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ISA 2006 과학성취도에 대한 학생 및 학교 수준 맥락요인의 영향력 분석

        염시창,강대중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2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curricular context factors within studentand school-levels on the science achievement of Korean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158 students nested within 139 high schools in Korea, and the data were from PISA 2006 focusing on science and collected information on student attitudes toward science by the OECD. The study used two-level model analyses. The variables, with the exception of dummy variables, were centered around the grand mean of each variabl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Males or students whose fathers had higher educational levels showed higher science achievement scores. Among the context factors, self-directed science study time, science interest, and science valu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science achievement, whereas private tutoring time on science and science activities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chievement. At the school level, school average ESCS had positive effects on science achievement, while the shortage of science teachers showed negative effects on achieve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the future, the government should increase the number of qualified science teachers on a national level. Among the curricular context factors, the average time of school science classe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cience achievement, whereas other context factors at the school level were not related to achievement. 본 연구는 과학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수준 변수 중 맥락요인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학생 수준의 변수와 학교 수준의 선행요인인 학교 배경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맥락요인인 과학 수업환경 변수의 과학성취도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OECD에서 주관하여 시행하였던 만 15세 대상의 PISA 2006 자료 가운데 우리나라 고등학교 139개 학교와 이들 학교에 내재되어 있는 4,158명의 학생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2수준 다층모형을 통해서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더미변수 이외의 변수는 모두 전체 학교 평균치에 대한 편차점수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수준의 선행요인 중에서는 남학생, 그리고 부 학력수준이 높은 학생의 과학성취도가 높았고, 맥락요인 변수 중 자기주도적 과학 공부시간, 과학흥미 및 과학가치가 결과변수인 과학성취도와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이에 반해 사교육 과학수업시간과 과학활동 정도는 과학성취도와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둘째, 학교 수준의 선행요인 중에서 학교평균 ESCS가 과학성취도에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과학교사 부족은 과학성취도에 부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국가수준에서 자격을 갖춘 과학 교사를 증원하는데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맥락요인의 변수 중에서는 학교평균 정규 과학수업 시간이 과학성취도와 정적 연관성을 보인 반면, 과학클럽활동, 과학전시회활동, 과학경진대회 및 과학주제활동과 같은 맥락변수는 유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생 및 학교 수준의 선행요인과 맥락요인의 영향력을 종합하여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최우수 여고생은 과학영재교육의 소외 집단인가? : PISA 문항의 과학성취도 상위 10% 고등학생의 과학 정의적 영역의 성차 분석

        서혜애 韓國英才學會 2011 영재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최우수 여학생이 과학영재교육 대상에서 소외되고 있다는 점에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ISA 2006 과학성취도 공개문항을 과학성취도 검사로 구성하여 실시하고 상위 10%에 속하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과학성취도와 과학 정의적 영역의 성차를 탐색하였다. 2008년 7월 전국적으로 표집된 41개교 1,409명을 대상으로 과학성취도 검사와 과학 정의적 영역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가운데 상위 10% 과학성취도를 성취한 132명 결과의 성차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위 10% 남학생과 여학생의 과학성취도에는 유의한 성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과학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과학 정의적 영역의 대부분 요인에서도 성차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최우수 여학생도 최우수 남학생만큼 과학을 즐기고 자아 개념 및 자기 효능감을 가지며 장래직업으로서 과학과목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과학 정의적 영역의 일부 문항에서는 유의한 성차가 나타났으며, 이 요인들은 가정과 학교의 교육여건이나 과학과목의 교육내용, 교사의 교수학습지도 전략을 통해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최우수 여학생에게 과학영재학교, 과학고등학교 등 과학영재교육의 기회가 평등하게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밝혀졌다. The research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op 10% high achievers of girls in high schools are not equally provided with opportunities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in Korea. For this reason, the research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 affective domain through employing PISA 2006 science achievement test and survey of science affective domains. The research subjects of 132 students as top 10% high achievers extracted from those 1,409 students who were nationwidely sampled and responded to the science achievement test and science affective domain survey in July 2008. The responses by 132 students of top 10% high achievers were analyz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cience achievement and most items of science affective domain survey between girls and boys of top 10% population in high schools. Further, it was indicated that top 10% high achieving girls have interest, self-concept, self-efficacy, future job aspiration in science as high as boys. In conclusions, further attentions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of science gifted education for girls are called for.

      • KCI등재

        고등학생들의 사교육 참여 시간과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 비교연구 : 한국, 일본, 핀란드 과학성취도를 중심으로

        성기선,김준엽 한국교육사회학회 2010 교육사회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PISA 2006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핀란드, 일본 고등학생들의 사교육 참여 정도와 과학성취도와의 관련성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세 나라 공통적으로 사교육 참여시간과 학업성취도는 의미는 있지만 부적관계(negative relationship)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표면적으로 해석한다면, 사교육에 참여하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과학과목의 성취도는 오히려 떨어진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각 나라별로 과학 사교육 참여 경향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단순히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를테면 핀란드와 일본은 성적이 낮은 학생이 사교육에 많이 참여하는 경향이 강한 반면 한국의 경우 학업성취도 수준과 관계없이 많은 학생들이 사교육에 참여하게 됨으로써 사교육과 성취도와의 관련성에서 역방향이 나타나고 또 계수의 크기도 상당히 크게 차이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과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와 과학성취도 수준과의 관련성은 세 나라 모두 높은 편이었다. 다시 말하면 과학효능감과 과학에 대한 즐거움을 많이 갖게 될 수록 학업성취도 역시 높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교육과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을 국가 간에 비교하기 위해서는 각 나라별로 성취도에 대한 종단적인 자료가 확보되어야 하며, 국가별 사교육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 역시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utoring experiences and achievement in science using PISA 2006(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Student Achievement 2006) data, and compare the results among 3 countries: Korea, Japan and Finland. For this purpose we established research model and analysed data using HLM statistical model. In this process we controlled related variables which would affect the students' achievement result, for example ESCS(SES), attitude toward science, self-learning time and school level variables, including location(urban/rural), mean SES and etc. The results of this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science,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is statistically meaningful, but the direction of the effect is negative. So more time spent on private education for science leads to lower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Second, self-learning time variable had a greater effect than the private education variable, and this was common among the three countries. As a result, in general, if students have time to learn independently everyday, this will lead to better results in achievement than participating in private education. But to investigate the reason why tutoring experiences are related with achievement negatively, we need more affluent data, especially longitudinal data and more concrete understanding of each country's educational tradition, system and culture. Still, these results proved that private tutoring experiences will not lead to higher achie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