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방형 임용제도의 성과인식 및 만족도의 영향요인

        최순영(Choi, Soonyoung),조임곤(Cho, Im Gon) 서울행정학회 201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4 No.1

        "공직 개방성의 성과 인식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하는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이들 요인을 크게 외생변수로서 문화 및 정책적 요인과 내생변수로서 개인적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모형을 설정하였다. 문화 및 정책적 요인은 성과지향적 조직문화와 정실주의, 적극적 모집 및 임용절차, 보상 및 성과관리, 업무환경으로 구분하고 개인적 요인은 역량, 동기부여, 책임성으로 구분하여, 이를 토대로 설문조사를 설계하였다. 개방형 공무원과 개방형 공무원의 동료, 부하, 상급자, 인사담당공무원 등 공채 출신 공무원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에 대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한 AMOS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개방형 임용제도의 성과 인식 및 만족도에 미치는 가장 큰 영향요인은 적극적 모집 및 임용절차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개인의 성과, 정실주의 극복, 업무환경, 개방형임용자의 역량 순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요인은 문화 및 정책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 내생변수이기 때문에 정책제안에서 시사점을 줄 수 있는 것은 문화 및 정책적 요인이다. 따라서 개방형 임용제도의 성과인식 및 만족도를 개선하기 위해 가장 시급히 개선해야 할 것은 적극적 모집 및 임용절차이며, 다음으로 정실주의 극복, 업무환경의 개선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eterminants of performanc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openness in the civil service. The analytical model consists of two dimensions of determinant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first dimension is comprised of culture and policy as exogenous variables, while the second dimension includ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endogenous variables. The culture and policy dimension is composed of four variables: (1) performance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patronage or spoils systems, (2) recruitment and appointment process, (3) reward and performance management, and (4) work environment, The individual dimension is composed of three variables: (1) competence, (2) motivation, and (3) responsibility. This study is based on a survey of 290 government employees, stratified by agency type. Responses were received from open position senior civil service appointees, contract based employees, and other related employe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 a positive recruitment and appointment procedures to have the largest impact upon employees’ performanc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openness, followed by individual performance, overcoming patronage, work environment, and competencies of open position appointe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ory through identifying determinants of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openness in the civil service, and testing their relative influenc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KCI등재

        공직자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분석: 개방형 직위 임용자를 대상으로

        유상엽,한승주 한국인사행정학회 2017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6 No.4

        This study analyzes determinants of turnover intention of public officials employed in the open-positions. Based on survey data obtained from 100 the open-position appointees in the central government, the results show that their turnover intention is influenced by difficulty in collaborating with work-partne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ore the open-position appointees feel difficulty in collaborating with work-partners (in particular, colleagues inside the government), the higher their turnover intention is.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turnover intention, whereas their professionalism does not have relationship with the turnover intention statistically. Theses findings suggest that the collaboration problems of the open-position appointees should be solved out in order to decrease their turnover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