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LM의 개념 및 생애 단계별 활용 사례들에 관한 연구

        전홍배 ( Hong Bae Jun )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0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9 No.1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은 제품 전체 라이프 사이클 기간 동안에 걸쳐서 관여하는 행위자들간의 상호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그동안 정보 공유를 제한해 왔던 장벽을 허무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PLM은 기존 PDM(Product Data Management) 시스템의 확장 개념으로 R&D 영역뿐만 아니라 디지털 메뉴팩쳐링의 구현 및 통합을 통해, 제품개발 및 구현 프로세스의 최적화를 이루는 정보시스템으로 많이 인식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BOL(Beginning Of Life) 단계에 초점을 맞춘 좁은 의미의 PLM의 개념에서 벗어나 보다 넓은 의미에서 생애 단계별 PLM 응용 사례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PLM이 나오게 된 배경, Lifecycle의 개념, PLM의 다양한 정의 및 기존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PLM에 대한 개념을 정립해보고, PLM의 응용 사례들에 대해 생애 단계별로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concept and applications of the PLM system for each Lifecycle phase. The PLM is the Enterprise strategic approach that manages, shares, and controls the Product related data/information, Processes, and Resources over whole Product Lifecycle. Information management of Lifecycle objects such as Product related data, Processes, and Resources over the whole Lifecycle is crucial since it can support the ability to analyze data and make decisions with fast and consistent ways. However, the use of PLM until so far mainly focuses on not the whole Lifecycle but BOL phase including design and Production. In this study, we will look at the concept of PLM and various applications of PLM using MOL data including not only BOL but also MOL and EOL(End-Of-Life) phases. To this end, we first introduce the concept of Lifecycle, its classification, the state-of-the art of the definition of PLM and its previous works. Furthermore, we introduce some case studies on BOL, MOL, and EOL applications of PLM.

      • KCI등재

        4-계층 모델 기반의 선박 수명주기관리 시스템 프레임워크

        김승현(Seunghyun Kim),이장현(Janghyun Lee),이경호(Kyungho Lee),서흥원(Heungwon Suh) (사)한국CDE학회 2010 한국CDE학회 논문집 Vol.15 No.5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PLM) is an integrated business approach to manage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product information throughout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From the product perspective, PLM encompasses a holistic approach to product development an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It supports the integrated product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efficient product structures and BOM (Bill Of Material), user interfaces, proper functions, design processes and enterprise integration. Therefore, PLM should not only satisfy required functions as an enterprise software but also offer a systematic method for the efficient application from the initial stage of its development. Recently, many shipyards have been considering the PLM as a strategic solution to get the efficient management of product information such as 3-D models, BOM, drawings, documents, and the other product data. Though many studies on PLM are performed, most of them are performed in a function based approach adequate for mass productive assembly industries. It could not help having limitations on applying the proper PLM system to the shipbuilding business since the requirements of shipbuilding PLM are too diverse and huge to design the architecture. This study presents the PLM framework which effectively reflects the diverse requirements of shipbuilding PLM. In order to get the macroscopic architecture of shipbuilding PLM, authors suggest the four-tier architecture model which considers the various requirements collected from shipyards. Entities of ship design data are modeled BOM in terms of product structure and hierarchical class diagram. Applicable functions of shipbuilding PLM are also investigated by analysis of issues of ship design. Finally, by reflecting the design process of shipbuilding, To-Be ship design procedure cooperated with the suggested PLM framework has been summarized.

      • KCI등재

        제품수명주기관리 시스템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김정범(Jeongbeom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7 No.12

        우리나라 국가 경쟁력을 엄밀히 분석해 보면, 세계적인 글로벌 대기업들과 첨단 산업체들이 주도적인 견인차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부존자원이 빈약한 환경에서도 놀라울 정도로 급성장하며, 우리나라를 선진국 반열에 올려놓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주요 대기업 들은 주로 제조업체로서 오랜 세월동안 핵심 기술 과 노하우를 축적하며 핵심인재 와 경영층을 보유 하고 있고, 아울러 정보기술 인프라가 구축이 잘 되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정보기술 인프라로는 ERP, SCM, CRM, PLM 등이 구축되어져 있는데 제조업에서는 PLM이 주요 핵심 정보기술 인프라라고 볼 수 있다. 오늘날 제조업계에서는 소비자의 요구사항을 최대로 수용한 신제품을 개발하고, 가능한 한 적기에 시장에 출시하기 위하여, 단기간에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양산체제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제품개발 인프라와 시스템이 요구 되고 있다. 이러한 과제에 선진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제조업계가 협업 및 글로벌 개발, 제조체제의 정비, 제조 프로세스의 혁신 및 효율화, 아울러 품질 향상을 위한 핵심전략 으로 선택한 것이 바로 PLM 시스템 도입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PLM 시스템의 성공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둘째, 이 성공요인들이 PLM 시스템 도입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PLM 시스템의 성공요인 모델을 설정하여 PLM 시스템 성공요인과 시스템 품질과 사용자 만족도 간의 관계, 시스템 품질과 사용자 만족도 간의 관계, 시스템 품질 및 사용자 만족도와 시스템 도입효과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PLM 시스템의 성공요인 모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PLM 시스템 구축을 완료 후 운영 중인 기업을 대상으로 표본을 선정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취합된 설문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검증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기술적 성공요인은 시스템 품질과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조직적 성공요인은 시스템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만 사용자 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환경적 성공요인은 시스템 품질과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시스템 품질은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사용자 만족도는 시스템 도입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만 시스템 품질은 시스템 도입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To analyz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global high-tech enterprises have been playing leading and pulling roles in making Korea in line with advanced countries even though the country is lacking in various natural resourc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ompanies above are as follows; Firstly, these enterprises continue to accumulate core technologies and know-how with highly competent human resources and well organized management. Secondly, they are well structured and equipped with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s which are, for example, ERP, SCM, CRM, and PLM. Among them PLM is considered to be the principal core information technology infra in manufacturing industry. The urgent task of manufacturing industry recently is to develop new products to accept various needs of consumers, and to launch the products in time to market, which requires the manufactures to be equipped with product development infra and system to upgrade product fulfillment and mass production system in a short period. The introduction of PLM System is a solution of core strategy as a manufacturer for collaboration, global development, reengineering of manufacturing system, the innovation and efficiency of manufacturing process, and product quality impr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ccess factors of introducing PLM System and its practicing effectiveness. And the results of empirical study are as follows; (1) Technical success factors positively impact system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2) Organizational success factors positively impact system quality, but does not impact user satisfaction, (3) Environmental success factors positively impact system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4) System quality positively impacts user satisfaction, (5) User satisfaction positively impacts the effectiveness of implementing PLM systems, but system quality does not impact it.

      • KCI등재

        선박의 초기설계 제품정보관리를 위한 PLM 시스템 원형 개발

        이찬우,이장현,이경호,이재범,김대석,서흥원,Lee, Chan-Woo,Lee, Jang-Hyun,Lee, Kyung-Ho,Lee, Jae-Beom,Kim, Dae-Seok,Seo, Heung-Won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8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1 No.6

        최근의 제조 산업에서 제품개발 정보는 제품 수명주기 관리(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시스템을 통하여 관리하고, 조달과 생산 계획에 관련된 통제는 전사적 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생산 관리 시스템이 담당하고 있다. 특히, 효율적인 제품 개발과 시스템 구축 여부는 설계 및 생산, 원가 관리 전체에 걸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도면, 모델, 자재 정보 등 제품정보관리를 위한 PLM시스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PLM체계는 요구 사항 분석, 시스템 설계 그리고 기존 Data Migration 등 정보 시스템 개발 절차를 따라서 수행된다. PLM시스템은 전사적인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Prototype개발을 진행하여 구축 절차와 체계 설계를 검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과정에서 PLM 아키텍처 및 제품 구조(Product Structure) 구성, PLM의 기능 개발을 수행한 후에 전체 시스템 설계 개발을 재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 PLM구축에 필요한 절차와 체계 설계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초기 기본 설계 단계에 적용하여 PLM구축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초기 설계를 대상으로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PLM의 아키텍처를 설계하였으며, 설계한 시스템을 Prototype형태로 제시하였다. Shipbuilding is a kind of ETO(Engineering To Order) industry which designs and produces a product in accordance to various requirement of customers, rules and regulations. Recently, the number of ordered ships has been increased by up to two or three times in each domestic shipyards. Most shipyards have been adopted 3D ship CAD,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and APS(Advanced Planning System) to get an efficient produ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system. However, not only the effective operation of 3D ship CAD, ERP and APS but also the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achieved only if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which can manages the product data is implemented in an integrated environment. Present study has suggested a systematic approach to implement a PLM system to manage the product data in early design shipbuilding. Also, a prototype of PLM is implemented to manage the product data in a basic ship-design. In the prototype system, a product structure and architecture of PLM is considered.

      • KCI등재

        협력적 창조경험을 통한 소셜 PLM 프레임워크

        최재원(Jaewon Choi),임명진(Myungjin Im),김경규(Kyung Kyu Kim),김문선(Moon Sun Kim) 한국경영학회 2013 Korea Business Review Vol.17 No.2

        최근 제기되고 있는 협력적 창조경험 전략은 기업의 보유자원과 외부의 협력적 참여를 통하여 기업의 사회적 자본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제조기업 관점에서 전통적 PLM 관점에서 선행연구들은 PLM 솔루션 알고리즘과 기업 내부 수행과정을 주로 연구해왔다. 따라서 기업의 사회적 자본 활용을 통한 소셜 PLM의 역할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반 면에 소셜 PLM의 활용을 통한 이점과 실제 구현을 위한 솔루션 프레임워크는 매우 기초적인 단계에 머물고 있다. 특히, 소셜 PLM의 협력적 창조경험을 활용한 제품개발 이정을 통해서 이해관계자에 대한 전략적 지속성을 어떻게 유지시켜야 하는지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 활용을 기반으로 집단지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소셜 PLM의 역할을 확인하기 위 하여 PLM 기반의 성공 사례들을 연구하였다. 또한 각 사례의 특성을 기반으로 소셜 PLM 솔루션의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였다. 제조기업의 소셜 PLM 실현을 위하여, P&G의 C&D 사례와 PLM 활용, 이노센티브(InnoCentive)의 사례를, 웹 플랫폼 기반의 클라우드 소싱을 통해 사회적 제품 개발 과정과 관련하여 Quirky 사례를 연구하였다. 각 사례연구를 통하여 세품 개발의 협력적 창조경험을 동한 개방형 혁신 특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R&D부문의 투자를 줄이고 매출 향상 효과를 확인 함으로서, 소셜 PLM의 실현가능성을 도출 할 수 있었고 제품 개발을 위한 고객 및 외부 전문가의 정보 공유와 협업을 촉진함에 있어 소셜 PLM의 유용성이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다.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LM have suggested the efficiency for using internal resources for Product R&D.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firms social capital through collaborative participation for internal resources and external collaborators based on co-creation experience strategy. In the viewpoint of traditional PLM, various studies have focused on PLM Algorithm and internal PLM Process of manufacturing firms. Although the roles of social PLM have been more important, the advantages for social PLM and solutions framework has not been studied sufficiently.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find out the way to build close relationship among stakeholder for advantages for product R&D with social PLM. Therefore, this paper reviewed three cases. P&G Connect & Development. InnoCentive, com and Quirky, to find out functional elements of social PLM processes with solution strategy and guideline. Each case appeared decreasing R&D investment and increasing profits with adopting collective intelligence with social PLM co-creating product. Especially. Quirky case provided the potential and application for social PLM with social capital of product innovation on the web.

      • KCI등재

        R-PLM 기술 개발 시 고려사항 도출에 관한 연구

        강태욱(Kang, Tae-Wo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7

        본 연구의 목적은 Railway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반 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R-PLM) 기술을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도출하고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철도 분야는 구성요소들이 객체지향 적으로 모델링되고 전 생애주기가 효과적으로 관리된다면 공학건설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기술은 각각 BIM, PLM 기술로 널리 알려져 있다. 연구 목적을 얻기 위해 국내 PLM과 BIM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R-PLM 기능을 명확히 정의하고 기대효과와 장애요인에 대하여 3차에 걸쳐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회수된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분야, 경력에 따른 각 항목들의 시각 차이를 확인하고 유의미한 수준에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R-PLM 기술 개발 을 위한 고려사항을 제안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PLM (Railway BIM-based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technology. The railway engineering productivity can be maximized if the railway product is created using the object modeling method and the railway lifecycle process is managed effectively. Recently, technology known as BIM and PLM was applied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improve the productivity. To define the R-PLM functions, the expert interview and a practitioner interview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expected outcome and obstacles to R-PLM technology. As a resul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ccupation and the priority of those were derived. Finally, R-PLM technology development consideration was suggested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 KCI등재

        PLM 입문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도남철(Namchul Do) (사)한국CDE학회 2013 한국CDE학회 논문집 Vol.18 No.1

        Product Life cycle Management (PLM) is an indispensable tool for manufactures to develop competitive products in an efficient way. This enlarges the number of participants for product development who should understand PLM for their supporting activities. However, burdens for developing example products, maintaining complex PLM systems and training prerequisite skills for engineering tools such as CAD systems prohibit an efficient introductory course to PLM. This paper proposes a comprehensive introductory course to PLM that bases on general product development process. In addition, it enables participants to build their example products with familiar Lego blocks and to construct 3D CAD assembly models by using predefined 3D elements. The PLM system for the course provides an intuitive and simple user environment for participants to specify their parts lists, associated 3D CAD models, and product structure of example products. Experiences on a class of the course show it is a valid and efficient education and training method for the PLM introduction.

      • KCI등재

        Persistent VDM(Virtual Digital Model)기반의 자동차 디자인 리뷰 중심 PLM 프로세스 연구

        방영찬(Bang Youngchan),홍성수(Hong Seongsoo)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4

        현재 자동차 스타일링 개발은 디지털기반의 Virtual Digital Model(VDM)1)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VDM을 Physical Model로 만들었을 때 간혹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인하여 일부에서는 여전히 Digital Model에 대한 신뢰성에 의구심이 갖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는 Digital Model의 비물질성으로 인한 본질적인 문제로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선 무엇보다도 Virtual Model 개발단계에서 충분한 사전 리뷰를 통해서 최종 Physical Model과의 형상 차이를 최소화시켜야 하며 동시에 그를 위한 리뷰 중심의 최적화 된 PLM Process 운영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단순한 데이터 저장 장치로서의 대부분의 PLM 운영 형태는 이와 같은 VDM 리뷰 충족요건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으며 리뷰를 위해선 매번 사전 준비 작업을 필요로 하며 이는 결국 더욱더 VDM 리뷰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는 현재의 PLM내 Virtual Model인 VDM의 입 출력 운영 형태가 단속적(斷續的) 프로세스로 운영 되는데 그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와 같은 PLM내의 단속적인 VDM의 입 출력 방식을 향후 언제 어디서나 가장 최적의 VDM을 최적의 상태로 리뷰 할 수 있도록 하는 PLM 운영형태로서 지속성(持續性)의 개념을 도입한 Persistent VDM 리뷰를 위한 PLM 운영 Process 모형을 제시 PLM의 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현재의 VDM의 리뷰를 개선 궁극적으로 Digital Model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The car design based on digital process in vehicle development is inevitable and which is requiring Virtual Digital Model. The Virtual Digital Model even through it give us a lot of advantage in aspect of efficiency but some people still don't get rid of their belief that physical model is more reliable than virtual when it comes to having a review. The one of main reason that people is reluctant to digital review comes from consuming a lot of time to preparing digital model. Under the current way of PLM which is need to require hours at a time the form of digital review will be not acceptable efficiency-wise. In this research paper I'm going to suggest the new concept of P-VDM(Persistent Virtual Digital Model) which refers to methodology maintaining PLM updated by user's proactive participation through the real case of A automotive company. P-VDM is based on the key to maintain PLM updated persistently by all participants when it go on progress and provides newly updated digital models any time with less efforts avoiding time consuming for digital review.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a possibility that bring up to improve the current digital review with the concept of P-VDM which is consisted of the persistent and concurrent in PLM..

      • KCI등재
      • KCI등재

        주문형 설계 조선산업과 주문형 조립산업의 특성에 따른 PLM 기능과 구조 설계

        김승현(Seunghyun Kim),전정익(Jungik Jeon),이장현(Janghyun Lee),이원준(Wonjoon Lee) (사)한국CDE학회 2010 한국CDE학회 논문집 Vol.15 No.6

        The current challenge with which most shipyards are forced is to reduce the design time and the time-to-delivery because of explosive order of shipbuilding. Collaborative design and product data management have become important to reduce the lead time. Furthermore, enterprise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CM (Supply Chain management), and APS (Advanced Planning System) requires the collaborative environment. Also, manufacturing environment has been considered as a topic of strategic interest to get shorter product lifecycles in shipyards. Most shipyards have chosen an environment of ETO (Engineering To Order) strategy which designs and produces new products in response to various requirements of customer, rules and regulations. In the ATO (Assemble To Order) environment, most component parts have been designed to be procured or produced on the order requirement. The basic distinction between the ETO and ATO is the timing of the design. Thus in the ATO environment, it is more flexible in reducing the lead time to meet the specified requirements of customers. However, the ETO strategy requires new ship design process and ship product structures that are link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PLM. And, the function and architecture of current PLM solution has been designed based upon ATO environment properly. This paper presents the PLM architecture which effectively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shipbuilding. 4-layer architecture model is suggested to implement the PLM system. Also, implemented functions of ship PLM is explained in order to make a practical guidance for ship PLM imple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