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프란치스코 교황과 식별의 문제: 교회론적 전망에서

        정희완(Jeong, Hee-wa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0 이성과 신앙 Vol.68 No.-

        그리스도교 역사 안에서 식별이라는 주제는 영성적, 신학적, 윤리학적, 철학적 등의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되어 왔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식별이라는 개념은 영성적이면서 동시에 실천적인 함의를 지닌 개념으로 이해되어 왔다. 식별은, 내면에서 하느님의 뜻을 찾는 영적 행위이면서 동시에 하느님의 뜻을 따르는 구체적 행동을 향한 실천적 지혜를 추구하는 것과 연결되어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현대사회에서 식별과 예언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교황직 수행과 교회에 대한 그의 이해, 양자 모두를 관통하는 개념이 식별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식별이라는 개념을 통해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려 하고, 식별이라는 렌즈를 통해 교회를 성찰하려 한다. 식별의 방법이 무엇인지, 식별을 위해 요청되는 태도와 자세가 어떤 것인지, 식별의 대상과 내용이 무엇인지, 프란치스코 교황은 그의 문헌과 연설과 강론에서 숱하게 언급하고 있다. 교회론적 관점에서 보면,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있어서 식별이란 첫째, 교회의 세상 읽기다. 식별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사목헌장」의 핵심 개념인 시대의 징표를 읽는 것과 연결되어 있다. 식별은 복음과 신앙의 관점에서 세상을 읽는 일이다. 세상의 도전과 질문이 무엇인지 섬세하게 살피는 일이다. 둘째, 식별은 교회가 자신의 구조와 모습을 돌아보고 성찰하는 일이다. 즉, 교회 자신을 반성하고 변화와 쇄신을 추구하는 것이다. 셋째, 교회의 사명과 과제를 점검하는 것이다. 복음화와 선교의 사명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일이다. 식별은 읽기, 반성과 성찰, 점검과 판단의 과정을 포함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식별이란 단순히 어떤 특별한 영적 수련을 의미하지 않는다. 식별은 그 본성상 신앙의 핵심적 행위다.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식별한다는 것은 신앙을 살아낸다는 것이다. 모든 신앙인은 식별의 삶을 살아야 한다는 의미다. 신앙을 산다는 것은 어떤 종교적 관습과 관행과 규범을 기계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하느님의 뜻을 찾고, 하느님의 시선으로 세상과 삶을 바라보고, 하느님을 닮은 방식으로 살아가는 것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식별이란 영성적이고 지성적인 행위이며 동시에 예언적이고 실천적인 행위이다. The subject of discernment in Christian history has been interpreted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including spiritual, theological, ethical, and philosophical. Above all, however, the concept of discernment has been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is both spiritual and practical. Discernment is a spiritual act of seeking God's will from within, but at the same time it is linked to the pursuit of practical wisdom toward concrete action that follows God's will. Pope Francis emphasizes the need for discernment and prophecy in modern society. Discernment is the concept of penetrating Pope Francis’s pontificate and hi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Pope Francis tries to perform his job through the concept of discernment, and tries to reflect on the church through the lens of discernment. What is the method of discernment, what attitudes and postures are required for discernment, what is the object and content of discernment, and Pope Francis has mentioned a lot in his literature, speeches and lectures. From an ecclesiological perspective, for Pope Francis, discernment is the church’s reading the world. Discernment is linked to reading the signs of the times, a core concept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s Pastoral Constitution. Discernment is reading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ospel and faith. It is to carefully examine the challenges and questions of the world. Second, discernment is the church’s self- reflection on its structure and appearance. In other words, it is to reflect on the church itself and seek change and renewal. Third, it is to check the mission and task of the church. It is to check whether the mission of evangelization and missionary work is properly carried out. Discernment includes the process of reading, self-examination and reflection, and inspection and judgment. For Pope Francis, discernment does not simply mean any special spiritual practice. Discernment, by its very nature, is a key act of faith. For Pope Francis, to discern is to live faith. This means that every believer must live a life of discernment. Living faith is not a mechanical acceptance of certain religious customs, practices, and norms, but constantly seeking God's will, looking at the world and life with God's eyes, and living in a way that resembles God. For Pope Francis, discernment is a spiritual and intellectual act, but at the same time a prophetic and practical act.

      • KCI등재

        교회법의 ‘보조성의 원리’와 프란치스코 교황의 ‘건실한 분권화’에 대한 연구

        송정호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4 神學展望 Vol.0 No.225

        본고는 현행법의 ‘보조성의 원리’가 프란치스코 교황이 추구한 ‘건실한 분권화’를 통해 구체화되었음을 연구하였다. 유럽 시민 사회에서 발달한 ‘보조성의 원리’는 비오 11세 교황부터 가톨릭 교회의 사회 교리 원칙 중 하나로 제시되었다. ‘보조성 원리’ 혹은 ‘분권화’라는 용어가 명시적으로 교회의 통치 구조와 관련하여 제시된 시점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부터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교부들은 보편 교회와 개별 교회의 관계, 주교직 등에 대하여 논의하며 ‘보조성의 원리’(분권화)와 관련된 주제들을 다루었다. 이는 교회법 개정 작업에서도 꾸준히 요구되었다. 1983년 법전의 서문은 법전 개정 원리의 다섯 번째 원칙으로 ‘보조성의 원리’와 이에 따른 ‘건전한 권력 분산’을 제시한다. 이것은 입법적 통일성과 보편법은 보존하되, 보편 교회의 일치를 위해 필요하지 않은 내용들은 개별법이나 개별 행정권에 맡겨 개별 교회의 이익을 도모하고, 행정권의 건전한 자율성을 인정하는 것이다. 이 서문에서는 ‘분권화’를 의미하는 ‘권력 분산’(decentralizationi)을 따옴표로 처리하고, ‘건실한’이라는 형용사를 추가하여 교회의 일치를 저해하는 잘못된 방향의 ‘분권화’를 경계하고 있다. 1983년 법전 반포 이후에 교도권은 ‘보조성의 원리’와 ‘분권화’를 직접적으로 언급하거나 보편 교회와 개별 교회의 관계를 언급하며 개별 교회를 강조하는 형태를 통하여 ‘보조성의 원리’, ‘분권화’를 강조하였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교황직 수행 초기부터 교회 개혁에 대한 열망을 강하게 드러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추구하는 개혁 과제 중 하나는 교계적 친교와 일치를 전제로 하는 ‘건실한 분권화’이다. 이것은 그레고리오 개혁 이후 이루어진 과도한 중앙 집권화를 바로잡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는 과도한 중앙 집권화를 바로잡기 위한 방법으로 분권화, 탈중앙화를 제시하였고, 이러한 ‘분권화’의 틀 안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이 수행한 교회법과 관련된 자의교서 대원칙 (2017)과 일부 권한의 부여 (2022), 그리고 교황령 복음을 선포하여라 (2022)를 이해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in Canon Law is linked to the ‘sound decentralization’ promoted by Pope Francis.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which originated as a political and institutional method in Western European societies, has been presented as one of the principles of the Church’s social doctrine since Pope Pius XI. It was not until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at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or decentralization, was explicitly presented in relation to the Church’s governance structure. In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 Fathers addressed topics related to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decentralization) in their discuss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al and particular churches, bishop office, and more. Decentralization through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continued to be called for in the revision of the Code of Canon Law, and the Fathers proposed a number of practical applications of this principle. The result is found in the current Code of Canon Law. The preamble to the Canon Law refers to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and its ‘sound’ decentralization as the fifth principle of the Code’s revision. This means preserving legislative unity and universal law, but leaving to individual legislation or to individual administrations what is not necessary for the unity of the universal Church, in order to serve the interests of particular churches and to recognize the sound autonomy of administrations. In the preamble to the Code of Canon Law, the word ‘decentralizationi’, meaning decentralization of power, is placed in quotation marks and the adjective ‘sound’ is added to warn against the emergence of a state church or a misguided pluralism that would undermine the unity of the Church. Since the promulgation of the Code, the Magisterium has emphasized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and decentralization, either by directly referring to them, or by referr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al Church and the particular Churches, with an emphasis on the particular Church. From the beginning of his pontificate, Pope Francis has expressed a strong desire to reform the Church. One of the reforms Pope Francis seeks is a ‘sound decentralization’ that presupposes ecclesial communion and unity. This is a correction of the historical and ecclesiastical over-centralization that has occurred since the Gregorian Reformation. He proposes de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as a way to correct excessive centralization, and it is within this framework of decentralization that we can understand Pope Francis reforms of canon law (M.P. Magnum Principium in 2017, M.P. Competentias Quasdam Decernere in 2022, and Costitutio Praedicate Evangelium in 2022). In this way, the sound decentralization that Pope Francis sought was not just an ideal or a principle, but he made it a concrete reality through his amendments to the Code of Canon Law.

      • KCI등재

        그리스도 중심성과 ‘밖으로’: 프란치스코 교황의 삶의 원리와 교회 전망

        조현철(Cho, Hyun-Chul)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70

        프란치스코 교황의 등장으로 로마 가톨릭교회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교황의 다양하고 파격적인 언행은 세상에 큰 화제가 되었다. 하지만 교황이 일으킨 바람이 현실 변화의 지속적인 동력으로 남을지 아니면 한때의 유행으로 그칠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전자가 현실이 되려면, 화제가 되었던 교황의 다양한 언행의 기원이 되는 그의 삶의 원리와 거기에 내포된 교회와 세상을 향한 그의 메시지, 특히 그의 교회 전망을 사람들이 제대로 읽어야 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삶의 원리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는 결국 교황 자신이다. 우리가 현재 알고 있는 교황의 모습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소는 아마도 그가 자신의 삶의 한창 때를 보낸 예수회일 것이다. 여기서는 예수회원의 삶에 대한 ‘영신수련’의 비중과 중요성에 착안하여 프란치스코 교황이 누구인지를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영신수련의 영향을 깊이 받은 교황이 일관되게 보여주는 삶의 원리는 ‘그리스도 중심성’이라 할 수 있다. 이 원리는 무엇보다도 ‘밖으로’ 향하는 교회를 우리에게 교회 전망으로 제시한다. 그리스도 중심의, 밖으로 나가는 교회만이 신자유주의, 무관심의 세계화, 영적 세속성이 지배하는 세상을 형제애가 넘치는 세상으로 변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With the appearance of Pope Francis, a fresh wind is rising in the Roman Catholic Church. His diverse, unconventional words and deeds have created a worldwide sensation. However, it is not yet certain whether the wind the Pope has aroused will continue to be a fresh movement to change our realities or end up as just a one-time trend. For the former to be realized, the Pope’s life principle from which his words and deeds originate and his message to the church and the world, especially his vision of the church, which is contained in this principle, must be properly read and understood. At base, the core of Pope Francis’ life principle is the Pope himself. The greatest factor that has influenced the Pope as we currently know him is probably the Society of Jesus, where he spent the prime of his life. This article first examines who Pope Francis i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the Ignatian Spiritual Exercises in the life of Jesuits. What the Pope shows us consistently is a life principle that may be called ‘Christ-centeredness.’ This principle first and foremost presents us with a vision of the church as a living entity with an outgoing drive. This kind of church alone can contribute to the ransformation of the world today, in which neoliberalism, the globalization of indifference, and spiritual worldliness prevail, into a world brimming over with brotherhood.

      • KCI등재

        프란치스코 교황의 ‘함께 걸어가기’ 리더십: 전기적 사건들과의 관련에 관한 탐구

        박병관(Pak, Pyong-Gwa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神學展望 Vol.- No.208

        본고는 시노달리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시노드적인 교회’를 형성하고자 하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함께 걸어가기’ 리더십 스타일의 전기적 기원에 관하여 해명하고자 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천명하고 있는 ‘함께 걸어가기’는 그에게 있어서 ‘시노드’의 다른 이름이며 가톨릭 교회론의 교회 통치 원리인 ‘시노달리티’/‘컬리지알리티’의 상징적 기호라고 할 수 있다. ‘시노달리티’ 원리에 대한 그의 신념은 신학적 사고의 관점에서는 현대 가톨릭 교회의 쇄신을 불러온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친교-교회론’에 대한 충실성에 기반을 둔 것이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교황의 그 신념이 매우 깊고 투철할 뿐 아니라 실제적인 통치 행위로 실현될 수 있는 까닭이 그가 자신의 삶을 통해서 배우고 깊게 체득하여 가지게 된 실천적 동기의 힘 때문이라고 주장하고자 한다. 본고는 먼저 교황 선출 때부터 현재까지 ‘함께 걸어가기’/‘시노달리티’에 대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가르침과 실제 통치 행위를 개관하여 그 원리가 그의 교회 통치 리더십 스타일에 갖는 결정적 중요성을 확인한다. 그다음으로 교황 자신의 증언을 통해 그의 과거 예수회 리더십 행사에 있었던 과오와 코르도바(Córdoba) 유배의 연관성을 확인한다. 또한 베르골리오 신부로서 그에 대한 사람들의 평가로부터 그의 내적 문제가 궁극적으로 권위/힘/권력의 행사 문제이며 그의 타고난 강한 리더십 능력의 이면, 곧 자신의 성격 깊은 곳에 자리한 자기 확신과 독단의 문제라는 것을 밝힌다. 그런 다음 특히 코르도바 유배 경험이 교황의 ‘함께 걸어가기’ 리더십 스타일에 가지는 의의를 해명하기 위해 그가 아르헨티나 예수회의 주요 리더십 위치에서 물러난 후부터 코르도바 유배에 이르기까지 일어난 전기적 사건들의 사태 연관을 고려하면서, 그가 쓴 글들 특히 코르도바 유배에서 쓴 자기 탐구의 묵상을 자서전적 정보로 삼아 독해하는 가운데 ‘함께 걸어가기’ 원리가 정확히 베르골리오의 어떤 식별과 회심에 기인한 것인지 구체적으로 밝혀본다. 그리하여 본고는 베르골리오가 코르도바 유배의 굴욕을 통한 정화와 회심을 겪는 가운데 자기 확신에 기초하여 자신의 프로젝트를 우선시하는 고집이 공동체의 분열로 귀착됨을 깊이 묵상함으로써 깊은 종교적 겸손에 이르는 열쇠를 발견하는 동시에 ‘함께 걸어가기’ 리더십을 식별하였음을 밝힌다. This article aims at elucidating a biographical origin of the ‘walking together’ leadership style of Pope Francis, who has been emphasizing synodality to form ‘a synodal Church’. The ‘walking together’ that Pope Francis promotes is, for him being another name for ‘synodos’, a symbolic sign of ‘synodality’/‘collegiality’ which are principles of eccesial governance in the ecclesiology of the Catholic Church. His conviction about the ‘synodality’ principle is, as far as theological thinking goes, grounded in the faithfulness to the ‘communio- ecclesialogy’ of Vatican Council Ⅱ that brought about a renewal of the Catholic Church in the modern times. However, this article wishes to argue that the reason why the Pope’s conviction is not only very deep and thorough going but also can be translated into actual acts of governance is due to the power of a practical motive that he came to possess through learning by experience throughout his life. First, the article surveys the teachings and actual acts of governance by Pope Francis from his election up until the present time so as to ascertain the decisive importance of the ‘walking together’/‘synodality’ for his leadership style in governing the Church. Then, it ascertains through the Pope’s own remarks the connection between certain faults in his past Jesuit leadership and his exile at Córdoba. Furthermore, considering people’s estimations of Pope Francis as father Bergoglio, it shows that his inner problem, being in the final analysis the problem of exercising authority/power, was the other side of his inborn and strong leadership capacity, that is, the problem of self-assuarance and authoritarianism that resided deep in his personality and character. Then, the article turns to the task of elucidating the special significance of Bergoglio’s experience of exile at Córdoba to his ‘walking together’ leadership style. It, thus, elucidates from what exact discernment and conversion the principle of ‘walking together’ sprang, by considering a series of interrelated biographical episodes leading up to his exile at Córdoba, which took place after he had stepped down from major leadership positions of the Argentine Jesuit Province, and by reading discerningly his writings, especially his meditations written at Córdoba, as a source of autobiographical information. In this way, the article contends that Bergoglio came to discern the leadership of ‘walking together’ and also to discover a path leading to a deep religious humility, through the humiliation of his exile at Córdoba and especially through deep meditations on the fact that his insistence on and prioritization of his own project, based on self-confidence, led to a division of community.

      • KCI등재

        Mary, Icon of Hope, in Pope Francis' Gospel of Mercy

        놀란 줄리아(Norlan Julia)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신학과 철학 Vol.- No.28

        마리아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가장 대립되는 입장을 보였던 주제 중 하나로 대두되었다. 가톨릭교회에서 마리아 신심이 강렬하게 솟이올랐던 기간 중에 소집된 공의회는 마리아론에서 마리아의 신실함을 지나치게 괴장하려는 경향과 이와는 반대로 마리아의 아드님이신 성자의 구속사에 있어서 마리아가 갖는 중요한 역할을 무시하려는 경향 사이에서 양립된 의견을 조율하기 위해 노력했다. 본 논문은 마리아께 ‘순례하는 교회를 위한 희망의 아이콘’이라는 칭호를 붙여 준, 마리아에 대한 더 깊은 이해에서 비롯되는 견해를 바탕으로 마리아에 대한 공의회의 핵심적 가르침을 재조명한다. 교회의 정체성을 하느님의 자비로 보는 교황 프란치스코의 교회에 관한 비전과 리더십 하에서 순례하는 교회는 그 여정에 나서는 것이기에, 본 논문은 교황 프란치스코의 자비에 대한 가르침을 조명하면서 그 안에서 희망의 아이콘이신 마리아의 역할에 대해 이해하고자 노력한다. 교황 프란치스코가 자비의 어머니로 묘사하신 마리아는 신앙과 기쁨의 완벽한 조회를 보여주면서 당신의 자녀들에게 희망을 불러일으키신다. 신앙의 결실은 우리를 기쁨으로 이끌며 신앙의 기쁨은 훨씬 더 풍성한 결실로 우리를 이끈다. 교황 프란치스코에게 있어서 마리아는 선교하는 교회, 자비와 기쁨의 교회로써 그분 자체가 곧 교회의 본질로 요약된다. 마리아와 마찬가지로 교회 또한 가난한 이들에 대한 사랑으로 자비의 심장이 요동치고, 그들을 위해 두 팔을 활짝 벌릴 줄 아는 어머니인 것이다. 그러므로 마리아는 교회의 순례하는 여정에서 교회 희망의 아이콘임을 강조한다. Mary emerged as one of the most contested topic in the Second Vatican Council. Convened during a period of intense surge in Marian piety in the Catholic Church, the Council sought to strike the balance between the tendency to be excessive and exaggerated in Marian theology and religiosity on the one hand, and on the other hand, to be reticent and dismissive of Mary's significant role in her Son's redemptive work. This paper revisits the Council's key teachings on Mary, in view of coming to a deeper appreciation of the title it gave to Mary: as the icon of hope for the pilgrim church. As this pilgrim church journeys at this point under the leadership of Pope Francis and his vision of the church as 'church of mercy', this paper seeks to understand Mary's role as icon of hope in the light of Pope Francis' gospel of mercy. Hailed by Pope Francis as the Mother of mercy, Mary inspires hope among her children as she mirrors the perfect combination of faith and joy: the fiuitfulness of faith leads to joy; the joy of faith leads to even more fruitfulness. For Pope Francis, Mary SlllllS up in herself the essence of the church as a missionary church: a church of mercy and joy. Like Mary, the church is a mother whose arms are open to and whose heart of mercy beats for love of the poor. Thus is Mary is the icon of the Church's hope on its pilgrim way.

      • KCI등재

        프란치스코 교황의 청년 이해: ‘인퀴에투디네’(Inquietudine) 개념을 중심으로

        김영훈(Kim, Young Hoo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神學展望 Vol.- No.212

        본고는 세계주교대의원회의 제15차 정기 총회와 후속 교황 권고 『그리스도는 살아계십니다』에서 젊은이들에 대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사목적 관심이 반영된 ‘인퀴에투디네’(inquietudine)의 표현에 주목하여 그 용어의 원천과 용례 그리고 의미를 탐구한다. 우리말로 정확하게 번역이 어려운 이 표현은 단순히 ‘불안’으로 소개되기도 하고 ‘조바심’으로 번역되기도 했다. 그러나 양자 모두 충분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하여 프란치스코 교황이 의미하고자 하는 점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한다. 따라서 필자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즉위 이후에 사용한 ‘인퀴에투디네’의 용례를 분석하여 다섯 가지 의미로 파악한다. ‘인퀴에투디네’의 다양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청년을 동반하여 식별하고 함께 걷는 영성을 연구하는 영성신학의 자리를 제공한다. 그의 ‘인퀴에투디네’의 개념을 통해서 드러난 사목적 관심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사목 헌장』이 제시하는 교회와 세상의 연대라는 가르침의 토대 위에 있다. 이에 본고는 엠마 카를레오(Emma Carleo)와 프란치스코 아스티(Francesco Asti)가 공의회와 교황의 신학적 성찰로부터 제시하는 인류의 희망과 슬픔을 포용하는 영성신학을 추구한다. 필자가 본고를 통해서 밝히는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청년이란 자신들의 마음속에 있는 조바심을 그리스도와의 우정을 통해 창조적인 디딤돌로 삼고 기쁨의 열망으로 계속해서 자신의 부르심을 부단하게 살아가는 이들이다. 이를 해명하기 위해 본고는 세 가지 흐름으로 구성된다. 첫째, 프란치스코 교황이 즉위 이후에 사용한 ‘인퀴에투디네’의 용례를 분석하여 의미를 파악하고 그가 지닌 ‘인퀴에투디네’의 개념의 원천으로 아우구스티누스와 베드로 파브르의 영향을 밝힌다. 둘째, 제15차 세계주교대의원회의 전체 여정을 통해서 프란치스코 교황이 ‘인퀴에투디네’라는 언어로 어떻게 젊은이들과 소통하며 질문하고 성찰하는지를 연구한다. 또한 『그리스도는 살아계십니다』에서 그가 ‘인퀴에투디네’의 의미의 지평을 어떻게 확장하고 고양시키는지를 탐구한다. 셋째,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 이후에 발표된 프란치스코의 글을 ‘인퀴에투디네’의 개념의 문맥에서 고찰하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청년에 대한 그의 이해를 세 가지로 바라본다. 본고는 젊은이와 함께 걷는 시노드적인 교회에 대한 그의 사목적 관심을 탐구할 뿐만 아니라 오늘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영성신학이 나아가야 할 함의를 전망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the origin, usage, and implication of the term inquietudine used by Pope Francis as he has been showing his pastoral interest in young people throughout the journey of the 15th Ordinary General Assembly of the Synod of Bishops and his Post-Synodal apostolic exhortation Christus Vivit. Some people translates the term as an uneasiness, others as restlessness. However, the concept is complex, and neither translation adequately expresses Francis’ intended meaning. This present author investigates his usage of inquietudine after Papal inauguration of Pope Francis and finds five meanings. Understanding these various meanings of the term opens a privileged place for spiritual theology, which examines his spirituality of accompanying, discerning, and walking together with the youth. His pastoral interest revealed in the concept is rooted in the teachings of solidarity between the Church and the world that Gaudium et Spes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emphasize. This paper seeks to unde stand the spiritual theology that Emma Caroleo and Francesco Asti, based on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thought of Francis and the Council, have claimed embrace the hopes and sorrows of human beings. The present author emphasizes the fact that Pope Francis considers young people as persons who are living their vocation with joyful longing by transforming their restlessness into creative stepping stones with the help of friendship with Christ. The paper has three parts. Firstly, it investigates the usage of inquietudine after Francis’ Papal inauguration, identifies its meanings, and explains the influence of St. Augustine and St. Peter Faber as sources of his understanding of the term. Secondly, it studies how Francis communicates with young people, poses questions about them, and reflects on them by examining the term through the entire journey of the Synod of Bishops. The paper explores how Francis expands and elevates the potential horizons of meaning of inquietudine in Christus Vivit. Thirdly, the paper examines Francis’ writings published after the COVID-19 pandemic arose in the context of the concept of inquietudine, and it considers his understanding of young people in three ways in the post-COVID-19 era. The paper not only studies Francis’ pastoral interest in a synodal Church walking together with young people, but also wishes to imply the orientation of spiritual theology in the post-coronavirus era.

      • KCI등재

        인간의 행복과 지구의 건강을 위한 생태영성 탐구

        최광선(Choi, Kwang Su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神學展望 Vol.- No.192

        본고의 목적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2015년에 발표한 회칙 『찬미받으소서』(Laudato Si’)를 신학적 성찰 방법론에 따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현재 직면하고 있는 생태위기라는 현실과 그리스도교 전통이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확정하고, 도전하고, 명료화시킬 것이다. 이로써 생태시대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새로운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게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고는 삶의 경험에서 출발하여 그 경험의 깊은 의미와 그 경험 속에 함께 계시는 하느님의 현존을 찾는 신학방법인 ‘관상적이며 변혁적인 신학성찰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곧 ‘경험에 대한 관상, 맥락에 대한 분석, 전통과 대화, 그리고 통합된 영성’의 네 가지 단계로 진행되었다. 본고는 첫째, 생태위기라는 경험을 관상하는 것으로 시작되며, 이 관상을 통해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생태파괴 안에서 하느님의 현존을 식별하였다. 둘째, 생태위기를 불러일으킨 맥락과 상황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회칙에 나타난 기술관료 사회의 의식을 구성하는 신화적 요소에 대한 분석과 인간중심주의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생태위기를 불러일으킨 맥락을 “정신분열”(118항)이라 인식하며 “문화적 혁명”(114항)을 주목하였다. 셋째, 회칙은 생태위기 경험과 그 위기를 불러일으킨 맥락을 이해한 후, 그리스도교 전통 안에서 창조세계를 이해하는 새로운 준거를 제시하며 대화를 하고 있다. 곧 창조세계가 거룩한 복음서 자체이며 하느님과 인간 그리고 창조세계는 긴밀한 우주적 일치를 이루고 있음을 성경, 전통, 그리고 현 상황에 응답하는 세계교회의 이야기를 통해 드러낸다. 넷째, 회칙을 통해 제안될 생태영성은 생태위기의 경험과 맥락에 대한 분석, 그리고 그리스도교 전통과 대화를 통해 얻게 된 새로운 가치와 의미를 드러냈다. 그것의 주요내용은 생태정의, 생태적 회심, 하느님-인간-창조세계가 맺는 우주적 형제애 등을 포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Pope Francis’ encyclical Laudato Si’ according to a method of contemplative and transformative theological reflection. By reflecting on the encyclical, this paper provides a foundation to overcome the contemporary ecological degradation of the earth. This research invites Christians to a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versus global environmental deterioration. I employ a method of theological reflection, developed by Kathleen McAlpin, which consists of the four-step process of contemplating experience, exploring the context, reflecting theologically, and integrating spirituality. First, I examine Pope Francis’ contemplation on the current experience of ecological degradation. He points out the serious issues of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the issue of water, loss of diversity, decline in the quality of human life, the breakdown of society, and global inequality. His contemplation enables Christians to rethink and pray about deeper truths and values. Second, I explore how the encyclical analyzes the contemporary context which has contributed to the current ecological crisis. Pope Francis did not hesitate to criticize the human roots of the destruction of the earth. He pointed out the power and myth of technology and anthropocentrism. He names this current time as being in “a constant schizophrenia” (no.118) and emphasizes the need to move forward in “a bold cultural revolution” (no.114). Third, I reflect on how Pope Francis challenges Christians through dialogue with the scripture story and the mystery of faith in Christian traditions. Inquiring into the two-book tradition and further suggesting the gospel of creation, the encyclical helps us see the rest of creation as this sacred book and calls us to develop a universal fraternity. Finally, I look for a spirituality for this time of ecological crisis by focusing on Pope Francis’ integration of life through the lens of faith. I derive three aspects of ecological spirituality from the encyclical in terms of eco-justice, ecological conversion, and a triadic harmony among God, humanity and the rest of creation, and a universal fraternity between humanity and God’s creation. In conclusion, this encyclical provides the spiritual and psychic energy to enable an urgent reconciliation between humanity and the earth community.

      • KCI등재

        Welcoming, Questioning, and Engaging Francis: The Reception of the Pope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What It Reveals

        Paul V. Kollman(폴 V. 콜먼) 신학과사상학회 2018 가톨릭 신학과 사상 Vol.- No.81

        American Catholic Firsts Considering the Reception of a Pope Welcoming a New Papal Personality and Style Challenging the Pope’s Style and Teachings Engaging Papal Teaching Pope Francis and the Tensions among American Catholics 지역적 환경에 따라 프란치스코 교황이 어떻게 받아들여지는 지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그의 인성과 리더십 유형, 그리고 가르 침을 살펴보아야 한다. 그는 미국에서, 특히 그의 인성과 스타일에 있어서 매우 환대를 받았지만, 그럼에도 최근에는 소위 “보수적”이라고 불리는 가톨릭 신자들로부터 그의 가르침에 대한 의문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으로, 다수의 신학자들이 자신들의 신학적 관점에서, 특히 교회에 대한 학문인 교회론에 있어서 교황의 가르침을 신학적으로 반영하기도 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에 대한 미국에서의 수용, 즉 환대와 질문 그리고 탐색은 여러 가지 문제들을 둘러싸고 나타나는 미국 가톨릭교회의 양극화를 여실히 드러내며, 그중 다수는 국가 차원에서의 양극화와도 관련이 있다.

      • KCI등재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의 의미와 해석

        유영훈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what effect Pope Francis's recent visit to South Korea has on Korean Catholic Church as well as Korean Society, with a method of phenomenology that is useful to figure out the historical facts. After returning home, Pope has summarized the meaning of this Apostolic Visit in his first General Audience address with these three words: memory, hope, and witness. That is to remember the amazing developments and excellent Korean traits and to remember the first role of the laity. These memories of the past witness is to become a new testimony for the present and a hope for the future. Through Papal visit, most Koreans have favorable impression on Catholics. But a heavy responsibility fell on shoulders of the Korean Church. The reason of raising solid ground of Catholic Church in Korea at the moment can be translated as a reflection of the Pope Francis rather than the result of the efforts of the Korean Catholics. Now is the time for the Korean Catholic Church to make a church for the poor, a poor church as shown by Pope Francis. It has to renew itself for social evangelization including social welfare and human rights, so that it can step forward to the poor and the marginalized. Involved in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the laity has to take the major role. 본 연구는 최근 한국을 방문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문이 한국 가톨릭교회는 물론 한국사회에 미친 의미를 역사적 내용의 파악에 유용한 현상학적인 방법으로 고찰하여 봄으로써 교황 방한이 한국사회 전반에 미친 영향을 해석해보고자 한다. 교황은 귀국 후 첫 일반알현 훈화에서 이번 사도(使徒) 방문(訪問)의 의미를 “기억, 희망, 증언, 이 세 단어로 요약”하였다. 한국의 놀라운 발전상과 훌륭한 국민성을 기억하고, 평신도들의 으뜸 역할을 기억하며 이러한 과거 증인들에 대한 기억은 현재를 위한 새로운 증언이 되며 미래를 위한 희망이 된다는 것이다. 교황의 방한은 한국사회에 가톨릭에 대한 호감을 크게 높였다. 그러나 그만큼 한국 가톨릭교회의 어깨가 무거워졌다. 현재 한국사회에서의 가톨릭의 입지가 올라간 것은 한국 가톨릭의 노력의 결과라기보다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모습의 투영(投影)이다. 이제는 한국 가톨릭교회가 나서서 프란치스코 교황이 몸소 보여준 바와 같이 가난한 이들을 위한 교회, 가난한 교회를 만들어가야 한다. 스스로 쇄신하여 사회복지, 인권, 등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에게 더욱 다가서는 활동, 즉 사회복음화(社會福音化) 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이런 활동에 정치, 경제, 사회 활동에 직접 참여하는 평신도들의 역할이 크다.

      • KCI등재

        해월의 삼경론과 프란치스코 교종의 회칙 「찬미받으소서」 비교연구

        유정원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8 생명연구 Vol.50 No.-

        본 연구는 현대의 생태위기 상황을 직시하면서 동학과 그리스도교의 생태사상을 고찰한다. 먼저 동학의 가르침을 집대성한 해월 최시형의 ‘삼경론’을 통해 경천-경인-경물사상의 참 뜻을 살펴본다. 이어서 프란치스코 교종의 회칙 「찬미받으소서」를 연구하여 성서의 창조에 대한 올바른 해석과 생태 영성에 대해 다룬다. 해월의 삼경론을 통해 인간과 동식물뿐 아니라 무생물에도 한울(天)의 생명력이 미치고 있음을 밝히고, 경천-경인-경물을 통해 참된 인간으로 성숙할 수 있음을 고찰한다. 프란치스코 교종의 「찬미받으소서」를 통해 자연을 파괴해온 인간중심주의의 성서 해석적 오류를 바로잡는다. 또 착취와 남용으로 신음하는 지구와 가장 파괴된 곳에서 고통당하는 가난한 이들을 위한 통합생태론과 영성을 숙고한다. 이로써 오늘날 전 지구적 생태 위기 앞에서 지구 공동체적 책임 의식을 가지고 우주적인 친교를 이루기 위한 인간상과 사회 윤리를 제시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cological thought of Haewol and Pope Francis. First, I explored the true meaning of Kyungcheon(敬天-Reverence for Heaven), Kyungin(敬人-Reverence for humanity) and Kyungmul(敬物-Reverence for things/nature). This Samgyeongron(三敬論-Three Worship Thought) was developed by Haewol who achieved a synthesis of teachings of Donghak in a very sincere way. Haewol, in his Samgyeongron(三敬論-Three Worship Thought), insisted that heaven's life force has positive effects on human, animal, plant and even to the inanimate nature, too. According to him, anyone can grow as a truly authentic person through Kyungcheon(敬天-Reverence for Heaven), Kyungin(敬人-Reverence for humanity) and Kyungmul(敬物-Reverence for things/nature). Then I examined an ecological spirituality through Pope Francis' Laudato Si'. This Encyclical Letter presents a profound spiritual reflection on the environment and creation. I pointed out the error of anthropocentric biblical interpretation with the help of Laudato Si'. And I considered that the integrated ecology and spirituality for the earth which has been groaning in suffering and the poor in the destroyed environment. Finally, as we are on the brink of an ecological mega-crisis, this paper presented desirable human qualities and social ethics for cosmic communion by promoting the global community's respon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