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미래 환경변화 대응을 위한 중장기 발전방향 :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현황과 효율적 추진방향

        노태호,신경희,이상윤,지민규,이후승,강유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 기본연구보고서 Vol.2020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ㅇ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나 사회·환경적 측면에서의 논란이 부상하고, 지역별 수용성에 차이가 유발되는 등 정책의 효율적 추진에 어려움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임 ㅇ 지속가능발전의 패러다임으로서 국내외의 태양광사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입지선정 및 환경적 영향 등에 대한 각계의 입장이 상이하여 이로 인한 갈등의 해결방안 모색이 시급한 상황임 ㅇ 특히 원자력과 미세먼지 및 지구온난화를 초래하는 화석연료 문제의 해결을 위한 태양광·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시급하나 찬반의 다양한 의견이 상충하고 있음 ㅇ 이에 산지 등 환경이 우수한 지역에 입지할 경우 소위 ‘녹녹(綠綠) 갈등’을 초래할 수 있어 지속가능한 신재생에너지 정책 대안의 모색이 긴요함 ㅇ 이러한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이용을 목적으로 추진 가능한 가치를 지닌 신재생발전사업으로서 육상태양광 발전시설의 환경적 문제점을 보완하는 대안으로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을 조명할 필요성이 높음 ㅇ 그러나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의 경우 장기간 사용에 따른 환경적 영향 및 안전성 등에 있어 불확실성이 상존하므로, 적정한 규모의 설계와 입지 적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물리적 안전성의 담보 및 장기간 노출이 수환경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에 대한 조밀한 검증을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분석이 요구됨 ㅇ 따라서 환경성을 우선으로 하는 수상태양광 발전방안 원칙 수립 및 이행이 긴요하며, ‘안전한 환경관리 기반의 수상태양광 발전시설 상용화’를 핵심가치로 하는 한국형 수상태양광 발전모델 개발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는 전략이 필요한 시기임 ㅇ 본 연구는 이러한 오류적 인식과 여론을 개선함과 동시에 상수원보호구역 등과 같이 규제성 환경법률로 보호받는 지역은 입지대상에서 제외하고, 법률적 제한을 받지 않는 담수역 활용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등 ‘사전예방주의 원칙’에 입각하여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됨 ㅇ 이를 위해 시급한 현안을 도출하고,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현황에 대한 인식을 재정리함으로써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둠 Ⅱ. 연구내용 ㅇ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의 연구진과 시민사회 진영, 산업계, 학·연구계 등 주요 이해당사자에 해당하는 전문가가 함께 현황을 진단함 -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 및 의의를 설명하고 보고서의 구성 내용을 설명하였으며, - 제2장에서는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추진의 문제점 및 극복방안을 위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기술하였고 - 제3장은 사업추진의 효율화를 위한 제언을 담고 있으며, - 제4장은 본 보고서에서 논의된 주된 사항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심화한 내용을 담고 있음 Ⅲ. 연구결론 ㅇ 산학연 및 시민사회단체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볼 때, 현재 우리나라의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은 이제 초기 도입단계를 넘어 새로운 단계인 발전기로 도약할 시점에 이르고 있으며, 이를 위해 요구되는 최소한의 조건인 ‘이해당사자 간 인식의 공유’가 이루어져 있다는 결론을 도출함 ㅇ 그러나 입지적 특성을 고려한 수상태양광발전시설의 설치여부에 관한 사항은 아직까지 조정이 필요하고 추가적인 논의를 통해 입장을 좁혀야 할 부분이며, 장기적 영향에 대한 우려의 해소방안에 관해서는 완전한 합의를 이루지 못한 것으로 보임 ㅇ 본 연구는 각계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을 제시함으로써 수상태양광발전의 효율적인 추진방안을 위한 필요요건을 확인하였고, 필요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개선방안과 현안을 도출한 의의를 지님 ㅇ 즉,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을 어찌해야 할 것인가?”라는 화두를 극복한 상황에서 이제는 어떻게 수상태양광의 환경적 안전성과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는 동시에 경제적 이익이 지역사회로 환류될 수 있는 구조적 기반을 구체적으로 마련해야 할지 고민해야 할 때라는 시사점을 확인하는 계기를 마련함 Ⅳ. 결론 및 정책 제언 ㅇ 무엇보다도 효율적인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의 추진을 위해 시급히 추진되어야 할 사항은 사업추진 시 쟁점화되었던 문제점들을 개선하는 것임 ㅇ 이를 위해 가장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방안은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이와 관련한 절차 및 추진 제도를 큰 틀에서 개선하는 것임 ㅇ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의 장기적인 청사진을 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의 틀에서 수립하고, 공청회 등을 통해 이에 대한 산학연 및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하여 확정하고, 전략환경평가를 실시하여 환경적·사회적 포용성을 극대화하는 것임 ㅇ 즉,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을 큰 틀에서 사업 타당성 및 입지 적정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상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적극 고려하는 것임 ㅇ 이를 위해서는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의 마스터플랜, 소위 『수상태양광 발전 기본계획』이 우선 수립되어야 함 ㅇ 전략평가 단계에서는 환경부가 중심이 되어 마스터플랜의 적정성을 평가하고, 현재 100MW 이상으로 되어 있는 평가대상 규모를 조정, 10MW 이상 등으로 강화하여 환경영향평가 효용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함 ㅇ 특히 환경관리 운영지침을 포함하는 사후환경영향조사를 강화하여 생애주기를 고려한 운영 중 관리방안을 제도화한다면, 이를 통해 지역주민 이익공유를 위한 종합적 계획 및 친환경성과 지속가능성의 완성도 제고가 가능함 ㅇ 결국 중앙정부의 관련부처와 수면관리자인 양 공사의 더욱 적극적인 사고의 전환과 추진의지가 필요한 단계로 진입하였다고 할 수 있음 ㅇ 도입기를 거쳐 발전기에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밑그림이 마련되고 시행되어야 다음 단계인 확장기 및 고도화 단계로 진입이 가능해짐 ㅇ 특히 무엇보다도 공공재로서의 기능이 그 아느 때보다도 커지고 있는 담수역에서의 사업은 더욱 그러함 ㅇ 발전시설이 계획될 때마다 개별적으로 반복되는 찬반논란과 장기간에 걸친 사업별 환경평가는 비효율적인 사업추진 방식임 ㅇ 환경적 안전성을 강화하고 국토 전반에 걸친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발전기에 알맞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수상태양광 발전 기본계획(가칭)’을 마련하고 이에 대해 철저한 전략평가를 실시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야 함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ㅇ Although the new renewable energy expansion policy is in effect, controversy in terms of social and environmental aspects has emerged and differences in regional acceptability have led to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policy efficiently. ㅇ As a paradigm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olar energy businesses at domestic and abroad are growing rapidly, but they are in urgent need of finding solutions due to different positions on location selection and environmental impact. ㅇ In particular, it is imperative to seek alternatives to sustainable renewable energy policies as they are urgently needed to convert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and wind power to solve the problems of nuclear power and fossil fuels that cause fine dust and global warming, but there are various opinions on whether or not they are in areas with excellent environment, such as mountainous district, and if they are located in areas with excellent environment, they can cause so-called “green conflicts.” ㅇ In this regard,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s an alternative to environmental problems of land-base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nd it is necessary to shed light on the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roject as a new and renewable power generation project worth being promoted for sustainable use. ㅇ However, uncertainties still exist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nd safety of long-term use of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nd continuous monitoring and analysis of appropriate scale design and location adequacy, security of unreasonable safety, and thorough verification of various effects on the water environment from long-term exposure are required. ㅇ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nd implement the principle of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lan that prioritizes the environment, and it is time to secur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y developing a Korean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model with the core value of “commercialization of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based on safe environmental management.” Ⅱ. Research Content ㅇ This study was designed to improve such error awareness and public opinion and to prepare measures for the efficient promotion of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based on the "pre-preventive principle," such as excluding areas protected by regulatory environmental laws, such as water source protection zones, and first considering the use of freshwater areas that are not subject to legal restrictions. ㅇ To this 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up urgent issues and to prepare measures to solve problems by re-establishing awareness of the status of various stakeholders. ㅇ In addition, KEI researchers and experts from major stakeholders, including civil society, industry, and academic research, diagnosed the current situation together. - Chapter 1 explained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the contents of the report, - Chapter 2 focused on the problems and way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oject, - Chapter 3 contains suggestions for the efficiency of project promotion, - Chapter 4 comprehensively summarizes the main matters discussed in this report and deepened them. Ⅲ. Results ㅇ Considering the opinions of stakeholders of industry-academic association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t was concluded that the current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roject in Korea is now at a time when it should be converted to a new stage, beyond the initial stage of introduction, and that at least the ‘sharing of awareness among stakeholders’ was required for this. ㅇ However, it seems that no complete agreement has been reached on whether to install the floating photovoltaic power plant and how to resolve the long-term impact, considering its location characteristics, should be narrowed through further discussions. ㅇ This study identifies the necessary requirements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measures by presenting matters to be improved in various fields, and draws out improvement measures and issues to meet the requirements. ㅇ In other words, if the issue of ‘what to do with the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roject’ was overcome,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confirm the implications that it is time to prepare a concrete structural foundation for the return of economic benefits to the local community while enhancing environmental safety and social acceptability. Ⅳ. Conclusion and Suggestions ㅇ To this end, a master plan for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roject and the so-called "basic plan for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hould be established first. ㅇ In the strategic evaluation stage, it is desirable fo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o focus on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master plan, adjust the size of the assessment target, which currently stands at 100MW or higher, and strengthen it to 10MW or higher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ㅇ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post-environmental impact surveys that include environmental management operation guidelines to institutionalize management measures during operation considering life cycles, thereby enhancing the completion of comprehensive plans for sharing local residents’ interests and eco-friendly and sustainability. ㅇ In the end, it can be said that the central government’s related ministries and the two public corporations, who are sleep managers, have entered a phase in which more active will to change and promote their thinking is needed. ㅇ After the introduction period,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blueprint must be prepared and implemented for the generator to enter the next stage of expansion and sophistication. ㅇ Especially in freshwater area, where the function as public goods is growing more than ever, it is more so. ㅇ Each time a power generation facility is planned, the pros and cons repeated individually and the long-term environmental evaluation of each project are inefficient ways of promoting the project. ㅇ In order to enhance environmental safety and enhance sustainability throughout the country,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basic plan (tentative name) for water solar power generation suitable for generators should be prepared and a thorough strategic evaluation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 환경평가 지원을 위한 지역 환경현황 분석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육상풍력발전 및 수상태양광발전 현황 분석 -

        박종윤 ( Jong-yoon Park ),이영준,전동준,이명진,은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7 사업보고서 Vol.2017 No.-

        본 연구사업은 개발사업 전후의 환경변화 등 개발 예정지에 대한 시·공간적 환경변화 및 환경수용능력 분석을 토대로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환경평가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국토개발을 유도하고 사회적 갈등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변 환경요소(자연환경 및 생활환경)의 시·공간적 변화에 따른 영향, 지역별 환경용량 등의 차이에 따른 고려사항 등을 반영한 과학적이고 종합적인 평가를 수행하기 위하여 환경평가에서 다루는 주요 매체별로 다양하게 개발되어온 정량적인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지난 30여 년간 축적된 환경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계획(사업)의 타당성을 검토할 수 있는 상시 분석시스템을 마련하여 운영하고자 한다. 정부는 탈원전과 더불어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20%로 늘린다는 목표하에 에너지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신재생 3020 이행계획』에 따르면 이를 위하여 목표 연도인 2030년까지 53GW 규모의 신규 발전설비 보급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에 3권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중 육상풍력발전 및 수상태양광발전사업에 대하여 지금까지 협의된 환경평가 현황 분석을 토대로 신재생에너지 자원분포지역과 자연보존지역이 겹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자연보존과 청정에너지의 확대가 상호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첫째, 2002년∼2017년 5월까지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시스템(EIASS)에 등록된 육상풍력발전사업 총 70건의 자료를 토대로 육상풍력발전사업의 규모, 입지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환경평가 유형별로 살펴보면 사전환경성검토 19건(2012년 7월 이전), 전략환경영향평가 4건, 소규모환경영향평가 43건, 환경영향평가 4건으로 총 설비용량을 기준으로 대부분의 사업이 환경영향평가 대상인 10만kW(100MW) 이하에 해당하여 주로 소규모환경영향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환경평가서상 확인이 가능한 69개 사업의 전체 설비용량은 1,875MW이며 총 818기의 풍력기가 설치된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유효설비용량을 20%로 가정할 때 1,000MW 규모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원자로 1기의 약 40% 정도의 발전량을 담당할 수 있는 용량이다. 현재 계획 중인 해상풍력과 함께 원자로 1기의 발전량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1.5배 정도의 풍력 설비 증대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별 현황을 살펴보면 36%에 해당하는 25건의 사업이 산지가 많은 강원도에서 시행될 계획이며, 그 다음으로 경상북도에 16건, 전라남도에 15건이 계획되어 있다. 70개 중 54개 (77%) 사업이 산지에 입지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해안가나 농지에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육성풍력의 경우 지표면 50m 높이에서 풍속 3등급 이상(평균풍속 6.4m/s)의 확보가 필요한 자연조건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의 지형 특성상 풍력 잠재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산지에 집중되어 사업이 입지할 수밖에 없는 실정을 보여주고 있다. 산지에 입지하는 사업 중 40건은 능선축을 따라 풍력기가 설치되는 등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300m 이내에 입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육상풍력발전의 입지 특성상 산 정상부 및 능선부에 입지하는 경향이 높으나, 이러한 풍력발전 개발가능지역의 상당 부분이 환경적 측면에서 우선적으로 보호되어야 하는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 또는 별도관리지역에 해당하고 있다. 특히 생태자연도 1∼2등급 및 백두대간, 주요 정맥에 인접해서 계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풍력기 설치에 따른 시·공간적 환경영향을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아직 미진한 단계이다. 환경부에서는 2014년 10월부터 육상풍력 보급과 환경보전을 조화시킬 수 있는 ‘육상풍력 개발사업 환경성평가 지침’을 마련하여 시행 중이며, 육상풍력발전 시설이 고산지에 입지할 수밖에 없는 입지적 특성을 고려하여 능선부에 대해서는 별도의 입지 제한을 두고 있지 않다. 2012년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 Renewable Energy Portfolio Standard) 도입에 따라 풍력발전 시장이 확대된 바 있으며, 2014년 환경부의 풍력발전시설 입지 규제완화 정책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추세로 보면 신정부 이후 신재생 에너지 확대 정책에 따라 풍력발전 시장의 성장률이 급격하게 증가될 가능성이 높다. 향후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과 연계하여 산 능선부를 따라 집중되는 육상풍력 사업의 입지 타당성에 대해 환경가치, 경제성, 사회적 수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환경보존과 신재생에너지 확대가 상호 공존할 수 있는 다양한 해법 마련이 필요하다. 생태자연도 1등급지와 별도관리지역 등 주요 보존지역을 제외한 지속가능 측면에서의 풍력발전의 개발 잠재량은 50~60GW 정도로 예측하고 있으나, 사회·경제적 수용성을 고려할 경우 실제 개발할 수 있는 잠재량은 훨씬 줄어들 수 있다. 계획입지제도와 같이 개발가능지역을 대상으로 입지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사업을 추진하는 육상풍력발전사업의 확대 전략이 필요하다. 입지가 어느 정도 정해지면 환경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모니터링하여 개발 규모를 단계적으로 늘리는 방안을 비롯하여 선택과 집중을 통한 발전시설의 확대를 유도하여야 한다. 신규 사업의 경우 관련 부처의 입지 및 계획 지침을 준수하는 동시에 이미 운영 중인 발전단지에 대해서는 모니터링을 통해 환경영향을 면밀히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단 소규모환경영향평가 수준에서 먼저 개발하고,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없거나 매우 적을 경우 인접하여 점차 규모를 늘려나가면 기존에 개발한 진입도로와 관리도로를 활용해서 추가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풍력발전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지역주민과의 갈등으로 인해 사업 추진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개발이익의 일부를 지역주민들에게 일정 지분 지급하는 형태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도 소통과 상생의 방안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둘째, 2017년 9월까지 EIASS에 등록된 농업용 저수지를 활용한 수상태양광발전사업 총 16건의 자료를 토대로 수상태양광 입지 및 규모 적정성과 관련한 기술적, 환경적, 사회적 고려사항을 도출하여, 한국농어촌공사 관리 전국 3,397개 농업용 저수지를 대상으로 수상태양광발전 개발 잠재량을 추정하였다. 수상태양광발전이 신재생에너지 확대·보급 정책에 부합하고 개발 당위성이 인정된다 하더라도 자원 부존량이 풍부해야 하며 이를 기술적, 환경적,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이용 또는 수용할 수 있는지 그 개발 가능성을 가늠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이러한 가용량을 기술적, 환경적, 사회적 잠재량으로 구분하여 산정하였는데, 각 단계별 잠재량 산정을 위한 판단기준과 제약사항은 환경평가 정보를 분석하여 도출된 것이다. 자원 잠재량은 전국 3,397개 저수지 전체 만수면적의 10%에 해당하는 면적 4,263ha를 단위면적 1.3ha/MW으로 나누어 계산된 결과이다. 국내 총 3,280MW의 자원 잠재량 중개발 가능한 자원, 즉 가용자원을 기술적 잠재량으로 보고 1MW 이상 발전시설 설치가 가능한 수면적(13ha 이상)을 갖는 저수지 중 여유수심 3m 이상 유지가 가능하고, 상수원보호구역에 해당하지 않는 저수지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 620개 저수지에서 총 2,438MW의 기술적 잠재량이 산정되었는데 개별 저수지 수면적의 크기가 기술적 잠재량 산정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자원 잠재량의 74.3%가 개발 가능 잠재량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수상태양광의 발전효율을 30%로 가정했을 때, 실제 발전량은 약 731MW 정도가 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한편 기술적 잠재량의 개발을 위해 소요되는 저수지 수면적은 총 3,169ha로, 여의도 면적의 약 11배에 달하는 산림 보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환경적 잠재량은 만수면적의 5% 개발 시 1MW 이상 발전시설 설치가 가능한 수면적 (26hq 이상)을 갖는 저수지 중 한발 빈도가 5년 이상이고 환경보호구역, 생태자연도 1등급지에 입지하지 않는 저수지를 추출하여 산정되었다. 그 결과 기술적 잠재량을 갖는 620개 저수지 중 262개 저수지에서 총 910MW의 환경적 잠재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잠재량은 농촌 어메니티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판단되는 한국농어촌공사 선정 테마별, 지역별 저수지와 낚시금지구역으로 지정된 저수지를 제외한 것으로, 199개 저수지에서 총 593MW의 잠재량이 산정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잠재량 산정은 수상태양광 이해당사자 간의 풀기 어려운 문제들을 가용한 자료를 활용하여 고려해보고자 하는 접근방식이기는 하나, 이를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기 때문에 사회적 잠재량의 편차는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수상태양광발전은 대규모 육상태양광발전의 환경훼손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댐, 저수지 등의 유휴수면을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RPS 제도에 따라 신규 태양광시장 확대에 요구되는 대지를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육상태양광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더욱이 2017년 현재 농업용 저수지를 활용한 수상태양광은 기술적 잠재량 대비 보급 비율이 1.4%에 불과하여 향후 성장 가능성 또한 높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수상태양광발전사업이 신규 사업이라는 특성상 환경영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주민 의견수렴이 의무가 아닌 소규모환경영향평가를 통해 개별사업별로 협의되고 있기 때문에 환경성과 안전성이 검증된다 하더라도 단기간에 이해당사자 간의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수상태양광발전의 확대 전략은 전술한 문제점을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제도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개발가능 입지와 잠재 규모를 파악하여 보급 목표를 설정한 후, 우선순위에 따라 사업을 추진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nd data by analyzing the environmental status and capacity of a target area including neighboring region for the development project (or plan) based on spatial and temporal environmental changes, so that more objective and scientific environmental assessment can be conduct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analysis system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development project (or plan)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techniques and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data accumulated over the past 30 years. The government is pursuing an energy policy to increase the ratio of renewable energy to 20% by 2030.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announcement of the ‘New Renewable 3020 Implementation Plan’ to expand renewable energy, it is necessary to supply 53GW of new power generation facilities by 2030, the target year. In the third volum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nvironment assessment that has been conducted so far on the onshore wind power generation and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this study seeks to find ways for energy expansion to minimize the problems that can occur due to conflict of excellent renewable energy resource distribution area with nature conservation area. First, we analyzed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onshore wind power project based on 70 EIA data conducted from 2002 to 2017. Up to now,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total of 818 wind turbines are installed with a total capacity of 1,875㎿. Assuming 20% of the effective facility capacity, it is capable of generating about 40% of the capacity of 1,000㎿ nuclear power station. 54 out of 70 (77%) projects are located in mountainous areas. Considering the natural conditions requiring the wind speed more than average wind speed 6.4㎧, the potential for wind power is concentrated in the mountains where the potential of wind power is high. However, a considerable part of such potential areas for onshore wind power generation is overlapped with a first grade nature protected area adjacent to major mountain ridges as well. It will be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carefully check out the validity of the onshore wind power project in a systematic manner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value, economic efficiency and social acceptability. There can be various solutions that can coexist with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It will be the first step to monitor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to induce a possible stepwise increase of the preexisting power generation facility continuously. Second, technical, environmental, and social considerations related to location and size were derived based on 16 data for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rojects registered in EIASS by September 2017. We also estimated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or 3,397 agricultural reservoirs nationwide. Even if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atisfies the policy of expanding and distributing renewable energy and recognition of development merit, it should be possible to utilize or accept it in terms of technical,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aspects. Of the total 3,280㎿ of potential resources nationwide, the technical potential of available resources was estimated to be 2,438㎿ at 620 reservoirs. Assuming that the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s 30%, the actual generation amount can be estimated to be about 731㎿. Next, the environmental potential was calculated by extracting reservoirs that drought recurrence interval is complicated by a 5-year period and are not located in the first grad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rea. As a result, 262 reservoirs out of 620 reservoirs with a technical potential have a total environmental potential of 910㎿. Finally, the social potential is excluded from reservoirs that are considered to be of high value as rural amenity. Therefore, a total of 593㎿ potential was calculated from 199 reservoirs. This social potentiality estimation is an approach to consider difficult problems among the water-stakeholder using available data, but the deviation of the social potential can be relatively large because of different viewpoints.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can solve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of large-scale land-base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nd at the same time, it can utilize preexisting dams and reservoirs as resources. In addition, the growth potential of water using the agricultural reservoir as of 2017 is only 1.4% compared to the technical potential. However, due to the fact that the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roject is relatively in the beginning stage, there may be many uncertainties and risks in terms of environmental and social impacts. it is therefore not easy to draw social consensus among stakeholders in a short period of time even if environmental and safety are verified. Therefore, the expansion strategy of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hould seek ways to institutionally impro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mid- to long-term. At the same time, it is also possible to identify the development potential in location and size, set the distribution target, and then pursue the project according to the priority.

      • KCI등재

        태양광 발전시설의 입지현황 및 유형특성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거창군 태양광 발전시설 입지의 군집분석을 중심으로

        배주은(Bae, Jueun),김충호(Kim, Chung Ho)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물리적, 환경적, 사회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시설이 적절한 입지에 설치되어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경상남도 거창군 태양광 발전시설을 대상으로 입지 현황을 유형화하고, 입지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태양광 발전시설의 입지 유형별 관리 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태양광 발전시설의 입지 유형은 일사량, 경사도, 경사향, 주거지와의 거리, 도로와의 거리에 따라 5개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유형마다 고유한 특성이 있었다. 둘째, 거창군의 태양광 발전시설은 대부분 경사가 완만한 곳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상당 수의 시설이 도로와 주거지로부터 200m 이내에 분포하고 있었다. 농지 인근에 위치한 태양광 발전시설의 경우에는 농민들과의 갈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갈등 조정을 위한 체계 정립이 요구된다. 셋째, 전체 태양광 발전시설의 1/4가량이 산지 및 구릉에 위치하므로 홍수 및 산사태 등 자연재해에 대비할 수 있도록 상시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특히 산지 환경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유형에 대해서는 환경영향 평가기준에 따른 정기적인 평가가 요청된다. This study analyzed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hotovoltaic powerplants in Geochang-gun, and derived policy implications and management measures regarding location type, assessing whether they are installed in appropriate locations not causing physical, environmental, and social problems. As a result,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locations of photovoltaic powerplants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based on solar radiation, gradient, slope direction, distance from residence, and distance from road. Each type had its own characteristics. Second, most of the photovoltaic powerplants in Geochang-gun were concentrated in gentle slopes, and many of them were distributed within 200 meters from roads and residences. In the case of photovoltaic powerplants located near farml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o manage or mitigate issues as they could cause conflicts with farmers. Third, about a quarter of all photovoltaic powerplants are located in mountains or hills, so regular management is needed to prepare for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or landslides,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ts ow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tandards. Especially, it is required to regularly monitor the types that are thought to affect the environment of the mountainous area.

      • KCI등재

        수상태양광 발전시설 현황 및 주요 환경 쟁점 고찰

        안채민(Chae Min Ahn),주진철(Jin Chul Joo),김진호(Jin Ho Kim),최선화(Sun Hwa Choi),장진선(Jin Seon Jang),고현우(Hyeon Woo Go) 대한환경공학회 202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3 No.4

        목적 :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의 유형과 특징, 국내외 설치사례를 조사・분석하여,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의 발전용량과 수면 점유율을 비교하고, 수질 및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된 주요 환경 쟁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방법 : 국내외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에 대한 기존 문헌 및 수상태양광 설치 회사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데이터를 추출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및 토의 :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은 일반적으로 폰튠형, 프레임형, 태양 추적형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어 국가별・지역별로 다양하게 설치되고 있다. 2018년 하반기 기준 전 세계적으로 수상태양광 발전용량은 1.3 GWp로 중국, 일본, 한국, 대만, 영국 순서로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이 많이 설치되고 있으며, 한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에서는 폰튠형이 한국의 경우 프레임형이 주로 설치되었다. 수원의 활용구분에 따라 식수용 수자원은 낮은 발전용량과 수면점유율로 설치된 반면, 농업용 수자원은 다양한 발전용량과 수면 점유율로 설치되었다. 이외에도 산업용, 빗물저장, 기타 수자원에는 비교적 높은 발전용량과 수면 점유율로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설치에 따른 주요 환경 쟁점인 기자재 유해물질 용출, 정체구역 발생에 따른 수질변화, 수면 점유율에 따른 수질변화 및 수생생물 군집변화, 수온・조도 변화, 전자파로 인한 수생태계 교란 가능성에 관련된 기존 문헌 고찰결과,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이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며, 녹조저감과 수생태계 복원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가 수환경(수질・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극한 조건을 반영한 추가 실험, 수상태양광 수면 점유율, 배열 및 유형별 장기간 지속적인 수질・수생태계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s : After investigation of types, characteristics, and domestic and overseas installation cases of floating photovoltaic power plants (FPVs), both power generation capacity and coverage ratio of the FPVs were analyzed, and the major environmental issues impacting on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were reviewed. Methods : Both information and data of the FPVs extracted from existing literature and provided by the FPVs installation compani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and Discussion : FPVs divided into three types such as pontoon type, frame type, and solar tracking type are installed in various ways by country and region. As of the second half of 2018, the global power generation capacity of FPVs is 1.3 GWp, and FPVs have been intensively installed in China, Japan, Korea, Taiwan, and UK. While the pontoon type has been mainly installed in other countries except Korea, the frame type was mainly installed in Korea. Among various water resources, FPVs installed in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have various power generation capacity and coverage ratio whereas FPVs installed in industrial, rainwater storage, and other water resources have relatively high power generation capacity and coverage ratio. Compared to FPVs installed in other water resources, FPVs installed in drinking water resources have relatively low power generation capacity and coverage ratio. After reviewing the major environmental issues related to FPVs (i.e., leaching of hazardous substances,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changes in water temperature and illumination, and disturbance of aquatic ecosystem), the impacts of the FPVs on water environment are found to be insignificant, and the positive effects (i.e., mitigation of green tide and restoration of the aquatic ecosystem) are confirmed. Conclusions : Although the impacts of the FPVs on water environment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are found to be insignificant, additional experiments reflecting extreme conditions and long-term continuous monitoring of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in terms of coverage ratio, array and type of FPVs are required.

      • KCI등재

        섬지역의 태양광발전시설 보급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박성현(Park, Sung Hyun),이태겸(Lee, Tae Gyeom) 한국지적정보학회 2018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0 No.2

        섬지역은 비교우위의 경관자원과 고유한 역사문화, 생태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공간이다. 그러나 최근 섬에 태양광발전사업이 열풍으로 섬 고유의 가치가 상실될 위기에 처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섬지역 지자체의 태양광발전시설의 설치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한 후,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이기주의 민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행위허가 신청 시 주민설명회의 개최를 의무화하고, 태양광발전사업에 지역주민들의 참여로 지역사회와 함께 이익을 배분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둘째, 태양광발전사업 허가 시 개발행위부서와의 협의를 강화하고 개발행위허가 부서 인력을 보강해야 한다. 셋째, 도시·군계획위원회의 심의를 매월 정례화하고 개발행위허가 신청 시 심의를 강화하여야 한다. 이 심의과정에서 적극적으로 분과위원회를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넷째, 태양광발전시설의 이격거리 기준은 현행과 같이 지역실정에 맞게 지자체의 권한으로 설정하여야 하며, 섬지역은 내륙보다 엄격한 이격거리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섬의 가치 보존에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섬지역의 폐염전에 태양광발전시설을 설치할 경우에는 사전에 환경성 검토를 통하여 알맞은 부지를 선정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장기적으로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용도지구 지정과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개정을 통해 집단화 유도 전략을 고려하여야 한다. Islands possess a comparative advantage in landscape resources, distinctive history and culture, and ecological resources. However, islands are facing a crisis of losing their intrinsic value with the recent island frenzy ove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termine the curr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development permits based on the installation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mong local governments in island regions, and to present efficient operational measures. The operational measure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hort term, to resolve civil complaints of regional self-centeredness mandatory resident briefing sessions should be implemented when a development permit is applied for, and a structure of distributing profits with the community through resident participation i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econd, consultations should be strengthened with development departments when permission is granted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nd staff should be reinforced in development permit departments. Third, monthly deliberation of municipal/district planning committees should be regularized, and deliberations should be strengthened when applications are made for development permits.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that proactively utilize development subcommittees in these deliberation processes. Fourth, separation distance standards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with the authority of local governments in accordance with current regional circumstances, and for conservation value it is advisable for island regions to establish separation distance standards that are more stringent than inland areas. Lastly, when install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in disused salt pans in island regions, a process for selecting a suitable site through an environmental review beforehand is vital. In the long term an induction strategy for collectivization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the revision of special-use district designation and Act on the Promotion of the Development, Use, and Diffus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based on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 KCI등재

        단독주택용 태양광발전설비의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

        강석화,김재엽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ser requirements of photovoltaic generating facilities for detached houses. For the analysis, 202 households that installed photovoltaic generating facilities to conduct a survey. According to thesurvey results, users mainly demanded ‘Reduction in self-burden amount’ and ‘Maintenance Services.’ In addition, whenconducting ‘Education for photovoltaic generating facilities’, they highly wanted to participated in it. Results on theinstallation status of photovoltaic generating facilities are as follows: Of locations where photovoltaic generatingfacilities are installed, the most households installed them on the roof, 54%. As for the angle in which photovoltaicmodule is installed, the range of 25 〜35 ° was the most common and in the case of installation direction, southernexposure accounted for the rate of 93%. The monthly average generation of households surveyed is approximately320kWh. Research on technology and policy to address user requirements shown in this study is deemed necessary inthe future. 본 연구는 단독주택용 태양광발전설비의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태양광발전설비를 설치한 202가구를 방문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사용자들은 ‘자부담금액 축소’와 ‘유지관리서비스’를 주로 요구하였다. 또한 ‘태양광발전설비에 대한교육’을 실시할 경우 이에 참여하고 싶은 의사도 높게 나타났다. 태양광발전설비의 설치 실태를 파악한 결과는다음과 같았다. 태양광발전설비를 설치한 위치 중 옥상에 설치한 가구가 54%로 가장 많았다. 태양광 모듈이 설치된 각도는 25-35°의 범위가 가장 많았으며, 설치방향은 남향이 93%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조사된 가구의월평균 발전량 평균은 약 320kWh이다. 향후에는 본 연구에서 나타난 사용자 요구사항을 해결할 기술과 정책에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농촌 주거용 3kW급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경제성 평가에 관한 연구

        노상태,김재엽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5

        본 논문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농촌 주거지역을 위한 소규모 태양광발전설비에 대하여 그 보급현황 및 관련 기자재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현재가치법을 이용한 태양광발전설비의 투자비회수기간 등 경제성을 분석, 평가해보고자 한다. 소규모 태양광발전실비의 보급현황 조사를 위해 충청북도 C시 지역의 3kW급 소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사례와 보급현황을 파악하였고, 관련 산업 업체 문의와 견적요청을 통해 업체별 태양광 셀의 제품사양과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시의 비용구조를 파악하였다. 아울러 경제성 평가를 위해 일본의 JIS C 8907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량 추정 방법’을 이용하여 월별 예측 발전량을 산출하였다. 이 후 조사된 비용 구조에서 파악한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시스템의 초기투자비용과, C시의 가구당 평균 전기사용량 데이터, 예측된 발전량 값을 이용하여 산출한 전기요금을 바탕으로 현재가치법 분석을 통해 경제성 분석(투자비 회수기간 산출)을 실시하였다. Photovoltaic systems is a very useful renewable energy production system for rural housing because of its system simplicity. But many people of rural area hesitate impose photovoltaic system because photovoltaic system requires much initial money. In this paper, to verify accuracy of prediction algorithm, JIS 8907 for photovoltaic electricity generation, we collected electricity generation data of many rural housings, and compared actual generation data to predicted data from JIS 8907. Also we analyzed the economic feasibility of photovoltaic energy for small-scale solar power plants for rural residential areas, and payback period of solar power plants using departmentalized initial cost category such as panels, inverters, support fixtures, and installation labors, considering government subsidies. Payback period of investment of 3kW-class photovoltaic system in previous studies was more than 10 years. As a result of grasping the payback period of investment with present value method of this study was 7 years,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average house power consumption gives the greatest effect.

      • KCI등재

        독일 태양광 발전(Photovoltaics) 확대를 위한 발전차액지원제도와 제고요인에 관한 소고

        정혁 ( Jeong Hyuk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9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7 No.4

        독일 태양광 발전 분야의 발전차액지원제도는 시행 초기보다는 현재 지원비용이 점차적으로 축소되면서 기술개발비용, 한계비용, 그리고 규모경제의 시스템 설치비용 하락과 맞물려 독일 태양광 발전 확대를 이끌고 있다. 공공 재정지원 성격으로서 일자리 창출, 신재생에너지 기술발전, 에너지 공급 안정성,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에 향후에도 긍정적인 기여가 전망된다. 하지만 태양광 발전업체들의 기술발전에 대한 동기부여 저하, 중앙정부의 태양광 발전 전력 가격 제어 가능성 등 그 한계점들도 존재한다. 독일 태양광 발전 분야 발전차액지원제도의 효용성은 현재 증명되고 있는 만큼 태양광 발전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이와 함께 독일 태양광 발전 확대를 위해서는 주요 비중을 차지하는 분산전력 시스템들의 전력망으로의 병합 관련 제고요인들의 개선은 반드시 필요하다. 저압 전력망 병합, 태양광 발전 폐기물 처리, 발전 설치물 설치 위한 토지사용, 전력망 연계 규정 마련에 있어 작은 권한, 주 정부 별 다른 공간계획 관련 법 등의 제고요인들은 반드시 개선되어야 한다. 한국도 태양광 발전 분야 태양광 발전 개발 허가 및 사업인가에 관한 절차의 복잡성, 규제기관들의 분산, 그리고 태양광 발전 설치물 부지의 토지용도 별 주무기관의 상이성으로 태양광 발전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태양광 발전량이 많은 기업 소재 지자체정부의 권한 강화와 토지 재사용 및 공간계획에 관한 일관되고 포괄적인 기준을 적용할 수 있는 별개의 가이던스마련으로 태양광 발전 업자들의 시스템 설치 작업 수월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As feed-in tariff in Photovoltaics of Germany is getting reduced due to the reduced costs of development of technology, system marginal price and installation of the system, it is currently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Photovoltaics in Germany. With the nature of financial aid, it is foreseen to make positive contributions to employment, technology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energy security, reduction of GHG emissions henceforth. It is expected as well that Germany should see effective expansion of Photovoltaics if its feed in tariff continuously operates as it has, and it improves a handful of developmental considerations such as low voltage grid integration, treatment of used PV system installations, land use for installation of PV system, small administrative authority in grid related law making, and varied spatial planning related regulations different from state to stat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faced with challenges in expanding Photovoltaics, such as complexities in administrative procedures for permission for PV developers, dispersed regulatory bodies, and different competent authorities by land use to install PV system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take a step further to overcoming the challenges by strengthening authorities of local governments and setting up a comprehensive guideline regarding spatial planning for PV developers to accelerate the expansion of Photovoltaics in Korea.

      • KCI등재

        LiDAR 측량 기반의 지형자료와 기상 데이터 관측시스템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량 분석

        이근상,이종조 한국국토정보공사 2019 지적과 국토정보 Vol.49 No.1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tudy to predict the photovoltaic power by constructing the sensor based meteorological data observation system and the accurate terrain data obtained by using LiDAR surveying. The average sunshine hours in 2018 is 4.53 hours and the photovoltaic power is 2,305 MWh.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photovoltaic power on the installation angle of solar modules, we installed module installation angle at 10° intervals. As a result, the generation time was 4.24 hours at the module arrangement angle of 30°, and the daily power generation and the monthly power generation were the highest, 3.37 MWh and 102.47 MWh, respectively. Therefore, when the module arrangement angle is set to 30°, the gener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by about 4.8% compared with the module angle of 50°.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seasonal photovoltaic power by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solar module, it was found that the photovoltaic power was high in the range of 40°~50°, where the module angle was large from November to February when the weather was cold. From March to October, it was found that the photovoltaic power amount is 10°~30° with small module angle. 본 연구에서는 LiDAR 측량을 활용하여 취득한 정밀 지형자료와 센서 기반의 기상데이터 관측시스템을 구축하여 태양광 발전량을 예측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8년 평균 일조시간은 4.53 시간으로 나타났으며, 태양광 발전량은 2,305 MWh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태양광 모듈의 설치각도에 따른 태양광 발전량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모듈 설치각도를 10° 간격으로 배치한 결과, 모듈 배치 각도 30°에서 발전시간은 4.24 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일 발전량과 월 발전량이 각각 3.37 MWh와 102.47 MWh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모듈 배치 각도를 30°로 설계시 모듈 각도 50°에 비해 발전효율이 약 4.8%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각도에 따른 계절별 태양광 발전량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날씨가 차가운 11월~2월까지는 모듈 각도가 큰 40°~50°가 태양광 발전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날씨가 따뜻한 3월~10월까지는 모듈 각도가 작은 10°~30°가 태양광 발전량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태양광 발전 패널 각도 제어에 따른 발전량 변화

        한명희(Myung-Hee Han),우제택(Je-Teak Woo),이재환(Jae-Hwan Lee) 한국전자통신학회 2019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4 No.4

        본 논문은 태양광발전소의 최적 발전효율에 기여하는 패널 각도조절의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설비구성이 동일한 2개의 발전단지를 대상으로 1개소는 정해진 각도로 분기별 각도변화를 주었고 1개소는 그대로 유지하여 8개월 간의 총발전량을 비교하여 고정형 태양광발전소 발전량과 고정가변형 태양광발전소의 발전효율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고정형 태양광발전소와 고정가변형 태양광발전소의 발전량 차이를 분석하여 발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운영 방법을 제안한다.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gle control of the panel contributing to the optimum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solar power plant is investigated. For a total of eight months, one of the two plants with the same equipment configuration changed their angles every three months and the other plants did not change the angle. In this study, we propose a model that can maximiz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of power generation between stationary solar power station and stationary solar power station through sim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