시 우려와 광고회피의 영향관계에서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의 경우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역할이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 중국은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없기 때문에 광고회피의 정도가 한국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자와 그들의 광고에 대한 태도 및 그 원인으로 프라이버시 우려와 효능감의 역할을 밝히고, 이를 국가간 비교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Privacy issues are becoming more prominent due to a series of recent personal information leak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s and perceived efficacy in social media based on the privacy calculation model, in order to explain the advertising avoidance behavior of social media users. In particular, first, this study aimed to confirm whether perceived efficacy moderates the effect of users privacy concerns on advertising avoidance in social media. Second, this study compared social media users in Korea and China on privacy concerns, advertising avoidance and perceived efficac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Korean users in social media had higher perceived efficacy and lower advertising avoidance than Chinese user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rivacy concern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n users and Chinese us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privacy concerns and advertising avoidance on social media. For both Korean and Chinese users, privacy concern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dvertising avoid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was greater for Chinese users than for Korean user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s and advertising avoidance, only Korean users showed a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efficacy. The effect of privacy concerns on advertising avoidance decreased as the perceived efficacy increased. Whereas,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efficacy among Chinese us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 of privacy concerns and perceived efficacy in social media advertising, and to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cross countries.

      • KCI등재

        소비자의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와 보호행동: 개인적 요인의 영향을 중심으로

        하리다,이환수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3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7 No.4

        With the emphasis on balancing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with privacy protection, there has been a lot of academic discussion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privacy concerns and the consequences of those concerns. However, there are relatively few studies that examine the impact of various individual factors of customer on privacy concerns and behaviors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who are the subjects of personal information. Furthermore, the role of privacy knowledge level has not been sufficiently discuss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d protective behavior based on the APCO model and the theory of motivation to protect. To this end, we examined differences in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d privacy protection behaviors according to person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legal knowledge of privacy laws, education, and income, and tested whether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concerns and protection behaviors. The results showed that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were higher among women and those with high legal knowledge, and privacy protection behaviors were higher among those with low age, high legal knowledge, high education, and high income. We also found that legal knowledge had a moderating effect that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rns and protection behaviors. In other words, research results shows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personal facto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sumers' privacy-protective behavior.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existing findings on the impact of personal factors on privacy concerns and protective behaviors and extends existing theories. 소비자의 개인정보 활용과 프라이버시 보호 간 조화가 강조됨에 따라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염려의 결과에 대한 많은 학술적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개인정보의 주체인 소비자 관점에서 여러 개인적 요인이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더욱이 정보프라이버시 관련 지식 수준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도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PCO 모델과 보호동기이론을 바탕으로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와 보호행동 간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위해 성별, 연령,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법지식, 학력, 소득 등 개인적 요인에 따른 정보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의 차이와 정보프라이버시 보호행동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고, 염려 수준과 보호행동 사이에서 조절효과 여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정보프라이버시 염려는 여성과 법지식이 높은 사람이 높고,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은 저연령, 높은 법지식, 고학력, 고소득인 경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법지식이 염려 수준과 보호 행동의 관계를 강화하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분석 결과는 소비자들의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개인적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개인적 요인들이 프라이버시 염려와 보호행동의 미치는 기존 연구 결과들을 이해하고 기존 이론을 확장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소셜미디어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인식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병행과정 확장모델을 중심으로

        장형여,이세진 한국광고학회 2022 광고학연구 Vol.33 No.7

        While big data brings convenience to people, negative effects such as privacy infringement cannot be ignored. Focusing on the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this study attempted to study the effect of perceived threats and efficacy against privacy infringement on advertising trust and advertising avoidance through privacy concerns.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189 social media users in 20s and 30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we found that the perceived threats of privacy infringement (perceived severity and vulnerability) on social media had a positive (+) effect on privacy concerns, but the perceived threats to privacy did not affect advertising trust and advertising avoidance. Second, the perceived efficacy (self-efficacy, response efficacy) was found not to affect privacy concerns and advertising avoidance, but the efficacy had a positive (+) effect on advertising trust. Third, the higher the privacy concern in social media, the higher the advertising avoida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advertising trust. Fourth, perceived severity, vulnerability, and self-efficacy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advertisement avoidance through privacy concer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at a time when privacy concerns are emphasized in social media. Practically,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that privacy concerns should be considered as a factor influencing advertising effects in social media.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는 사람들에게 편리함을 주는 반면 프라이버시 침해 등 부정적인 효 과도 무시할 수 없다. 본 연구는 병행과정 확장 모델을 바탕으로 소셜미디어에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지각된 위협과 효능감이 프라이버시 우려를 매개로 광고신뢰, 광고 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20대와 30대의 소셜미디어 사용자 18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셜미디어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위협(지각된 심각성과 취약성)은 프라이 버시 우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광고신뢰와 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효능감(자기효능감, 반응효능감)은 프라이버시 우려와 광고 회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광고신뢰에는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소 셜미디어에서 프라이버시 우려가 높을수록 광고회피는 더 높아졌으나, 광고신뢰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심각성, 취약성, 자기효능감은 프라이버시 우 려를 매개로 광고회피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소셜미디어에서 프라이버시 우려가 중시되는 시점에서 연구자들에게 개인정보 보 안 연구를 위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해 주며, 실무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에서 광 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프라이버시 우려를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 KCI등재

        1차-2차 디지털 리터러시와 프라이버시 염려 간 순환적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종단분석

        김시정 정보통신정책학회 2019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6 No.4

        Due to the growth in digital technology and society's increasing dependence on it, privacy is a crucial factor in contemporary digital socie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utual relationship among consumers' first-level digital literacy, second-level digital literacy, and privacy concerns. It proposes a research framework depicting the interactions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privacy concerns as a circular relationship involving autoregressive and cross-lagged effects. The study uses longitudinal data (7,971 records) from the 2014–2016 ‘Korean Media Panel Survey.’ Results show that respondents' first-level digital literacy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ir second-level digital literacy, and that privacy concern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spondents' overall first and second-level digital literacy. In particular, privacy concerns enhance respondents' first and second-level digital literacy, as the ‘privacy paradox’ suggests. However, one factor of second-level digital literacy also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spondents' privacy concerns. Hence, there is a circular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digital literacy and privacy concerns. The relationship confirms the ‘privacy paradox.’ The study identifie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the causality, and corrects our understanding of the causality between consumers' digital literacy and their privacy concerns. 디지털 기반 지능정보사회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이는 개인정보 보호 문제와 연관된다. 본 연구는 1차-2차 디지털 리터러시와 프라이버시 염려를 대상으로 이들 간 상호 순환적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 미디어 패널조사(2014년~2016년) 종단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SEM)을 활용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CLM)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차-2차 디지털 리터러시 간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프라이버시 염려가 1차, 2차 디지털 리터러시에 모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이 높아질수록 1차, 2차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이 모두 높아지는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현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2차 디지털 리터러시의 최종적 단계인 디지털 활용수준이 프라이버시 염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프라이버시 염려와 디지털 리터러시 간에는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순환적 관계가 존재하며,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현상을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 염려와 디지털 리터러시 간 관계를 시간 개념을 포함한 종단적 연구를 통해 상호 영향관계가 존재함을 실증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현상에 대해 디지털 지능정보환경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개인적, 집합적 차원을 고려한 확장된 프라이버시 염려에 따른 SNS 이용자 유형화 연구

        이혜미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9 e-비즈니스 연구 Vol.20 No.5

        This study focuses on the collective dimension of privacy concerns that have been overlook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and makes an attempt to categorize users of open-type SNSs based on the extended privacy concerns considering the collective privacy dimension. For that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423 individuals using open-type SNSs. The study found that multi-dimensional privacy concerns were divided into three sub-dimensions: collective privacy-related concerns, control and awareness-related concerns of personal information, and collection-related concerns of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sub-components of the extended privacy concern, users of open-type SNSs were divided into a personal and collective privacy apathy group, personal and collective privacy concern group, and personal privacy concern group. This research also revealed the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rivacy management behaviors of SNS users depending on these three types of user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간과되었던 프라이버시 염려의 집합적 차원에 주목하고, 개인의 사회적 관계정보를 고려한 확장된 프라이버시 염려 개념을 바탕으로 개방형 SNS 이용자들의 유형화를 시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개방형 SNS를 사용하고 있는 423명의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다차원적 프라이버시 염려는 집합적 차원의 염려, 개인적 차원의 통제 및 이해 염려, 개인적 차원의수집 염려라는 하위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확장된 프라이버시 염려의 하위요인들을 바탕으로 개방형SNS 이용자들은 개인적, 집합적 프라이버시 무관심형, 개인적, 집합적 프라이버시 염려형, 개인적 프라이버시염려형으로 구분되었다. 세 가지 SNS 이용자 유형에 따라 성별, 프라이버시 관리 행동, SNS 사용자 저항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 KCI등재

        택배 서비스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침해 경험이 심리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 : 태도이론 측면

        임세헌,김단종,유현미 한국경영정보학회 2023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25 No.3

        본 연구는 택배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침해 경험이 프라이버시 심리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택배 이용자가 프라이버시 침해 경험을 가지고 있는가에 따라, 프라이버시 침해 사건에 대해 학습이 이루어지고, 인지가 형성되고, 감정이 형성되고, 행동이 나타난다. 이러한 택배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심리의 변화 과정은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 반응을 예측하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태도이론을 응용해 택배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심리를 설명하기 위한 연구의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이 프레임워크에 기반해, 택배서비스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침해 경험,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 프라이버시 염려 (즉, 개인정보 오류에 따른 염려, 비인가된 이차 이용에 따른 염려, 개인정보 수집에 따른 염려, 부적절한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염려),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연구모델에 대해 택배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SMART-PLS 구조방정식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택배 이용과정에서의 프라이버시 침해 경험, 프라이버시 위험, 프라이버시 염려, 그리고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 사이에는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안전한 택배 서비스를 위한 프리이버시 보호 행동 연구에 유용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고, 더불어 보다 안전한 택배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Courier services users’ experience of violating privacy affects psychology and behavior of protecting personal privacy. Depending on what privacy infringement experience (PIE) of courier services users, learning about perceived privacy infringement incidents is made, recognition is formed, affection is formed, and behavior is appeared. This paradigm of changing in privacy psychologies of courier services users has an important impact on predicting responses of privacy protective action (PPA). In this study, a theoretical research framework are developed to explain the privacy protective action (PPA) of courier services users by applying attitude theory. Based on this framework, the relationships among past privacy infringement experience (PIE), perceived privacy risk (PPR), privacy concerns (i.e., concerns in unlicensed secondary use (CIUSU), concerns in information error (CIE), concerns in improper access (CIA), and concern in information collection (CIC), and privacy protective action (PPA) a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proposed research model was surveyed by people with experience in using courier services and was analyzed for finding relationships among research variables using structured an equation modeling software, SMART-PL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PIE, PPR, privacy concerns (CIUSU, CIE, CIA, and CIC), and PPA.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privacy management research in courier servic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ourier services business model.

      • KCI등재

        국내 사이버 검열이 SNS 이용자들의 사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신동희(Dong-Hee Shin),김용문(Yong-Moon Kim)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2 No.3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업자와 국내 사정 당국 사이에 개인의 사생활정보에 대한 제공 요청 및 모니터링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국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들이 이러한 국가 기관의 사이버 검열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일부 이용자들은 평소 사용하던 각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해외 운영 서버로 옮기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국내 상황을 토대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국가 기관에 의해 사용자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것과 사이버 검열에 대해 SNS 사용자들이 어떠한 사용 행동을 나타낼지 조사하였다. 그리고 기존 연구에서 사이버 검열, 프라이버시 위험, 프라이버시 염려, 사용 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실증 분석을 위한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사이버 검열은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과 인지된 프라이버시 염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은 인지된 프라이버시 염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은 사용 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은 SNS 이용자들의 사용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고, 인지된 프라이버시 염려의 매개효과를 통해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된 프라이버시 염려는 사용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에 대한 객관적인 상황과 더불어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인 개념인 프라이버시 염려가 높아졌을 때 SNS 이용자들은 구체적인 사용 행동을 보인다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사용 행동으로는 이용 중단, 서비스 전환, 사이버 망명의 순서로 나타났다. Korean public prosecutor’s initiative to impose surveillance on personal messaging services has generated a chilling effect. Many Korean users close their SNS accounts and move to foreign SNS to avoid cyber censorship. These ‘cyber exiles’ asserted their right to privacy and freedom of expression and attract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attention regarding Korea’s intrusion and control of cyberspace.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cyber exiles in Korea by providing theoretical frameworks. It also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of cyber censorship, privacy risks, privacy concerns, and usage behavior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drawn. First, cyber censorship had positive effects upon privacy risks and privacy concerns. Secondly, privacy risks had an effect on privacy concerns. Thirdly, it confirmed that recognized privacy risks influences inversely on usage behaviors. It is found that recognized Privacy Risks does not directly influence on usage behaviors, but it influences through mediator effect of recognized privacy concerns. Even though users recognize that their SNS provider is censored by information agency, they do not always stop using the SNS while they show a certain level of repulsion. Lastly, privacy concerns had positive effects upon usage behavior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SNS users show specific usage behaviors when privacy concerns which is subjective concept get higher with objective circumstance about recognized privacy risks. Using behaviors appeared in order of usage discontinuance, transition service and cyber exi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