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료 패키지의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탄산음료 패키지 디자인을 중심으로-

        김보영 ( Bo Young Kim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0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25 No.-

        In the modern society a spectrum of design is very broad, and design become an essential part of human life. As time goes by, customers` shopping habits are changed into considering not only goods` quality but their brand power. These change arises from development in overall manufacutral technology. In consequence, qualitative differances compared with competitors` goods are decreased, so improvement of products` brand image is more important for increasing their competitiveness. Not only goods them self but also their package take an amount of part in forming brand image. These alterations in a market condition and customer`s shopping attitude have large influence on packaging design. In the past, packaging acted as a packing material aiding goods to be transported and kept. But, these days, packaging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ield of maketing to promote sales at a display stand. So Packaging design is a cost-effective method to achieve competitiveness. In this study, we research literatures about the functional role of beverage packaging design, based on packaging design`s theoretical background. And we investigate the changes of beverage packaging design from various classic containers that carrying drink, to modern beverage packaging. Also we review several domestic beverage packaging designs. We suggest seven strategic elements that are essential to beverage packaging design, and we predict future ideal packaging design by analyzing the long-lived carbonated drinks packaging.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pointing out problems of nowdays beverage packaging design and expecting future drink packaging design`s developmental direction.

      • KCI등재

        중국 어린이들의 기호에 따른 간식 포장 디자인개발

        모남악 ( Mou Nan-yue ),정원준 ( Chung Wonj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7 No.-

        With the development demand of socio-cultural level and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object recognition ability, the design of customized snack product packaging that conforms to children's aesthetic aesthetic has been paid more and more attention. Children's snack products packaging design awards in recent years in the relevant design competition has been increasing, which shows that the packaging design for children is developing rapidly. This paper clarified the design flaws of existing products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existing children's snack consumption market and identified the design composition and basic requirements of children's snack packaging through various literature analysis. After analyzing the design composition of the children's snack packaging design work awarded in the Pentawards packaging design contest, the packaging design elements tailored to children's tastes were summarized in four aspects: packaging structure design, illustration design, color design, and font design.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analysis, case analysis, and survey, package design elements with < Super Kids > as font motifs and anthropomorphic animal images as illustration motifs were designed and developed, and these elements were applied to three types of children's snack packaging to provide reference materials on snack packaging design tailored to children's tastes.

      • KCI등재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의 상호작용 특성 연구

        송채원(Song, Chae Won)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4 조형미디어학 Vol.27 No.3

        과거의 수동적인 패키지디자인에 첨단 스마트 기술을 융합한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은 소비자와의 긴밀한 상호작용이 가능해 브랜드(혹은 제품)와 소비자의 관계 구축에 매우 중요한 매체로 활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의 연구와 활용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의 개념을 고찰하고, 유형에 따른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발전 가능성을 탐구하여 국내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문헌 자료를 개념적, 해석적 방법으로 연구하여 혼재해 있는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의 범주를 재정립하였으며, 유형별 현황 분석을 위해 2021년 이후 해외의 패키지 관련 기사 혹은 전문지에 노출된 사례 중에서 Smart, Active, Intelligent, Connected의 중심어를 포함한 대상을 선정해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의 많은 역할 중에서 상호작용 특성은 패키지디자인의 혁신적인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견한다.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의 상호작용은 브랜드와 소비자 모두에게 호혜적인 목적을 채워줄 수 있다. 소비자는 원하는 브랜드(혹은 제품)를 최적의 상태로 만날 수 있고, 디지털 기술을 연결하여 흥미롭고, 새로운 브랜드 경험을 한다. 브랜드는 소비자의 상황과 특성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적재 적시에 구사할 수 있고, 대상 소비자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활용할 수 있어 브랜드 충성도를 끌어낼 수 있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의 필요성과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의 상용화까지는 차치하더라도 기술에 관한 관련 법령조차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 같은 현실은 미국이나 호주, 일본 등과는 달리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이 널리 보급되는 것을 막고, 스마트 기술에 대한 연구나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의지를 저해하였다. 이에 국내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의 필요성과 발전 가능성을 타진하는 본 연구를 기반으로 적극적인 변화가 있기를 기대한다. In the past, smart package design, which combines advanced smart technology with passive package design, can be used as a very important medium for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brands and consumers as it can interact closely with consumers, but research and utilization of smart package design are insufficient in Ko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smart package design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smart package design and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according to type,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smart package design by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To this end, I would like to study and consider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data conceptually and interpretively. The communication status of smart package design was analyzed by type and the interaction experience of smart package design was described. Research shows that among the many roles of smart package design, the interaction characteristics are expected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package design. The interaction of smart package design can satisfy a mutually beneficial purpose for both brands and consumers. Despite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such smart package design, there are no technology-related laws other than commercialization of smart package design in Korea.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ctive changes based on this study, which examines the necessity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domestic smart package design.

      • KCI등재

        A Study on Chinese Consumer Preference for the Tea Packaging Design –Focusing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hina, Korea, and Japan Tea Packaging Designs

        왕가려,장경풍 국제차문화학회 2024 차문화ㆍ산업학 Vol.63 No.-

        Tea packaging reflect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untries from all the following aspects: design concept, color, pattern elements, layout, and choice of materials. This study aims to propose means of improving Chinese tea packaging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formation processes of the tea culture concepts of Korea, China, and Japan. The study is based on comparative research and analysis of tea packaging in the three countries influenced by tea culture. The audience perspective was adopted to select three well-known tea brands in Korea, China, and Japan for comparative analysis. We combin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o compare tea culture elements, color elements, patterns, fonts, and image layouts of the visual language symbols. A total of 556 reliable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the 600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varied age groups in China, and SPSS statistical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which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colors and picture layouts of Korean tea packaging are more popular than those of China and Japan. Second, the pattern designs of Chinese tea packaging are more popular than those of Korea and Japan. Third, the font designs of the Japanese tea packaging are more popular than those of China and Korea. Fourth, the intention to buy tea is more predominant in Korea than in China and Japa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ea cultures and tea packaging designs are related to each other, and the visual language symbols of tea packaging design absorb the relevant tea culture heritage. It is also hoped that the visual language symbols of the tea packaging designs of the three countries can learn from each other through the present study and new and innovative ideas can emerge in tea packaging designs in tandem with the domestic tea culture inheritance. The comparison and discussion of the differences, problems, supplementary scheme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Chinese tea packaging design enabled us to posit modern and systematic fundamental information about Chinese tea packaging.

      • KCI등재후보

        지속 가능한 꽃바구니 디자인 패키징에 관한 연구

        안혜경,김흥렬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0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3 No.-

        Since sustainable packaging of flower basket designs that are sold from florist shops is needed for both the seller and the buyer, studying of second packaging of flower basket design has begun. In this study, based on the survey that has been done in 2019, and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that has been done in 2020, the suggestion of sustainable packaging development is the purpose. The definition of flower basket design was done and surveys of the status of domestic flower basket designs’ second packaging were done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basket which is an object, transportation, and characteristic of a florist shop. For sustainable packaging, based on physical theory, second packaging which depends on the packaging that includes design factor, transportation final destination has to be different.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as sustainable packaging are the quality of opaque paper, the necessity of first packaging, packaging structure that can fix an object, the form of second packaging influenced by types of transportation. Suggestions for packaging development included new materials for first packaging, eco-friendly objects that can be recycled and reused, structural packaging design, standardization and variability of packaging, protection of floristry which is the fundamental purpose of packaging, and brand advertisement effec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urther designs of packaging will be commercialized.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serving the opportunity of new packaging design for futuristic floristry that fit for unmanned system and studying of categories of products. 플로리스트 샵에서 판매되는 꽃바구니 디자인의 지속가능한 패키징은판매자와 구매자의 관점에서 필요하였으며 이에 꽃바구니 디자인의 2차패키징을 연구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9년 실시한 설문조사와 2020년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꽃바구니 디자인 패키징개발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꽃바구니 디자인의 개념을 정의하고 오브제인 바구니 유형, 운송수단과 플로리스트 샵 특성 등에따른 국내의 꽃바구니 디자인 2차 패키징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지속가능한 패키징을 위해서는 물리적 이론 토대 위에 디자인 요소를 포함한패키징과 운반수단과 최종착지에 따른 2차 패키징이 달라져야 했다. 지속가능한 패키징으로 고려되어야 할 점은 불투명 종이의 재질, 1차 패키징 필요성, 오브제를 고정할 수 있는 패키징 구조와 운송수단에 따른 2 차 패키징의 형태였다. 패키징 개발을 위한 방향제안은 1차 패키징의 신소재, 재활용/재사용이 가능한 친환경의 오브제, 구조적 패키징 디자인, 패키징의 규격화와 가변성 있는 패키징과 패키징의 근본적 목적인 꽃상품 보호와 브랜드 광고효과까지를 포함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패키징 디자인을 상품화하고 무인 시스템에 맞는 미래형 화예디자인의 새로운 패키징 디자인과 물류 유형을연구할 계기가 된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소비자 인식변화에 따른 축산가공품 포장디자인 개선 연구

        김곡미 ( Kim Gok Mi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2 No.-

        In recent years, as customer demands have diversified and markets have been subdivided, differentiation of quality, function, and price can not secure competitiveness. Development of livestock products such as ham and sausage, which sell livestock products by diversification of dietary pattern due to changes in consumer trends, changes in lifestyle patterns, increase in households. In particular, packaging design considering freshness and safety of products is playing a very important role due to the importation of overseas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due to the liberalization of the domestic marke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ckage design of domestic and imported livestock products, we found out that the method of packaging design is insufficient in terms of structure, form, visual and information transfer. Livestock products were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freshness, suitability of packaging material and package design of livestock products, and to discuss the current progress and shortcomings of current design and improved design evaluation of packaging design. I want to proce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fferentiation factors and methodological aspects of packaging design that can be perceived as a food package for consumers after categorizing the cases of product design of livestock products into design evaluation scale, originality, functionality, economics and aesthetics. Since livestock processed products are low-involvement products that consumers make purchasing decisions unlike other products, it is considered that the role of packaging design is more important. In order to take an advantage in the global market, fresh packaging materials and consumer's packaging designs are proposed This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 KCI등재

        중국 녹차 포장디자인에 일러스트 이미지를 적용한 효과에 관한 연구

        천위위,김제중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3

        오늘날 시대의 변화 및 소비자의 생활수준 향상은 미적 요소에 관한 관심 및 욕구의 증가로 이어졌고, 과거와 달리 제품을 구매하는데 포장디자인에 관한 관심 및 시각적 표현이 강조되고 있다. 이제는 품질 및 디자인을 통해 객관적인 차별요인을 찾기 어려운 시장 환경이 형성되었고, 소비자의 제품에 관한 태도가 중요 요인이 되었다. 본 연구는 차(茶) 시장에서 가장 많은 판매 비중을 차지하는 녹차 포장디자인에 중국을 대표하는 일러스트를 적용하는 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고 소비자 대상의 포장디자인 인식 조사를 통해 일러스트 이미지 적용 기준 및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세계 시장에서 중국의 이미지를 대표함과 동시에 차별성을 가진 녹차 포장디자인의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 녹차를 구매할 때 브랜드를 중시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포장디자인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고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들은 중국 전통성이 내포된 일러스트 이미지를 사용한 녹차 포장디자인을 선택하였고 중국의 전통이미지, 녹차(茶) 제품과의 이미지 적합성, 이미지의 고급감, 로고타입(타이포그래피)의 가독성, 녹차(茶) 구매의향 요소, 구매 시 가격의 적정성 등 모든 요소에서 중국의 전통성을 가미한 일러스트 이미지가 삽입된 포장디자인에 대한 인식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시각적 요소는 중국 산수, 여인, 전통문양, 전통 건물, 역사적 인물 순으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녹차 포장디자인을 개발할 때 중국의 전통성을 부각할 수 있는 이미지를 일러스트 이미지를 녹차 포장디자인에 활용하면 보다 효과적인 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Changes in today's era and improvement in consumer living standards have led to an increase in interest and desire for aesthetic elements. Unlike in the past, interest in packaging design and visual expression are emphasized in purchasing products. However, quality and design have recently created a market environment in which objective discrimination factors are difficult to find, and consumers' attitudes toward products have become important factors. This study is aimed at researching the packaging design of green tea, which accounts for the largest portion of sales in the tea market, and examines the application of illustrations representing China to green tea packaging design. This study seeks to develop a differentiated green tea packaging design while representing China's image in the global market by suggesting illustration image application criteria through a survey of green tea packaging design to consumer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value brands the most when purchasing green tea, in consideration of packaging design. In addition, consumers have been shown to prefer green tea packaging designs using illustrated images containing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confirmed that consumers have a high preference for packaging designs with illustrations of Chinese traditionality among all factors such as Chinese traditionality, image suitability with green tea products, luxury, logotype improvement, green tea purchasing behavior, and high price perception. From this study, consumers' preference for illustrated images that highlighted Chinese traditionalism in green tea packaging design has been found.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ackaging designs that can have originality and preference in China and global markets.

      • KCI등재

        적색맹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고려한 제품 포장디자인 시각적 요소 연구 -국내 매운맛 라면 포장디자인을 중심으로-

        강한나,이혜원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0 N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visual elements that appeared in the packaging design of spicy ramen currently available in Korea an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olor factors on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lor Vision Defectives. The scope of the study analyzed the design of the top 4 companies in sales among domestic ramen manufacturers, Nongshim, Ottogi, Samyang, and Paldo, in order of spicy ramen with high sales, in order of each of the three bags. The method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color and visual elements of the spicy ramen packaging design by manufacturer, and conducted a survey of the Protanopia people to understand the awareness and purchasing behavior of the spicy ramen packaging desig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picy ramen packaging design currently on the market relied on color elements more than other visual elements (images, letters) for the expression of spiciness, and red (R) was used as the casting color. As a result of the survey of the protanopia consumers, it was found that the protanopia consumers were most aware of the spicy taste through image information such as pictures, photographs, etc. of the packaging when purchasing spicy ramen noodles, and that the spicy expression color used in the packaging did not help the variation power. Protanopia consumers were experiencing discomfort in recognizing spicy taste through the spicy ramen packaging design that is currently on the market. Accordingly, in this study As a result, Protanopia consumers were experiencing discomfort in the perception of spicy. As a result, a survey of spicy ramen packaging design, purchasing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purchase satisfaction for the Protanopia consumer was proposed for the guidance on packaging design for the Protanopia consumer, and the packaging design for the Protanopia consumer is In the future, we look forward to conducting more preferably designed to avoid the uniform application of product feature expression through color elements, which is the general production criterion, and to prevent errors in information recognition and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strengthening the use of images for characteristic expression (emphasis through frequency, size, etc.), and improving the readability of descriptive phrases. extensive research from a universal design perspective.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매운맛 라면의 포장디자인에 나타난 시각적 요소를 분석하고 색채요소가 색각이상자의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 라면 제조사 중 매출 상위 4개의 회사 농심, 오뚜기, 삼양, 팔도의 매출이 높은 매운맛 라면 순으로 각 세 개씩 총 12개의 봉지라면디자인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제조사 별 매운맛 라면 포장디자인의 색채요소와 시각요소를 분석하고 적색맹자를 대상으로 매운맛 라면 포장디자인에 대한 인지도, 구매 행동을 파악하는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현재 시판되는 매운맛 라면 포장디자인은 매운맛의 표현을 위해 다른 시각적 요소(이미지, 문자)보다색채 요소를 의존하고 있었으며 빨강(R)을 주조색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적색맹 소비자 설문결과, 적색맹 소비자는매운맛 라면 구매 시 포장의 그림, 사진 등과 같은 이미지 정보를 통하여 매운맛을 가장 많이 인지하고 있었으며, 포장에 사용된 매운맛 표현 색채는 변별력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적색맹 소비자는 현재 시판되고 되고 있는 매운맛 라면 포장디자인을 통한 매운맛 인지에 있어서 불편함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본연구에서는 적색맹 소비자를 대상으로 매운맛 라면 포장디자인에 대한 인지도, 구매행동 특성, 구매 만족도에 대한설문을 통해 적색맹 소비자를 위한 포장디자인에 대한 지침을 제안하였다. 적색맹 소비자를 위한 포장디자인은 일반적 제작기준인 색채요소를 통한 제품 특징 표현의 일률적 적용을 피하고 특성 표현을 위한 이미지 사용의 강화(빈도수, 크기 등을 통한 강조), 설명 문구의 가독성 향상 등을 통해 정보 인식의 오류를 방지하고 소비자 만족도를 향상시키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향후,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더욱 폭넓은 연구가 진행되기를기대한다.

      • KCI등재

        지역문화 패턴을 활용한 두유 패키지 리뉴얼 디자인- 사천지역 유이(唯怡)를 중심으로 -

        등우흔,송민정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2 No.4

        With increasing attention on packaging design based on local cultural resources, local culture patterns, as visual representations of local culture, have become an important way to present the charm of local culture in packaging design. Weiyi, a local brand in Sichuan Province, strengthens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products and increases sales through integrating local cultural patterns in packaging design. This study explores the use of packaging design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grasping local cultural patterns into visual elements and applying them to packaging design. To achieve this, six cases of packaging designs incorporating local culture patterns with high sales on Chinese e-commerce platforms such as Taobao and JD were selected for analysis, along with SWOT analysis of existing Weiyi packaging design. On this basis, 12 sketches of Weiyi packaging containing Sichuan local cultural patterns were designed, and two best schemes were selected. Then through questionnaire investigation and effect analysis, determine the suitable packaging design update strategy for Sichuan Weiyi. The results show that using representative local cultural patterns in packaging design can give the brand deeper local cultural significance, enhance consumers' cultural identity and willingness to buy. This study provides reference data and applicable design ideas for local brand packaging design in the future, offering practical implications. 지역문화의 시각적 특징 중 하나인 지역특색 문화자원을 기반으로 한 패키지디자인이 주목을 받으면서, 지역문화 패턴의 합리적인 적용은 지역문화의 매력을 외부에 드러내는 중요한 방법이 되었다. 유이(唯怡)는 사천성의 지역 브랜드로서 패키지디자인에 지역문화 패턴을 통합하여 제품의 지역 특성을 강화하고 판매량도 높이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패키지디자인을 지역문화 전파의 매개로 사용하는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 지역문화 패턴을 시각적 요소로 변환하여 패키지디자인에 적용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지역문화 패턴이 포함된 유이 패키지디자인 리뉴얼 방안을 제안하고, 이를 기존 패키지디자인과 비교 검증 및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패키지디자인에 지역문화 패턴을 적용하여 타오바오, 징둥 등을 비롯한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높은 판매량을 거둔 6가지 사례를 선별하여 분석하고, 기존의 유이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SWOT 분석도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천성의 지역문화 패턴이 포함된 12개의 유이 스케치를 하고, 2개의 최상의 계획을 선별한 후 설문 조사를 통해 효과를 연구 및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사천 유이에 적합한 패키지디자인 리뉴얼 방안을 결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패키지디자인에 대표적인 지역문화 패턴을 사용하면, 브랜드에 보다 깊은 지역문화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구매 의향을 높이는 동시에 지역 문화의 보급과 보호를 촉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향후 지역 브랜드 패키지디자인의 참고 데이터와 지역문화 패턴을 적용한 디자인 아이디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일정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감성공학을 기반으로 중국 백주 포장디자인

        백철문,신 인 식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3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4

        연구배경 백주는 중국 전통문화의 중요한 매개체로 오랜 역사가 가지고 있으며 탄생 초기부터 소비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백주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백주 포장디자인은 브랜드 문화와 민족 문화의 매개체이며 브랜드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수단이기도 한다. 현재 중국 백주 포장디자인은 혁신적 부족, 포장 단일화, 심각한 균질화, 현대 젊은 소비자의 심미에 부합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감성공학 방법을 활용하여 현대 젊은 소비자의 심미에 따라 백주 포장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해 대표적인 샘블과 감성어휘를 도출하였으며, 설문 조사법과 의미차이법을 통해 백주 포장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평가 분석하였다. 수량화 이론을 사용하여 감성 이미지 평가와 디자인 요소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구성하고 감성 이미지 평가와 디자인 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에 따르면 젊은 소비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백주 외부 포장은 '현대적인', '고급스럽운', '개성적인', '젊은' 디자인이다. 백주 외부 포장디자인에서 일러스트 유형, 장식용 그래픽 및 레이아옷이 소비자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결론 서로 다른 디자인 요소의 조합은 서로 다른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백주 포장을 디자인할 때 서로 다른 그룹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디자인해야 한다. 젊은 소비자를 위한 백주 포장디자인은 단순하고 깨끗해야 하며 현대적 감각과 개인화에 노력해야 한다. Background Baijiu, a traditional Chinese liquor with a rich heritage, holds significant cultural value. Packaging plays a vital role in expressing brand and national culture, as well as boosting brand competitiveness. However, Chinese Baijiu packaging currently faces challenges such as lack of innovation, homogeneity, slow evolution, and failure to meet the aesthetic preferences of modern young consumers. Methods This study incorporates Kansei Engineering research methodology into Baijiu packaging design to provide innovative design ideas for modern young consumers. It involves data collection, questionnaire surveys, and analysis to establish th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perceptions and design elements. The objective is to un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erceptions and design elements in Baijiu packaging. Result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young consumers prioritize sensory perceptions associated with modernity, high-end quality, uniqueness, and youthfulness. In terms of packaging design, the types of illustrations, decorative graphics, and visual structure have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consumer preferences. Conclusion Different combinations of design elements can achieve different visual effects. When designing Baijiu packaging,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specific target consumer group. For packaging targeting young consumers, it should be characterized by simplicity, cleanliness, a sense of modernity, and personalization. The white wine packaging design for young consumers should be simple and clean and should strive for a modern sense and person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