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요인 개수 결정을 위한 평행분석의 정확성 평가

        임상돈,장승민 한국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6 No.4

        Parallel analysis is a method of estimating the number of factors by comparing the eigenvalues ​​of sample data with the eigenvalues ​​of random data. This method is considered to be theoretically more valid and empirically more accurate in estimating the number of factors than other methods, such as Kaiser method and scree test, that estimate the number of factors based on the eigenvalues. However, several criticisms have been raised about the validity of the rationale for parallel analysis and various modifications have been proposed. There have also been concerns about the conditions under which parallel analysis shows relatively low accuracy.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ationale and limitations of the use of eigenvalues ​​and parallel analysis to estimate the number of factors, and based on this, we specified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accuracy of parallel analysis may be low. We also examined, through a simulation,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that may affect the accuracy of parallel analysis and confirmed the conditions where cautions are needed when applying paralle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show that the accuracy of estimating the number of factors in the parallel analysis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size of factor correlations, the magnitude of factor loadings, the number of factors, and the number of variables per factor. In addition, we confirmed that the accuracy of the parallel analysis is significantly lower when a factor model includes a weak factor with low factor loadings. Overall, the accuracy of the parallel analysis for the reduced correlation matrix (PA-PAF) was higher than the parallel analysis for the correlation matrix (PA-PCA), which in particular, PA-PAF showed high accuracy when factor correlations were high, and PA-PCA showed high accuracy when factor correlations were low.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analyses, we proposed sample sizes required for parallel analysis to provide accuracy of 90% or higher under conditions with different levels of factor correlation, factor loading, and the number of factors. 평행분석은 표본 자료의 고윳값과 무선 자료의 고윳값을 비교하여 요인의 개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고윳값에 근거하여 요인의 개수를 추정하는 다른 절차들(카이저 방법, 스크리 검사)보다 이론적으로 더 타당한 근거를 갖고 있고 경험적으로도 요인의 개수를 더 정확히 추정하는 것으로 평가 받는다. 그러나 평행분석의 이론적 근거의 타당성에 대해서도 여러 비판이 제기되어 왔고 이에 따른 다양한 수정 절차들도 제안되었다. 또한 평행분석이 상대적으로 낮은 정확성을 나타내는 조건들에 대한 우려도 있어 왔다. 본 연구는 고윳값과 평행분석이 요인의 개수를 추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한계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평행분석의 정확성이 낮게 나타날 수 있는 조건들을 구체화하였다. 또한 모의실험을 통해 평행분석의 정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의 효과를 검토하고 평행분석의 사용에 주의를 요하는 조건들을 확인하였다. 모의실험의 결과는 평행분석의 요인수 추정 정확률이 요인상관의 크기, 요인부하량의 크기, 요인의 개수, 요인당 변수의 개수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으며 정확률이 낮은 조건에서 표본크기의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보였다. 또한 요인부하량이 낮은 변수들로 구성된 약한 요인이 포함된 경우 요인수 추정의 정확률이 크게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상관행렬에 대한 평행분석(PA-PCA)보다 축소상관행렬에 대한 평행분석(PA-PAF)의 정확률이 높았으며 특히 요인상관이 높은 경우에는 PA-PAF가, 요인상관이 낮은 경우에는 PA-PCA가 높은 정확률을 보이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모의실험의 결과를 기초로 요인상관의 크기, 요인부하량의 크기, 요인의 개수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다양한 조건에서 평행분석이 90% 이상의 정확률을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표본크기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현대시에 나타난 병렬과 병행 -리듬 충동을 중심으로-

        권혁웅 ( Hyuck Woong Kwo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5

        텍스트를 이루는 여러 요소들이 동등하게 배열된 것, 즉 평행성(parallelism)은 시에 새로운 의미론적 요소를 도입하는 독특한 장치다. 이 논문은 구문 차원의 반복을 넘어선 곳에서도 발견되는 평행성에 관한 연구다. 이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시행의 내부에서 관찰되는 횡적인 평행성을 ‘병렬(竝列, 나란히 벌여 섬)’이라 부르고, 시행과 시행 사이에서 관찰되는 종적인 평행성을 ‘병행(竝行, 나란히 함께 감)’이라 부를 것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에서 분석한 병렬의 예는「나룻배와 행인」(한용운), 「별」(이병기)이며, 병행의 예는 「봄은 고양이로다」(이장희), 「사슴」(노천명)이다. 또한 병렬과 병행이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의미론적 지평을 열어 보인 예로 「생명의 서」(유치환), 「서시」(윤동주), 「꽃을 위한 서시」(김춘수)을 분석하였다. 시는 전언으로 간추려지지 않거나, 번역 작업으로 옮겨지지 않는 어떤 잉여나 과잉의 요소를 품고 있다. 이것은 소통의 장애물이 아니라 시 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풍요로운 의미의 메커니즘이다. 병렬과 병행은 구문의 차원에서 출현하는 리듬의 한 요소로서, 시를 종횡으로 엮어가는 의미+소리 혹은 의미=소리의 결과물이다. 병렬과 병행은 소리와 의미를 통합하면서 리듬을 시 전체에 걸쳐 산포한다. 이로써 시의 독자적인 형성 원리가, 현대시를 읽는 풍요로운 독법이, 현대시에 내재된 수많은 의미의 갈래가, 현대시를 구성하는 다양한 리듬의 차원이 해명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arallelism, the equal arrangement of various components of a text, is a unique device that introduces semantic factors into poetry. This study focuses on parallelism existing beyond repeated construction. The term “concurrency(/horizontal parallelism)” is used for parallelism observed within a verse, while “vertical parallelism” refers to vertical occurrences of parallelism between verses. As examples of concurrency, this study selected “The Ferry Boat” and “The” by Yongun Han and “Star” by Byeonggi Lee. For parallelism, the poems analyzed were “Spring is a Cat” by Janghi Lee and “Deer” by Cheonmyeong Noh. The poems that opened a new semantic horizon by combining concurrency and parallelism were “The Chapter of Life” by Chihwan Yu, “Prelude” by Dongju Yun, and “Prelude for a Flower” by Chunsu. Poetry contains elements that cannot be summarized or translated into another language. This is not a problem of communication, but rather is due to the mechanism of rich semantics. Concurrency and parallelism are components of rhythm, and also the product of meaning+sound or meaning=sound. They integrate sound and meaning to distribute rhythm across the entire poem. This study seeks to bring new meaning to the principles behind the formation of poetry, the reading and interpretation of modern poetry, and the various rhythms that constitute modern poetry.

      • KCI등재

        초등학교 수학에서 평행과 평행선 정의에 관한 고찰 - ‘한 직선에 수직인 두 직선’을 중심으로 -

        조영미,유현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5 No.1

        이 논문에서는 초등수학에서 평행의 정의에 등장하는 ‘한 직선에 수직인 두 직 선’이라는 문구에 주목하고 그것이 어떤 쓰임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우 리나라 중학교 교과서와 초등학교 교과서를 대비하여 초등의 특징을 찾고, 일본과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는 그 특징이 나타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어 제1차부터 현재까지 초등수학 교과서에서 평행과 평행선이 어떻게 정의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 각 교과서에서 ‘한 직선에 수직인 두 직선’이 어떤 쓰임을 가졌는지를 조사하였다. ‘한 직선에 수직인 두 직선’은, 평행선 여부 판정하기, 평행선 긋기, 평행선 사이의 거리 구하기, 사각형에서 평행 여부 판단하기, 평행사 변형 그리기 등 모두 다섯 가지 쓰임이 있다. 5차와 6차에는 이 다섯 가지 쓰임이 모두 교과서에 드러나 있는 반면에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상당히 축소된 것으 로 나타났다. 교사나 교과서 저자들이‘한 직선에 수직인 두 직선’이라는 아이디 어가 평행 지도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인식하고 더 나아가 교과용 도서에 이 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 판단할 때 이 논문이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we wanted to find out why the idea of 'two straight lines perpendicular to one line' is contained in the parallel definition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o this end, we examined how parallel and parallel lines have been defined in the primary math textbooks presented from the first to the present, and what use 'two straight lines perpendicular to one line' in each textbook was. The "two straight lines perpendicular to one straight line" had five uses. While all five were shown in textbooks in the fifth and sixth round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howed a sharp reduc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the mathematics education community needs to recognize what the idea of "two straight lines perpendicular to one line" means in parallel lines and reflect them in textbooks.

      • KCI등재

        초등학교 수학에서 수직과 평행의 지도 방안 탐색

        김정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3 No.4

        수학의 기본 개념인 수직과 평행은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 이전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 비하여 축소되어 제시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에서 수직과 평행 개념의 지도 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한국의 2009 개정 및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그에 따른 교과서에서 수직과 평행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고, 한국과 싱가포르, 일본 교과서에서 수직과 평행 개념의 지도 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4학년 2학기 4. 사각형 단원에서 다루어지는 수직과 평행 수업을 재구성하여 실행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로 변화할 때 단원명 및 차시 구성의 차이가 있었으며, 한국과 싱가포르, 일본 교과서는 수직과 평행의 개념 정의 및 활동 내용에서 차이를 드러냈다. 수업의 계획 및 실행에서는 수직과 평행 개념의 의미를 이해하고, 수선 및 평행선 긋는 방법을 탐색하며, 실생활과의 연관성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초등학교 수학에서 수직과 평행을 의미 있게 지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erpendicularity and parallelity are important concepts in Mathematics as well as real-life contexts. However, those concepts are rather reduced in 2015 revised curriculum compared to previous 2009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firstly analyzed teaching method related to perpendicularity and parallelity in a series of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Singapore and Japan. Moreover, the unit of perpendicularity and parallel was redesigned in a way to understand the concepts meaningfully and to giv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xplore how to make perpendicular and parallel lines. The results showed that noticeable changes has been as the curriculum was revised in Korea. Also, three countries showed some differences in concepts definition and learning activ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how to teach perpendicularity and parallelity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KCI등재

        中國 陝西省 北朝造像에 관한 硏究 -영평년간永平年間 도교상과 평행선平行線 문양을 중심으로-

        서남영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 Vol.- No.34

        In this paper the interpretation of the Taoist image of the Yeongpyeong year (永平年間, 508-511 AD) in the Eisei Bunko Museum of Japan as a 'transitional Taoist image' and the parallel lines pattern unique to the Shǎnxī (陝西) region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which was called the ‘FùXiàn 鄜縣 style’) were examined. I examined the transmission process and icon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Taoist image during the Yeongpyeong year through the recently discovered text “Zozoshokakuki(造像所獲記)” and data from the 1900s. The range and origin of the parallel lines pattern, which is commonly found in statues, were also examined. Through a review of the monolithic, four-sided, and grottoes that contain the parallel lines pattern - which has been mentioned as the representative style of statues in the Shǎnxī region -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intensive use of this style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500-520 AD) particularly in Líntóng(臨潼), YàoXiàn(耀縣), and Fùpíng(富平) of the greater Shǎnxī region. However, the use of the parallel lines pattern was not confirmed until the end of the 5th century; its appearance increased from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In addition, the way the parallel lines pattern was used changed periodically. Initially the parallel lines were expressed in small areas of the artwork, but by around 510 AD, the pattern was seen throughout the entire piece. From only being used to describe the texture of clothing, the parallel lines pattern grew in popularity and was later observed in the representations of other objects including the sun and the moon, dragons, and lions. Therefore it is more appropriate to call the parallel lines pattern ‘the style around the Xi'an(西安)’ as opposed to the ‘FùXiàn(鄜縣) style’. Also the parallel lines pattern that was popular on Taoist and Buddhist images made in and around Xi'an region in the early 6th century could be found in the sculptural expressions of the stone reliefs from the Han Dynasty. This pattern, which was observed in the traditional iconography favored by the Han Chinese, is believed to have regained popularity in the early 6th century. In this way, it can be seen that the Han Dynasty stone reliefs had a multifaceted influence on sculptures (such as the Taoist and Buddhist images) made in the suburbs of the Xi'an region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Therefore, the inspection of the Taoist images of the Yeongpyeong year revealed that the parallel lines pattern was a unique and traditional technique needed to shape the Taoist image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in and near the Xi'an region. 본고에서는 일본의 에이세이永青 문고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영평년간永平年間(508~511년) 도교상에 관한 ‘과도기적 도교상’으로서의 해석과 기존의 ‘부현鄜縣양식’이라고 불렸던 6세기전반섬서지역 특유의 평행선 문양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필자는 신 자료인 “조상소획기造像所獲記”와1900년대 초기 자료를 통해 영평년간 도교상의 전래 경위와 도상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본상과더불어 6세기전반 섬서지역 조각상에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평행선平行線 문양이 유행한 범위와유래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특히 섬서지역 조각상의 대표적인 양식으로 언급되어 온 평행선 문양이 확인되는 단독상과 사면상, 석굴의 검토를 통해서 섬서지역 중에서도 임동臨潼과 요현耀縣, 부평富平을 중심으로 하는서안과 그 부근 지역권에서 확인된다는 점과 시기적으로는 6세기 전반(500~520년)에 집중적으로제작된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서안과 그 부근에서는 5세기말까지는 평행선이 확인되지 않다가6세기 초부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기별로 처음에는 부분적으로 평행선이 표현되다가 510년경에 이르면 착의 전체에 흐르는 것처럼 묘사되고, 최종적으로는 본존이나 협시, 천인상의 옷 주름을 표현하는 착의에만 한정적으로 쓰인 것이 아니라 일월, 용, 사자 등의 표면을 장식하는 하나의 문양으로 크게 유행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평행선 문양에 관해서는 기존의‘부현鄜縣양식’이라는 용어보다는 ‘서안주변 양식’으로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또한 6세기 초에 서안과 근교에서 제작된 도교상과 불상에 유행한 평행선 문양의 유래에 관해서는, 한대 화상석에서 확인되는 석조의 조각 표현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한민족이애호했던 전통적인 도상이 증가하는 경향에 관해서도 화상석에서 표현된 주요 소재가 6세기 전반에 다시 유행한 것으로 추정했다. 이와 같이 한대의 화상석은 6세기전반 서안 근교에서 제작된도교상과 불상 등의 조각에 다각적으로 영향을 끼친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요인으로는 서안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의 복고주의적인 제작 경향이 반영된 현상으로 해석했다. 따라서 6세기전반 서안을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평행선 문양은 도교상이 중국에서 최초로 형상화 될 때 필요했던 전통성과독자성에 부합하는 전통적인 제작기법으로, 이러한 초기의 현상을 바로 영평년간 도교상을 통해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독일의 사회통합 담론 : 평행사회의 ‘허상’

        김형민(Hyeong Min KIM) 통합유럽연구회 2022 통합유럽연구 Vol.13 No.1

        ‘평행사회’는 유럽의 선진 다문화사회에서 이주자의 사회통합이 사회문화적·사회정치적 담론의 주제로 거론될 때마다 또는 이주자의 ‘실패한 사회통합’이 사회문화적·사회정치적 문제로 불거질 때마다 마치 단골처럼 등장하는 개념이다. 부정적 이미지로서의 평행사회가 한 사회문화적 공동체 안에서 실제로 존재한다면, 그 책임 소재는 과연 누구에게 있을까? 평행사회는 이주집단(또는 이주 배경을 지닌 집단)에게 이주사회로의 통합 의지가 결핍되거나 부족해서 생겨나는것 일까? 평행사회는 이주자에 대한 주류사회 구성원의 반감, 차별, 배제, 거부로 인해 이주집단(또는 이주 배경을 지닌 집단)이 자신들만의 생활 공간으로 숨는 것 이외에 선택의 여지가 없어 주류집단과의 사회문화적 공간을 차단하고 격리함으로써 생겨나는 것일까? 독일사회에서, 더 나아가 유럽의 선진 다문화사회에서 벌어졌던 그리고 벌어지고 있는 사회통합에 대한 사회정치적 담론들의 대부분은 다문화주의의 실패와 사회통합의 실패가 주류집단의 책임이 아니라, 평행사회를 구축한 이주집단(또는 이주 배경을 지닌 집단)의 책임이라는 결론으로 귀결된다. 그런데 다음 견해에 주목해 보자. ‘일반적으로 다문화사회에서는 다수자를 향한 소수자의 문제가 아니라, 소수자를 향한 다수자의 문제가 항상 있을 뿐이다.’ 이주자가 아니라 주류집단 구성원에게 사회통합의 의지가 결핍되거나 부족해서, 그리고 주류집단 구성원이 이주자에게 적대적·차별적·배타적·거부적 태도를 취해서 사회통합이 제대로 도달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는 과연 없을까? 그렇다면 독일사회를 포함한 유럽의 선진 다문화사회에서 평행사회는 한낱 ‘허상’에 불과할 뿐이다. ‘Parallel society’ is a concept that appears like a regular whenever the social integration of migrants is discussed as a topic of sociocultural and -political arguments in advanced multicultural societies in Europe or whenever the ‘failed social integration’ of migrants happens as a sociocultural and -political issue. If a parallel society in a negative image actually exists within a sociocultural community, who is responsible for it? Does a parallel society emerge because the migrant group (or the group with migrant background) lacks or is deficient in the will to integrate into a migrant society? Is a parallel society created by blocking and isolating the sociocultural spaces from mainstream group because the migrant group (or the group with migrant background) has no choice but to hide themselves under their own living space due to the antipathy, discrimination, exclusion, or rejection of the mainstream society toward migrants? Most of the sociopolitical arguments over social integration in the European advanced multicultural society including German society result in the conclusion of ‘having double standards’ or ‘Naeronambul (i.e. it’s a romance if I love someone, but it’s an affair if others do)’ that the failure of multiculturalism and social integration is not the responsibility of the mainstream group, but that of the migration group (or the group with migration background). Let’s pay attention to the following saying, Generally speaking, there is always a problem of the majority towards the minority in a multicultural society, not the problem of the minority towards the majority. Wouldn’t it be possible to think that social integration is not properly reached because members of the mainstream group, not migrants, lack or are deficient in the will of social integration, and that members of the mainstream group take hostile, discriminatory, exclusive, and rejective attitudes toward migrants? If so, in the European advanced multicultural society, including German society, parallel society is only an ‘illusion’.

      • KCI등재

        창세기에 나타난 야누스 평행대구의 문학적 역동성과 한글 번역

        유윤종(Yoon Jong Yoo)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8 Canon&Culture Vol.12 No.2

        이 글은 창세기 6:3; 15:1; 49:26에 나타난 야누스 평행대구의 작용원리와 문학적 역동성 및 한글 번역 문제를 다룬다. 야누스 평행대구는 3행으로 된 시에서 가운데 행의 한 단어가 이중의미를 지니며 앞뒤와 연결된 문학적 복합체이다. 따라서 야누스 평행대구는 다양한 문학적 역동성을 일으키며 전하고자 하는 신학적 메시지를 확대, 보충,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창세기 6:3은 가운데 행의 בשפם이 이중의미를 지닌다. ‘때문에’와 ‘그들의 범죄로 인하여’이다. ‘때문에’라는 의미는 1-2절의 결론으로 기능하며, ‘그들의 범죄로 인하여’는 4-5절의 이유로 나온다. 여호와의 말씀이므로 더 신비롭고 복잡하다. 그러므로 서술자는 독자들에게 더 깊은 지혜와 높은 관심을 요구한다. 야누스 평행대구의 모호함을 독자들로 하여금 신비감을 느끼게 해 집중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이중의 의미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고도의 문학적 위트를 제공한다. 아울러 이중의 의미는 상호보완적으로 기능하여 신학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오해의 여지를 상쇄시켜준다. 창세기 15:1에서는 מגן이 ‘방패’와 ‘선물’이라는 이중의미를 지닌다. ‘방패’는 이전 행의 ‘두려워말라’와 연결되며, ‘선물’은 이후 행의 ‘보상’과 관련된다. 15:1에서의 ‘방패/베푸는 자’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합하여 서로 보충해주며 아브람에 대한 하나님의 풍성하고 완전한 보호자 및 베푸는 자의 역할로 향하고 있다. 49:26에서는 חודי צד가 이중의미를 지닌다. 첫째는 ‘나의 조상들’이며, 둘째는 ‘산들’이다. 첫 번째 의미는 이전 행의 ‘나의 아버지’와 연결되며, 두 번째 의미는 이후 행의 ‘언덕들’과 관련된다. 두 의미가 합하여 전해주는 의미는 각각의 의미로 기능했을 때보다 요셉에 대한 축복을 훨씬 풍부하게 전달해준다. 위의 예루살렘 탈굼의 해석에서 보듯 두 의미가 상호 보충하며 풍성한 축복의 이미지를 배가시켜준다. 아울러 저자는 이 글에서 번역에 있어서 야누스 평행대구를 본문 내에 담는 방법이나 각주로 처리하는 방법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Pierson School of Theology, Pyeongtaek University) Since Gordon discovered so-called ‘janus paraellism’ in Song of Songs 2:12, many scholars have expanded the lists of janus parallelism in the poetic texts of the Old Testament as well as in the ancient Near Eastern literature. This study pursues to demonstrate how the janus parallelism works, its literary dynamics, and the issue of its translation attested in the book of Genesis into Korean. The three examples (6:3; 15:1b; 49:26a) for the analysis of janus parallelism are chosen from the book of Genesis. In 6:3 the first word בשפם in the middle line has double meanings. First it denotes ‘in that, inasmuch as’ which is similar to באשד(Gen 39:9, 23). The meaning functions as a conclusion of the preceding line. Second, it has meaning of ‘by their erring’ from another Hebrew root šgg. The meaning explains the reason for the following line. In 15:1b, the second word מגן in the middle line has double meanings. First, it denotes ‘a shield’ derived from root gnn ‘cover, surround, protect.’ It is connected with the preceding line ‘Do not fear.’ Second, it has meaning of ‘delivering’ derived from root mgn ‘give.’ It is related closely with the following line ‘your reward.’ In 49:26a, the third word חודי צד in the middle line has two meanings. First, it denotes ‘my old ancestors’ or ‘my old forefathers’ derived from hrh ‘conceive.’ It is connected with ‘your father’ in the preceding line. Second, it means ‘old mountains’ derived from root hr ‘mountain’ which is related with ‘old hills’ in the following line. In each literary context, literary dynamics are working with sophisticated literary connection. It is required crucially for a translator to deliver the polysemic meanings of the text into the Korean Version of the Bible. The author suggests two ways of delivering the word having double meanings of the janus parallelism. First, a translator puts one meaning in the text, the other meaning in the footnote. Second, a translator puts two meanings in the text. The author expects that the polysemic meaning of the poetic texts in the Old Testament would be reflected in the next Korean Version.

      • KCI등재후보

        엑스선용 평행빔 광학소자 개발 및 평가

        박병훈(Byunghun Park),조형욱(Hyungwook Cho),천권수(Kwonsu Chon) 한국방사선학회 201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6 No.6

        엑스선 회절분석기는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시료의 정보를 정성 및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엑스선 회절분석기에는 다양한 광학소자가 사용된다. 평행빔 광학소자는 광축에 평행한 빔을 통과시키고 발산하는 빔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와이어 컷 제작과 스테인리스 스틸 평판을 연마하여 평행빔 광학소자를 제작하였고 엑스선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그 평행도를 평가하였다. 설계된 6 mrad과 매우 가까운 6.6 mrad의 평행도를 갖는 평행빔 광학소자를 제작하였다. 엑스선 영상을 이용하면 개개의 평판의 평행도를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광학소자 평가에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n X-ray diffractometer which has various X-ray optics can giv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formation for a sample using a nondestructive analysis method. A parallel beam optic passes the parallel beam and removes divergent beam generated from an X-ray tube. The parallel beam optic used in the X-ray diffractometer was fabricated by wire cut and grading of stainless steel plates and was evaluated its performance using an X-ray imaging system. The measured parallelization of 6.6 mrad for the fabricated the parallel beam optic was a very close to the expected value of 6 mrad. An X-ray imaging technique for evaluating the parallel beam optics can estimate parallelization for each plate and can be used to other X-ray optics.

      • KCI등재

        후기모더니즘 평행투상 건축드로잉에 드러나는 주관성 발현 연구

        박미영 ( Park Mi Young ),안성모 ( Ahn Seong M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일반적인 평행투상 건축드로잉이 공간의 객관적 형태 재현을 위해 사용되는 것과 달리 후기모더니즘 작가들에 의해 주관적 사고를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됨에 주목한 것을 배경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은 후기모더니즘의 평행투상 건축드로잉이 공간을 재현하는데 객관적인 형태를 표현하는 것에서 나아가 주관적인 개념을 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예술적 가치를 가진 표현방식으로 확장된 잠재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평행투상으로 재현된 드로잉의 특성과 맥락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대적 흐름에 따른 통시적 변화양상과 사회문화에 따른 공시적 배경을 회화작품 및 건축드로잉을 통해 분석하였다. 세상을 평면에 재현하는 것은 사회적 차원에서 영향을 받아왔으며, 다시점을 갖고 객관적인 형태와 수치를 표현하는 재현 방법인 평행투상법은 포스트모더니즘 이전에는 절대적 가치가 인간에 우선하는 시대의 드로잉에 적용되었다. 영원과 신, 이상적인 건축 등의 절대적인 가치를 드러내기 위해 절대적인 규범을 따라 공간을 평면상에 재현했으며, 재현된 공간에 표현되는 사건과 시간은 고정되어있는 시간이다. 후기모더니즘 건축가들은 건축을 재현하는 것에 대한 절대적인 방법이 없다고 생각했으며, 개개인의 관점과 실험들을 평행투상 드로잉을 통해서 재현하였다. 후기모더니즘 건축가인 피터 아이젠만, 베르나르 츄미, 존 헤이덕의 평행투상 드로잉을 분석했을 때, 기존의 평행투상 건축드로잉들의 공간의 사건과 시간이 고정되어있는 것과는 달리 각각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형되는 공간, 사건의 전개를 통해 시간성이 개입된 공간, 관찰자와의 조우 방식과 질서로부터 자유롭게 흐르는 시간에 따라 인지가 바뀌는 공간이라는 특징들이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객관적인 형태를 표현하는 평행투상 건축드로잉은 시공간적 확장가능성을 통해 주관적 예술성이 발현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ttention to postmodernism``s architectural drawing with parallel projection used as exposing of subjective thinking, unlike general architectural drawing with parallel projection used as representing objective form of the spa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revealing that architectural drawing using parallel projection of postmodernism has expanded potential as representation method with artistic values by notating objective form of the space and further reveal subjectivity ideas. To grasp the characteristic and context of the drawing represented by parallel projection, the study analyzed diachronic aspects of transition following the flows of times and synchronic background following the social culture through art paintings and architectural drawings. Representing the world on the plane has been influenced by societal dimensions. Parallel projection is the method representing the objective form and figure with multi-viewpoint. And parallel projection was applied to the drawings of premodern eras when the absolute norm had priority over human. The drawing reconstruct the space on the plane following absolute norm to reveal the absolute values such as eternity, god or ideal concept of architecture. Events and times expressed in represented space are both fixed in time. Architect of postmodernism thought there is no absolute method to represent architecture, and they reconstructed their own ideas and experiments through parallel projection drawings. When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parallel projection drawing by Peter Eisenman, Bernard Tschumi and John Hejduk, the analyzed characteristics were ``transforming space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the space intervened by time through incident development`` and ‘the space to chang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meeting way of the observer and the free-flowing time from the order``. Through these characteristics,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allel projection drawing have manifestation of subjective artistic value by space-time extensibility.

      • KCI등재

        The Effects of Different Parallelism Assumptions on the Estimates of Classification Consistency Using IRT and non-IRT Approaches

        김희연(StellaYun Kim),이규민(Guemin Lee),강상진(Sang-Jin K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3 교육평가연구 Vol.26 No.2

        준거참조 검사의 신뢰도로 일컬어지는 분류일치도를 추정함에 있어 한 번의 시험 시행 결과를 활용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어왔다. 이 방법들은 분류일치도 추정시 단 한번의 검사 점수만을 활용하기 때문에, 각각의 방법들이 검사 형에 대하여 어떠한 동형성 가정을 갖는지 명세화 할 필요가 있다. Lee, Brennan와 Kolen(2000)은 IRT와 non-IRT 접근간에 검사의 동형성 가정이 다르다는 점을 지적한다. 구체적으로, IRT 접근은 검사 형이 엄격한 평행 검사라고 가정하는 반면, non-IRT 접근의 이항분포 모형의 경우, 검사 형이 임의 평행 검사임을 가정한다. 이 연구는 IRT와 non-IRT 접근의 다른 동형성 가정이 분류 일치도 추정치에 미치는 영향을 모의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동형성 가정의 차이가 분류일치도 추정치에 미치는 영향정도가 꽤 크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검사 길이가 길어질수록 분류일치도 추정치의 안정성은 증가하였으며 추정방법의 정확도 또한 증가하였다. 검사 점수 능력 분포 또한 분할 점수 근처의 점수 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는 점에서 분할 점수의 위치와 상호작용하면서 분류일치도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형성 가정을 달리하는 두 접근에 의해 산출된 분류일치도 지수는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추정 방법을 선택할 때에는 이를 반영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A number of procedures have been reported for estimating classification consistency based on the results of a single administration (Huynh, 1976; Lee, Brennan, and Wan, 2009; Lee, 2010). Because when estimating classification consistency, those procedures employ the results of only one test administration, it is necessary to specify which parallelism assumption on a test should be made. Lee, Brennan and Kolen (2000) pointed out that the assumptions about error are different between IRT and non-IRT approaches in that test forms are considered to be strictly parallel in IRT approaches, whereas they are said to be randomly parallel in non-IRT approache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parallelism assumptions (randomly parallel vs. strictly parallel test forms) under IRT and non-IRT approaches on classification consistency estimates. In generating two different levels of parallelism of tests, three simulation conditions were considered; test length, ability distribution, and cut score position on the scale. We found that different parallelism assumptions of tes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classification consistency estimates. As expected, the test length had profound effects on estimates of the classification consistency with different levels of parallelism. The effects of ability score distribution on estimates of classification consistency were different due to cut score positions, which showed some extent of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bility score distribution and cut score pos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