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리스도교 플라톤주의로서 교부 철학: 교부들의 플라톤주의적 인간 이해

        김형수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신학과 철학 Vol.- No.44

        This thesis examines the idea of Christian philosophy through the idea of Christian Platonism, the philosophy of the church fathers, as its original starting point. Above all, the Church Fathers used Platonic philosophy as the worldview framework within which the proclamation of revealed truth was placed. However, this means that either party of the Church Fathers and Plato's thought did not simply choose a formal aspect, but had a real influence on each other in the sense of transformative acceptance. Since the Church Fathers saw Christianity as a form of philosophy, they dealt with the issue of faith based on revelation and rational Greek philosophy, especially Plato's philosophy, as one issue. In this way, Christian Platonism developed the Platonic tradition in a new way, and later Neoplatonism also strengthened the Platonic tradition in a religious context under the influence of Christianity. First of all, in Christian Platonism, since God is the reality itself and the source of the qualitative abundance of reality, all things in the world reveal the divine reality. Furthermore, the ontological participation in the reality of God is achieved through the endowment of life and cognition by the divine Logos from the divine spirit. Christian Platonism's understanding of the integrated reality between the spiritual or mental and the material is made visible, especially through the inner man, towards the goal of godlikeness. The inner world is understood as a realistic reality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dual existence of the outer man and the inner man. The fundamentally mutable inner man realizes good through constant self-transformation and growth. In addition, the inner man becomes aware of the divine truth by transcending himself through the care of the soul related to the whole of life and the memory that internalizes awareness. In this sense, the activity of the inner man can be said to be a philosophical exercise toward death as an ethical and intellectual training. Ultimately, this inner man's development and self-transcendence aims at godlikeness. Godlikeness in this way means that human beings, who were created according to the image of God, recover their original state, and it is a whole personal change in imitating God and participating in God as the highest happiness. In this way, the Christian Platonism of the Church Fathers understands philosophy not as a theoretical discourse but as a philosophical way of life, and seeks the truth for the transformation and change of existence and way of life. Furthermore, Christian Platonism has the task of restoring and preserving the unrestricted transcendental relationship between God, man and the world. This transcendental relationship is a mystery that cannot be finally expressed and is only revealed by God himself, but it is revealed as a real relationship by restoring the original closeness to God through the experience of divinity inherent in the human soul as the image of God. Even today, Christian Platonism's pursuit of understanding the divine mysteries beyond the understanding of the human mind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field of literature and art in terms of symbolism and mythology. 본 논문은 그리스도교 철학이라는 관념을 그 본래의 출발점으로서 교부들의 철학인 그리스도교 플라톤주의 관념을 통해서 살펴본다. 무엇보다 교부들은 계시된 진리의 선포가 놓이는 세계관의 틀로서 플라톤 철학을 사용했다. 하지만 이는 교부들과 플라톤 사상의 어느 한쪽이 단순히 형식적인 측면을 취사 선택한 것이 아니라 변혁적 수용의 의미에서 상호 간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부들은 그리스도교를 철학의 한 형태로 보았기 때문에, 이들에게 계시에 바탕을 둔 신앙의 사안과 이성적인 그리스의 철학, 특히 플라톤 철학을 하나의 사안으로 다루었다. 이렇게 해서 그리스도교 플라톤주의는 플라톤 전통을 새로운 방식으로 발전시켰고, 후기 신플라톤주의도 그리스도교의 영향으로 플라톤 전통을 종교적 맥락에서 강화했다. 우선 그리스도교 플라톤주의에서 신은 실재 자체로서 실재의 질적인 풍요로움의 원천이기에 세상 만물은 신적인 실재를 드러낸다. 더 나아가서 신의 실재에 대한 존재론적인 참여는 신적 정신에서 나오는 신적 로고스에 의해 생명과 인식이 부여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스도교 플라톤주의의 영적 또는 정신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 간의 통합적인 실재 이해는 특히 내적 인간을 통해 신과 닮음이라는 목적을 향해서 가시화된다. 내면의 세계는 외적 인간과 내적 인간이라는 이중적 실존에 대한 이해를 통해 현실적 실재로서 이해된다. 근본적으로 가변적인 내적 인간은 끊임없는 자기 변화와 성장을 통해서 선을 실현한다. 또한 내적 인간은 삶 전체와 관련되는 영혼의 돌봄과 인식을 내면화하는 기억을 통해 자신을 초월함으로써 신적 진리를 자각하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내적 인간의 활동은 윤리적이고 지성적인 수련으로서 죽음을 향한 철학적 연습이라고 할 수 있겠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내적 인간의 발전과 자기 초월은 신과 닮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렇게 신과 닮는 것은 신의 모습에 따라 창조된 인간이 자신의 원천적인 상태를 회복하는 것이며, 최고의 행복으로서 신을 모방하고 신에 참여하는 전인격적 변화이다. 이렇게 교부들의 그리스도교 플라톤주의는 철학을 이론적 담론이 아니라 철학적 삶의 방식으로 이해함으로써 존재와 삶의 방식에 대한 전환과 변화를 위해서 진리를 탐구한다. 더 나아가서 그리스도교 플라톤주의는 신과 인간, 세계 간의 무제약적인 초월 관계를 회복하고 보존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초월 관계는 최종적으로 표현될 수 없고 신 스스로만 보여주는 신비이지만, 신의 모상으로서 인간 영혼 안에 내재된 신성에 대한 체험을 통해 신과의 본래적인 가까움을 회복함으로써 실제적 관계로 드러난다. 오늘날에도 인간 정신의 이해를 넘어서는 신적 신비에 대한 그리스도교 플라톤주의의 이해 추구는 특히 상징과 신화적인 측면에서 문학과 예술 분야에서 그 중요성이 두드러진다.

      • KCI등재

        플라톤은 ‘플라토닉 러브’를 했을까? - ‘플라토닉 러브’의 개념에 관한 논고 -

        안성권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8 獨語敎育 Vol.72 No.72

        Diese Arbeit macht sich zur Aufgabe, den Begriff der ‘platonischen Liebe’ zu untersuchen. Als Anhaltspunkt der Arbeit habe ich einen Satz aus Friedrich Hölderlins Roman 『Hyperion』, den man einen Platon-Roman nennen darf, genommen: „Weißt du, wie Plato und sein Stella sich liebten?“ Dieser Roman kann somit als eine Art Folie benutzt werden, anhand derer die Liebeskonzeptionen Platons betrachtet werden. Da die platonische Idee der Liebe sehr verschieden ist im Gegensatz um allgemeinen Begriff der ‘platonischen Liebe’, wie er in heutigen Redewendungen häufig verwendet wird, scheint es notwendig, erst die beiden Begriffsbestimmungen und ihre Entstehungsgeschichte zu untersuchen. Das Konzept der Liebe, des Eros, wie sie Platon in seinem Symposion vorstellt, ist kein göttliches Wesen, sondern eine Macht im Menschen, eine Triebfeder des menschlichen Verlangens zur Vollendung des Schönen und des Guten. Die Liebe ist nicht nur sinnliches Erleben und sexuelle Lust, sondern führt als dynamisches Prinzip das Subjekt im Menschen zum Bereich der Transzendenz und zur Idee der Schönheit, und bedeutet dadurch, dass sie den Menschen antreibt, sich körperlich und geistig fortzupflanzen. Die Liebe bedeutet also eine Auflehnung gegen alles Sterbliche, den Tod. Das sei das Göttliche, die Unsterblichkeit im Menschen. Der florentinische Neuplatoniker der Renaissance, Marsilio Ficino, sieht in der Liebe die maßgebliche Triebkraft für den Aufstieg der Seele zu Gott. Für diese Funktion verwendet er den Ausdruck ‘amor socraticus’, ‘sokratische Liebe’ oder ‘amor platonicus’, ‘platonische Liebe’. Der moderne, trivialisierte Ausdruck „platonische Liebe“ geht auf diesen Begriff Ficinos zurück, der jedoch mit den Konzepten von Platon und Ficino wenige Ähnlichkeit hat. In der englischen Karolinger Periode verbreitete die Königin Henrietta Maria, die Ehefrau von Charles I. das platonische Konzept der Liebe am englischen Hof. Im Auftrag Henrietta Marias schrieb William D'Avenant eine Tragikomödie mit dem Titel 『The platonick lovers』. Das Drama wurde 1635 uraufgeführt und 1636 publiziert. Mit diesem Drama haben wir das Konzept ‘platonic love’, aber noch mit anderer Schreibweise(platonick love) und anderer Bedeutung. Im modernen Sinne bedeutet der Begriff ‘platonic love’ etwas ganz anders als das, was wir bisher erörtert haben. Es ist nirgends zu finden, - wie im landläufigen Begriff von ‘platonic love’ ausgedrückt wird - dass die Konzeption des Eros bei Platon einen Verzicht auf das körperliche und sexuelle Verhältnis postuliert. Hyperion stand am Anfang dieser Arbeit und wird auch das Ende darstellen. In der Vorrede von ‘Der vorletzen Fassung’ versteht Hölderlin die Welt anhand der Idee von Hyperion als Schönheit. “Es ist vorhanden – als Schönheit; es wartet, um mit Hyperion zu reden, ein neues Reich auf uns, wo die Schönheit Königin ist.-”(GStA III, S. 236) Und bittet Platon um Entschuldigung, im Namen aller Menschen: “Heiliger Plato, vergib! man hat schwer an dir gesündigt.” “플라톤과 그의 스텔라가 서로 어떻게 사랑했는지 너는 아느냐? 나도 그렇게 사랑했었고 그렇게 사랑받았다. 오 나는 행복한 소년이었다.” (GStA III, 12) (Weist du, wie Plato und sein Stella sich liebten? So liebt’ ich, so war ich geliebt. O ich war ein glücklicher Knabe!) 1797년 출간된 프리드리히 횔덜린의 소설 『휘페리온』의 한 구절을 실마리로 이 논문을 시작한다. 소설의 한 구절이 뭐 그렇게 의미심장한 내용을 담고 있을까하고 가볍게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이 문장이 논문 전체의 구심점이 되고 있으며, 주제의 맥락을 이어주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는 점은 논문의 말미에 드러날 것이다. 이 구절을 논문의 단서로 삼은 데는 여러 가지 의미가 담겨 있다. 우선 시각적으로 눈에 익숙한 말은 ‘플라톤’과 ‘사랑’이다. 이 두 어절만 보면 어느 정도의 상식을 갖춘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떠오르는 상투어가 드러날 것이다. ‘플라토닉 러브’. 이 논문의 으뜸 주제는 이 플라톤과 그의 이름이 들어 있는 ‘플라토닉 러브’의 연관성, 그리고 상투적인 말의 생성과정과 의미를 역사적으로 추적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보조적으로 언급되어야 하는 여러 부수적 문제들이 동반될 것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전체적 맥락을 논증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들은 충분히 끌어들여 논증하고, 부차적인 사항들은 경우에 따라서 부득이하게 암시적으로 간략하게 언급하는 곳도 있을 것이다. 본 논문 집필 취지의 콘셉트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 개념에 비유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이란 무엇인가? 아무도 나에게 질문하지 않을 때 나는 알지만, 나에게 묻는 누군가에게 설명해야 할 때는 그것을 알지 못한다. (Quid est ergo tempus? si nemo ex me quaerat, scio; si quaerenti explicare velim, nescio.)” 우리가 ‘사랑’이라고 일컫는 말 또한 어떠한 관점에서 어떻게 정의 내려야 할지 그 개념을 명료하게 정리하기가 곤란하다. 마찬가지로 만약 내가 누군가에게 ‘플라토닉 러브’를 설명해야 한다면, 어떻게 논리적으로 정리해 줄 수 있을까? 이 논문은 이 해석을 위해 흩어져 있는 필요한 단서들을 끌어들여 학문적 이해를 돕기 위한 연구이다.

      • KCI등재

        왜 플라톤을 번역하는가? 르네상스 플라톤주의자 피치노의 대답

        송유레 ( Eu Ree So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論叢 Vol.72 No.3

        르네상스 철학자 피치노는 플라톤과 플라톤주의자들의 그리스 원전을 라틴어로 번역함으로써 플라톤주의를 서구 유럽으로 귀환시키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피치노는 왜 플라톤을 번역한 것일까? 본 논문의 목적은 그가 되살리고자 한 플라톤주의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특히 피치노가 번역서를 비롯한 저술들을 출간하며 남긴 서문들에 주목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이 서문들에는 그가 플라톤주의 고전들을 번역하게 된 경위와 목적, 그가 플라톤 주의에 부여하는 의미와 기대하는 역할이 드러나 있기 때문이다. 아래에서 우선 피치노의 플라톤주의의 문화적 배경인 르네상스 인문주의의 특징을 간략히 짚어볼 것이다. 아울러 피치노가 르네상스 인문주의의 핵심 개념인 ‘후마니타스’(humanitas)를 어떻게 이해했는지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피치노의 서술들에 근거하여 그가 어떤 플라톤주의를 추구했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가 추구한 플라톤주의는 일종의 ‘경건한 철학’ 내지 ‘신학’, 나아가 ‘철학적 종교’로 드러날 것이다. 이러한 규정들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규명하기 위해, 피치노가 플라톤주의를 고대 이교 신학 전통의 완성으로 내세우기 위해 사용한 ‘옛 신학’과 ‘공통의 종교’의 관념들을 조명할 것이다. 이어서 플라톤주의자인 동시에 그리스도교인인 피치노가 플라톤주의와 그리스도교의 관계를 다룬 서술들을 분석할 것이다. 피치노는 플라톤주의에서 지성인들을 그리스도교로 이끌기 위한 철학적 수단을 발견했지만, 플라톤주의를 그리스도교적으로 전유하려는 시도에서 결국 자신의 그리스도교관 또한 플라톤주의화했음이 밝혀질 것이다. Marsilio Ficino is considered to be a central figure of the Florentine Academy, who contributed to the revival of Platonism in the Renaissance by translating Plato’s complete works and other major Platonists’ writings into Latin. But why did he translate Plato and his follower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what kind of Platonism Ficino tried to revive and why. For this purpose, I draw attention in particular to the ‘prefaces’ of his translations, commentaries or treatises. Ficino’s prefaces show the objectives and intentions of his publications and the meaning and the role which he attributed to Platonism. We begin with a brief look at the main features of Renaissance humanism which forms a background to Ficino’s Platonism. In this connection, we consider what he understood by ‘humanitas’, a key concept of Renaissance humanism. We then turn to Ficino’s prefaces and some other writings, which lead to the conclusion that the Platonism sought by Ficino is a ‘pious philosophy’ or theology, even a philosophical religion. In order to elaborate this interpretation, we first clarify the conceptions of ‘prisca theologia’ and ‘common religion’, which Ficino used to situate Platonism in the tradition of pagan religion. Next, we investigate how Ficino, as both a Platonist and a Christian, conceived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latonism and Christianity. It is shown that Ficino found in Platonism a philosophical means for preparing ‘intelligent’ people for Christianity. Yet, in his attempt to appropriate Platonism in a Christian way, he seemed eventually to Platonize his own vision of Christianity.

      • KCI등재

        플라톤 대화편에 나타난 “소크라테스적 대화”의 방법론적 구조

        김진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07 철학탐구 Vol.21 No.-

        자신의 전 저작을 거의 "대화"라는 형식으로 집필한 플라톤에게 있어 "대화"라는 "철학적 형식"의 중요성은 특별하다. 특히 플라톤 대화편의 중심위치를 차지하는 "소크라테스적 대화" - 즉 소크라테스가 주대화자로 등장하여 이끄는 대화 - 의 특징과 구조는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을 이해하는데 뿐만 아니라 플라톤 철학의 방법론적 측면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그러면 이러한 플라톤 대화편에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소크라테스적 대화"의 과정과 방법을 통일적인 구조 안에서 설명하고 도식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제기를 출발점으로 플라톤 대화편에 나타난 "소크라테스적 대화"의 방법론적 구조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대화"의 기본적인 요소인 "질문"과 "대답"의 형식에 주목하여 각각의 요소가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적 대화에서 갖는 특징 및 이에 따른 대화편 해석의 유의점을 밝히고 대화편 내에서의 구체적인 질문의 형식 그리고 대답의 형식을 분석한다. 다음 장에서는 플라톤 대화편에 등장하는 "소크라테스적 대화"의 유형을 소개하고 이 중 "논박적 대화"가 플라톤에 있어서 전형적인 대화의 유형임을 밝히며 이러한 논박적 대화의 형식 및 진행과정을 아리스토텔레스의 『변증론』 8권에 입각하여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 시에 현대 플라톤 연구가인 블래스토스(Vlastos)의 논박의 구조가 함께 논의되고 비교되며 최종적으로 플라톤의 대화편에 나타나는 "소크라테스적 대화"의 과정을 도식화하는 형식이 제시된다. Platon hat Dialoge geschrieben. Abgesehen von einigen Briefen hat Platon seine Werke nur in Dialogform abgefasst. Diese Tatsache besagt, dass die Form der Dialoge bei Platon eine wichtige Rolle zum Verständnis seiner Philosophie spielt. Die Dialogform, die sicherlich auf der philosophischen Methode des Sokrates beruht, ist bei Platon sowohl eine literarische Gattung als auch eine philosophische Methode, die sich in seinen Dialogen häufig findet. Die vorstehende Arbeit beschäftigt sich mit "den sokratischen Dialogen", die m. E. zum Verständnis der Philosophie Platons eine zentrale Rolle spielt. Sokrates ist die Figur, die in allen Dialogen Platons auftritt. Seine typische philosophische Methode, die in den platonischen Dialogen sehr charakteristisch verwendet wurde, bestimmt einen wichtigen Moment des Dialogs. Um eine gemeinsame und einheitliche Struktur "der sokratschen Dialoge" zu konstituieren, befasst sich die Arbeit zuerst mit den Formen der Fragen und Antworten, deren Charaktere zum Verständnis einer Argumentation in den Dialogen eine wichtige Rolle spielen. Der Hauptteil der Arbeit bietet die Möglichkeit, die drei Arten der sokratischen Dialoge zu überblicken. Dann untersucht er die elenktischen Dialoge, die die typische Art der Dialoge Platons zu nennen sind. Das achte Buch in der aristotelischen Topik wurde herangezogen, um die Vorgänge der sokratischen Dialoge zu analysieren. Im Vergleich zu der Struktur des Elenchos, die Vlastos, ein moderner Platoninterpret, vorgeschlagen hat, sind die Regeln und die Formulierung eines elenktischen Prozesses in der Topik adäquat für die Interpretation der sokratischen Dialoge Platons. Am Ende der Arbeit wurde ein nener Vorschlag für die Struktur der aokratischen Dialoge gegeben.

      • KCI등재

        기독교적 플라톤주의의 존재론적 관점에서 본 코울리지의 시 「인간의 삶: 영성불멸의 부정에 관하여」

        이경옥(Kyung Ook Lee) 19세기영어권문학회 2014 19세기 영어권 문학 Vol.18 No.2

        This essay explores Coleridge`s poem “Human Life” from the ontological perspective of Christian Platonism. Subsequent to the development of the biblical view of the philosophy of Plato and Plotinus by Origen and the Cappadocian Church Fathers, the Christian Platonic tradition was accepted by Augustine, the 17th century Cambridge Platonists, and eventually Hegel. Coleridge is also know to belong to the tradition. In harmony with Hebraism and Hellenism, Platonic Christianity uses Platonism as a tool to explain, communicate, and develop Christianity with more clarity and comprehension. In this way, the underlying principles of Christianity are clarified by explaining the concept of God, the doctrine of the Trinity, and the pattern of asceticism. This essay focuses on the concept of God and its related view of man, among other topics. The Church Fathers interpreted the Hebraic understanding of God, I AM what I am, to be the Platonic concept of a Being as the foundation on which the world stands. In Platonism, a Being is considered almost identical with an Idea, developed by Plotinus into the One and the Ground of the unity of life. In Christianity, the concepts of the One and the Ground of life are merged into the concept of one transcendental God. Based on these principles, Coleridge himself designates God as a Supreme Being. From the perspective of Platonic Christianity, man is considered to be a creature imparted with a Being because God made man in His image. In other words our substance only relies on our Being, and anything else is nothing but a shadow. As long as man obeys God`s Will, he maintains his Being. On the other hand, as soon as man rejects God`s Will, he forfeits his Being and turns into nothing, which signifies real death. However, rather than referring to a bodily death, in this context the transformation refers to a symbolical death. Coleridge`s “Human Life” imagines a state in which we case to be. In the first sonnet he uses a number of biblical allusions such as dust or drone in order to represent the state of hollowness or uselessness of our lives were we to lose our Being. In the second sonnet he emphasizes the sense of vacancy and anxiety of our bodily lives. In this poem he tries to warn that, in the absence of a Being, human life including his own is nothing but a shadow, as the subtitle “on the denial of immortality” implies.

      • 교육철학으로서 Platonism과 Pragmatism

        林泰平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6 東國論集 Vol.15 No.-

        It is sometimes said tnat Platonism and pragmatism are considered contradictory philosophy, because the "mission" of the pragmatic movement in philosophy appears in its opposition to intellectualism and all forms of totalitarian thinking (e.g. Platonism). Such consideration is well founded if one sees pluralism as essential to pragmatism, and identifies Platonism with a dosed monistic system. But I think that there are some similarities in the philosophizing methods, the concepts of education and schooling, and the relationship of philosophy and education among the two isms. First of all, both Platonic or Deweyan thoughts show in extraordinary preoccupation with education. For Plato and Dewey the most important use to which the products of education could be was service to the state and society: The one saw the state as the most effective instrument that could be devised and employed for leading men to the higher life in the realm of ideas and to the philosopher-kings; The other, to the intellectual life in the democratic society and the democratic citizens. Thus, they were primarily the philosophers, and secondarily tbe educationists, for they had the philosophical positions that have become famous and wrote a number of the philosophical works that have had an impressive influence on the contemporary educational thoughts.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compare and to re-examinate some major problems in Platonism and Pragmatism as the philosophies of education: 1) The Philosophy of Harmony, 2) The Meanings of the Education and Schooling, and The Philosophy and Theory of Education: that is to say, Philosophy and Education in their Relations.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 보고된 소크라테스의 철학

        송대현 대동철학회 2009 大同哲學 Vol.48 No.-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이상학』의 세 곳, 987 a 29-988 a 14, 1078 b 17-32, 1086 a 32-b 7에서 소크라테스에 관하여 중요한 보고를 한다. 이 구절들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1) 소크라테스가 자연적 문제에 대해 소홀했으며, 윤리적 덕의 탐구에 몰두했고, (2) 이에 대하여 그는 정의와 귀납적 논구를 이용하여 보편자에 도달했고, 이것은 개별자와 분리되지 않는다고 생각했지만, 그에 반해 플라톤은 형상을 개별자와 분리시킴으로써 많은 불필요한 문제를 야기했다고 진단한다. 요컨대, 이들 보고들은 전자에서는 소크라테스의 탐구대상, 후자에서는 탐구 방법론 및 그것의 결과를 언급하고 있다. 그러면 이런 아리스토텔레스의 보고는 플라톤의 대화편에 등장하는 소크라테스와 비교해서 그 나름의 독립성을 갖고 있는가? (1)의 내용에 대하여 아리스토텔레스가 플라톤의 대화편에 등장하는 소크라테스에게 다른 저자들의 소크라테스보다 더 강한 영향을 받았으리라는 것을 우리는 짐작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것이 곧바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소크라테스에 대한 보고가 플라톤에게 전적으로 의존한다는 것을 말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크세노폰의 소크라테스도 윤리적 덕의 탐구에 대한 몰두와 이에 대한 정의를 시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2)와 관련하여,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에 대한 비판이라는 넒은 틀에서 소크라테스를 이용하고 있다. 이런 그의 소크라테스는 (가)역사적 소크라테스에 대한 기술이며, (나)플라톤의 대화편에 등장하는 소크라테스와 완전히 동일한 인물이 아닌 것만은 분명하다. 먼저, 아리스토텔레스는 소크라테스를 플라톤의 형상이론의 기원에 관한 철학사적 고찰 속에 집어넣고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아리스토텔레스는 역사적 소크라테스가 형상이론을 가지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플라톤의 소크라테스는 『파이돈』에서 변하지 않으며, 한 가지 모습으로 있는 형상과 끊임없이 변하는 감각세계를 대비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차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소크라테스에 대한 보고가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소크라테스에 관한 그의 보고는 플라톤으로부터 독립적이라고 간주해야 한다. Cette étude a pour objet d’expliquer le « Socrate » que témoigne Aristote dans sa Métaphysique. Le Socrate se trouve présenté de façon un peu rhapsodique en trois endroits de ce traité où Aristote cherche à déterminer l’origine de la théorie de la Forme platonicienne : 987 a29-988a14, 1078b17-32, 1086a32-b7. Dans les trois renseignements, se développent les deux déterminations de Socrate, évidemment atteste Aristote: d’une part, l’application exclusive de Socrate au problème morale, et d’autre part la recherche des choses universelles par la méthode de définition et par les discours inductifs(epaktikoi logoi). Est-il manifeste que les témoignages d’Aristote sur Socrate se caractérisent comme un simple écho de Socrate dans les Dialogues de Platon, notamment écrits en le premier période de celui-ci ? C’est par le négatif que l’on devrait y répondre pour bien révéler le Socrate historique, mettant en comparaison le Socrate de Platon et d’Aristote avec une autre grande source concernant ce philosophe, à savoir celui de Xénophon. Il ressort du présent démarché que les témoignages aristotéliciens sur Socrate constituent les points communs par rapport aux autres, en dépit des différences inconciliables qu’ils figurent ; il est des lors assez probable que les textes d’Aristote sur Socrate auquel on se réfère ne peuvent entièrement dépendre de celui de Platon, bien sûr l’on n’a pas l’intention de contester le fait que le dernier exerce l’influence dominant sur le dernier. C’est pour Aristote que les renseignements platoniciens sur Socrate ne se montrent pas comme bien nouveaux, en tant qu’il est en mesure d’envisager ceux de Xénophon et des autres. Est-il raisonnable de juger que les témoignages aristotéliciens sur Socrate permet de se définir comme indépendants et originaux ? On tente d’y répondre par l’affirmative. Aristote les illustre, avec un ton biographique et aussi doxographique, en cours d’exposer la philosophie de Platon, précisément la critique de la théorie platonicienne de la Forme. C’est le Socrate historique, non pas une persona dramatis de Platon qui s’accentue par la divergence suivante : c’est à l’encontre de Socrate de Platon qu’en rendant compte des triples renseignements dans la Métaphysique d’Aristote, il ne professe guère la théorie de la Forme. Voici en le résultat : il n’est pas convainquant que les témoignages d’Aristote sur Socrate ne réduit qu’à la version calquée sur celui-ci qui joue le rôle d’un principal interlocuteur dans les Dialogues de Platon.

      • KCI등재

        체육철학 : 플라톤의 체육교육 사상

        강유원(KangYu-Won) 한국체육학회 2003 한국체육학회지 Vol.42 No.6

        As it’s been introduced on beginning, the solution of Platon’s physical education thesis could be analyzed based on the study of it’s planning. There is no question that Platon is the first and the most excellent educator who could realize the idealism of philosophy. His idealism could be explained as an ultimate value and an absolute purpose toward functioning actualization, possible relationship among any human beings and characters, and making a life-goal and world wide suggestions based on the truth of an ideology. This idealism has been effected to physical education of philosophy and its actualization with great Platon’s thesis, and also has been redefined the meaning of the struggling modern society since physical education could be lost by looking the future incorrectly with illegal purpose and system. Therefore, Platon suggests variety opinions to make correct actualization with detail methods. He insists that the music with physical education means for both education and body training. According to his insisting, there are three purposes of human beings. At first, there if a purpose on human career to control themselves. It means that the morality must be trained young generations with suitable body training. Second, physical education is not only for making great athlete. It’s for making healthy life with healthy body. Third, it should be mixed the physical body with the healthy mind to get a better life. As you can see, to study Platon’s philosophy of physical education with an educational actualization, we must discuss and analyze for better life later on.

      • KCI등재

        미켈란젤로의 서정시와 ‘플라톤적 사랑’

        이순아 한국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회 2012 중세근세영문학 Vol.22 No.2

        The intention of this thesis is to see that ‘Platonic Love’ is the motive for the art and life of Michelangelo by examining the concept of beauty and love in Michelangelo’s lyric in the context of Ficino’s Platonism. The core of the Renaissance Platonism with Ficino as its head are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love. The human soul as the center of the universe acquires immortality and beatitude by contemplating God through the gradual inner ascent in which the soul leaves the body and purifies itself. The other aspect of the soul’s ascent for God is love. In this sense, the genuine love is the desire for turning to the divine beauty by being provoked from looking at the sensible beauty. This is ‘Platonic love,’ coined by Ficino. The concept of beauty in Michelangelo’s lyric is the heavenly beauty which manifests as the pledge of the divine in the material. In this regard the activity of the artist is the realization of images, ideas visions of beauty which he has in his mind. This is Ficino’s concept of beauty which takes God as its ontological source. The concept of love in Michelangelo’s lyric aims at the friends which he loves. The Genuine love is the agent for the union with God by raising the human soul from the mortal earthly beauty to the immortal heavenly beauty, and makes him reach beatitude. Thus, Ficino’s ‘Platonic love’ is the inspiration which leads Michelangelo’s life and art.

      • KCI등재

        미의 본질과 플라톤주의 : 서구 사유의 전통에서 드러난 미적 본질의 초월주의적 성격

        박유정(Yu-jeong, Par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1

        이 글은 미적 본질의 초월주의, 즉 플라톤주의의 성격을 고찰하고자 했다. 아름다움은 쾌를 동반하지만 미의 본질은 감각적 쾌를 넘어 정신적 울림을 주기 마련인데, 미적 본질의 이러한 성격을 서구의 사유는 플라톤적 초월주의로 설명해 왔다. 이는 플라톤에 의해 서구적 미학의 기초가 놓였기 때문이기도 하고, 이것이 칸트나 헤겔로 이어지는 전통을 형성하였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플라톤과 칸트의 미학적 논의 속에서 이러한 초월주의 미학이 어떻게 자리 잡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플라톤은 자신의 존재론에 따라 세계를 현상계와 이데아계로 나누고, 아름다움에 대해서도 현상계의 감각미와 이데아계의 예지미로 구분한다. 감각미는 현상의 아름다움 것들을 말하고, 예지미는 그러한 것들을 가능하게 하는 아름다움 그 자체로서의 미의 이데아를 말한다. 물론 미의 본질은 후자인 예지미 속에 있다고 본다. 왜냐하면 예지미는 감각을 초월한 순수한 이상미로서 감각미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플라톤에 따르면 감각미는 위험하고, 미의 본질을 알기 위해서는 감각미로부터 멀어져야 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예지미로 나아가는 것을 가로막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 추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까닭에 아름다움에 대한 에로스는 아름다운 몸에서 아름다운 행실로, 그리고 아름다움 그 자체의 정신적인 것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플라톤은 미의 세계를 감각을 초월한 정신의 세계, 즉 철학 속으로 복속시킨 선구자이고, 이러한 그의 미학을 통해서 아름다움의 본질은 감각을 초월한 정신의 세계 속에서 순수한 이상미로서 존재하는 것이 된다. 칸트에서 미는 미 개념의 패러다임 전환이 이루어진 이후 더 이상 객관적 이상미로서가 아니라 주관적 판단 속에서 성립하는 것이 된다. 이제 아름다움은 취미판단의 영역에서 확보되는 것이다. 그런데 칸트의 취미를 감관취미와 반성취미로 나누고, 전자에는 쾌적이, 후자에는 만족이 발생한다고 보고 미의 본질은 반성취미와 그 만족 속에 있음을 천명한다. 이로써 미의 본질은 감각을 초월한 순수미 속에서 관조적인 것으로 존재하는 것이 된다. 이는 플라톤이 현상의 감각을 초월한 예지미에서 미의 본질이 있음을 주장한 것과 마찬가지로 일종의 플라톤적 초월주의를 반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게다가 칸트는 취미판단의 질과 관계를 분석하면서 ‘무관심성’과 ‘목적 없는 합목적성’ 개념을 제시하는데, 이는 아름다움의 본질을 대상에 대해 무심할 뿐만 아니라 그 욕구와 이해관심을 배제하고 그로부터 생기는 쾌적과 경향성으로부터 떠날 때 순수하고 진정한 것으로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칸트의 엄숙주의에서 비롯되었지만 결국 미의 본질을 감각을 초월하여 순수하게 관조적인 것으로 바라보는 일종의 플라톤 주의의 반복으로 생각된다. 요컨대 서구의 사유는 미의 본질을 플라톤에 의해 개척된 초월주의에서 바라봄으로써 아름다움이 갖는 감각적 현상을 넘어서 그것이 정신에 가지고 오는 울림 속에서 포착하고자 했고, 이는 칸트의 취미판단 속에서도 욕구와 이해관심을 배제하고서 대상을 무심하게 바라볼 때 생기는 순수하게 관조적인 것을 미의 본질로 생각하는 데까지 이어진다고 생각된다. This paper aims to think about Transcendentalism in the Essence of Beauty, that is Platonism. Pleasure in Beauty has been explained with spiritual entity, which is originated from Plato’s philosophy, this Transcendentalism under the name of Platonism formed Aesthetic Tradition in Western Thought. So we wanted to study this transcendental Aesthetics through Plato and Kant. At first, Plato divides a Beauty in Phenomenon and Beauty-Idea in Noumenon according to his theory of Idea. And he thinks that the Essence of Beauty does not lie in the first, but in the second because it as pure ideal Beauty transcends the Sensibles and let them to be beautiful. So we should be away from sensible beauties, and proceed to intelligible Beauty through ladder of Eros. Finally Plato is a pioneer to subject Aesthetics to the Spiritual, i.e. Philosophy, and his Transcendentalism became Western Thought Tradition in the name of Platonism. Kant discovers ‘Taste Judgement’ after Paradigm Shift from objective ideal Beauty to subjective Beauty. But he succeeds to Platonism through dividing ‘Sensible Taste’ and ‘Reflection Taste’ because he regards the Essence of Beauty as the latter. Futhermore, he analyzes Taste Judgement with Beauty Categories such as ‘Disinterestedness’ and ‘Purposiveness without Purpose.’ So he arrives at the pure and authentic world of Beauty to transcend sensible and empirical world through discarding Inclination and Desire, and this viewpoint about Beauty could be considered another repetition of Platonism. To conclude, we came to recognize that the Beauty in western thought is considered as the intelligible, the spiritual which transcends the sensible according to Plato’s philosophy, and this tradition is accepted to Kant’s Taste Judgement as Reflection Judgement because Kant also regards the Beauty as pure and authentic Beauty discarded Inclination(Des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