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1유구치의 조기 상실로 인한 공간 변화에 대한 3차원적 분석

        김지연,정다운,곽소연,유승은,박기태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2

        본 연구는 제1유구치의 조기 상실 시 공간 변화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3-Dimensional Laser Scanner를 이용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예비논문이다. 6세-8세 사이의 제1대구치가 맹출하여 확실한 교합 관계를 이루는 혼합치 열기 어린이 중 편측 제1유구치의 조기 발치가 필요한 6명의 발치 전 후의 모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l. 유구치 공간변화는 상악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현저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고, 하악은 실험군에서 3명 중 2명에서 공간감소가 관찰되었다. 2. 치열궁 너비,치열궁 둘레는 초기모형과 최종모형에서 비슷한 값을 보였다. 3. 협설측 경사도 변화는 유견치에서는 상하악 모두 특별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제2유구치는 상악은 실험군과 대조군이 유사하였고,하악에서는 3명중 2명에서 실험군이 더 큰 설측경사도 변화를 보였다. 제1대구치는 하악에서 실험군이 더 큰 설측경사도 변화가 관찰되었다. 4. 근원심 경사도 변화 측정에서 유견치는 상하악 모두 특별한 경향이 관찰되지 않았고 제2유구치의 경우 하악에서 실험군이 더 큰 근심경사도 증가가 보였다. 제1대구치는 상악에서 실험군,대조군 모두 원심 경사도가 증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3-Dimensional laser scanner for the space analysis after loss of a primary first molar. Six children with premature loss of a primary first molar were examined using study models taken before and after the extra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change in primary molar space after the extraction of a maxillary primary first molar However, 2 out of 3 children experienced primary molar space loss in extraction side of a mandibular primary first molar. 2. Arch width and arch perimeter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initial and final model. 3. All primary canines did not show any changes in inclination. Maxillary primary second molars had similar changes in both extraction and control side. However, 2 out of 3 mandibular primary second molars in extraction side showed more lingual tipping compared to control side. Mandibular permanent first molars tipped more lingually in extraction side. 4. In angulation, primary canines showed nothing of significance. Mandibular primary second molars tipped more mesially in extraction side than in control side. Maxillary permanent first molars have increased distal angulation after extraction of primary first molars in both side.

      • KCI등재

        CBCT를 이용한 유구치의 치근 및 근관의 형태학적 평가

        최유민,김선미,최남기 대한소아치과학회 202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oots and roots canals of primary molar teeth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A total of 68 CBCT images of children aged 4 - 5 years was used for this study. A total of 160 molar teeth were analyzed. Various parameters such as the number of roots and canals, length of root and root canal, and the angulation and shape of the roots were analyzed. All maxillary primary molars had 3 roots. The presence of 2 root canals in 1 root was only observed in the mesiobuccal root of maxillary primary second molars. Most mandibular primary molars had 2 roots, and most mesial roots had 2 root canals. Concerning the length of the roots, the palatal root of the maxillary primary molar was found to be longest whereas the distobuccal root was shortest. In mandibular primary molars, the mesial root was longer than the distal root. In maxillary primary molars, the palatal root had the greatest angulation whereas the distal root has the greatest in mandibular molars. The root and root canals of maxillary primary molars were more curved in shape whereas mandibular primary molars were straight. 이 연구의 목적은 CBCT를 사용하여 유구치 치근 및 근관의 형태학적 특징을 평가하는 것이다. 과잉치 발거를 위해 전남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CBCT를 촬영한 만 4 - 5세 환자 총 68명의 영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치근 흡수가 되지 않은 상악 제1유구치, 상악 제2유구치, 하악 제1유구치, 하악 제2유구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치근 및 근관의 수, 치근 및 근관의 길이와 각도 등의 다양한 변수들이 분석되었다. 상악 유구치는 모두 3개의 치근을 가졌고 원심 협측 치근과 구개 치근은 단일 근관을 가졌다. 한 치근에 2개의 근관이 있는 경우는오직 상악 제2유구치의 근심 협측 치근에서 발견되었다. 하악 유구치는 대부분 근심과 원심 2개의 치근을 가졌다. 하악의 근심 치근은대부분 2개의 근관을 가졌다. 치근의 길이와 관련하여, 상악의 구개 치근의 길이가 가장 긴 반면, 원심 협측 치근의 길이는 가장 짧은 것으로 밝혀졌다. 하악 유구치는 근심의 치근이 더 길었다. 상악 유구치에서는 구개 치근의 각도가 가장 컸으나 하악은 근심의 각도가 더 작았다. 상악 유구치의치근 및 근관이 곡선형이 많은 반면 하악 유구치는 직선형을 더 많이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A Study of Root Canals Morphology in Primary Molars using Computerized Tomography

        심도희,마연주 대한소아치과학회 201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st common canal type in primary molar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roots and canal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root canal morphology will lead to more successful root canal treatment.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from 114 children (81 boys, 33 girls) aged 3 - 7 years were obtained. The locations and numbers of roots and canals were evalua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oot and canal parameters was determined. The most commonly observed canal morphology in primary maxillary molars were mesio-buccal, disto-buccal and palatal canal. Primary mandibular molars most frequently contain mesio-buccal, mesio-lingual, disto-buccal and distolingual canal. All the roots of the primary maxillary molars except for the mesio-buccal root, each had 1 canal while there were 2 canals observed in each root of primary mandibular molars. Without exception, all mesial roots in primary mandibular 2nd molars had 2 canals. In case when either the palatal root in a primary maxillary molar or the distal root in a primary mandibular molar was separated into 2 roots, each root seemed to have its own canal. Even though the disto-buccal and palatal roots were fused into 1 root in primary maxillary molars, this fused root had tendency to have 2 separate canals. Primary mandibular molars showed similar canal morphologies between left and right molars in the same patient, while the primary maxillary molars did not.

      • KCI등재

        3개의 치근을 가진 하악 유구치 : 증례보고

        송제선,최병재,최형준,이제호,손흥규,김성오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1

        하악 유구치와 제1대구치는 보통 근심과 원심에 하나씩 2개의 치근을 가지나 원심설측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부가치근을 갖는 경우가 발견된다. 발생 빈도는 하악 제1대구치의 경우 백인에서는 3% 정도로 드물게 나타나지만 중국이나 일본, 에스키모, 북미 인디언 등 황인종에서는 20% 내외로 비교적 높다. 유구치의 경우는 제1대구치보다는 적게 발생되고 제1유구치보다는 제2유구치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하악 유구치에 부가치근이 관찰되면 후방에 있는 유구치와 제1대구치에서도 부가치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부가 치근을 가지는 하악 제1유구치의 치관의 형태는 원심설측에 존재하는 부가치근의 영향으로 삼각형 모양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증례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5명의 환아에게서 발생된 하악 유구치와 제1대구치의 부가 치근에 관한 보고로서 부가치근을 가진 유구치는 치근의 수와 치관의 형태 등에 문제가 있으므로 치수치료나 기성금관 수복, 발치 시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Mandibular first molar and primary molars usually have two roots, on the mesial and distal sides. Occasionally, these molars have an extra root located in the distolingual aspect. Prevalence of the 3-rooted first permanent molar shows ethnic variation, ranging from about 3% in Caucasian to about 20% in Mongoloid group, which includes Chinese, Japanese, Eskimo, American and Canadian Indians. The frequency of the mandibular molar with three roots decreases in the order of the first permanent molar, the second primary molar, and the first primary molar. If the mandibular first or second primary molar has an additional distolingual root, the adjacent molars, including the first permanent molar, posterior to it also may have it. Coronal morphologic change can occur in the mandibular first primary molars with three roots: the crown had more triangular-shape compared to the one with two roots, possibly affected by the presence of additional distolingual root. Clinically, exact diagnosis and treatment should be taken with those teeth for pulp canal treatment, extraction, and SS Cr.

      • KCI등재

        Eruption Guidance of Horizontally Impacted Permanent First Molar with Primary Retention of Primary Second Molars: Case Reports

        윤가람,이난영,이상호,지명관 대한소아치과학회 202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7 No.2

        Tooth eruption involves a complex developmental process of tooth migration from the dental follicular origin to the final occlusion position in the oral cavity via the alveolar process. Disturbance of tooth eruption can occur at any point in a series of eruption stages; however, horizontal impaction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and primary retention of the primary mandibular second molar are rarely observed simultaneously. This study describes the treatment for two cases of horizontally impacted first molar with primary retention of primary molar. The primary retention of the primary mandibular second molar was extracted, and orthodontic traction was applied to the horizontally impacted primary mandibular first molar. Subsequently, displacement of the premolar tooth bud was improved and space regaining for eruption was achieved, guiding to normal eruption of the first molar.

      • KCI등재

        매복된 제 2유구치와 제 2소구치 치배의 전위에 관한 증례 보고

        김송이,최성철,김광철,이긍호,최영철,박재홍 大韓小兒齒科學會 200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3 No.4

        Most of impacted teeth reported are permanent teeth. Impaction of primary tooth caused by primary failure of eruption is rare and the most of impacted primary tooth are second primary molars. The etiology of a primary molar impaction would appear to be a physical barrier, early ankylosis of the tooth, abnormal development of the primary molar germ or malposition of the successor bud. Transposi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interchange in the position of two teeth within the same quadrant of the dental arch. It is most commonly seen with canine and lateral incisor teeth, but is rarely associated with the primary dentition. The two cases show the transposition of impacted primary molar and the tooth germ of second premolar in their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s. In case 1, lower second primary molar was deeply impacted inferiorly to the tooth germ suspected to be a second premolar. In case 2, impacted all second primary molars were positioned inferiorly to the tooth germs suspected to be the successors. We extracted all second primary molars under general anesthesia and the extracted tooth germs appeared to be second premolars. 치아가 정상적으로 맹출해야 하는 시기를 지나서도 골조직 내에서 맹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치아를 매복치라 한다. 유치의 매복은 드물게 나타나며, 더구나 과거의 문헌 고찰에 의하면 현재까지 보고된 계승 영구치 하방에 매복된 유치는 극히 드물다. 대부분의 경우 매복된 유치는 제 2 유구치이다. 유치의 매복에 대한 병인은 유치 치배의 비정상적인 발달로 인해 조기에 유착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측되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 전위는 동일한 사분악 내의 인접한 두 개 치아의 위치가 서로 바뀐 것을 말하며, 영구 상악 견치와 제 1소구치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그 빈도는 1% 내외로 낮으며, 특히 유치열의 전위는 거의 발표된 바가 없다. 본 증례는 양악 양측 제 2유구치의 매복을 주소로 본과에 의뢰된 환자의 구강 및 방사선 검사 결과 매복된 제 2유구치와 후속 제 2소구치 사이의 수직 전위가 관찰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유구치 기성 금관의 변연 적합도에 관한 연구

        우주형,장철호,김정욱,장기택,김종철 대한소아치과학회 200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발거된 기성 금관 수복 유구치를 대상으로 변연 적합도를 관찰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대학교 치과 병원 소아치과에서 수거한 3M사의 기성 금관 수복 유구치를 대상으로 하였다 상악 제 1유구치 42개, 상악 제 2유구치 25개, 하악 제 1유구치 37개, 하악 제 2유구치 28개를 대상으로 기성 금관의 변연에 따라 치근 절단한 후 단면을 Fine Pix S602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후 Kappa image base program을 이용해 두각 부위 및 임의로 20 부분의 변연 간격과 전체 기성 금관 면적 중 변연 간격의 면적이 이루는 비율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평균 변연 간격은 상악 제 2유구치, 하악 제 1유구치, 하악 제 2유구치, 상악 제1 유구치 순으로 높았다 (P<0.05). 2. 평균 변연 간격 면적의 비율은 치아의 종류에 관계없이 약 20%를 상회하는 값을 보였다. 3. 상악 제 1,2유구치에서는 근심면의 변연 간격이 가장 컸고, 하악 제 1유구치에서는 원심 설면, 하악 제 2유구치에서는 협면에서 변연 간격이 가장 큰 값을 보였다. Stainless steel crowns are invaluable restorative material for the treatment of badly broken down primary teeth in pediatric dentistry. But it is difficult to fit margin because selection of size is not easy and they are not adjusted for Korean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analyze the marginal adaptation of stainless steel crown of posterior primary tooth. Marginal surface was taken by Fine Pix S602 digital camera and measurements of crown were recorded at 20 points that were randomly selected for marginal gap evaluation by Kappa image base program. 1. Mean marginal gap were large upper 2nd primary molar, lower 1st primary molar, lower 2nd primary molar, upper 1st primary molar in order(p<0.05). 2. Mean marginal surface dimension ratio was more than 20% irrespective of tooth. 3. Largest amount of marginal gap was shown at mesial surface in upper 1st, 2nd primary molar and distolingual surface in lower 1st primary molar, buccal surface in lower 2nd primary molar.

      • KCI등재

        유구치에서 우식의 깊이에 따른 기성 금속관 수복물 생존율 연구

        유현경,라지영,이제우 대한치과의사협회 2019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7 No.10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compare outcome of preformed stainless steel crown restorations according to depth of caries in primary molars.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primary molars having dentin caries extending at least one-fourth of dentin without signs and symptoms of irreversible pulpitis. A total 295 primary molars received preformed stainless steel crown restorations without any base material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urvival rates were compared using a Kaplan-Meier analysis 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pth of caries and survival period in primary molars. And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or without pulp therap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either the amount of caries nor pulp therapy affect the survival period of primary molars significantly. Proper restoration is more important to achieve sealing for stopping caries progression.

      • KCI등재

        Micromorphological Analysis of Primary Second Molar with Molar-incisor Malformation : A Case Report

        김명환,박호원,이주현,서현우,Kim, Myunghwan,Park, Howon,Lee, Juhyun,Seo, Hyunwoo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202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8 No.3

        Molar-incisor malformation (MIM)은 치관은 정상이나 치근의 비정상적인 형태를 보이는 것이 특징적이다. 제1대구치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제2유구치나 상악 중절치도 때때로 이환된다. 이 증례 보고에서는 제1대구치를 포함해, 제2유구치에 MIM이 나타난 환자의 증례를 보고하고, 치근이 건전하게 발거된 제2유구치의 micro computed tomography (CT)를 이용한 형태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발거된 치아에서는 MIM의 외형적 특징인 치관 - 치근 이행부의 cervical constriction을 육안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micro CT 분석에서 백악법랑경계부의 광화된 부위 (Cervical Minelarized Diaphragm), 많은 부근관과 막힌 근관 등의 복잡한 근관 형태, 근관 내 석회화 물질, 영구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협착된 치관부 치수강이 관찰되었다. Molar-incisor malformation (MIM) is characterized by malformation in the root with a normal crown. While MIM mostly occurs in the permanent first molar, it has also been reported i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the primary second molar (PSM), but anatomical analysis of the primary teeth with MIM has not been studied to date. In this case report, a patient with MIM was reported, and an extracted PSM with MIM was analyzed with micro computed tomography (CT). A cervical constriction morphology of the cementoenamel junction (CEJ) can be observed in extracted PSM. In micro CT analysis, characteristics such a mineralized plate (cervical mineralized diaphragm) in the CEJ area, complex root canal morphologies, a calcified mass inside the pulp chamber, and constricted pulp chamber of crown portion were observed.

      • KCI등재

        CBCT 및 3D CT를 활용한 상악 유구치 치근과 근관 형태

        김준희,김현태,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장기택,송지수,Kim, Joon Hee,Kim, Hyuntae,Shin, Teo Jeon,Hyun, Hong-Keun,Kim, Young-Jae,Kim, Jung-Wook,Jang, Ki-Taeg,Song, Ji-Soo 대한소아치과학회 202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상악 유구치의 치근 및 근관의 형태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2006년 1월부터 2020년 4월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서 CBCT 및 3D CT를 촬영한 3 - 7세 환자 총 268명(남자 175명, 여자 93명)이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치근 흡수와 치수병변이 없는 총 1002개의 상악 유구치의 치근과 근관 수를 분석하였다. 218개의 치아에 대해 치근과 근관의 형태, 이개각도, 치근과 근관의 길이 및 근관의 단면 형태를 분석하였다. 48개의 치아에 대해서는 Mimics 및 3-Matics software를 사용하여 치근 치수의 부피와 표면적, 치근-치수 비를 측정하였다. 절반 이상이 3개의 치근과 3개의 근관을 가지고 있었다. 좌우측 치아의 대칭성(Cohen's kappa coefficient)은 약 0.63이었다. 치근과 근관의 형태는 상악 제1유구치에서는 직선형이, 제2유구치에서는 곡선형이 많이 관찰되었다. 치근의 이개 정도, 치근과 근관의 길이는 상악 제1, 2유구치 모두 구개측 치근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근단부에서 근관의 단면 형태는 주로 ovoid 혹은 round형이었다. 치근 치수의 부피와 표면적, 치근-치수 비는 상악 제1,2유구치 모두 구개측 치근 치수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xillary primary molar's root and root canal. 268 children aged 3 - 7 years (175 boys, 93 girls) who had CBCT (152 children) and 3D CT (116 children) taken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January 2006 to April 2020 were included. The number of roots and root canals were analyzed in 1002 teeth without any root resorption or periapical pathologies. Curvature, angulation, length of root and root canal, as well as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root canal were analyzed in 218 teeth. By using Mimics and 3-Matics software, volume, surface area, and volume ratio of root canal was analyzed in 48 teeth. More than half of maxillary primary molars have 3 roots and 3 root canals. The degree of symmetry of root canal type was about 0.63 (Cohen's kappa coefficient). The most frequent shape of roots and canals was linear in 1<sup>st</sup> primary molars and curved in 2<sup>nd</sup> primary molars. Angulation, length of root and root canals was the largest on palatal roots. Most teeth showed ovoid or round shapes at apex. The largest root canal volume, surface area, volume ratio was found in the palatal roo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