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피노자의 코나투스를 통해 본 김지하의 생명시학과 시적 언어

        김난희 한국기호학회 2023 기호학연구 Vol.7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d Kim Ji-ha’s Life Poetics and his poetic language anew through Baruch de Spinoza’s concept of conatus. If Spinoza’s conatus is the principle of life that structured the duality of preservation and coexistence, Jiha Kim’s principle of complementarity called 易 can also be seen as the principle of life that shows the duality of ‘sinmyeong’ as resistance and ‘teum’ as symbiosis. Kim Ji-ha’s Life Poetics and poetic language can be seen as having been continuously trans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idea of life that he has consistently pursued and explored, rather than being of a specific period distinguished by his poet career. This can be seen as the poetics of Shinmyeong, the poetics of Teum, and the poetics of Yulyeo. These three poetics are later systematized as they converge into the integrated life-poetics of ‘white shade’.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poetics of sinmyeong and the teum, at what point can they be in common with Spinoza’s conatus, and what are their implications wanted to take a look. The dual attributes of conatus, preservation and coexistence, are essentially in line with Kim Ji-ha’s core element of life thought,易 or 不然其緣. Based on this point, in this paper, ‘Shinmyung Poetics’in the 1970s and 1980s was examined as a conatus of preservation, and ‘poetics of teum’ from the 1990s to the early 2000s as a conatus of coexistence. This will be an opportunity to interpret Kim Ji-ha’s life-poetics and poetry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nd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more actively explain Kim Ji-ha’s life-poetics and poetic language in the relationship with Spinoza’s Conatus.

      • KCI등재

        조선문학가동맹 '詩部'의 시 대중화 운동과 시론

        박민규(Park Min-kyu)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3

        이 논문은 해방기 남한의 대표적인 진보적 민족문학 단체였던 조선문학가동맹(문맹)의 조직적 시운동을 검토하고, 문맹의 시론들을 그 당시 시운동과의 상관성 하에 맥락화하면서 분석, 평가하였다. 특히 문맹의'시부위원회'가 전개한 활동의 궤적에 주목하였다. 시부(詩部)는 46년 2월에 문맹의 결성과 함께 조직되었다. 결성 초기에 시부는 '시의 대중화'를 주요 활동 방향으로 선언하지만, 추상적이고 감정적인 구호에 그쳐 있었다. 이후 시 강연과 시 낭독을 활발히 전개하면서 시 대중화 운동은 구체적인 것이 되어 갔다. 특히 각종 행사에서의 시 낭독은 대표적인 조직적 활동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초창기인 46년 상반기에 시부는 계몽화 운동의 소박한 취지에서 비정치적인 시까지도 다양하게 대중에게 보급하였다. 그러나 46년 중반에 미소공위가 휴회하면서 시 낭독은 대중에게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쪽으로 변화하게 된다. 특히 정치적 '분노'의 시와 시 낭독이 성행했는데, 김기림은 이를 신인의 육성이란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46년 하반기에 문맹은 잇따른 조직 개편과 대중화 결정서들을 마련하면서 문학대중화 방침을 더욱 강화해간다. 10월 항쟁을 거치면서 새로운 활로의 모색을 위해 문화 투쟁을 통한 대중과의 적극적 결속으로 방향을 전환한 것이다. 시인들은 개편된 조직들의 전면에 배치된다. 특히 대중에 대한 관점이 기존의 계몽적 시혜성에서 정치적 연대성으로 변모하게 되자, 문맹의 서울지부 시부 위원장인 김광균이 이를 강하게 비판한다. 당시 추진되고 있던 문화공작자 혁신안이 결정적 원인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47년에 접어들어 시부의 시 낭독 행사는 대형화되고 종합예술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시 자체의 낭독에 그쳤던 46년과 달라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제 시 낭독은 대형 예술제와 문화공작대 등에서 음악, 연극, 무용 등과 협연된다. 이는 시 낭독의 종합예술화를 제안했던 조허림의 시론이 현실화됐음을 뜻한다. 그러나 일차적으로는 대중의 정치적 결집을 최대한 끌어내기 위한 데 그 목적이 있었다. 훗날 김기림은 시 낭독의 공과를 리얼리즘의 관점에서 검토하면서 앞으로 시 낭독이 대중의 전형을 파악해야 하며, 시사적 내용에 치우치지 말아야 한다고 주문하였다. 하지만 문맹의 활동이 봉쇄된 상태에서 그의 주문은 현실화되기 어려운 과제로 남게 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organized movement for poetry by Korean Writer's Alliance(Chosŏn-Munhakga-Dongmaeng),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national literatur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analyzes and evaluates the poetics of it, contextualizing under the relation with poetry movement of the time.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trajectory of activities developed by the Committee of Poetry Division in Korean Writer's Alliance. Poetry Division was organized with the establishment of Korean Writer's Alliance in February 1946. At the early period, it announces 'Popularization of Poetry' as an important direction of its activities, however, it ends in an abstract and emotional slogan. Movement for popularizing poetry becomes more detailed with the active development of poetry lecture and reciting. Reciting poems in various event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organized activities. In the first half of 1946, Poetry Division introduces various types of poems including nonpolitical ones with the simple purpose of enlightenment movement. However, in the mid-1946, the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declared a recess and poem reciting changed into delivering political message to the public. Especially, reciting poems expressing political 'rage' is prevailed and Kim, Gi-rim positively assessed it at the level of fostering new figures. In the second half of 1946, Korean Writer's Alliance intensifies the policy of popularizing literature, carrying out a successive reshuffle and preparing Written Decision for Popularization. It changes the direction toward active unity with the public through culture struggle to seek a way out going through People's Uprising in October 1946. Poets are dispatched in the front line of reshuffled organization. When the viewpoint toward the public changes from the existing enlightening dispensation to political solidarity, Kim, Kwang-gyun, chairman of Poetry Division of Korean Writer's Alliance in Seoul strongly criticizes this. Innovation plan of culture craftsman seems to be the decisive reason for his criticism. Entering into 1947, the scale of poem reciting event of Poetry Division becomes larger and bigger and composite art. It is different from the event of 1946, which ends in reciting poem. From 1947, poem reciting accompanies with music, play, dance and so on at large scale art festival and by the group of culture craftsman. This means that the poetics of Cho, Hur-rim who suggested make poem reciting as a composite art has realized. However, the primary purpose of it was to draw political concentration of the public to the maximum. Later, Kim, Ki-rim said that poem reciting should grasp the stereotype of the public and not be biased to contents of current events, examining merits and demerits of poem rec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sm. However, his suggestion remains as a difficult task to be realized when the activity of Korean Writer's Alliance is blocked.

      • KCI등재

        고전시가와 대중가요에 대한 원근법적 이해의 구도와 연구사적 전망

        김윤희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3 고전과 해석 Vol.39 No.-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major research on classical poetry and popular songs and explore significant points of contention and productive directions in the discourse that can be identified through this process. The intersection between classical poetry from the past, where the attributes of poetry and song coexisted, and modern-day popular songs lies in the fact that they are “songs in mother tongue.” Despite the tremendous differences in era and media environment, the awareness that we can obtain by paying attention to this point of contact is not insignificant. When we focus on the attributes of songs reflected in classical poetry works, we can explore the vitality and cultural usefulness found in the intrinsic artistry of native language songs and the continuity problem. Furthermore, there has been progress in scholarly discussions of the literary and artistic aspects of Korean popular songs, from 1920s songs to K-pop, which has recently gained global popularity. It is, therefore, an opportune time for more active discussions in the Korean literary community.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research, it was revealed that the literature of poetry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has been deeply analyzed by scholars in various fields such as modern poetry, classical poetry, and musicology. In particular, it has been argued in many ways that traditional poetry and literature functioned as a significant "semantic body" rather than being discontinued or extinct, and the intersection between classical poetry and popular songs in the early 20th century had a very broad range. It has been proven that there are many cases where materials categorized as classical poetry, popular songs, or modern poetry have crossed the open boundaries and have been enjoyed as “songs.” Therefore, the 1920s can be seen as a period in which poetry and song were separated academically, and it is necessary for future researchers to find parts that can reconnect or may already be connected between poetry and song. Through this process,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perspective based on a perspectival vision that enables productive problem consciousness is required rather than focusing on the phenomenological similarity between classical poetry and popular songs. In particular, media that enjoy Korean popular songs have grown from the golden age of records to today's web platforms, becoming a song culture that communicates globally beyond the nation. Therefore, if we consider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urrent academic segmentation units of classical poetry and popular songs will continue in the next 50 or 100 years,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beyond the boundaries in various ways on both topics. 본 연구는 고전시가와 대중가요에 대한 그간의 주요 연구사를 검토하고 이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는 유의미한 쟁점이나 생산적 담론의 방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시와 노래의 속성이 공존해있던 과거의 고전시가와 오늘날 대중가요의 접점은 ‘우리말로 된 노래’라는 점에 있다. 시대와 매체 환경의 엄청난 이질성에도 불구하고 ‘모국어 노래’라는 접점에 유의함으로써 우리가 확보할 수 있는 문제 의식은 적지 않다. 고전시가 작품들에 반영된 노래의 속성에 주목했을 때 확인되는 생명력과 문화적 효용성은 모국어 노래가 지닌 근원적 예술성, 연속성의 문제에 대한 고찰을 가능케 한다. 또한 1920년대 가요에서부터 근래 세계적 인기를 누리고 있는 케이팝에 이르기까지 한국 대중가요의 문학성과 예술성에 대한 학술적 논의도 진전되고 있는 상황이라 국문학계에서도 보다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 된 것으로 보인다. 연구사를 검토한 결과 20세기초 시가 문학은 오늘날 현대시, 고전시가, 음악학 등으로 분절된 학문 영역의 학자들에 의해 깊이 있게 분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전통 시가 문학이 단절되거나 소멸된 것이 아닌 유의미한 ‘의미체’로 기능했음이 다양한 방식으로 논증되고 있어 20세기 초반의 고전시가와 대중가요는 교집합의 범위가 매우 넓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오늘날 고전시가와 대중가요, 근현대시로 구획된 성격의 자료들이 열린 경계를 넘나들며 ‘노래’로 향유된 사례가 많았음이 논증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1920년대는 학문적으로 시와 노래가 결별한 시기로 볼 수 있으며 다시 시와 노래가 만날 수 있도록 혹은 이미 접속해 있을 수도 있는 부분들을 앞으로 연구자들이 찾아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고전시가와 대중가요의 현상적 유사성보다는 생산적인 문제 의식을 가능하게 하는 원근법적 시각에서의 고찰이 요구됨을 확인해 보았다. 특히 한국의 대중가요를 향유하는 매체는 유성기 음반에서 출발하여 오늘날 웹플랫폼에 이르면서 국내를 넘어 전세계적으로 소통되는 노래 문화로 성장하였다. 그러므로 향후 50년, 100년 후에도 현재 고전시가와 대중가요에 대한 학문적 분절 단위가 지속될 수 있을까의 문제를 생각한다면 양자에 대한 연구가 경계를 넘어 다양한 방식으로 고찰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KCI등재

        리얼리즘으로 줌인한 현실과 시로 줌아웃한 작가의식 -영화 <시> 의 스토리텔링 연구-

        김경애 ( Kyung Ae Kim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4 현대영화연구 Vol.10 No.2

        This paper has been aimed to try to prove Popularity and storytelling have close relationship. This paper``s material is Lee Chang-Dong``s film, 〈Poetry〉. It is one of the movie there is no Popularity. The goal of this paper is that revealing what is the Popularity based on unpopular movie. The story telling of this movie is not popular. The reason is as follows. The first reason is this movie has audience face up the reality. So this movie raises the question about a reality. The second reason is the point that this movie’s theme relate to ‘poetic justice’. The actors of this movie are common people except some. And there is no music in this movie. Instead, it is full of the innate rhythm of real life. This movie tries to make the real life into the reality in the movie. So this movie is unfamiliar. This paper tries to prove the thing that Popularity and storytelling are related closely. The goal of this movie is to make the audience to be uncomfortable in order to reorganize the existing order. In this context, Lee Chang-dong is a ‘writer’ not a ‘film Director’. Hoping to accumulate lots of researches about Popularity, I finish the discussion.

      • KCI등재

        장호의 시극운동에 관한 연구

        이상호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9 한국문학연구 Vol.0 No.60

        This paper is a study on Jang Ho's Poetic Drama Movement. In particular, he considered his achievements that devoted his pass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Poetic Drama for about 10 years from the late 1950s to the late 1960s. The major achievements of his works in Korean Poetic Drama Histor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e broke the long vacancy due to the social turmoil in the early days of the formation of Korean Poetic Drama History and prose (1957.8) and works (1958.8) The series of announcements to prevent the crisis of disconnection and to continue the flow of the Poetic Drama History. Second, he defined the Poetic Drama as a new comprehensive art and organized the Poetic Drama Movement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modern poetry and drama at the same time. Third, he created his own works with much interest in the Poetic Drama Performance, and realized the experiment and stage performance through radio broadcasting for the first time. Fourth, he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the Poetic Drama can be performed alone by creating and performing the feature length Surimoi (<수리뫼>) of the 4th act for the first time. The fruits of this Jang Ho's Poetic Drama Movement can be recorded as the brightest achievement in Korean Poetic Drama History for nearly 100 years. 이 논문은 장호의 시극운동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후반기까지 약 10년간 한국 시극의 발전을 위해 열정을 바친 그의 업적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연구 결과, 한국시극사에 남긴 그의 주요 업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는 한국시극사가 형성되는 초창기에 사회적 혼란기로 인한 긴 공백기를 깨고 산문(1957. 8)과 작품(1958. 8)을 잇달아 발표하여 단절 위기를 막아내고 시극사의 흐름을 이어주었다. 둘째, 그는 시극을 새로운 종합예술로 규정하고 현대 시와 연극의 문제점을 동시에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조직적인 시극운동을 펼쳤다. 셋째, 그는 시극의 공연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직접 작품을 창작하여 최초로 라디오 방송을 통한 실험과 무대 공연을 실현했다. 넷째, 그는 최초로 4막의 장편 시극 <수리뫼>를 창작하고 공연하여 시극도 단독으로 공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장호의 시극운동의 결실은 거의 100년에 가까운 한국시극사에서 가장 빛나는 업적으로 기록될 수 있다.

      • KCI등재

        “구르는 돌멩이처럼”― 1960년대 밥 딜런 노래에 대한 시학적 접근

        손광수 한국현대영미시학회 2010 현대영미시연구 Vol.16 No.1

        This study is intended to construct the poetics of Bob Dylan’s songs by demonstrating what poetic effects his songs and lyrics in the 1960s have. First of all, I look into the frequently raised question, ‘Can Bob Dylan be called a poet?’ To answer it, we need to take it into account that his poetic medium is a song. The uniqueness of his art lies in a new way of fusing poetry, voice and music and it contributes to the creation of poetic spaces crossing between high and popular(or mass) cultures. To illuminate these arguments, I point to the peculiar total effects stemming from the aspects that language, voice and music as his three key elements intermingle, strain or contradict with each other. It turns out that we can’t approach Dylan’s works of art in the same way as when approaching other print-based poetry. So approaches towards his art have to be more holistic by going over the processes and ranges of his compositions and performances. In addition, both his poetic and musical elements have to be focused on as the same important ones. This leads us to the possibility of a new poetics with no boundaries between poems and songs, while pointing to an aesthetic democracy.

      • KCI등재

        상해시절 주요한의 시와 민중시론

        박윤우 한중인문학회 2008 한중인문학연구 Vol.25 No.-

        주요한은 1910년대의 소위 계몽문학기를 거쳐 1920년대 서구의 상징주의 문학 수용을 계기로 한 초기 근대시 형성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시인이다. 그는 1919년 교토[京都] 유학생 회지인 학우에 <에튜드>란 시를 발표하였고, 국내 최초의 근대 동인지인 창조의 동인으로서 <불놀이>와 <눈> 등의 시를 통해 근대시의 선구적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주요한은 1900년 평양에서 태어났으며, 초등학교를 마친 뒤인 1912년 일본으로 건너가 명치학원에서 수학하였다. 그러나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학업을 중단하고, 상해로 건너가 임시정부 기관지인 독립신문의 편집인으로 일하게 되는데, 이 시절 그는 송아지라는 필명으로 <조국>, <즐김노래>와 같은 격렬한 민족저항시를 창작하면서 <불놀이>류와는 전혀 다른 시세계를 보여준다. 상해 시절 주요한의 개인사를 고려할 때, 1920년대 그의 시작 활동은 현실성에 대한 민족적이고도 민중적인 인식을 선명하게 보여준다. 그의 첫 시집인 아름다운 새벽은 이러한 인식의 결과인 바, <나무색이>, <고향생각>, <빗소리>, <샘물이 혼자서> 등의 작품을 통해 나타나는 민족적이고 향토적인 정서는 소박한 개인적이고도 보편적인 내면 정서의 표출을 통해 현대적인 서정시의 특징을 단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이 시기 주요한은 한편으로 민중시론을 제창한 바, 「노래를 지으시려는 이에게」민요와 동요의 창작을 통해 민중들의 일상적 생활감정을 반영하고, 한국어의 특수한 미를 구현하는 것을 조선의 현대적 서정시의 목적으로 삼았다. 여기에 나타난 그의 관점은 두 가지로 요약되는 바, 하나는 민족적 정서의 창조이며, 다른 하나는 조선어의 미학을 구현하는 일이다. 비록 그가 상해에 머무는 동안 독립운동에 관여하면서 자신의 민중적 세계관을 민요와 동일시하는 관점을 보여주기는 했으나, 그의 시론은 한국 근대시의 성립과정에서 특별한 의미와 위상을 가진다. 즉 그의 시작업은 중국의 한시나 시조를 거부하고 오로지 순수한 민족시의 전통적 시형과 문체를 계승하고자 한 결과로 나타난 점을 감안할 때, 그의 시학은 현대 서정시의 변혁을 추구한 것으로서 의미가 있다. 그 결과 한국의 현대시는 서구문학의 현대적 흐름 속에서 주체적인 시적 통찰력을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Chu Yo-han is a major Poet who made a important role between the enlightment literary period of 1900’s and the reception of the western symbolism literature in 1920’s which was the period of searching the theoretical ground of modern lyrical poetry. He wrote the poem <Etude> on in 1919 Hak-Woo(學友) which was the Kyo-to(京都) foreign student magazine, and also showed pioneeric works like <Fire-working(불놀이)>, <Snow(눈)> participating in members of Chang-Jo(創造). Chu Yo-han was born in Pyeong-yang in 1900. After graduate primary school in 1912, he went to Japan to study in Maiji school(明治學院). Then he stopped the study after 3.1 independent movement in Korea, to go over Shanghai(上海), where he worked as the editor of The Independent Daily News(獨立新聞) which was the organ paper of Temporal Government. In those days, he wrote radical national resistant poems like <Motherland(조국)>, <Playing Song(즐김노래)> with the writing name ‘Song Aji(송아지)’. And after graduate Ho-gang(扈江) Unversity in 1925, he worked as the publisher of the Dong-Kwang(東光)magazine. In those days, he tried socialistic public movement participating ‘The Association of mental training fellowship(修養同友會)’ which was the interior network of ‘Heungsadan(興士團)’, where he was sent back to Shanghai with An Chang-ho(安昌浩). Considering this personal history during Shanhai period, literary works of Chu Yo-han in 1920’s show us national, and popular recognition of reality distinctively. His first anthology The Beautiful Dawn(아름다운 새벽) totally exposes this feature. The poems like <Fire woods(나무색이)>, <Thinking the native place(고향생각)>, <Sound of rain(빗소리)>, <Fountain alone(샘물이 혼자서)> which have the native, local sentiment make the specipic character of modern lyrical poetry simply exposing individual and general inner emotions. In this period Chu Yo-han advocated popular poetics, which purposed to reflect the emotion of people’s daily lives, and embody pecular beauty of Korean language. This intention was followed by the concrete method of creating folk songs and children’s songs in the critic <To the man who wants to make songs(노래를 지으시려는 이에게)>, which intended to make foundation of the road to fulfile the goal of Korean modern lyrical poetry. His thoughts can be summerized in two ways. One is laying stress on creating national emotion, and another is emboding beauty of the national language. Although his attachment in folk songs communicate with his popular world view, which was founded during the independent movement activity in Shanghai and of ‘The Association of mental training fellowship(修養同友會)’, his poetics has the special meaning and position in considerations of Korean modern hisrtory of poetry. Namely, his poetic works was faithfully made by his popular poetics, in which he tried to success the traditional form and style of national poetry rejecting Chinese poem or ‘Si-jo’. With this point of view, he also tried to enhance his popular poetics to the reforming theory of modern lyrical poetry. As a result of this, Korean modern poetry could have the subjective poetic insight in the overflows of western modern literary trends.

      • KCI등재

        해방기 북한의 문예대중화 운동과 시론

        박민규(Park Min-kyu) 한국근대문학회 201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해방기 북한의 문예대중화 운동을 상세히 검토하면서 시 분야에 나타난 대중화 시론들의 양상과 그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차적 자료에 충실하여 북예총과 북문예총의 문예대중화 운동 및 시 대중화론의 전모를 실증적으로 맥락화하고자 했으며 이 바탕 위에서 분석과 평가를 시도하였다. 1920~30년대 카프의 문예대중화론에 치우쳤던 그간의 연구 경향에 일정한 문학사적 보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첫째, 북예총은 결성 당시부터 통일적이고 조직적인 문예대중화 운동을 강령으로 내세우며 출발하였다. 특히 문예써클의 활성화는 문예대중화를 위한 핵심적 사업이었다. 북예총은 전국적 조직망을 갖춘 써클을 통해 토지개혁, 노동법령, 중요산업 국유화령 등의 민주개혁 정책들을 대중에게 선전하고자 했다. 문예써클은 면, 시, 군, 도로 이어진 아래로부터의 군중적 기반 속에서 빠르게 형성되었다. 이를 근거로 북예총은 당시 남한의 문학가동맹의 문예대중화 운동을 문단주의적인 것으로 비판하면서 문학상의 평양중심주의를 내세우기도 한다. 둘째, 북예총의 문예대중화 사업은 민주개혁의 대중적 선전에 치중하느라, 목표로 했던 대중 자신의 자발적 문화 창조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대중적 일상어를 시에서 다루라는 중앙 문단의 요구와 달리 시단의 창작적 결과들은 순수한 예술성을 추구하는 등 괴리를 보이고 있었다. 이를 해소하고자 북예총은 순수의 배격과 아울러 정치주의 문학의 창작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해 전문적 문학 단체인 북문예총을 결성하게 된다. 셋째, 결성 초기의 북문예총은 창작 본신에의 전념이라는 설립 목표와 달리, 도시군과 면리동 인민위원회의 선거 정국에 직면하여 승리를 위한 선거해석 사업에 총동원돼야 했다. 표심을 위해 제반 민주개혁이 선전되어야 했으며 이를 위해 시인들에게는 선전 가요시의 제작이 요구되었다. 시의 대중화 테제를 정치적 목적주의에 극단적으로 수단화한 예라 할 수 있다. 창작 본신으로의 방향 전환은 선거가 끝나면서 본격화될 수 있었다. 넷째, 창작의 전념을 위해 북문예총은 그간의 써클 사업을 직총 문화인부에 넘겨주고 시집 생산에 집중한다. 그렇다고 문예의 대중화를 저버린 것은 아니었다. 북문예총은 창작의 전념과 문예의 대중화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신인 양성에 주력한다. 기성 시인의 공백을 북문예총은 재북 신인들의 육성으로 해소하고자 했다. 기성 문단의 반발이 있었지만, 북문예총은 신인에 대한 강력한 원조를 결정하기에 이른다. 다섯째, 신인 대망론 속에서 안함광은 시집 『전초』의 평을 통해 신진시인들을 격려하고 나아가 기성 시인들을 감정적으로 비판한다. 당시 북한 시단의 내부에 신구 갈등이 상당했음을 알 수 있다. 윤광은 시단을 새세대와 낡은 세대로 양분할 정도였다. 특히 신진 시인들은 혁명적 낭만주의 도식을 시화하면서 시단의 주류가 되어간다. 하지만 일반 대중의 시는 남녀의 사랑 및 애정 윤리 등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고 서정성까지 강하게 드러내고 있었다. 대중 속에서 배출된 김상오 같은 신인에게도 서정의 단초가 발견되기 시작한다. 여섯째, 서정의 발아에 대해 북문예총의 내부에서 상반된 입장이 나타난다. 안함광과 이기영은 서정의 가치를 중요하게 인정했지만, 그것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론에서 서로 다른 시각을 보여주었다. 이들의 논의는 서정의 대중적 감수성에 대해 혁명적 낭만주의 및 고상한 애국주의의 도식을 관철시켜야 하는가의 문제에서 갈라지고 있었다. 그러나 북한의 서정시는 새것 대 낡은 것의 도식에 따라 일반 대중의 정적인 서정을 배제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게 된다. 이 같은 북한 서정시의 영역 축소는 뒤이어 발발한 전쟁 때문에 가속화될 수밖에 없었다.

      • KCI등재

        내러티브 텍스트의 시적 변용과 영상화

        최영승 새한영어영문학회 2007 새한영어영문학 Vol.49 No.1

        Coppola reproduces Apocalypse Now visually drawing on Conrad's Heart of Darkness and Eliot's The Hollow Me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cess how the cinema is recreated from its source novel and the reason why it alludes to Eliot's poetic text. The cinema is primarily visual while literature is generally verbal. The cinema produces meaning through other means than poetry and the novel. If the popular cultural text has the positive and specific features, another kind of reading is called for. The attention to the visual nature of the discourse should be paid. Coppola's cinema represents Conrad's narrative discourse in terms of Eliot's rhythm. Therefore, the poetic transformation and visualization of narrative text form a good spectrum that shows the process of reproduction from high culture to popular culture. A close observation of the three texts clearly shows the process in which the conventional binary opposition between literary canons and a popular cultural text disappears. Eliot's poem shows the textual values of interventions that accept and promote literary evolution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from Conrad's verbal text to Coppola's visual text with images and sounds.

      • KCI등재

        시적 발화(發話)의 가능성 혹은 한계로서 유행가요

        구인모(Ku, In Mo) 한국근대문학회 2013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4 No.1

        1930년대 유도순은 일본콜럼비아축음기주식회사 전속 작사자로서 주목할 만한 신민요 작품들을 발표했다. 그 작품들은 대체로 향토의 산하와 인정이 환기하는 생활의 생명력을 재현한 것으로서, 당시 유행가요 청취 대중은 물론 음반업계로부터 환영받았다. 유도순은 일찍이 『동아일보』와 『조선문단』을 통해 시인으로 등장했으나, 공변된 이념에 시적 발화의 정당성을 두는 문학계의 분위기와 다소 소원한 위치에 있었다. 유도순은 진정한 민중예술로서 시라는 발화양식은 조선의 향토성에 근간해야 하며, 독자의 취향에 철저하게 부합해야 한다는 신념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그러한 시적 발화야말로 1920년대 후반 문단폐색의 현상을 극복하는 가능성을 지닌다고 보았다. 그러나 유도순은 1937년 이후 유행가요 경향의 변화로 더 이상 그의 문학적 예술적 신념을 유행가요를 통해 실천할 수 없었고, 1942년에는 신민요의 제재, 정서, 수사로 대동아공영권의 이상을 구가하는 작품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러한 유도순의 유행가요 작사자로서의 편력은 후일 그와 마찬가지로 문학계와 소원했던 시인들이 유행가요를 통해 시적 발화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선례를 제공했다. 한편 유도순은 식민지시기 조선에서 향토의 산하와 인정이 환기하는 생활의 생명력을 재현하는 시적 발화가 한편으로는 동시대 문화장에서 환영받는 상품이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제국 일본의 미학의 정치화의 수단이기도 했음을 제시했다. 무엇보다도 유도순의 유행가요는 조선에서 서구적 언어예술로서 시가 무엇을 발화해야 하는가, 시적 발화는 어떻게 문화장에서 자기 정당성을 얻을 수 있는가라는 본질적인 문제를 되돌아보게 한다. In 1930’s Yu Do-sun released some noticeable New folk songs as a lyric writer of Japan Columbia record company. Those songs represent vitality of life indwell in the rural nature and humanity, were welcomed in the public and popular song business. Yu Do-sun starts his literary career in the Dong-A Daily News(東亞日報) and Joseon Mundan(朝鮮文壇), but his status was far from the atmosphere of contemporary writers who gave validity of poetic utterance to Ideology. Yu Do-Sun belief that poetic utterance as popular art must base on locality of Joseon, taste of the reader. And Such poetic utterance has a possibility that Joseon poets overcome the crisis of the literay world. But Yu Do-sun could not carry through on his literary belief by the change of popular song trend since 1937, moreover he released a song represent the Ideal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This Yu Do-sun’s career as a lyric writer is well precedent for some poet who willing to get an opportunity by popular song. Meanwhile, Yu Do-sun presented meaningful examples that his poetic utterance was a good product of record industry and was political means of the Japanese imperialism. Moreover Yu Do-sun’s popular songs bring up some fundamental problem about the content of poetical utterance as western language art, the method of poetical utterance to get literary legitimacy in cultural field in early modern Era of 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