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이돈」 관점에서 본 어린이의 죽음 개념

        정대련(Dae Ryun Chung),이현주(Hyun Joo Lee)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플라톤의 대화편 중 「파이돈」을 선정하여, 그에 나타난 죽음의 개념을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하여 어린이의 실제적 죽음 개념의 의미를 분석하고 있다. 나아가 「파이돈」의 관점에서 분석된 어린이의 죽음 개념을 현대 그림책에 제시된 죽음의 의미와 연계하여 재조명함으로써, 토론의 한 방법론으로서 철학적 대화법을 채택할 때 고전의 하나인 「파이돈」이 현대 어린이문학연구의 한 자료로서 역할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밝히고 있다. 죽음 개념과 영혼 불멸에 대해 어린이들과 토론한 결과, 현대를 사는 우리 어린이들은 죽음에 대하여 밝고 담담한 자세를 지니고 있으며, 영혼의 불멸을 전제로 환생과 사후 세계를 수용하고, 순종과 절제, 용기, 진리, 자유, 정의로운 삶에 대한 정향을 나타내고 있음이 확인된다. 어린이들의 이러한 죽음에 대한 이해는 「파이돈」에 제시된 죽음 개념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a death concept discussed in 「Phaidon」, and children`s re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In 「Phaidon」, Socrates discusses that "death concept" is related to 3 factors, such as purification of soul, immortality and cultivated life for immortal soul. Contemporarily, children think that death itself is not fearful and the world beyond death, in other words, Heaven or the Land of Happiness is calm, bright and full of pleasures. In fact, 「Phaidon」`s aspects and children`s thoughts of death are in the similar context. Picture books will help children to think by themselves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s and factors of death concept. Death concept contains some factors, i.e., universality, no-reversion, suspension of function, immortality, ascension, etc. Teachers and parents can apply good picture books and Socratic method - Questioning- to discuss other notions and problems about human life including death concept philosophically with children.

      • KCI등재

        양쟝(楊絳)의 《우리 세 사람(我們仨)》에 나타난 서사 전략

        裵淵姬 한국중국소설학회 2014 中國小說論叢 Vol.44 No.-

        2003년에 출간된 양쟝(楊絳)의 《우리 세 사람(我們仨)》은 딸과 남편을 차례로 떠나보낸 과정을 허구적으로 구성한 소설이면서 가족과의 추억을 회상한 산문이다. 연구자는 《우리 세 사람(我們仨)》의 창작배경, 작품에 나타난 죽음과 기억의 서사 전략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양쟝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의 《파이돈 (斐多)》번역 과정을 통해 죽음에 대한 성찰과 인식을 하게 된다. 이후 양쟝은 개인적 체험과 인식을 바탕으로 허구와 기억을 혼합한 《우리 세 사람(我們仨)》을 창작하였다. 작가는 이 작품에서 夢幻적 시공간, 기억의 재구성, 응축된 감정을 시각화하는 방식으로 독자들의 감성을 울리는 서사 전략을 보여주었다. Published in 2003, We Three by Yang Jiang is a novel that fictionally organizes a process of a lady sending her daughter and husband away one after the other and also a prose work of recalling her memories with the family. The investigator looked into the backgrounds of its creation and its narrative strategies of death and memory. Yang Jiang went through a process of introspection and perception of death while translating Phaidon by Plato, a Greek philosopher. After the job, she wrote We Three by combining fiction and memory based on her personal experiences and perceptions. In the work, she showed a narrative strategy to touch the readers through fantasy time and space, reorganization of memoir, and visualization of condensed emotions.

      • KCI등재

        플라톤의 『국가(政體)』와 『파이돈』에 나타난 죽음교육론적 시사점

        조상식(Cho, Sang-Sik),차미영(Cha, Mi-Yeong) 韓國敎育思想硏究會 2009 敎育思想硏究 Vol.23 No.3

        본 연구는 플라톤 저작에 나타난 소크라테스의 견해를 중심으로,죽음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고 죽음교육론의 가능성 및 그 시사점을 탐구한다.『국가(政體)』와 『파이돈』에서 소크라테스는 죽음을 육신과 영혼의 분리라고 정의한다.감각에 의해 인식되는 육신은 소멸하는 것이고 지성에 의해 인식되는 영혼은 불멸하는 것이라는 이분법적 가정이 여기에 있다.죽음교육론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는 소크라테스 철학의 관점을 인식과 존재의 문제로 구분하여 다루고자 한다.먼저 인식의 문제에서는 죽음에 대한 개인의 의견이 논박(대화법)을 통하여 감각적 지각의 결과임을 알아차리면서 무지에 대해 자각하게 되고,산파술을 통하여 지성에 의한 죽음의 이해에 도달하는 과정이 설명된다.다음으로 존재의 문제에서는 소크라테스의 신념인 영혼의 불멸 및 윤회와 사후세계에 대한 확신을 통하여 존재 지평의 확장이 가능함이 밝혀진다.결국 소크라테스의 인식과 존재의 분리는 망각하고 있는 앎을 상기하여 본성에 대한 회복의 가능성을 증명함으로써 통합된다.여기서 일상어를 철학적으로 규정하고 이성에 의한 진리를 고찰하는 소크라테스는 삶과 죽음의 순환적 성격을 가정함으로써 죽음교육의 불가피성을 보여준다.요컨대 죽음은 생활에서 발생하는 단순한 사건이 아니라 교육적 주제가 충분히 될 수 있다는 것이다.이렇듯 죽음에 대해 고유(告諭)하지 않는다면,죽음은 단지 현상적으로 나타나고 사라질 뿐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meanings of death and to investigate an possibility and implications for the death-educational theory.In『 Politeia』 and 『Phaidon』 which his student Plato wrote down,Socrates defines death as a seperation of the spirit from human body. Herein lies an dualistic assumption that its body perceived by senses becomes extinct and its spirit recognized by reason is immortal.In order to derive the death-educational implications from Socrates's ideas,this paper deals his philosophical perspectives from the standpoints of epistemology and ontology respectively.Firstly the problematic of cognition can be summarized that the phenomenon death as a subject of death-education through the ‘Socratic methode’is made clear from the darkness ofindividual ignorance. Secondly,the problematic of being show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of thought horizon through Socrates’s believes in immortality of the human spirit, in transmigration of souls(Sams?ra)and in the existence of the world after human death.Finally,the dualistic structure of cognition and being in the Socrates’s philosophy is integrated by verifying the possibilities that the lives of forget fulness is recalled and the human natural mind is recovered.Socrates’s reflection up on the philosophical definition of daily language and his search fortruth by means of reason dedicates that the problematic ofdeath proves the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The death is not a simple event which occurs in our usual circumstance,but can be come a subject of the educational ones.In short,if we do not dwell upon death seriously, this appears and disappears vainly in the phenomenal dimension.

      • KCI등재

        대화편 《피아돈》에 나타난 이데아의 전제(Hypothesis)의 의미

        김승욱(Seung-wook Kim)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6 가톨릭신학 Vol.8 No.-

        사람들은 흔히 플라톤과 그의 이데아론이 경험에 적대적이고, 인간과 세계, 정신과 육체, 사고와 실재의 통일성을 분열시킨다고 비판하였다. 뿐만 아니라 사람들은 그 때문에 플라톤 철학의 중심인 이데아론이 실제로 인식의 문제에 있어서는 그 중대성을 갖지 못한다고 생각했다. 특히 사회적ㆍ윤리적 영역에서 제거되는 인식 문제나 자아의 통일성, 인간의 동일성에 대한 인식론적 물음, 인간의 “세계 내 존재”에 대한 물음에서 이데아론은 이러한 본연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오히려 방해가 된다고 간주됐다. 그러나 플라톤이 왜 이데아들을 말하고자 했는지 암시해 주는 대화편을 살펴보면, 거기에는 실제로 자신의 활동영역을 순수 경험적인 것을 넘어서 오로지 공론(空論)의 사변(思辨)에로만 도약하려는 이성의 모습은 나타나지 않는다. 끊임없는 변화 안에 놓여 있는 감각적 세계에 대한 체념적 회피도 보이지 않는다. 대화편은 오히려 반대의 사실을 말해준다. 즉 이데아론의 기원(起源)은 경험세계의 사물들에 대한 앎(지식)을 해명하고, 그 앎을 보증하는데 있다.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생활현실을 모순 없이 해명하고자 하는 시도에 이데아론의 원천적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이데아들의 전제는 따라서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세계와 그 안의 사물들을 이성의 작용을 통하여 알기 위한 가능조건이지, 스스로를 감각경험으로부터 폐쇄하거나 신격화하는 인간이성의 탈선이 아니다. 또한 이데아론의 구상은 모든 의견들의 붕괴(eversio omnium opinionum)를 야기(惹起)하지도, 전제하지도 않는다. 건전한 인간오성의 정당한 권리는 여기서 부정되지 않으며, 세계에 대한 우리의 모든 언사들은 - 자신들의 정당한 정초요구(定礎要求)의 한계가 비판적으로 탐구됨으로써 - 새롭고 안정된 기초 위에 세워진다. Platon und seiner Ideenlehre wurden Empiriefeindlichkeit, die Spaltung der Einheit des Menschen und der Welt, Geist und Körper, Denken und Wirklichkeit vorgeworfen. Die Ideenlehre als das Zentrum seiner Philosophie habe keinerlei Relevanz in Bezug auf die Erkenntnisfragen: weder für solche aus dem gesellschaftlich-ethischen Bereich, noch für solche nach der Einheit des Ich, nach der Identität und Einheit des Menschen, nach unserem In-der-Welt-Sein usw. M.a.W.: die platonischen Ideen scheinen (wenn überhaupt) lediglich ein Ballast zu sein, der die philosophische Bewältigung der eigentlich dringlichen Probleme erschwert. Betrachtet man aber die Stelle, an der Platon andeutet, was ihn zur Annahme von Ideen bewogen habe, sieht man sich vor den Befund gestellt, dass hier keineswegs die Rede ist von einer sich in die lichten Höhen der Spekulation aufschwingenden Vernunft, die sich in ihrem Betätigungsfeld nicht auf das bloß Empirische einschränken lassen will, und auch nicht von einer resignierten Abwendung von der sich in permanentem Wandel befindlichen wahrnehmbaren Welt. Der Textbefund besagt vielmehr, dass die Ideenlehre ihren Ursprung in dem Versuch der Erschließung und Absicherung eines Wissens über die Dinge der empirischen Welt selbst und in dem Versuch einer widerspruchsfreien Erklärung der uns umgebenden Lebenswirklichkeit hat. Die Annahme von Ideen ist demnach die Bedingung der Möglichkeit dafür, etwas über die uns umgebende Umwelt und die Dinge in ihr wissen, d.h. durch Betätigung der Vernunft in Erfahrung bringen zu können. Anlass für diese Konzeption ist weder die Sehnsucht nach einer Insel der Seligen nich die Verirrungen einer sich selbst vergöttlichenden menschlichen Vernunft. Auch hat die Einführung der Idee keinen Umsturz aller Meinungen, keine eversio omnium opinionum zur Konsequenz oder Voraussetzung. Die Berechtigung des gesunden Menschenverstandes wird nicht generell bestritten, sondern die Aussagen, die wir zurecht von der Welt machen können, werden dadurch auf ein neues, sicheres Fundament gestellt, dass die Grenzen ihres berechtigten Begründungsanspruchs in kritischer Weise ermittelt werden.

      • KCI등재

        플라톤 대화편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역사성

        김진(Kim, Jin) 한국서양고전학회 2009 西洋古典學硏究 Vol.37 No.-

        플라톤의 대화편을 이해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요소 중 본 논문은 대화편에 등장하는 대화자나 참여자의 역사성을 논의한다. 플라톤의 대화편에 등장하는 인물 중 이름이나 아버지의 이름으로 지칭된 인물은 대략 81명인데 이 들은 모두 역사적 인물이다. 플라톤의 대화편을 사실과 거리가 있는 허구적인 작품으로 이해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등장인물의 역사성은 단순히 허구적으로만 취급될 수는 없다. 본 논문은 이러한 등장인물의 역사성이 허구적 창작물로서의 대화편 내에서 어떤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는지를 다루며, 특히 이러한 등장인물의 역사성이 대화편의 철학적 내용 이해에 어떤 방식으로 관여할 수 있는지를 다룬다. 우선 등장인물의 역사성을 대화편 이해에 적용하고 있는 몇 안되는 기존의 연구 중의 하나인 에버트의 『파이돈』이해를 살펴보고, 이를 범례로 삼아『파르메니데스』의 서두에 등장하는 케팔로스의 해설문을 분석한다. 이 도입부분은 『파르메니데스』에서 논의되는 소위 이데아론 비판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구체적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케팔로스-안티폰-피토도로스라는 다층적 해설 층위와 세 해설자 모두 비아테네권의 철학자 내지 철학에서의 문외한임을 제시하고, 대화편의 본론에서 이데아론에 대해 잘 알고 이를 비판하는 당사자가 소크라테스가 아닌 남부 이태리 출신의 파르메니데스임을 환기시켜, 『파르메니데스』에서 비판되는 이데아론이 그 당시 남부이태리에서 잘 알려져 있는 이론, 즉 피타고라스주의자들의 것임을 밝힌다. 『파르메니데스』편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역사성을 통해 이 대화편에서 논의되는 철학적 내용 이해를 위한 배경적 지식을 얻어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플라톤 대화편이 갖는 독특한 특징인 문학적이고 철학적인 면을 동시에 고려하는 해석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