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클라우드 서비스와 개인정보보호

        김기창(Kim, Keechang) 한국정보법학회 2012 정보법학 Vol.16 No.3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은 최종 이용자 뿐 아니라, 사업자들에게도 여러 장점들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더욱 많은 서비스들이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여 제공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최종 이용자나 사업자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종래 자신이 물리적으로 통제할 수 있던 저장 설비에 데이터가 저장되었던 것과는 달리, 이용자의 데이터가 사업자 자신의 클라우드 저장 설비 또는 그 사업자에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의 저장 설비에 보관되며, 물리적/지리적으로 어디에 위치한 데이터 센터에 해당 정보가 저장되는지는 기술적으로 무의미 해진다. 이 논문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두가지로 나누어 고찰한다. 최종 이용자들이 자신의 사적 데이터를 저장, 접근, 편집, 재생하는데 사용되는 ‘개인용 클라우드’와 사업자가 필요로 하는 전산 설비를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서비스 클라우드’가 그것이다. 개인용 클라우드의 경우, 클라우드 서비스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문제들은 별로 새로울 것이 없다는 점을 설명한다. 개인정보와 사적정보는 분명히 구분되는 개념이며, 최종 이용자가 클라우드에 보관하는 정보는 사적 정보일 뿐, 개인정 보는 아니다. 한편, 서비스 클라우드의 경우, 개인정보의 ‘국외 이전’이 문제될 수 있다. 본 논문은 개인정보의 ‘국외 제3자 제공’과 ‘국외 이전’을 구분하고자 한다. 개인정보의 ‘제3 자 제공’은 제공받는 자(국내의 제3자 이건, 국외의 제3자 이건)가 그 개인정보를 일정한 범위에서 ‘이용’할 수 있음을 전제로 하는 개념임에 반해, ‘국외 이전’은 제3자가 ‘이용’할 수 있는지 없는지와 무관하므로 국외 제3자 제공 뿐 아니라, 국외에 위치한 클라우드 저장 설비에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경우까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서비스 제공자가 국내 고객의 개인정보를 국외에 위치한 데이터 센터에 저장하게 될 경우, 국내 고객의 개인정보가 국외로 ‘이전’되는 것은 맞지만, 국외의 제3자에게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서비스 클라우드 제공자가 서비스 클라우드 이용자(서비스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자신의 전산 자원을 확보하고 자신의 최종 고객을 상대로 사업을 펴는 자)로부터 최종 이용자들의 개인정보 처리를 위탁받았다고 파악할 근거도 없다. 하지만, 클라우드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서비스 클라우드 제공자가 최종 이용자의 개인정보뿐 아니라 사적정보까지 사법 당국에 제출하게 될 ‘현실적’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므로, 개인의 자유와 사생활 보호를 위하여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Cloud computing technology offers many advantages for both end-users and service providers. It is expected that an increasing number of services would be using cloud computing technology. If end-users or service providers use cloud service, user data will be stored in data centres operated by cloud service providers. This is a significant chang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anner of storing one’s data on a device controlled by end-users or service providers themselves (rather than cloud service providers). The cloud computing makes geographical or physical location of the storage facilities technically irrelevant. This paper examines issues relating cloud computing by distinguishing ‘personal cloud’ and ‘service cloud’. Personal cloud is a service which enables end-users to store private data in the cloud storage and to access, retrieve, edit or play them. Service cloud enables service providers to obtain computing resources ‘as a service’ so that they can provide service to their customers using the computing resources which are extensible or scalable depending on the level of demand. In the case of personal cloud, the issues relating to protection of personal data are not different from conventional service models. Users’ private data must be distinguished from users’ personal data. ‘Private data’ would include all sorts of information (not necessarily personal data) which is under the user’s control. Personal cloud provider should not be required to sift through users’ ‘private data’ stored in the personal cloud to determine which of those data are ‘personal data’. The protection of ‘personal data’ would be applicable only to the ‘subscriber information’. Service cloud, on the other hand, poses complex issues relating to ‘overseas transfer’ of personal data. This paper proposes a distinction between ‘supplying personal data to a third party located overseas’ and ‘transfer of personal data overseas’. ‘Supplying personal data to a third party’ means that the recipient (whether located within the country or out of the country) is provided with the data so that it can use them for a given purpose. ‘Overseas transfer’ of personal data, on the other hand, means not only ‘supply of personal data to an overseas recipient’ but also storing personal data at overseas data centres operated by cloud service provider who has no right to ‘use’ such personal data. Where a service provider stores personal data of domestic users at overseas data centres operated by a cloud provider (such as Amazon), it is true that domestic users’ personal data are ‘transferred overseas’. But it is wrong to say that those data are ‘supplied to a third party’ as the cloud provider is not allowed to use such data. Nor is it possible to argue that the overseas cloud provider is ‘entrusted with the processing of personal data’ by the service cloud users (service providers who use service cloud to obtain computing resources to do their business vis-a-vis end-users).However, increasing popularity of cloud computing and storage of ‘private data’ in data centres operated by cloud providers would tend to increase the likelihood of ‘voluntary cooperation’ of cloud providers to the demand of law enforcement agencies even if the demand is not adequately supported by proper judicial mandate. A more careful study is needed to ensure more robust protection of individual’s freedom and privacy in connection with the use of cloud service.

      • KCI등재

        일반논문 : 택배사업자의 개인정보 취급특성에 따른 개인정보보호방안 연구

        윤주희 ( Ju Hee Yun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一鑑法學 Vol.0 No.28

        National Delivery Service Industry has grown explosively in 2000s. In the background of this growth, Electronic Commerce is the major source. In 2001s, market size of electronic commerce was 118trillion won, and it is grown to almost 1,000trillion in 2012. Delivery Service is a delivery which means that is used in various areas by changing the purchasing pattern of consumer not only in electronic commerce but also in general area. In case of delivery by a third party, there was a problem between electronic commerce company and comsumer when some conflicts were occurred regarding the delivery service. At that time, the focused matter was that whether delivery service company has responsibility or not. However the social interest of the issue that how can the personal data be protected when delivery service company is dealing, has increased in these days. First of all, for delivery of goods by delivery service company in the electronic commerce, the personal data of buyer is transferred from online company to delivery service company. In this process, the personal data is used to use over the purpose of delivery or could be disclosed.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find what is the scope of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duty of delivery service company during treating of personal information of buyer. Also, it is tried to make an improvements for protecting of personal information. Actually, in the article 25 of 줐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the delivery service that was requested from online company was defined as an Entrusted Handling of Personal Information. So online company has some duties such as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an entrusted handling of personal information. But because this article was intented every third party of an entrusted handling of personal information, it is not proper to apply to delivery service that has special area. That is, when delivery service is processed, the personal information is revealed in whole process. Therefore,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kept more carefully and especially encoded. In the same way, for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of the delivery service in an entrusted handling, the access authority should be departmentalized depending on authority, and prohibit to the use of station for other purpose. Lastly, the provisions applicable mutatis mutandis should be modified by fitting a delivery service.

      • KCI등재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장애인이 지각한 자기결정권, 활동보조인의 자질 및 역량, 서비스 질이 서비스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이채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2 재활복지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장애인이 지각한 자기결정, 활동보조인의 자질 및 역량, 서비스 질이 서비스 효과성에 미치는 요인을 탐색적으로 검증하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장애인들의 서비스 질을 높이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1년 4월부터 6월까지 약 2개월에 걸쳐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장애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장애인이 지각한 자기결정권, 활동보조인의 자질 및 역량, 서비스 질이 활동보조서비스를 받은 후 개인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변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 참여적 효과성에는 자기결정권, 활동보조인의 자질 및 역량에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장애인들이 활동보조서비스를 받은 후 어떤 일이나 상황에 대한 자신감이나 잠재능력 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애인들에게 활동보조서비스 선택에 대한 자기결정권을 많이 주고, 활동보조인의 자질 및 역량을 강화하며, 활동보조서비스의 질을 높여나가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quisitively verify the effect on a personal assistant's qualifications and capability, service quality, and self-determination perceived by the disabled using personal assistance service on service efficacy, and based on research data, to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in order to enhance the service quality of the disabled using personal assistance service. For this, we collected data from the disabled using personal assistance service from April to June, 2011 for around 2 months. As a result of an analysis, it was found that for the effect on a personal assistant's qualifications and capability, service quality, and self-determination perceived by the disabled using personal assistance service on individual efficacy after receiving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they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in all of the variables, and that for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self-determination, and personal assistants' qualifications and capabilities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it. Theses finding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give the disabled self-determination very much in selecting personal assistance service in order to enhance potential abilities or self-confidence etc. in something or certain circumstances after receiving personal assistance service, to strengthen personal assistants' qualifications and capabilities, and to improve quality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 KCI등재

        활동보조인의 보조공학 인식 및 관련 교육 실태

        한승호,정동훈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assistive technology and the actual condition of related training among personal assista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1 personal assistants who completed 60 hours of standard education on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The personal assistants reported having more than average level of awareness and using experience in only mobility devices. But they have very badly level of using experience in other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irst experience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was received from people with disability remarks 46personal assistants(45.5%). There were 73 personal assistants(72.3%) saying that assistive technology provides good supports to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rom now on 86(85.1%) personal assistants have intention of using assistive technology. In standard education for personal assistants, they received the assistive technology program during the course. The most of assistive technology education was focused in introduction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he finding indicated that personal assistants recognized how to provide certain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y. However, personal assistants is lacking in understanding on how to use and experience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in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there should be educ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for practical use and institutional provision is required. 본 연구는 활동보조인의 보조공학 인식 및 활용 정도를 알아보고, 활동보조인 기본교육에서 보조공학 관련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기본교육 60시간을 이수하고 활동보조서비스 경험이 있는 활동보조인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휠체어 같은 이동보조기기에 대한 인식과 사용경험은 높았으나 그 밖의 보조공학 기기에 대한 사용경험은 매우 낮았다. 73명(72.3%)이 보조공학 기기 사용이 활동보조서비스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고, 86명(85.1%)이 향후 보조공학 사용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조공학 기기를 처음 접하게 된 계기는 활동보조인 교육보다 대상 장애인을 통해서가 더 많았다. 그리고 활동보조인 기본교육에서 보조공학 관련 수업은 있지만 단순한 기기 소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보조공학서비스 정보제공에 대한 요구가 많았으며 전문 강사에 의한 실질적인 보조공학 활용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활동보조인 교육과정의 개선이 요구된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 공공후견지원사업의 방향성

        제철웅 국회입법조사처 2017 입법과 정책 Vol.9 No.1

        This paper defines the public guardianship service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rticle 9 of the Guarantee of the Rights of, and Assistance to,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t (so-called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ct) as a social service of the Basic Social Security Act. This paper also emphasizes that the public guardianship services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guardianship services provided for by both professionals and relatives, in that the public guardianship services are focused on the guarantee of the safe living in the communitie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e public guardianship services is to assist their decision makings in relation to medical treatments, care and daily living and occasionally to represent them in those decision makings. That being said, those decision makings can include the decision makings in relation to the management of their property for medical treatment, care and daily living, the nature of which is enduring or lasting. In the current guardianship system, the guardianship which is enduring or lasting is limited to full guardianship and limited guardianship, which incur huge social expenditure; moreover those two types of guardianship is likely to infringe the human rights of persons under guardianship. This paper therefore argues that the assistance of decision makings in relation to the management of the property should be replaced by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trusts as much as possible. The Article 19 of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t provides that the individual support plan shall be made to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which is to guarantee their safe living in the communities. The public guardianship services and trust services can be included in the individual support plan. Moreover, The Article 19 of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t provides that the advocacy agencies, The Assistance Centers for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all prevent and rescu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dangers. For that purpose, the public guardianship services and trust services can be exploited. That being said, whereas the public guardianship services shall be provided for in accordance with Article 9 of that Act,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t does not have any provision on the trust services. If both services are provided to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very environment for the safe living in the communities can be promoted. 2013년 9월 1일부터 시행된 발달장애인 공공후견사업은 후견인 후보자 교육・양성과 후견신청지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후 이 사업은 발달장애인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9조(성년후견제도이용지원)에 기반한 사업으로 발전되었다. 우리나라의 공공후견지원사업은 사회보장기본법상의 사회서비스라고 할 수 있는데, 일본도 우리나라와 같이사회서비스로 후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반해 독일은 후견제도운영 전반을 국가사업으로 위치 지운 후, 후견인 보수지원, 후견제도 이용홍보, 후견인 지원 등의 방법으로 국가가 재정지원을 하고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에서 공공후견서비스를사회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논문은 공공후견서비스를 여타의 사회서비스, 특히 신탁서비스와 권익옹호서비스와 적절히 연계해야 할 필요성을 제안하면서 공공후견서비스는 긴급한 사무의 처리, 발생한 위험의 제거, 장기적인 지역 안심 생활 보장을 위한 신탁의 개설 등의 목적으로 제한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개인정보 국외 이동의 개념에 관한 연구

        노현숙 ( Hyeon Sook Roh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고려법학 Vol.0 No.79

        클라우드 서비스는 이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의 컴퓨팅 자원을 언제 어디서든지 필요에 따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컴퓨팅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이다. 이용자가 필요한 때에 필요한 컴퓨팅 자원에 편리하게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분산화 및 가상화 기술은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에게 언제 어디서든지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핵심적 기술인 반면,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 또는 데이터센터에 저장된 개인정보가 국외로 이동하게 하는 주요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분산화 및 가상화 기술에 의하여 클라우스 서비스 데이터센터에 저장된 데이터는 여러 국가에 위치한 데이터센터에 저장되기도 하고 실시간에 걸쳐 여러 데이터센터로 이동하기도 하는 등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센터에 저장된 개인정보 등의 데이터는 국경을 초월하여 이동한다. 개인정보가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된 개인정보에 다른 국가의 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기존의 국가에서 보호되는 수준만큼 개인정보가 보호되지 못하기도 하므로 개인정보가 국경을 초월하여 이동하는 문제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한 중요한 법적 문제의 하나이다. 개인정보의 보호와 관련한 주요한 국내법인 개인정보 보호법과 정보통신망법은 개인정보의 국외 이동과 관련한 동의 규정을 두고 있으나, 국외 이동의 명확한 의미와 범위 등이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법적용상의 문제가 있다고 본다. 클라우드 서비스에서의 개인정보 국외 이동에 개인정보 보호법 및 정보통신망법 등의 적용범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 국외 이동을 가리키는 ‘국외 제공’과 ‘국외 이전’의 의미가 정의될 필요가 있다. 국외의 제3자에게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와 국외의 제3자가 국내에 저장된 개인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상황이거나 접근하는 경우는 ‘국외 제공’으로 정의하고, 개인정보가 단순히 국외의 서버나 데이터센터에 이동되는 경우와 국외로부터 제3자가 아닌 동일주체가 국내에 저장된 개인정보에 접근하는 경우는 ‘국외 이전’으로 정의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본다. Cloud computing can be defined as a new computing paradigm which gives users ubiquitous access to computing resources, such as networks, servers, storage and applications through the Internet, without their purchasing and managing their individual resources. That is, cloud computing lets users enjoy the immediate and convenient cloud service according to their needs without their having to own computing resources. However, the definition neither has a consensus nor is confirmed. A cloud service functions on the basis of critical cloud computing`s technologies such as virtu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While virtu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allow the cloud service to supply an ubiquitous, low cost, and stable service, uploaded data in the cloud service may be stored in the cloud service provider`s datacenters abroad and move from one datacenter to another. With various data, personal data are also transferred abroad and, therefore, personal data transferred abroad may not be protected or be infringed because countries have various laws regarding personal data. The issue of transferring personal data beyond borders is one of the critical issues in cloud services, as the user`s personal data cannot help but move from a datacenter in this country to another datacenter in that in the event a user uses the cloud service. Korea has some laws regarding personal data, notably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However, the two laws do not have any clear definitions of transferring personal data abroad. To appropriately apply the two laws to transferring the personal data abroad in the process of cloud service provision, the definition of transferring personal data abroad should be stated clearly, distinguishing transfers of personal data to third parties and just movements of such data.

      • KCI등재

        「정보통신망법」 상 개인영상정보 처리 특례규정 도입에 대한 검토

        김현경,김선아,김수영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가천법학 Vol.11 No.1

        The development of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such as CCTV, drones and wearable devices has created a new industry area and provides convenient and useful services in various areas such as security and attendance management. However, concerns about serious privacy violation are also raised due to the unauthorized disclosure or leakage of personal image information. In order to alleviate these concerns, the government is trying to legislate the "Personal Image Information Protection Act". However, the bill is aimed at disciplining personal image information processors that have substantial control over the processing of personal image information, such as by taking personal image information directly. Therefore, this measure is difficult to apply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who only mediate personal image information. Thus, this bill does not apply to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s providers that only mediate personal image information. However,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spreading personal image information, difficulty in restoration of infringement, and direct or indirect commercial acquisition through the distribution of personal image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pecial rules on personal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to be obeyed whe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mediates the personal image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methods of the subject. However, in establishing such a system, it should be ensured that there is no excessive restriction on the 'freedom of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a plan should be prepared so that it can be harmonized with the 'privacy' of the subject. The proposed scheme is as follows. First,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hould provide certain guidelines to prevent the user who processes personal image information from infringing the right of personal image information subject when using the service. This is a way to protect the privacy of the personal image information subject without being subject to a significant violation of the freedom of business because the government gives autonomy to write the guidelines according to the service contents. Next, considering the propagation and speed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services, a quick remedy for the leakage of personal image information is need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formation service provider should take certain measures such as deletion when the information subject requests deletion of personal image information. 드론이나 웨어러블 기기 등 영상정보처리기기의 발달은 신산업 영역을 창출하였고, 방범·치안·근태관리 등 다양한 영역에서 편리하고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주체의 원치 않는 개인영상정보 유ㆍ노출 등으로 인해 심각한 사생활 침해의 우려 또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정부는 「개인영상정보 보호법 제정법률(안)」을 마련하여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 법안은 직접 개인영상정보를 촬영하는 등 개인영상정보의 처리에 관한 실질적 통제력을 가지는 개인영상정보처리자를 규율대상으로 하므로, 개인영상정보를 매개만 하는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에게 적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그리하여 본 법안은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매개유형의 개인영상정보 처리에 대한 적용제외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통신망에서 개인영상정보의 확산가능성과 침해회복의 어려움, 개인영상정보의 유통을 통한 직·간접적인 영리취득 등을 고려할 때,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개인영상정보 처리에 관한 특칙의 마련이 필요하다. 즉 개인영상정보의 수집・이용의 요건과 절차, 적절한 관리를 위한 기준 등을 제시함으로써 이용자의 신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개인정보 처리에 관하여 규율하고 있는 「정보통신망법」에 개인영상정보를 매개하는 경우 준수해야할 역할과 책무 그리고 개인영상정보 주체의 보호방안 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함에 있어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영업의 자유’에 과도한 제한이 되지 않도록 정보주체의‘사생활권’과 적절히 조화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한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로 하여금 개인영상정보를 처리하는 이용자가 당해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개인영상정보주체의 권익을 침해하지 않도록 일정한 지침을 제공하고 준수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정부가 이러한 지침의 내용을 강제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내용에 맞게 지침을 작성할 수 있도록 자율을 부여하므로 영업의 자유에 대한 중요한 침해에 해당되지 않으면서 개인영상정보주체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이다. 다음으로 정보통신서비스의 전파성, 신속성 등에 비추어 볼 때 영상정보주체의 원치 않는 개인영상정보의 유출에 대한 신속한 권리구제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개인영상정보에 대하여 정보주체의 삭제 등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일정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절차를 마련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인물정보서비스의 법적 쟁점과 사회적 의미

        황창근,배영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홍익법학 Vol.23 No.1

        People Finding Service refers to a service that satisfies the user's right to know aboutthe person and provides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carer of major persons byocupation for the purpose of servicing relationships betwen people. The form can beclasif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subject of operation, but today,the representative person information service operated by portal sites as part of thesearch service is representative. The person subject to the People Finding Service isselected based on the person's aplication or disclosed personal information. In terms ofprocesing personal information, the People Finding Service is debating how to find thebasis for permision unde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other legalisues such as the Copyright Act and Defamation Act arise. The isue under the PersonalInformation Protection Act is whether it is permited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bycolecting public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media reports or homepages without theperson's aplication, and if so, where to find the basis. This service is no longerproviding information on important people such as public figures, but is developing intoa national information service for general profesionals. Therefore, more careful atentionis neded to ensure that it does not violate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the Defamation Act. In the long term, it is time to carefuly consider expanding theservice so that the target person can satisfy users' search neds for virtual people fromliving people. 인물정보서비스는 이용자의 인물에 대한 알 권리를 충족하고,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서비스 목적으로 직업별 주요 인물의 학력, 경력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운영 목적과 주체에 따라 형태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지만, 오늘날에는 포털사이트가 검색서비스의 일환으로 운영하는 인물정보서비스가 대표적이다. 인물정보서비스의 대상 인물은 당사자의 신청 또는 공개된 개인정보를 대상으로 선정된다. 이 서비스는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점에서 개인정보 보호법상 허용 근거, 정보주체의 자기결정권 보장, 사업자의 책임문제등의 법적 문제가 있다. 개인정보 보호법상 주된 쟁점은 본인의 신청 없이 언론보도 또는 홈페이지 등 공개된개인정보를 수집하여 인물정보를 서비스하는 경우 그 허용 근거를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지의 문제이다. 로앤비 사건에서 홈페이지에 개인정보를 공개한 경우에는 수집․이용에 동의를 한 것으로 보고 위법하지 않다고 보았으나, 만일 이러한 공개조차 없었다면 이를 허용할 것인지는 어려운 문제이다. 인물정보서비스의 검색기능이나 언론보도로 인한 공적 인물의 성격을 종합하면 인물정보서비스라는 정당한 이익을 위한 것으로 그 정당화의 근거를찾는 것도 가능하다. 인물정보서비스는 역사적으로 공인 등 중요한 인물에 대한 정보제공에서 시작하였지만,오늘날 검색서비스의 일환으로 인물정보의 범위가 확대되고 그 등재기준이 낮아지는 경향으로 변화되고 있다. 더 이상 공인 등 중요인물에 대한 정보제공이 아니라 일반 직업인을대상으로 한 국민정보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개인정보의 보호 및 이용에있어 위법하지 않는지 좀 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향후 발전방향으로는 정보주체의 정보자기결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고, 장기적으로는 대상 인물을 생존 인물에서 가상인물에 대한 이용자의 검색욕구까지 충족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확대하는 것을 신중하게 고려할 때가 되었다. 오늘날 인물정보서비스는 온라인 공간의 신뢰 나아가 사회적 신뢰의 제고에 기여하고,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정보서비스로 사회 구성원들의 편익 증진과 사회적비용의 감소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 KCI등재

        What are the Individual`s Real Cares to Switch Personal Cloud Services?

        ( Wei Yi Luo ),( Young Chan Lee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14 情報시스템硏究 Vol.23 No.2

        As the fast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abundant attractive alternatives have showed up and challenged to the traditional information technology (IT). Cloud services, the hottest representative among these alternatives, has attracted the attention from all walks of life.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cloud services,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the important factors affected on individual`s switching intention from incumbent IT to cloud services mainly based on two-factor theory (switching enablers and switching inhibitors) and explore the direct influences of these factors on individual`s switching intention. According to our findings, individual`s switching intention to cloud services is not only positively influenced by switching enablers but also negatively influenced by switching inhibitors. All the switching enablers in this study (perceived omnipresence, perceived collaboration support and perceived compatibility of cloud services) have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s on individual`s switching intention as well as the switching inhibitors (usage habit of incumbent IT and perceived risk of cloud services) have negatively significant influences on individual`s switching intention. It`s noteworthy that satisfaction of incumbent IT has insignificant influence on individual`s switching intention in this study. Moreover, as we expected, both social influence and personal innovativeness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generation of individual`s switching intention.

      • KCI등재

        인적용역 과세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유지선,정지선 한국회계정보학회 2016 회계정보연구 Vol.34 No.3

        Personal service income has unique traits distinguished from other types of income. Because current Korean income tax law does not properly consider these traits of personal service income, personal service income earners are faced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inequality in terms of tax burde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blems of taxation on personal service income and provides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current income tax system. First, unlike tax law of other countries like the U.S., the U.K and Australia, the Korean tax law allows relatively higher necessary expenses for other income. Personal service income earners may attempt to reduce taxes by classifying their income as ‘other income’ rather than ‘business income’. In this regard, current regulation of allowing eighty percent of total amount of other income as necessary expenses should be either restricted to a lower extent or replaced with a fixed amount special deduction. Second, current regulations for calculating taxable income and deductions do not consider the unique traits of personal service income. Therefore, personal service income earners generally pay more taxes compared to taxpayers with other types of income. We find that certain countries allow taxpayers to report their income on an average basis, to deduct expenses incurred before personal service income is generated, and to deduct home office expenses that are partially incurred for business purpose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personal service income earners facing with a higher tax rate due to their income being generated over a short window of time, (i) compulsory establishment of so-called ‘loan out companies’ for high income earners or (ii) regulation allowing taxpayers to report their income on an average basis should be introduced. Regarding the problem of personal service income earners incurring non-deductible personal expenses, any service-related expenses incurred before the generation of relevant income should be recognized as ‘organizational expenses’ and deducted from the income through appreciation. In addition, the income tax law should specify the deduction of home office expenses and provide the examples of home office expense items as well as methods of calculating eligible home office expenses. 본 연구는 소득세법이 인적용역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함으로 인해 인적용역 소득자의 수평적, 수직적 조세형평이 침해되는 문제를 살펴보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국내에서 발생하는 인적용역소득의 문제는 전세계에서 공통적으로 발생 가능한 문제이므로 외국의 입법례 검토를 통해 대응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첫째, 우리나라의 현행 소득세법은 인적용역소득을 사업소득과 기타소득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양자간 세부담 격차가 커 조세회피 유인이 발생한다. 외국의 입법례 검토 결과, 미국, 영국, 일본 등의 주요국은 소득구분에 따른 세부담 차이가 없거나, 세부담의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우리나라보다 그 격차가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세부담의 격차가 발생하는 이유는 기타소득의 획일적인 필요경비 공제에 있으므로 우리나라도 기타소득의 필요경비 공제율을 80%보다 낮은 수준으로 조정하거나, 정액의 특별공제만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필요경비 규정을 개편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둘째, 우리나라의 현행 소득세법은 인적용역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필요경비 공제방법 및 소득계산 방법으로 인해 인적용역 사업자의 세부담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일부 국가는 특정 인적용역소득을 평생소득의 개념으로 접근하여 일정 기간의 평균 소득을 과세소득으로 신고하는 방법을 허용하고 있고, 과거에 발생한 비용도 소득에서 공제해주고 있으며, 가사경비와 혼재된 사업관련 필요경비의 소득공제를 명시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인적용역소득의 과세 시 평생소득의 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구체적으로 고소득 인적용역 제공자에 대한 1인 법인의 설립을 의무화하거나 일정기간의 평균 소득을 과세소득으로 신고하는 제도를 통해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과거 일정기간 내에 발생한 비용 중 소득 창출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비용은 증빙을 갖추는 경우에 한해 창업비로 계상하고 일정기간에 걸쳐 정액상각을 허용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소득세법상 사업관련 가사경비의 공제를 명시적으로 허용하고, 시행령 또는 집행기준 등에 구체적인 경비항목 및 안분기준의 예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