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기 중 폴리브롬화디페닐에테르의 소나무 잎 침착 특성과 농도 보정법

        천만영 ( Man-young Chun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4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5 No.4

        소나무 잎은 대기 중 폴리브롬화디페닐에테르(PBDEs)의 수동공기채취기(PAS)로 이용되므로 소나무잎 중 PBDEs 농도를 이용하여 공기 중 PBDEs 농도를 추산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잎의 길이와 대기에 노출된 기간이 서로 다른 소나무 잎을 이용하여 대기 중 PBDEs가 소나무 잎에 침착되는 특성을 규명하고 여기에 근거하여 PAS용으로 소나무 잎을 올바르게 채취하는 방법과 농도계산법을 연구하여 시료채취와 농도 계산에 의한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소나무 잎에 침착된 대기 중 PBDEs 농도는 수종 차이가 아니라 단위 습무게 당 표면적 또는 잎의 길이에 의존하였다. 대기 중에서 가스상 분율이 높은 hepta-BDEs 이하 저브롬화 PBDEs는 소나무 잎에 누적침착이 일어났으며 누적침착율은 분자량이 커질수록 낮았다. 입자상 분율이 높은 octa-BDEs 이상 고브롬화 PBDEs는 대기 노출기간이 16개월까지는 누적침착이 일어났지만 그 이상 대기에 노출된 잎의 침착농도는 오히려 더 낮았다. 그러므로 소나무 잎에 침착된 대기 중PBDEs 농도는 잎의 표면적당 농도로 계산하거나 건무게당 농도를 잎의 평균 길이를 이용하여 보정하여야 하고 대기 노출기간이 16개월 이하인 잎을 채취하여야 시료채취와 농도 계산에 의한 오차를 줄일 수 있어 신뢰성 있는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The pine needles are used as passive air sampler (PAS) of atmospheric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PBDEs). They are able to estimate atmospheric PBDEs concentrations. However, it is possible to reach an erroneous conclusion in the case of wrong sampling or unreasonable calculation method of concentratio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epositional characteristics and calculation concentrations of atmospheric PBDEs using three species of pine needles which have different length of needles, and different exposure time in the atmosphere. In addition, the study will provide guidelines to reduce error due to wrong sampling and calculation concentrations. The surface area per wet weight (mm<sup>2</sup>/g wet) of pine needles were inversely proportional to length. The total PBDEs concentrations deposited in pine needles were proportional to the surface area per wet weight in all three species of pine needles. Nevertheless, the fractions of each BDE congener concentration distributed in the total PBDEs concentration in three species of pine needles were similar. This means that PBDEs concentrations depend on the surface area and length of pine needles, not on the species of pine trees. PBDEs in the atmosphere were accumulated in pine needles. The rate of increase in concentration of lower substituted PBDEs (tri- through hepta-) was linear. The rate of increase of the higher substituted PBDEs (octa- through deca-) was also liner in 16 months-old pine needles and younger, but the concentration rather decreased in older pine needles. Therefore, in order to use pine needles as PAS of atmospheric PBDEs, it is reasonable to calculate the concentration deposited on pine needles per wet surface area or to correct concentrations per dry weight with average length. Furthermore, it must be sampled less than 16 months-old needles are recommended for use to reduce error by wrong sampling.

      • 폐TV 내 PBDEs의 전과정 단계별 정적 및 동적 물질흐름분석

        박휘언 ( Hwi-eon Park ),장용철 ( Yong-chul Jang ),권유리 ( Yuree Kwo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전 세계적으로 폐전기전자제품은 2016년 44.7 백만 톤이 발생하였으며, 2021년 52.2백만 톤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그런데 전기전자제품 중 난연제로 주요 사용되는 PBDEs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는 잔류성, 생물축적성, 독성의 성질을 갖고 있어 잔류성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로 등재되어 국제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전기전자제품 중 폐TV의 국내 전과정 단계별 정적 및 동적 물질흐름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그리고 국내외의 폐전기전자제품 내의 PBDEs에 대한 규제에 따른 2030년까지의 국내 폐TV 및 PBDEs 배출거동을 예측하였다. 연구 결과, 1) TV 총 38개 시료 중에서 스크리닝 과정을 거쳐 분석 대상 시료로 31개를 정하였다. 이중 16개에서 PBDEs가 135~18,467 mg/kg의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검출율은 53%였다. 평균은 7,739 mg/kg, 표준편차는 4,283 mg/kg으로 나타났다. 2) TV에 대한 정적 물질흐름분석 결과, 2017년 기준 PBDEs의 경우 총 출고량 및 가정 사용량은 각각 약 35 ton, 약 36 ton이었으며 재활용 시설로 수거되는 양이 약 129 ton이다. 플라스틱사출업체로 재활용되는 양은 약 108 ton이었다. 3) TV에 대한 동적 물질흐름분석 결과, CRT TV는 대략 2025년 까지 배출될 것으로 예상되며 수거 및 재활용 시 2022년 이후에는 소량의 PBDEs가 배출될 것으로 보인다. 4)PBDEs의 배출 특성 파악 결과, CRT TV의 경우 2026년 이후 폐기물로 배출되지 않았다. LCD TV의 경우 폐기물 발생량이 2020년 이후 증가하였다. 5) Population Balance Model을 이용하여 PBDEs의 재고량을 파악한 결과, CRT TV 내 PBDEs의 재고량은 2020년 이후 발생되지 않았다. PBDEs의 대기로의 배출량을 파악한 결과, 2020년 약 18kg까지 감소하였다가 LCD TV의 사용증가에 의하여 2030년 약 43kg까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PBDEs 함유 폐전기전자제품 처리 및 적정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항후 PBDEs를 포함한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관리에 대한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자동차 파쇄 잔재물(ASR) 내 PBDEs 물질흐름분석 및 환경배출량 산정

        최종현,장용철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4억 대의 폐 자동차가 발생하고 약 10억대의 자동차가 사용되고 있다. 기존 여러 연구결과에 따르면 납, 수은, 6가 크롬, 카드뮴, PBDEs 등 다양한 종류의 유해화학물질이 폐 자동차에서 검출될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폐 자동차 내 유해화학물질 관리는 필수적인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폐 자동차(ELVs)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자동차 파쇄 잔재물(ASR)의 PBDEs 에 초점을 맞추었다. PBDEs는 브롬계 난연제 물질 중 한 종류로 전기전자제품, 자동차, 항공기, 섬유 등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산업 군에 사용되어진다. 일반적으로, penta-, octa-, 그리고 deca-BDE가 상업용 PBDEs로 사용되어진다. PBDEs는 내분비계 교란, 신경계 독성을 일으키고 간 종양, 갑상선 장애를 일으키는 화학물질이다. EU에서는 2006년에 RoHS 지침을 통해 가전제품 내 난연제 중 PBDEs의 농도를 0.1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자동차에 대한 PBDEs 규제는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파쇄 잔재물(ASR) 내 PBDEs 물질흐름분석과 환경배출량 산정을 통하여 자동차 파쇄 잔재물(ASR) 내 PBDEs의 적정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위치한 5종류의 폐 자동차 파쇄 시설을 방문하여 10개의 ASR 시료를 채취하였다. 시료 분석은 GC/MS 기기를 이용하여 PBDEs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통계데이터와 문헌조사를 활용하고 전문가 자문을 구해 ASR의 PBDEs 물질흐름분석을 수행하였다. 환경배출량 산정에 있어서는 현재 국내에서 산정된 자동차 전 과정에 대한 PBDEs 배출계수가 부재하기 떄문에 국외 연구에서 사용한 배출계수를 도입하여 환경배출량을 산정하였다. 물질흐름분석 수행 결과로는 2014년 기준 발생한 ASR 내 PBDEs는 98±66 톤이며 23±16 톤(24%)은 에너지 재활용된 ASR내에 존재하였고, 66±45 톤(67%)은 소각처리, 9±6 톤(9%)는 매립처리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경배출량 산정 결과 재활용단계에서 대기로 약 2 kg의 PBDEs가 배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시화공단 인근 실내 더스트의 PBDEs 농도 분포

        김현승(Hyun Seung Kim),김일규(Il Kyu Kim) 大韓環境工學會 2013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5 No.8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은 환경에 잔류하며, 먹이 사슬을 통해 축적되고,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악영향을 일으키는 화학물질이다.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은 열에 안정적이고, 친유화성, 불용성의 물질이며, 생식, 성장 및 내분비 기능에 면역독성 및 발암성 부작용 등 다양한 유해 영향을 일으킬 수 있다. 폴리브롬화디페닐에테르(PBDEs)는 방염제로 사용되는 유기브롬화합물이다. 독성 및 잔류성으로 인해 일부 PBDE 생산품은 주요 POPs를 관리하고 단계적으로 제한하는 스톡홀름 협약에 의해 제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의 농도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시화산업단지의 여러 사이트에서 PBDEs를 측정하였다. 하우스더스트 샘플에서 PBDEs의 농도수준은 0.722~44.024 ng/g-dry로 나타났으며, PBDEs 동족체 중 BDE-209가 모든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BDE-209의 농도는 총 PBDEs의 80.0 % 이상으로 나타났다. 대상 지역의 여러 사이트에서 고분자 PBDEs는 저분자 PBDEs 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are chemical substances which persist in the environment, bioaccumulate through the food web, and pose a risk of causing adverse effects to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POPs are thermally stable, highly lipophilic and water-insoluble compounds which can induce various toxic influences including immunotoxicty, carcinogenicity adverse effects on reproduction, development and endocrine fuctions.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or PBDEs, are organobromine compounds that are used as flame retardant. Because of their toxicity and persistence, the industrial production of some PBDEs is restricted under the Stockholm Convention, a treaty to control and phase out major POPs. In this study, PBDEs was measured in various site of Sihwa industrial complex to investigat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POPs. The levels of PBDEs in house dust samples were 0.722~44.024 ng/g-dry. In PBDEs congener, BDE-209 was relatively higher in the all sites. The concentration of BDE-209 measured over 80.0% of total PBDEs. In various site, high molecular PBDEs homologues are measured higher than low molecular.

      • KCI등재

        영유아의 모유 섭취에 따른 폴리브롬화디페닐에테르의 위해성 평가

        위성욱(Sung Ug We),조봉희(Bong Hui Cho),조유진(Yu Jin Cho),윤조희(Cho Hee Yoon),최시내(Shi Nai Choi),민병윤(Byung Yun Min) 大韓環境工學會 2012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4 No.2

        본 연구는 한국인 산모의 모유 중 PBDEs의 노출수준 및 위해성평가를 위해 서울지역에서 총 22개의 모유시료를 대상 으로 분석되었다. PBDEs는 모든 대상 모유시료에서 검출되어, 이러한 화학물질이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에게 광범위하 게 노출되었음을 시사한다. ΣPBDEs의 잔류수준은 0.84~13.1 ng/g lipid의 범위로 산술평균 농도는 3.56 ng/g lipid, 중앙값은 2.6 ng/g lipid이었다. 모유 중 ΣPBDEs 농도 수준은 중국, 대만, 유럽국가(스위덴)와 유사하고 몇몇 아시아(베트남, 필리핀, 인도네 시아)보다는 다소 높았다. 그러나 세계에서 PBDEs 소비가 가장 많은 북아메리카의 농도 수준보다는 10~100배 낮은 농도였다. 이성질체 기여율은 BDE-47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BDE-153, BDE-100, BDE-99, BDE-28, BDE-183 그리고 BDE-154 순이 었다. BDE-47과 BDE-153의 합은 대부분의 시료에서 ΣPBDEs의 약 65% 이상을 차지하였다. 영아의 모유 수유에 따른 ΣPBDEs 위해성 평가 결과 영아의 모유 수유를 통한 6개월간 평균일일노출량은 16.5 ng/kg·bw/day로 산출되었으며, BDE-47의 인체노 출에 따른 위해도 지수(95th percentile)는 1.2 × 10-1로 예측되어 6개월간 모유 수유로 인한 영아의 건강유해영향은 나타나지 않 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achieves results from 22 maternity breast milk samples in total to demonstrate exposure level and risk assessment of PBDEs in Seoul area. PBDEs were detected in all the breast milk sample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ing that general population in these Seoul area are widely exposed to these chemicals. Residue levels of total PBDEs (sum PBDEs from tri- to hepta-BDE) ranged of 0.84~13.1 ng/g lipid with an arithmetic mean and median of 3.56 ng/g lipid and 2.6 ng/g lipid, respectively. Global comparison shows that the levels of total PBDEs were relatively similar to those of China, Taiwan and European country (Sweden), and somewhat higher than those in some Asian (Vietnam, Philippines, and Indonesia). In the present study, however, the levels of total PBDEs in human milk are still one to two orders of magnitude lower than those in North America. Contribution rate of each congener appeared to be predominant with BDE-47, followed by BDE-153, BDE-100, BDE-99, BDE-154 and BDE-183. The sum of BDE-47 and BDE-153 accounted for more than 65% of total PBDEs in most samples. From the result of the human risk assessment of infants for total PBDEs and BDE-47 by breast milk feeding, we could find out that the average daily doses and hazard index (95th percentile) were 16.5 ng/kg·bw/day and 1.2 × 10-1 each other when nursing for 6 months after infants born. However, it was concluded that the infant health hardly had adverse seriously effects under this research condition.

      • KCI등재

        춘천지역 모유 중 폴리브롬화디페닐에테르(PBDEs)의 이성체별 분포특성과 노출경로

        Sung-Ug We(위성욱),In-Cheon Baek(백인천),Sang-Ah Park(박상아),Seong-Hoon Kang(강성훈),Yu-Jin Cho(조유진),Bong-Hui Cho(조봉회),Cho-Hee Yoon(윤조희),Ki-Ho Kim(김기호),Byung-Yoon Min(민병윤)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비교적 청정한 지역인 춘천시에 거주하는 일반인 모유 중 PBDEs의 노출 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처음으로 시도된 연구이다. 본 연구지역의 모유 중 ∑PBDEs의 수준은 북아메리카지역에 비하여 낮은 수준이었으나 일부 아시아, 유럽국가와 유사하였다. 모유 내 PBDEs의 축적은 산모의 특성과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업용 PBDEs 제품을 포함하여 여러 복합적 인자에 의하여 노출되고 있었으며, 식품 섭취와 같은 식이노출은 한국인에 있어 중요한 노출 경로의 하나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한국인의 PBDEs 노출 경로 파악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장차 PBDEs 및 관련 브롬계 난연제의 노출에 따른 인체 위해성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한국 내의 PBDEs에 대한 인체노출 경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연구는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xposure pathway of PBDEs in human breast milk collected from new mothers residing in Chuncheon, a comparatively clean area in Korea. The congeners of PBDE in 22 human breast milk samples were analyzed using a high resolution gas chromatography with a high resolution mass detector. The residue level of ΣPBDEs was higher in primipara subjects than in multipara subjects (p<0.05). The levels in this study were similar to those of people in some Asian and European countries, but were lower than those of people in north America. In the congener profiles, BDE-47 (mean contribution=36.1%) was predominant, followed by BDE-153 (27%), BDE-99 (11.7%), BDE-100 (11.1%), BDE-28 (7.9%) and BDE-183 (3.5%). The sum of BDE-47 and BDE-153 accounted for more than 50% of ΣPBDEs in most samples. BDE-47 was highly correlated with ΣPBDEs (r=0.94, p<0.001). No strong trend was observed between PBDE levels and a number of key biological factors (women’s age, weight, height and body mass index) examined in this study, however, weak correlations were observed in PBDE levels measured against dietary habits, particularly in fish consumption frequency. It seems that Korean people might be exposed to multiple sources including products of PBDEs, and particularly food resources.

      • KCI등재

        마산만 표층퇴적물 내의 폴리브롬화디페닐에테르(PBDEs)의 공간적 분포 및 오염도평가

        위성욱(Sung Ug We),윤조희(Cho Hee Yoon),민병윤(Byung Yoon Min) 大韓環境工學會 201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2 No.5

        본 연구는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관리범위에 속해있는 총 18개 지점을 선정하여 표층 퇴적물 내 폴리브롬화디페닐에테르(PBDEs)의 공간적 농도분포와 오염경로를 조사하였다. 22개의 PBDE 이성질체가 검출되었으며, BDE-209는 가장 주된 이성질체로 검출되었다. BDE-209와 ∑21PBDEs (BDE-209를 제외한 나머지 이성질체의 합)의 농도범위는 각각 2.32∼64.2ng/g, 0.72∼8.24ng/g이었다. 마산만에서 BDE-209 및 ∑21PBDEs의 공간적 농도분포는 내만에서 외만으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PBDEs의 주오염원은 내만의 유입하천수과 하수처리장 방류수이었다. 마산만에서 PBDEs의 오염 수준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는 육상기인 오염원 거리와 해수의 유동에 따른 퇴적물의 이동성 및 특성으로 나타났다. A total of 18 surface sediments within the special conservation zone in the Masan Bay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polluted pathway of polybrominated diphenyl ehters(PBDEs). Twenty-two PBDE congeners were detected and brominated diphenyl ether-209 (BDE-209) among them was predominant. The concentrations of BDE-209 and ∑21PBDEs (sum of 21 PBDE congeners without BDE-209) ranged from 2.32 to 64.2ng/g and from 0.72 to 8.24ng/g, respectivel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both BDE-209 and ∑21PBDEs showed a negative gradient from the inner to the outer Bay, indicating that the source of PBDEs might be mainly located inside the Bay such as streams and an effluent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s. It was seemed likely that the major parameters determining levels of PBDEs in the Masan Bay were the distance discharging from their source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and movement of sediments due to the flow of sea water.

      • KCI등재

        국내 양식어장 퇴적물과 생물 중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분포

        백승홍,이인석,김혜선,최민규,황동운,김숙양,최희구,baek, Seung-Hong,Lee, In-Seok,Kim, Hye-Seon,Choi, Minkyu,Hwang, Dong-Woon,Kim, Sook-Yang,Choi, Hee-Gu 한국해양학회 2012 바다 Vol.17 No.4

        국내 연안의 다양한 양식장의 퇴적물과 양식생물에 대하여 다이옥신류(PCDD/Fs), 다이옥신류피씨비(DLPCBs), 및 브롬화방염제(PBDEs)의 잔류수준을 조사하고 분포를 평가하였다. 양식장 퇴적물 중 PCDD/Fs, DLPCBs, PBDEs는 각각 0.03~2.9(평균${\pm}$표준편차, $1.2{\pm}0.89$) pg $WHO_{2005}$-TEQ $g^{-1}$ 건중량(dw), 불검출~1.1($0.09{\pm}0.19$) pg $WHO_{2005}$-TEQ $g^{-1}$ dw, 불검출~16.6($2.96{\pm}3.53$) ng $g^{-1}$ dw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또한 양식생물 체내 함유량은 각각 불검출~0.24($0.07{\pm}0.06$) pg $WHO_{2005}$-TEQ $g^{-1}$ 습중량(ww), 불검출~0.11($0.04{\pm}0.04$) pg $WHO_{2005}$-TEQ $g^{-1}$ ww, 0.05~0.29($0.13{\pm}0.06$) ng $g^{-1}$ ww 수준이었다. 국내 연안 중 동해안과 남해안에 위치한 양식장 퇴적물 중 총다이옥신류(PCDD/Fs+DLPCBs)와 PBDEs의 농도는 서해안보다 약 4~7배 높은 수준을 보였다. 퇴적물에서는 총다이옥신류에 대한 PCDD/Fs 기여율이 대부분(평균 94%)을 차지했지만, 양식생물에서는 DLPCBs가 약 33% 수준으로 퇴적물에 비해 높은 기여율을 보였다. PBDEs 중에서는 양식장 퇴적물과 생물 모두에서 BDE209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이전 연구와 비교했을 때, 국내연안 퇴적물과 양식생물 중 PCDD/Fs, DLPCBs, PBDEs의 잔류수준은 대체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We investigated the concentration levels and evaluated the distributions of 17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furans(PCDD/Fs), 12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DLPCBs) and 24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PBDEs) in sediment and organism from various culturing grounds in Korean coast. The levels of PCDD/Fs, DLPCBs, and PBDEs in sediment samples ranged from 0.03 to 2.9(Mean${\pm}$SD, $1.2{\pm}0.89$) pg $WHO_{2005}$-TEQ $g^{-1}$ dry weight(dw), ND(not detected) to 1.1($0.09{\pm}0.19$) pg $WHO_{2005}$-TEQ $g^{-1}$ dw, and ND to 16.6($2.96{\pm}3.53$) ng $g^{-1}$ dw, respectively. Also, the levels of PCDD/Fs, DLPCBs, and PBDEs in culturing organisms ranged from ND to 0.24($0.07{\pm}0.06$) pg $WHO_{2005}$-TEQ $g^{-1}$ wet weight(ww), ND to 0.11($0.04{\pm}0.04$) pg $WHO_{2005}$-TEQ $g^{-1}$ ww, and 0.05 to 0.29($0.13{\pm}0.06$) ng $g^{-1}$ ww, respectively. The levels of total dioxins(PCDD/Fs+DLPCBs) and PBDEs in sediments from East and South sea were four to seven times higher than those from West sea. PCDD/Fs had dominant contribution(mean, 94%) for TEQ concentration in sediment, whereas relatively higher contribution of DLPCBs(33%) were shown in culturing organism than sediment. BDE209 was a dominant congener in both matrix. The concentrations of PCDD/Fs, DLPCBs and PBDEs were in decreasing trends in Korea coasts compared to previous results.

      • KCI등재

        폐TV 내 PBDEs의 전과정 단계별 정적 및 동적 물질흐름분석 연구

        박휘언,장용철,김현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20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37 No.4

        In this study, a static and dynamic material flow analysis (MFA) of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PBDEs) emittedfrom end-of-life televisions (TVs) was conducted by examining their life cycle. Domestic end-of-life TV waste generationwas approximately 200,900 tons. Among them, 42,000 tons of the TV waste was treated in formal ways, but 18,000 tonsof the TV waste was treated in informal ways. About 94 tons and 36 tons of PBDEs were emitted from the TV productionand use stages, respectively. The amount of PBDEs that are separated from the TV recycling facilities was approximately57 tons. Cumulative amounts of PBDEs at the production stage was 18,176 tons. Since 2016 there has been no reportof PBDEs emitted from cathode ray tube (CRT) TVs during their usage. It was estimated that by 2030 the amount ofPBDEs generated from liquid-crystal display (LCD) TVs will be about 39 tons. In the collection and recycling stages,the overall PBDEs emissions were minimum in 2017. The generation of PBDEs emitted from CRT TVs has beendecreasing linearly from 2001 to 2017. The predicted emission of PBDEs by LCD TVs will be 37 tons by 2030. Thisstudy may help develop a management strategy to properly treat TV wastes. 없음

      • 폐가전제품 내 PBDEs의 물질흐름과 예상 발생량 연구 - TV제품 중심으로 -

        이승훈,장용철,이승욱,고영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한국전자산업환경협회 자료에 따르면, 한해 발생되는 폐TV는 2012년에 약 3만 톤에 이른다. 폐TV의 발생량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폐TV에는 각종 유가자원과 유가금속 뿐만 아니라 여러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적정한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2000년 이전 생산된 TV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플라스틱 물질에는 브롬화 난연제가 함유되어 있어 잠재적 환경 영향과 노출이 우려된다. EU에서는 2006년에 RoHS 지침을 통해 가전제품 내 난연제 중 PBDEs의 농도를 0.1%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생산된 가전제품은 PBDEs 함유량이 매우 적은 반면, RoHS 지침이 시행되기 이전의 가전제품이 폐기되어 발생되면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는 폐가전제품에 포함된 플라스틱 내 브롬화 난연제의 자료가 해외에 비해 부족한 실정으로 향후 관련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그 흐름과 정량적인 데이터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데이터와 문헌조사를 활용하고 전문가 자문을 구해 폐TV의 PBDEs 물질흐름분석을 수행하였다. 재활용 및 폐기 단계의 폐가전제품의 통계데이터 구축이 미흡하여 많은 부분에서 가정 조건이 사용되었다. 물질흐름분석은 정적 물질흐름분석과 동적 물질흐름분석을 나누어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적 물질흐름분석을 통해 TV 내 PBDEs의 전생애 주기(life cycle) 단계별 물질흐름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동적 물질흐름분석을 통해 향후 2020년까지 TV 내 PBDEs의 발생량과 축적량 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정적 물질흐름분석 수행 결과로는 2011년에 재활용된 폐TV 플라스틱 내 PBDEs는 135.06 ton으로 분석되었으며, 주로 건설자재와 재생펠렛으로 재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동적 물질흐름분석 수행 결과로는 2003년 이후 TV 플라스틱 내 PBDEs의 양이 감소하여 2018년에 1.09 ton으로 줄어들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