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융투자상품에 관한 설명의무의 객관적・주관적 성립 범위

        김경환 민사판례연구회 2015 民事判例硏究 Vol.- No.37

        The term “Financial investment instrument” in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means a right acquired by an agreement to pay, at a specific time in the present or in the future, money or any other valuable thing, with an intention to earn a profit or avoid a loss, where there is a risk that the total amount of such money or similar, paid or payable, for the purpose of acquiring such right may exceed the total amount of money or similar already recovered or recoverable from the right(Article 3). Unlike deposits, financial investment instruments have essentially investment risk, that is to say loss possibility of the principal amount which investors should endure by principle of self-responsibility. To hold a investor responsible for the investment risk, a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entity shall provide the investor with clear information about the financial investment instrument with such sufficiency as to allow the investor to understand them. Objective extent of duty to provide explanation is demarcated by characteristics and risk level of a financial investment instrument. Information directly linked to risk evaluation must be provided, such as basic structure and nature of the financial investment instrument,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from other financial investment instruments, risk factors of loss possibility, particular risk including over hedge. Subjective extent of duty to provide explanation is demarcated by subjective circumstances of a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entity and a investor, such as experience in investment of the investor, the investment purpose of both sides, status of the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entity, the transaction motive including aggressive investment recommendation of the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entity. If the investor is familiar with all of the investment risk factors, the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entity may be exempted from duty to provide explanation. The Supreme Court's Precedent related to duty to provide explanation can be analyzed as mentioned above and is the result of reconciling principle of self-responsibility with investors protection. 예금과 달리 금융투자상품은 그 본질이 투자성, 즉 원본 손실 가능성에 있고, 이는 자기책임의 원칙에 따라 투자자에게 귀속된다. 투자자에게 이러한 자기책임을 묻기 위해서는 사전에 금융기관이 그에게 금융투자상품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해야 한다. 우리나라 금융시장의 다양화와 더불어 설명의무의 법리도 발전하여 왔는데 판례가 그 인정근거로 든 고객 보호의무 내지 신의칙상 의무는 실체가 명확하지 않았다. 자본시장법이 제정되면서 설명의무는 법률상의 의무로 격상되었고, 최근 키코 소송을 통해 금융투자상품, 특히 장외파생상품에 관한 판례준칙이 제시되었다. 자본시장법의 규정과 판례준칙에 나타난 설명의무의 성립 범위를 입체적으로 조망하기 위해 객관적인 측면과 주관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자본시장법의 해석 방향과 판례준칙의 타당성도 검증해 본다. 설명의무의 객관적 성립 범위는 해당 금융투자상품의 특성과 위험 수준에 비추어 본 것이다. 금융투자상품의 위험성 평가와 직결된 기본 구조, 기존의 상품과 차별화된 특징, 손익의 구체적 내용으로서 손실발생의 위험요소, 오버헤지 등과 같은 특별한 위험성 등은 설명의 대상이 되나, 상세한 금융공학적 구조, 다른 금융상품과의 손익 비교,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한 위험성과 손실 회피 방안, 환율 전망의 분석 결과, 이익마진과 마이너스 시장가치, 중도해지 가능 여부나 중도청산금의 규모 및 산정방법 등 원칙적으로 위험성 평가와 직결되지 않는 사항은 설명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사항에까지 설명을 요구하는 것은 자기책임의 원칙에도 반하고 과도하게 거래를 위축시키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 설명의무는 고객이 이해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설명하여야 하나 고객이 금융기관과 동일한 정도의 지식과 정보를 갖도록 설명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적극적인 설명행위가 있더라도 고객에게 왜곡된 정보를 제공하여 오인하게 하면 설명의무위반이 성립한다. 설명의무위반에 대한 입증책임은 원칙적으로 투자자가 부담하지만, 설명의 대상인지 여부가 모호할 경우 등에는 투자자의 입증책임을 경감할 필요가 있다. 설명의무의 주관적 성립 범위는 고객과 금융기관의 주관적인 사정(고객의 투자경험 및 능력, 거래목적, 금융기관의 지위, 거래 동기 등)에 따라 객관적 성립 범위가 축소 내지 확대되는 측면을 검토한 것이다. 고객이 개인인지 대규모 기업인지, 동일 내지 유사한 경험이 있는지, 전문투자자인지 등 고객의 투자경험 및 능력의 수준에 따라 설명의무의 범위가 달라지고, 고객의 금융투자상품의 위험성에 대한 완전한 숙지는 설명의무의 면책사유가 된다. 고객의 거래목적과 관련하여서는 그것이 헤지(위험회피목적)인지 오버헤지(투기목적)인지와 금융기관의 인식 내지 인식가능성이 어느 것인지에 따라 설명의무의 범위에 차이가 발생한다. 금융기관의 지위에 따른 공신력 등에 따른 차이도 있다. 특히 금융기관의 과도한 로비나 판촉 등의 적극적 권유에 따라 계약이 체결되는 경우에는 금융기관에게 더 높은 수준의 설명의무를 부과하는 것이 자기책임을 부담할 고객을 보호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기본적으로 판례준칙은 금융투자상품 거래의 본질인 자기책임의 원칙과 자본시장법의 기본 목적인 투자자 보호를 적절히 조화시킨 것으로 타당성이 인정 ...

      • KCI등재

        변액보험에서 적합성원칙과 설명의무에 관한 판례평석 - 대법원 2013. 6. 13. 선고 2010다34159 판결과 원심판결을 중심으로 -

        이훈종 한국경제법학회 2014 경제법연구 Vol.13 No.2

        This case raises questions as to whether the suitability principle and the duty of explanation wereviolated in regards to variable insurances, and the effect of such violation. The Korean High Courthas ruled that the defendant violated both the suitability principle and the duty of explanation, whilethe Korean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he violated the duty of explanation but not the suitabilityprinciple. In cases of illegal activities involving value transfer such as fraud, the High Court consideredthe fact that the victim is at fault in ruling that the perpetrator acquires a part of illegal profit,while the victim cannot be subjected to negligence set-off in principle, because the victim was framedby the perpetrator. On the other hand,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if the negligence is set off incases involving acts of taking possession such as fraud or embezzlement, the perpetrator ultimatelykeeps illegal profits, and negligence set-off is not allowed only when it is against fairness. According to the suitability principle of Capital Markets Law, a normal investor may not be advisedfor investment if it is deemed not suitable after his investment goal, current assets, and investmentexperience are taken into account (Capital Markets Law Section 46 Clause 3). We review whether thedefendant violated the suitability principle. Although the defendant recommended a transaction thataccompanied an excessive risk in view of the investor’s investment goal and assets, it is not clearwhether the risk was excessive in view of the investor’s investment experience. If more weight is givento his investment experience and assets, we believe that the the defendant recommended a transactionthat accompanied an excessive risk. In this case, the policyholder paid the insurance premiums and was given a refund uponcancellation of the policy. In this regard, a question arises as to whether it is reasonable for thepolicyholder to bear the burden of damages due to business expenses, transaction costs related to investment in securities, or price decline in securities. On this subject, we review measures to applythe rules on securities investment company’s responsibility to cover damages in the Capital MarketLaw. If this rule is applied, the total amount paid by a normal investor is equal to the sum total ofinsurance premiums, and the total amount collected by the normal investor is equal to the amount ofrefund upon cancellation, and it is therefore estimated that the amount of damages is equal to thesum total of insurance premiums subtracted by the amount of refund. In this regard, a question arisesas to the set-off of negligence when the investor is at fault. Since an insurance company who doubles as a collective investment is superior in professionalknowledge etc. than a normal investor, it is of great necessity to protect the policyholder who trustedthe insurance company. In this paper, we take such aspects into consideration and propose measures tomake the insurance company bear the strict responsibility. 이 사건에서는 변액보험과 관련하여 적합성원칙과 설명의무를 위반하였는지와 위반한 경우의효과가 문제된다. 고등법원은 피고가 적합성원칙과 설명의무를 위반하였다고 판결하였다. 그러나, 대법원은 피고가 적합성원칙을 위반하지 아니하였지만, 설명의무를 위반하였다고 판결하였다. 고등법원은 사기 등 가치이전형 불법행위의 경우 피해자의 과실을 고려한다면 가해자가 불법적인 이익의 일부를 취득하게 되며, 피해자의 과실은 가해자에 의하여 획책된 과실이므로, 원칙적으로 과실상계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판결하였다. 이에 비해 대법원은 사기, 횡령 등 영득행위인 경우 과실을 상계하면 가해자가 불법적인 이익을 최종적으로 보유하게 되어 공평에 반하는경우에만 과실상계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결하였다. 자본시장법상 적합성원칙에 따르면 일반투자자의 투자목적․재산상황 및 투자경험 등에 비추어 적합하지 아니하다고 인정되는 투자권유를 하여서는 아니된다(자본시장법 제46조 3항). 이 사건에서 피고가 적합성원칙을 위반하였는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피고는 투자목적과 재산상황에비추어 과대한 위험성을 수반한 거래를 권유하였지만, 투자경험에 비추어 과대한 위험성을 수반한 거래를 권유한 것인지는 불명확하다. 투자목적과 재산상황에 비중을 둔다면 과대한 위험성을수반한 거래를 권유한 것이라고 사료된다. 이 사건에서 보험계약자는 보험료를 납입하고, 해약환급금을 지급받았다. 이와 관련하여 사업비, 증권투자와 관련된 거래비용이나 증권의 가격하락으로 인한 손해를 보험계약자가 부담하는것이 타당하냐는 문제가 제기된다. 이 문제에 관하여 설명의무를 위반한 경우 자본시장법상 금융투자업자의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규정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이 규정을 적용하는 경우일반투자자가 지급한 금전의 총액 = 납입보험료 합계액이며, 일반투자자가 회수한 금전의 총액= 해약환급금이므로, 손해액 = 납입보험료 합계액 – 해약환급금으로 추정된다. 이와 관련하여투자자에게 과실이 있는 경우 과실을 상계하느냐는 문제가 제기된다.

      • KCI등재

        키코(KIKO) 통화옵션계약 체결 당시 적합성원칙과 설명의무를 위반한 경우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판례평석

        이훈종(Lee, Hun-Jong) 한양법학회 2014 漢陽法學 Vol.25 No.3

        In a case where a bank violated the suitability principle and duty of explanation when it signed a KIKO currency option contract, a question arises to the matter of responsibility to cover damages. After considering various circumstances and in view of equal division of damages, the High Court limited Shinhan Bank"s responsibility to cover damages to thirty percent of the plaintiff company"s loss.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if negligence is set off for acts of taking possession, such as fraud or embezzlement, the perpetrator keeps the illegal profit in the end, in light of the legal principle which says that comparative negligence is disallowed only in cases where it is against fairness or good faith principles, the plaintiff"s appeal cannot be accepted.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validity of setting off the negligence of a corporation while it can question the suitability principle and the violation of duty of explanation. The plaintiff was aware that it is a speculative contract when he signed the KIKO currency option contract, and in a hypothetical scenario, if the exchange rate declined, the plaintiff would have gained an exchange profit or gained profit by exercising his put option. If in this case the bank and the corporation were on equal footing, it would be reasonable to calculate damages to the bank after setting off negligence of the bank. However, because banks have superior professional knowledge and resources than normal investors in dealings of over-the-counter derivatives,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normal investor who trusted and did business with the bank. Since the plaintiff violated the suitability principle and duty of explanation in this case, it committed an illegal act that is a willful violation of the suitability principle and duty of explanation. Because the victim suffered a loss due to a willful, illegal act, the perpetrator"s liability for damages was limited to thirty percent, and the bank was awarded seventy percent, the majority of the loss. It is unjust for the perpetrator to be awarded the majority of the loss when the loss was due to an willful, illegal act. Therefore, it is reasonable in this case to conclude that the bank should not be allowed to set off negligence of the corporation.

      • KCI등재

        보험약관의 설명의무에 관한 주요 쟁점에 대한 대법원 판례의 동향과 분석

        김윤종 사법발전재단 2022 사법 Vol.1 No.61

        The Act on the Regulation of Terms and Conditions, which was established on December 31, 1986 and took effect on July 1, 1987, expressly stipulated the duty of explanation of terms and condition for consumer protection. Over the past decades, the Supreme Court of Korea has been setting up the comprehensive legal principles regarding the obligation to explain terms and conditions and significant grounds for exemptions from the duty. First of all, the insurer shall explain “important details” provided on the terms and conditions of a contract so that the policyholder can understand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key points of terms and conditions” are clarified. A number of decisions emphasize “fairness” and “predictability” in order to prevent unforeseen damage to consumers. The Supreme Court decisions state the grounds for exemption from the duty to explain, which pertain to matters that are “commonly used in trade and are thus predictable without additional explanation” and matters that constitute “repetitive explanation of laws and regulations.” This article analyzes and reviews the essential and fundamental factors of the insurer’s obligation to explain and exemptions focusing on some progressive decisions. In this finance-oriented society, where a variety of insurance products with more complicated structure and more sophisticated unilateral terms and conditions, the legal principle regarding this issue should be developed more precise and practical. The Supreme Court has established a wide range of precedents preserving a legal doctrine on the duty to explain and the grounds of exemption from that duty, thereby putting an emphasis on stronger consumer protection and well-balanced regulation of unfairness. More determined efforts need to be made on elaborating and refining the principle to cope with specific circumstances and to reflect critical analysis. 1986. 12. 31. 제정되어 1987. 7. 1.부터 시행된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이하 ‘약관규제법’이라 한다)에서 설명의무를 규정한 이래로 3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대법원 판례는 보험자(사업자)의 보험약관 중 ‘중요한 내용’에 대한 설명의무에 관하여 다양한 해석기법을 통하여 관련 법령의 흠결을 보충하고 그 개념의 정의와 면제사유에 관한 일련의 법리를 발전시켜 왔다. 보험약관 설명의무의 대상이 되는 ‘중요한 사항’의 의미와 범위를 결정하는 것은 필연적인 불명확성을 수반하는 규범적 판단이다. 판례는 소비자보호의 관점에서 설명의무의 범주를 폭넓게 인정하여 왔으나, 설명의무의 주된 기능은 약관의 계약 편입단계에서 공정성을 보장하고 보험계약자에게 선별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보험자의 설명의무를 확대하는 것이 소비자에게 유익한 것만은 아니다. 위험을 단체에 분산하여 관리한다는 보험의 대표적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보험약관을 이용하는 보험실무의 특성을 고려하면 더욱 그러하다. 보험자의 설명의무가 요구되는 약관조항은 보험계약자가 ‘예측하지 못한 불이익을 입을 수 있는 내용’으로 보험계약 체결 시 반드시 알아야 하는 사항으로 압축할 수 있다. 판례 중에는 그 연장선상에서 해당 약관조항을 알았더라도 보험계약을 체결하였을 경우에는 중요한 내용이 아니라고 본 사례가 있으나, 이는 특별한 사정으로 보아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약관규제법은 [1] 설명하기 현저히 곤란한 경우에 설명의무를 면제하고 있으나 판례는 [2]-[1] 거래상 일반적이고 공통된 것이어서 별도의 설명 없이도 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던 사항과 [2]-[2] 법령에 정해진 것을 되풀이하거나 부연하는 내용도 면제사유로 본다. 일반적 통용성과 예측가능성이 인정되는 약관조항의 경우 설명의무 면제사유로 인정하였던 초기 판례는 일반적 통용성을 중시하여 예측가능성을 추인하기도 하였으나, 점차 일반적 통용성과 예측가능성을 별개의 판단 기준으로 보고 예측가능성에 무게중심을 두고 판단하는 경향을 보인다. 예측가능성과 관련하여 일반적·평균적 고객을 기준으로 할 것인지, 개별사안에 따라 구체적 고객을 전제로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있고, 판례의 사안으로는 일반적·평균적 고객의 이해가능성을 기준으로 삼은 경우와 일정한 고객 집단을 전제로 한 사례가 모두 있고 가장 최근 판례에서는 개별적·구체적 고객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명시적으로 밝힌바 있다. 소비자보호의 관점과 관련 법령의 입법체계 및 기존 판례의 입장을 모두 고려했을 때에 문제가 되는 약관조항이 평균적 고객의 입장에서 충분히 예상가능한지 여부뿐만 아니라 해당 보험계약을 체결한 특정 보험계약자의 개별적 특성도 고려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한편 판례는 상해보험의 보험금의 공제조항이나 감액조항과 관련하여 설명의무를 인정하는 것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나, 공제조항 등에 대한 보험계약자의 예측가능성에서 ‘손해전보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재고의 여지가 있다. 판례는 ‘법률의 공개성’을 근거로 약관조항이 법령에 정해진 사항을 내용으로 할 때에는 설명의무의 면제를 인정한다. 초기의 판례는 상법상 고지의무에 관한 내용을 설명하지 아니한 경우 보험계약자가 고지의무를 위반해도 보험자의 계약해지 ...

      • KCI등재

        키코(KIKO)통화옵션계약에 관한 법적 고찰

        이희종 한국경영법률학회 2010 經營法律 Vol.20 No.2

        KIKO is a financial product designed to help small exporters hedge against currency fluctuations. In 2008, with the won-dollar exchange rate soaring above what was originally expected, many KIKO subscribers have suffered losses as they have to buy dollars at a higher rate to repay their dollar-denominated debt to banks. So some say that KIKO contracts is initially designed as advantageous to banks. KIKO is not terms and conditions. KIKO is not beneficial to the bank unilaterally. And the principle of change of the basis of contract does not apply to KIKO. In KIKO, it is a subject matter that the bank's violation of principle of suitability and duty to explanation. The principle of suitability is that no bank shall recommend an company to make an investment, if the investment is considered unsuitable for the company in light of the investment purpose, status of property, experience in investment, etc. of the company. And the duty to explanation is that the bank shall explain the details of the financial investment instrument, the risks contingent upon the investment with such sufficiency as to allow the ordinary investor to understand them. If the bank violate duty to explanation, he shall liable for the damages inflicted upon company. Though KIKO has some problems, company may not always exempt from the loss of clients. If a company utilizes KIKO as a speculation purpose, it bears certain degree of responsibility.

      • KCI등재

        「가례언해」 판본의 특징과 저본 연구

        김봉좌 한국서지학회 2024 서지학연구 Vol.98 No.-

        1632년(인조 10)에 간행된 「가례언해(家禮諺解)」를 대상으로 판본의 형태적 특징과 함께 저본이 된 한문본 「가례」를 규명한 연구이다. 「가례언해」는 신식(申湜, 1551∼1623)이 송나라 주희(朱熹)의 「가례(家禮)」를 우리말로 번역한 책자로서 그의 아들 신득연(申得淵, 1585∼1647)이 강원도관찰사로 있을 때 원주의 강원감영에서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가례언해」 판본은 현재 목판본과 필사본이 확인된다. 목판본은 모두 1632년의 판목과 동일한 형태로서 인출 시기만 각기 다르며 4책으로 장정된 것이 가장 많다. 필사본은 행자수 배열이 다른 것도 있으나 대체로 목판본과 판식이 동일하다. 「가례언해」 본문의 형식은 범례에 설명된 것과 같은데 한문본 「가례」의 원형을 보존하려는 의도가 반영되어 있다. 다만 조선에 널리 유포되었던 4권본 「성리대전」 「가례」나 「가례대전」이 아니라 의례별로 권차를 나누고 본문의 단락을 세분화한 7권본 「가례」가 「가례언해」의 형태와 비슷하다. 또 7권 체제의 한문본 「가례」는 1726년 판본부터 본문이 수정되는데 「가례언해」는 본문이 수정되기 이전의 한문본 「가례」를 저본으로 삼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ditions of the Vernacular Edition of the Family Rituals published in 1632 (the 10th year of King Injo’s reign) by conducting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and analyzing their physical features. It also compares these with the editions of the Family Rituals (家禮)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o clarify their genealogy. The Vernacular Edition of the Family Rituals is a Korean translation by Shin Shik (申湜, 1551-1623) of the Family Rituals by Zhu Xi (朱熹) from the Song Dynasty. His son, Shin Deukyeon (申得淵, 1585-1647), published it as a woodblock edition in 1632 while serving as the Governor of Gangwon Province. Currently, woodblock editions and manuscript editions of the Vernacular Edition of the Family Rituals have been identified. Although all woodblock editions share the same form as the original 1632 edition, they differ in their printing periods, with most being bound in four volumes. The manuscript editions differ in the number of lines and the arrangement of characters per line, but their content, including the layout and illustrations of the family rituals, is consistent with the woodblock editions. The format of the Vernacular Edition of the Family Rituals’s text follows the explanations given in the preface, indicating an intention to preserve the original form of the Family Ritual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However, it is presumed that the source text for the Vernacular Edition of the Family Rituals was not the Great Compendium of Human Nature and Principle (C. Xingli Daquan 性理大全) or the Great Compendium of Family Rituals (C. Jiali Daquan 家禮大全), which were widely circulated in Joseon at the time, but rather the seven-volume Family Rituals, which was divided into sections according to different rites and had its text segmented into finer paragraphs. The text of the seven-volume Family Rituals was revised starting from the 1726 edition, but the Vernacular Edition of the Family Rituals referred to an edition that did not modify the text from the Great Compendium of Human Nature and Principle.

      • KCI등재

        가상자산거래의 금융소비자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

        남유선,이대훈 한국증권법학회 2022 증권법연구 Vol.23 No.3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came into effect on March 25, 2021 by integrating regulations related to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that were individually stipulated. The gap in regulation was minimized by classifying financial instruments into four categories and ensuring that the same legal relationship and responsibility were applied to the same financial instrument. If the tentatively named 「Basic Act on the Virtual Private Industry」 is enacted, Bitcoin will be classified as a type of investment product under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In this paper, the possibility of applying six major sales regulations under the Financial Consumer Act related to virtual asset transactions was reviewed, focusing on the need to apply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based on Bitcoin. The principle of suitability and adequacy is meaningful in providing suitable or appropriate financial products to consumers in light of the financial consumer's property situation when financial companies, etc. recommend financial products or financial consumers voluntarily purchase financial products. The duty of explanation is meaningful for consumers to support correct purchase decisions by explaining and confirming important matters such as product details, investment risks, and loss when financial companies recommend financial products or consumers request explanations. Post-mortem rights and interests relief measures for financial consumers due to virtual asset transactions include the obligation to record, maintain, and manage contracts, withdrawal of subscriptions and termination of violations, dispute settlement, and liability for damages. As most virtual asset transactions are conducted online and new types of virtual assets are continuously listed, consumer damage cases such as hacking into virtual asset exchanges, bankruptcy of virtual self-employed people, and frequent delisting of virtual assets are also reported. The introduction of regulations will help the rapid application of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on virtual asset transa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virtual assets and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benefits.

      • KCI등재

        계약체결과정에서의 설명의무와 선택권의 보호

        어수용(Eor, Soo-Yong) 한국재산법학회 2011 재산법연구 Vol.27 No.3

        Duty of explanation demanded in the process of making contract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good faith. The Precident says that this duty is derived from law, contract, customs or common logic. Duty of explanation in negotiation toward contract can be classified as subordinate duty compared with primary duty. This duty, on which agreement is settled, can be classified duty in contract. Likewise responsibility on this duty constitutes responsibility of contract and following effect occurs. In rest of all case, duty of explanation can be classified as responsibility of tort. Duty of explanation is composed of three elements ; negotiation, profit of disclosure and intention. Profit of disclosure is admitted for protection to the right of option or weak person to information. If negative elements emerges, profit of disclosure is denied. The right of option should be assured to alienation of real property. But profit of resale or current price are presuggested conditions, so that neccesity to explain those conditions can be denied. It is the most attracting point, being quoted from this precedent, whether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assign the ownership of objective, as a capital duty, or not. On the contrary, duty of information supply, as a subordinate duty, should be determined regarding to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among concerned parties in the range of intersection between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freedom and the principle of good faith. By the way, maket conditions, in alienation contract of real property, such as attainability of advantageous purchasability and profit of resale are open to any one. Because recognising those maket conditions can be easily expected, duty of disclosure to those maket conditions is denied. In conclusion this precident is meaningful as the suggestion of definite standard denying responsibility of explanation in alienation contract of real property. 계약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설명의무는 신의성실의 원칙에 근거한다. 판례는 이러한 설명의무는 법률상 규정에 의하거나, 계약, 관습, 조리상의 일반원칙에 의하여 발생한다고 하고 있다. 계약교섭단계에서의 설명의무는 주된 의무와 대비하여 부수적 의무의 성질을 갖고 있고, 본계약과는 별도로 설명의무에 관한 합의가 있는 등의 경우에는 그 설명의무는 계약상 의무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설명의무를 위반한 경우 계약상 의무에 대해서는 계약책임이 성립하고 그에 따른 법적 효과가 발생한다. 그 이외의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불법행위 책임으로 구성한다. 계약체결과정에서의 설명의무의 성립요건으로는 계약의 교섭, 고지할 이익의 존재, 고의 과실 등이 있다. 그 중 고지할 이익은 선택권의 보호를 위하여 또는 정보적 약자의 보호차원에서 인정되는 반면, 고지할 이익이 부정되는 소극적 요건도 있다. 분양계약에 있어서 목적물의 권리이전이나 취득, 사용, 수익에 관련된 사항에 대해서는 선택권이 보장된다. 그러나 전매이익, 목적물의 시가 등은 계약의 목적달성이나 실행 이전에 이미 고려되거나 전제된 사항이므로 매도인은 이에 관하여 설명할 의무가 없다. 대상판결의 부동산 분양계약에서도 당사자에게는 주된 의무로서 목적물의 이전 및 사용, 수익에 관한 내용이 중요한 관심사항이다. 나아가 계약체결과 관련하여 그 밖의 중요한 정보제공의무는 자기결정의 원리와 신뢰의 원칙이 교차되는 영역에서 각 당사자에게 균등한 접근 가능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그런데 분양계약에서 목적물의 유리한 매수가능성이나 전매이익 등과 같은 시장상황은 누구에게나 그 취득가능성이 열려 있다. 따라서 계약교섭과정에서 그 인식을 일반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이러한 정보에 관하여는 고지의무가 부인된다. 대상판결은 부동산 분양계약에서의 설명의무가 부인되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한 것으로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대법원 판례에 나타난 금융투자상품 거래에서의 적합성 원칙

        고홍석 민사판례연구회 2015 民事判例硏究 Vol.- No.37

        The suitability principle is a principle that when a financial companyrecommends investments in financial products to customers, they cannot recommendinvestments that are not suitable to the customer considering thecustomer’s investment experience, investment purpose and assets. This is aprecondition for applying the principles of self-responsibility for financialproduct investments and it is different from the duty of explanation and dutyto prohibit unjust recommendations.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and contents of the suitability principle,legal characteristics, the ‘know-your-customer’ rule and duty for financialproduct examination as a precondition, standards for judging the violation ofthe suitability principle, judging the illegal behavior due to violation of thesuitability principle and the scope of damages, and the suitability principleviolation and the fault set-off focusing on supreme court cases. In particular,in relation to the KIKO lawsuit caused by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thelate 2000s, it discusses the contents of the four unanimous judgments onthe violation of suitability principles by signing the KIKO currency optioncontract. The Supreme Court judging stated that when dealing with financial investments,they have the obligation of protecting customers. The suitabilityprinciple is included in such obligation to protect customers, and it ruledthat when violating this, they can be held liable for illegal behavior. And when it is judged to be illegal due to violation of the suitability principle, they presented the criteria that it must be a case in which transactions with excessive risks for the customer’s investment situation were assertively recommended to them. The unanimous ruling of the Supreme Court for the KIKO currency option contract presents a concrete standard that says that when a bank signs a currency option contract with export companies with the goal of exchange hedge, violation of suitability principle can be interpreted as illegal behavior. However, as the concept of the suitability principle is abstract, it is difficult to clearly judge what cases would be illegal behavior as a violation of the suitability principle by the Supreme Court ruling alone. Thus, the question on whether recommendations for financial investment products by financial institutes can be judged as illegal behavior by violating the suitability principle can only be concretized through the amassing of judgments that take into detailed accounts of individual cases. 적합성 원칙은 금융기관이 고객에게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를 권유함에 있어 당해 고객의 투자경험, 투자목적, 재산상태 등에 비추어 당해 고객에게 적합하지 아니한 투자권유를 아니 된다는 원칙이다. 이는 금융상품투자에 있어 자기책임의 원칙을 적용하기 위한 전제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설명의무나 부당권유행위금지의무와는 구별된다. 이글에서는 적합성 원칙의 의의 및 내용, 법적 성질, 그 전제로서의 고객조사의무 및 금융상품조사의무, 적합성 원칙 위반의 판단기준, 적합성 원칙 위반으로 인한 불법행위의 성립 여부 및 손해의 범위, 적합성 원칙 위반과 과실상계 등에 관하여 대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특히, 2000년대 후반 전세계적 금융위기로 인하여 발생한 이른바 키코(KIKO) 소송과 관련하여 키코 통화옵션계약 체결로 인한 적합성 원칙 위반 여부에 관한 4건의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의 내용을 아울러 논하고 있다. 대법원 판례는 금융투자상품의 거래에 있어 금융기관은 고객보호의무라는 신의칙상 의무를 부담하는데, 이러한 고객보호의무에는 적합성 원칙이 포함되고, 이를 위반한 경우에는 불법행위 책임이 성립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리고 적합성 원칙 위반으로 위법성이 인정되어 불법행위가 성립하려면 고객의 투자상황에 비추어 과대한 위험성을 수반하는 거래를 적극적으로 권유한 경우에 해당하여야 한다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키코 통화옵션계약에 관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은 은행이 환 헤지 목적을 가진 수출기업과 통화옵션계약을 체결할 때 적합성 원칙 위반으로 불법행위가 성립할 수 있는 구체적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적합성 원칙이란 개념 자체가 추상적이라는 점에서 대법원 판례만으로는 구체적인 사안에서 어떠한 경우에 적합성 원칙 위반으로 불법행위가 성립하는지를 명확히 판단하기는 어렵다. 결국 금융기관의 금융투자상품에 대한 권유가 적합성 원칙을 위반하여 불법행위가 성립하는지는 개별 사안에서의 구체적 제반 사정을 고려한 판결의 집적을 통해 유형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약관설명의무위반과 계약상대방 의무의 충돌 - 고지의무를 중심으로 -

        최병규 한국경제법학회 2007 경제법연구 Vol.6 No.1

        The explanation of standard contract terms is very important in the system of contract. Without it standard contract terms can not be included into the contract. The standard contract terms has very important role especially in the field of invisible products like banking and insurance. Insurance contract is a promise by one person to pay another money or any other thing of value upon the happening of a fortuitous event, beyond the effective control of either party, in which the promisee has an interest apart from the contract. The contract of insurance is the primary illustration of a class of contracts described as uberrimae fidei, that is, of the utmost good faith. As a result, the potential parties to it are bound to volunteer to each other before the contract is concluded information which is material. The requirement of utmost good faith has also been held to apply throughout the contract. This study concentrates on showing the relation of explanation of standard contract terms and duty of disclosure. The duty of disclosure gilt without explanation of its contents. The korean supreme court should change its attitude to this point. 사업자는 고객에게 그 약관의 내용을 명시하고, 약관의 중요한 내용을 고객에게 설명해 주어야 한다. 이는 약관의 계약에의 편입과정에서의 투명성을 확보하려는 취지가 있으며, 그 편입요건을 제시하는 의미도 있다. 이 때 설명의 대상이 되는 약관의 중요한 내용은 사회통념에 비추어 고객이 계약체결의 여부나 대가를 결정하는 데에 직접적인 영항을 미칠 수 있는 사항이다. 금융상품처럼 무형상품의 경우에는 약관에서 상품 자체를 화체하고 있는 속성이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사업자의 약관에 대한 명시․설명의무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바, 대표적으로 보험분야가 그에 속한다. 그런데 보험영역에서 제도를 합리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는 위험을 관리하고 있는 보험계약자 측의 협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상법의 보험편의 보험법계약법상의 제도 가운데 하나가 고지의무제도이다. 그런데 고지의무는 상법에도 규정이 있지만 대부분의 약관에서 그 내용을 반복하고 있다. 이때 고지의무에 관한 약관의 내용을 보험자가 설명하지 않은 경우 보험계약자 측에서 고지의무를 위반하면 고지의무제도를 적용하여 제재를 가할 수 없는지가 문제된다. 우리 대법원 판례는 그러한 경우 고지의무위반의 제재를 가할 수 없다는 입장에 서 있다. 그런데 고지의무제도는 보험자가 설명해주어야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보험법상의 강행규정으로서 그 자체 적용된다고 보아야 한다. 그를 설명해주어야 비로소 적용되는 제도가 아니기 때문이다. 물론 대법원은 지금은 없어진 주운전자 고지의무에 대한 것이었지만, 그 밖의 사항에서도 문제될 수 있다. 이에 대법원은 그 태도를 변경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