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한문학의 변문 활용 문체와그 역사문화상 기능

        심경호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7

        Pianwen(騈文) has a strict rhyme structure with tonal pattern transposition, couplets, and synchronization of phrase-end tonal patterns in connected stanzas. Furthermore, it pursued splendor with complex literary quotations. In ancient state era Korea, rhetoric of Pianwen and classical Chinese culture were adopted simultaneously, forming distinctive aesthetics. Meanwhile, Pianwen was partly applied to passages of Idu scripts and classical Chinese literary works. This article traced development of Pianwen in pre-modern Korea, illustrating examples of such literary works in various categories, e.g. ①bestowed or tributed literary works, ②ceremonial works, ③examination papers and diplomatic documents, ④Buddhistic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and ⑤various applications of Pianwen style. In pre-modern Korea, Pianwen was used in epigraphs and diplomatic documents from around 7th century. Circa 654 CE (14th year of Uija of Baekje), an epigraph of Sat'aekchijŏkpi(砂宅智積碑) used Pianwen style couplets and tonal pattern transposition. Sasan Bimyŏng(四山碑銘) by Choe Chiwon in North-South Period was composed of a Pianwen style preface and an inscriptive poem with variation of rhyme. Pianwen style was prominent in North-South Period and the early Goryeo. In the late Goryeo, Choe Hae(崔瀣) compiled Tonginjimunsaryuk(東人之文四六). Also during the Joseon Dynasty, Pianwen used in court occasions, e.g. political and diplomatic affairs, or ceremonies for the completion of the main beam. Pianwen was criticized by intellectuals because of its stylistic restrictions. However, it had been valued in a transcription field due to following three reasons. (1) From Six Dynasties to Tang, Song, Yuan, Ming, Qing, every ordinances and addresses to the throne used Pianwen, and responsive works for royal demand are also required to apply couplets and rhyme. These literary works are called court literature. In China, conventional court literature had used Pianwen style rather than classics style. Even Ouyang Xiu and Su Shi of Classics school used Pianwen when they draft appointment certificates. In Korea, court literature was used frequently in the same manner. (2) Pianwen style was used in diplomacy to China, especially in imperial correspondences(表箋). Qing specified the format of a document, however, its format was altered every time a new emperor accede. Therefore, intellectuals needed to brush up their ability to compose such works, and tested proficiency of Pianwen in a civil service examination. (3) Pre-modern readers-intellectuals of Korea secured a literary hegemony by mastering tonal pattern and rhyme of literature. Pianwen style that apply such methods was rated high. An ability to compose a ceremonial address for the completion of the main beam was considered as a high- class cultural act. Even in classical writings, Pianwen style couplets are often used. This tendency was the same in a realm of Buddhist intellectuals. 騈文은 평측 교대와 對偶를 지키며, 聯과 聯의 연결 시 句末 평측을 동일하게 하는 등 外在律이 까다롭다. 이와 더불어 典故를 번다하게 사용하여 華美를 추구했다. 한국에서는 고대국가 시기에 중국의 한문문화를 수용하면서 변문의 서사법을 동시에 받아들여 독자적인 미학을 완성시켜 나가는 한편, 이두식 한문문장과 한문 고문의 행문에도 부분적으로 변문을 활용했다. 본 논문은 근대 이전의 한국에서 변문이 발달한 역사를 추적하고, 실제 문장에 활용된 예들을 부류별로 나누어 예시했다. 즉 ① 변려체 변문 下行文字와 上行文字, ② 변문 儀式文字: 상량문의 예, ③ 科表 부과에 따른 변문 중시, ④ 불가한문의 변문, ⑤ 고문 행문의 변문 투식 대우법 활용 등이 그것이다. 근대 이전 한국에서는 7세기 경부터 변문이 금석문과 외교문서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654년(의자왕 14) 경 「砂宅智積碑」의 비문은 사륙변려체 즉 변문을 의식하여 대우법을 맞추고, 평측 교대법을 의식했다. 남북국 시대 신라의 최치원이 지은 四山碑銘은 변문의 序와 換韻의 銘으로 이루어졌다. 남북국시대와 고려 초에는 변문이 우세했다. 고려 말 崔瀣는 東人之文四六을 엮었다. 조선시대에도 조정의 정치와 외교, 상량식 등에서는 변문을 사용했다. 변문은 형식적 구속성 때문에 문인들의 비판을 받았다. 그렇지만 다음 세 가지 이유에서 書寫 영역에서 줄곧 중시되었다. (1) 육조 이후 당ㆍ송ㆍ원ㆍ명에서 청초에 이르기까지 조정의 詔誥表章은 모두 변문을 사용했다. 또 應製 등 館閣文章은 聲律을 강구하고 對偶를 활용하여야 했고, 그 문체는 변문이 중심이었다. 고문가 구양수와 소식도 制誥를 草할 때 고문을 사용하지 않고 변문을 사용했다. 한국의 고대국가, 고려, 조선 전기에서도 조정의 奏章이나 응제문은 변려를 사용하는 일이 많았다. (2) 중국과의 외교에서 긴요하게 이용된 表箋은 변문으로 작성했다. 청나라는 표전의 서식을 정해 주었으나, 새 황제가 등극할 때마다 서식을 개변했으므로, 관각 문인들은 표전 제작의 능력을 연마해 둘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과거시험에서도 줄곧 변려 제술의 습숙도를 평가하는 시험이 부과되었다. (3) 근대이전 한국의 독서-지식층은 평측법과 압운법을 장악해서 문학적 역량을 온축함으로써 문자권력을 장악했다. 따라서 평측법을 行文에 활용하는 변려의 문체는 여전히 존중되었다. 더구나 지역 사회나 공공 정치영역에서 변문 등 상량문 제작 능력은 고급 문화역량으로 간주되었다. 산문의 고문에서도 변문 투의 連句를 활용하는 일이 많았다. 불가 지식층 사이에서도 변문의 제작 능력은 문자활용의 습숙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었다.

      • KCI등재

        玄洲 趙纘韓 散文의 硏究 -17세기 초 文壇의 風情과 관련하여-

        김우정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1 No.-

        The mid-Choson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early 17th century was blinking period that had been a great diverse literary aspect in the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Even though influence of Con -fucianism that set low value on the literature had been intensified, but a unrestricted literary spirit which had formed in the 15th century was maintained it’s inertia even in this period. A case of proses, There were formed afresh restorative style’s currents united Tang-sung writings that has been superior position with Qin-Han writings. However the advent of restorative prose wa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by a leader of restorative school as Li panlong and Wang shizhen who were predominated over the Ming Dynasty’s literary arena. therefore up to the present, the former researches inferred Cho Chanhan’s prose had a restorative style undoubtedly, because He was appraised a Mr. Li and Wang with a favorable eye. But in view of the results about his articles so far achieved, There was not founded a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restorative prose as a strange and concise style, partition and inversion of wording, ambiguous quotation and metaphor et cetera. For that reason, we could realized that Mr. Cho’s concern on restorative school was restrained under certain restricted level. But even though a critics recognize Mr. Cho as a restorative author, because he wrote Cifu(辭賦) and Pianwen(騈文) which was disregarded by the then author much more than prose, so that accomplished unique and antique style literary world. 우리나라 한문학에 있어서 조선전기와 후기를 가름하는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초반은 다양한 문학적 양태들이 공존하며 명멸했던 시기였다. 비록 사상적으로는 문학의 의의를 소극적으로 파악하는 성리학의 영향력이 심화되는 추세였지만, 15세기에 만개한 자유로운 문학 정신은 이 시기에도 그 관성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었다. 산문의 경우, 오랜 시간 절대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있던 唐宋文에 秦漢文이라는 학습목록이 새롭게 추가되면서 복고적 경향을 띤 산문이 창작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복고적 산문이 출현하는 데에는 당시 明代 文壇을 풍미하던 李攀龍·王世貞 등 복고파의 문학론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었기에 이들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취하였던 趙纘韓의 산문도 당연히 복고적 경향을 띠고 있을 것이라는 것이 종래의 판단이었다. 그러나 조찬한의 작품을 살펴 본 결과, 복고적 산문에서 발견되는 기이하고 간결한 문체, 자구의 할렬과 도치, 모호한 인용과 비유 따위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前後七子에 대한 조찬한의 관심은 매우 제한적인 수준에 머문 것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조찬한을 굳이 복고적 작가라고 규정할 수 있다면, 이는 그가 당시의 작가들이 해묵은 양식이라고 외면하던 辭賦와 騈文을 고문보다 더 많이 지을 정도로 창작의 영역에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옛스런 취향이 돋보이는 독특한 문학세계를 구축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현주(玄洲) 조찬한(趙纘韓) 산문(散文)의 연구(硏究) : 17세기 초 문단(文壇)의 풍정(風情)과 관련하여

        김우정 ( Woo Jeong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1 No.-

        우리나라 한문학에 있어서 조선전기와 후기를 가름하는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초반은 다양한 문학적 양태들이 공존하며 명멸했던 시기였다. 비록 사상적으로는 문학의 의의를 소극적으로 파악하는 성리학의 영향력이 심화되는 추세였지만, 15세기에 만개한 자유로운 문학 정신은 이 시기에도 그 관성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었다. 산문의 경우, 오랜 시간 절대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있던 唐宋文에 秦漢文이라는 학습목록이 새롭게 추가되면서 복고적 경향을 띤 산문이 창작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복고적 산문이 출현하는 데에는 당시 明代 文壇을 풍미하던 李攀龍·王世貞 등 복고파의 문학론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었기에 이들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취하였던 趙纘韓의 산문도 당연히 복고적 경향을 띠고 있을 것이라는 것이 종래의 판단이었다. 그러나 조찬한의 작품을 살펴 본 결과, 복고적 산문에서 발견되는 기이하고 간결한 문체, 자구의 할렬과 도치, 모호한 인용과 비유 따위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前後七子에 대한 조찬한의 관심은 매우 제한적인 수준에 머문 것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조찬한을 굳이 복고적 작가라고 규정할 수 있다면, 이는 그가 당시의 작가들이 해묵은 양식이라고 외면하던 辭賦와 騈文을 고문보다 더 많이 지을 정도로 창작의 영역에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옛스런 취향이 돋보이는 독특한 문학세계를 구축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The mid-Choson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early 17th century was blinking period that had been a great diverse literary aspect in the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Even though influence of Confucianism that set low value on the literature had been intensified, but a unrestricted literary spirit which had formed in the 15th century was maintained it`s inertia even in this period. A case of proses, There were formed afresh restorative style`s currents united Tang-sung writings that has been superior position with Qin-Han writings. However the advent of restorative prose wa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by a leader of restorative school as Li panlong and Wang shizhen who were predominated over the Ming Dynasty`s literary arena. therefore up to the present, the former researches inferred Cho Chanhan`s prose had a restorative style undoubtedly, because He was appraised a Mr. Li and Wang with a favorable eye. But in view of the results about his articles so far achieved, There was not founded a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restorative prose as a strange and concise style, partition and inversion of wording, ambiguous quotation and metaphor et cetera. For that reason, we could realized that Mr. Cho`s concern on restorative school was restrained under certain restricted level. But even though a critics recognize Mr. Cho as a restorative author, because he wrote Cifu(辭賦) and Pianwen(騈文) which was disregarded by the then author much more than prose, so that accomplished unique and antique style literary world.

      • KCI등재

        骈文渗入白话小说的途径及其作用 — 以明末清初才子佳人小说《玉支玑》为例 —

        肖大平 한국중국산문학회 2023 중국산문연구집간 Vol.15 No.-

        骈文(PianWen) permeated the novel a lot. They are usually independent phrases or combinations of them, not completely one-sided sentences. Therefore, the combination of 骈文(PianWen) is the most common way for 骈文(PianWen) to permeate novels. This combination of changing characters was included in each part of the novel like a jewel. For example, the introduction, title, poetry and history inserted among the novels, part of the novel, the next notice led by “分教是”, the author’s commentary led by “正是”, and the novel’s commentary. In the process of permeating the colloquial style novel, 骈文(PianWen) was restricted by the influence of the colloquial style novel’s tone and narrative demands. The novelist realized the popular renovation of 骈文(PianWen) through various means such as old-fashioned choice, the confinement of ancient history, the convergence of spoken language, and tolerance of couplet. This popularized 骈文(PianWen) maintained the form of couplet while also helping to shape the characters and develop the plot of the novel. This is the product of the deep fusion of the novel and the 骈文(PianWen). When dealing with many of the 骈文(PianWen) in popularized colloquial style novel, we should not condemn them from the classical view.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ynamic situation in which 骈文(PianWen) and novel interact and receive an objective evalu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