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이야기 속「oni」의 우리말 번역 이대로 좋은가? - 문화소 번역의 관점에서 -

        정일영,정의상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41 No.-

        여러 분야 학자들의 문제제기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광복 후 70여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의 도깨비로 둔갑한 일본의 oni 이미지를 털어내지 못하고 있는 이유가 일제강점기에 덧씌워진 oni 이미지 때문만이 아닌, oni의 번역어 선택에도 있는 것은 아닐까하는 의구심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이에 연구자들은 한국 도깨비와 일본 oni 사용의 혼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어휘는 무엇인지를 고찰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삼아, 논문의 2장에서 우리의 역사 속에서 도깨비라는 어휘가 등장하게 되기까지와 일제강점기 妖怪(鬼)가 도깨비라는 번역어로 등장하게 되기까지를 살펴보았고, 3장에서는 문화소 번역의 관점에서 인터넷 웹 사이트에서는 oni의 번역어로 어떤 어휘들이 사용되고 있고, 번역가들은 일본 동화 속 oni의 번역어로 어떤 어휘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우리의 인터넷 웹 사이트와 일본 동화 번역서에는 권정생 선생이 우려했던 바와 같이 oni의 번역어로 도깨비나 귀신을 혼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고, 그 선택에 있어도 일관성이 없었으며, 글 쓰는 이나 번역하는 이의 의지나 식견에 따라 어휘 선택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본어를 음차번역하여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매우 꺼리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지만, 우리의 도깨비와 일본어 oni의 혼용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음차번역을 통한 이국화 전략을 활용하여 일본어 oni를 한글 ‘오니’로 표기할 것을 제안한다. Despite the presentation of a problem and efforts of many scholars, even after 70 years since the liberation, the reason why we have not been able to rid the public of the notion that the hobgoblin is Japanese is not only due to the oni image superimposed o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study suggests that it may be in the choice of oni’s translated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ocabulary that minimizes the confusion of the Korean hobgoblin and the Japanese oni use. In Chapter 2, we looked at usage of the word hobgoblin in our history until the appearance of hobgoblin a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a translation of hobgoblin. In Chapter 3, we examined the prevalence of the Japanese translation ‘oni’ compared to the original Korean hobgoblin of the online, and the translators used the oni as a translation of Japanese fairy tale. As a result, on the websites and Japanese fairy tale translations, Kwon Jung sang teacher was worried about the translating oni as hobgoblin and ghost, and there were many inconsistencies in his choice. The choice of oni or hobgoblin changes according to the will or insight of the translator. It is our reality that we are reluctant to use Japanese translation as it is. However, in order to prevent confusing our hobgoblin and Japanese oni, we propose to use Japanese translation method to translate Japanese oni into Hangul ‘oni’.

      • KCI등재

        『화엄연기(華嚴緣起)』에 그려진 오니(鬼)

        도노마에아키코 ( Donomae Akiko ) 연민학회 2018 연민학지 Vol.29 No.-

        The Painting of Wonhyo (元曉繪) scroll of the Kegon Enki (華嚴緣起), said to have been written by the early Kamakura monk Myoe, features an oni (鬼, demon) next to the sleeping Wonhyo and Uisang. In this story, the pair are on their way to Tang China and take shelter in a cave out of the rain to spend the night. However, an oni appears in their dreams and they forgo their journey. The oni appeared in their dreams after they had seen human bones scattered everywhere on their second day of the trip. Thereupon the oni does not appear again after Wonhyo’s decision, and he becomes enlightened; in other words, the oni’s appearance was the trigger for his Buddhist enlightenment. However, in the legend widely known in Korea, Wonhyo drinks water from a skull to quench his thirst. This account differs, of course, as it comes from another source, but also because the concept of oni differs from that of Japan’s. That is, the oni in the painting is extremely Japanese, and it can be surmised that Myoe projected himself in the image of Wonhyo and in the scroll. Examining ancient Japanese literature and painting scrolls shows that oni were not depicted as they are currently, but only took on this form due to appearance of prison guards in Korean translations of the Buddhist canon. oni in Japan sometimes took on the form of traitors, beings ostracized by the central government, or jealous female lovers. Seen in this light, while the oni depicted in this painting scroll looks like a prison guard, it could also be read as anti-establishment symbol or the image of Koguryo, an enemy state. Moreover, Myoe’s depiction of the oni could have been based on his mixed feelings of love and hate for his mother, who he lost at an early age and viewed in the image of the Buddha Locani. Myoe also sought to help widows who lost their husbands in war due to his enduring love for his mother. Although women could not attain Buddhahood no matter their efforts at self-cultivation, to Myoe, who sought to save them, the oni had the dual significance as his mother’s image.

      • KCI등재

        若者ことば「鬼」の史的変遷

        李知殷(Lee, Jee-Eun) 한국일본문화학회 2019 日本文化學報 Vol.0 No.83

        This paper describes the historical change of Oni,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language spoken by the younger generation, one of the linguistic phenomena of modern Japanese. Oni first appeared as a noun with a meaningless spirit in the relative era. After that, the meaning was extended to the existence of tangibles in the middle ages, and it became an object of metaphor that ‘like an Oni’ was used. A prefix directly combines with an object that is ‘like an Oni’. This prefix began to be used in earnest in recent years; Particularly, it is a change of usage from the Wakamono kotoba, used by a certain generation after 1990. In Wakamono kotoba, the adjectives expressing emotions were combined to use Oni as adverbs.. The reason why Oni was able to settle down in the language of the younger generation is because of the humor and convenience of the language has.

      • 슈라노(修羅能)의 형성

        김현욱 ( Kim Hyeon-wook )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07 민족무용 Vol.11 No.-

        『헤이케모노가타리』에서 소재를 구한 인간의 내면을 묘사한 슈라노가 성립하기 이전에는 망령극, 즉 오니(鬼)의 극이 연희되고 있었다. 사루가쿠(猿樂)라 불리는 천민예능 집단이 연희했던 오니의 극 세계가 인간을 중심으로 한 극으로 이행되는 과정은 슈라노의 성립문제뿐 아니라 노의 성립과도 긴밀히 관련되어 있다. 가마쿠라(鎌倉) 시대(1192~1333년) 후기에 성립한 노는 근대시대에 이르기 전까지는 사루가쿠(猿樂)라 불려 왔다. 이 사루가쿠 연희집단은 13세기에 전국의 주요 사찰에서 행하는 슈쇼에(修正会)와 슈니에(修二会) 같은 국가적인 종교·주술적인 의례공간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이제까지의 사루가쿠와는 크게 다른 극 형태를 새로이 탄생시켰다. 사루가쿠는 슈쇼에·슈니에에 있어서 법회를 마감하는 중요한 행사인 ‘추나(追儺)’라는 의례에 있어서 가면을 쓰고 선악(善惡)의 두 오니 역, 즉 쫓고 쫓기는 역할의 오니를 연기하였다. 노의 직접적인 원류인 오키나사루가쿠는 오키나(翁) 가면을 신체로 여기며 예능의 신으로서 받들 뿐 아니라 무대 위에서 오키나 가면을 착용하는 동시에 신격화되어 주술적인 힘을 발휘한다고 믿었다. 이 오키나 가면의 유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사루가쿠 집단이 가면을 이용한 극을 성립시키는 과정을 슈쇼에·슈니에의 추나 의례와 관련지어 생각할 수 있다. 왜냐하면 추나 의례에 있어서 쫓고 쫓기던 역할의 오니를 연기하기 위하여 모두 가면을 쓰고 등장하였다는 점을 간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초기의 노 작품들이 귀신·도깨비·망령 등이 등장하는 오니노 계통이라는 점은 오키나사루가쿠의 오키나와 같은 주술적인 존재가 분화하면서 거기에 스토리가 첨가되는 형태로 노가 성립했을 것이라는 추측을 가능케 한다. 초기의 오니노에는 지옥에 떨어진 망령들을 구제한다고 하는 공통된 테마가 반복되고 있다. 이른바 노의 세계에서 ‘지옥극(地獄劇)’이라 불리는 작품군이다. 노에 있어서 지옥으로 떨어진 망령을 구제한다고 하는 발상은 당시의 ‘권진 사루가쿠(勧進猿樂)’의 장을 통해 획득했을 가능성이 크다. 일본의 중세에 있어서 권진(勧進)이란 사찰 건립·교량·도로 등을 정비·보수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기부를 모금하는 행위이다. 기부의 공덕으로 망자의 극락왕생 혹은 자신의 사후 극락왕생을 약속받게 된다. 권진이라는 종교적인 공간은 주술적인 사루가쿠가 인간 중심의 극을 창작할 수 있는 계기를 부여하고 그들의 예술적 도약에 대대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권진 히지리의 설교를 보완하는 협력관계에 있던 사루가쿠 집단이 지옥의 고통을 그리는 내용의 창도극(唱導劇)을 연기했던 경험이 지옥의 오니노를 생성시키는 데 커다란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하지만 노가 제아미 시대에 이르러 극도로 양식화된 드라마로서 완성되기까지의 과정에는 오니노에서 슈라노라는 또 한 번의 점프가 필요했다. 제아미라는 천재적인 극작가의 출현으로 슈라노는 수라의 고통을 그리는 권진 노적인 요소에서 탈피하여 예술적인 풍아한 세계를 연출하기에 이른다. 노가 추구하는 미의식은 요시미쓰의 헤이안 귀족문화에 대한 동경과 깊이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요시미쓰와 제아미의 관계가 오니 노와 흡사한 고슈라노(古修羅能)의 세계를 풍아한 슈라노로 전환시키는 계기를 만들었던 것이다. 오니의 예능에서 오키나사루가쿠를 탄생시킨 이후, 인간 중심의 극으로 거듭나는 과정에서 스토리를 필요로 했던 사루가쿠는 권진이라는 공간을 통해 다양한 불교설화에 접하면서 신령의 가시화인 오니와 오키나가 아닌 인간의 망집을 다양하게 그려낸 노를 완성하기에 이른다. 물론 인간 중심의 극으로의 발전은 슈라노에 국한되는 문제는 아니다. A so-called "Oni(鬼)" play had been performed before Syura Nho(修羅能) that described the man inside was approved. The problem of shifting as a play for the world of "Oni" play that the public entertainments group that was called "Sarugaku(猿楽)" performed to center on man is related with not only the approval of Syura Nou but also the approval of the ability. The Sarugaku group invented the form of a play different from the current Sarugaku by participating in the religious etiquette opened in the temple in 13 century. The Sarugaku performed the Oni and the Oni who was the symbol of evil, and it drove away and both of post were performed. The Okina(翁) who was personally the root of the ability assumed the Okina masku to be a god, and worshiped it as a god of public entertainments. It is related though it is not known about the origin on the Okina mask with the etiquette of the temple in which an Sarugaku has participated. Because to do Oni's role in etiquette, Oni's mask was worn. The No is approved, and the play to relieve the revenant who landed in hell is most in the first stage. There is such "Zigoku(地獄)play" because of an Kanzin(勧進) Sarugaku. Kazin can relieve the ancestor who landed in hell by contributing it, and the person in question can also relieve it. The Sarugaku might put story from an enchantment space of essentiality in the hand, and make the play at the man center. In a word,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Syodogeki(唱導劇)" that drew suffering of the 0ni's Nho(能) influenced approval. However, it is necessary to have jumped another times by the time Nho shown now was completed. It is appearance of the genius "Zeami(世阿弥)". Zeami was able to reflect the hope for the samurai group that yearns to an aristocratic culture positively, and to create "Syura Nho" at the man center. It can be said that a variety of Buddhism theories are taken after Okina is born from Oni's public entertainments, and the generation of Syura Nho was reborn as the play at the man center. Of course, this process is not a problem of applying only to Syura Nho.

      • KCI등재

        어문학 : 『곤자쿠모노가타리슈』에 나타난 노인관

        김지영 ( Ji Young Kim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0 No.49

        본고는 일본고대설화집 『곤자쿠모노가타리슈(今昔物語集)』(이하 『곤자쿠』라고 함)를 중심으로 그에 나타난 노인의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노인의 이미지를 통해서 수명, 죽음, 늙음 등에 대한 당대인들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 이는 요즘 사회문제화되고 있는 고령화사회의 노인문제와도 연결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남성노인의 호칭인 오키나는 사회적으로 지방 수령, 무사, 학자 등으로 상당한 요직에서 활약하며, 80세가 넘어도 교토와 지방 등을 오가며 왕성한 활동을 한다. 반면 여성노인의 호칭인 오우나는 뇨보(女房), 하녀, 유모 등으로 궁정과 집안에서 보조적이고 한정된 활동을 한다. 오키나는 신불(神佛)의 현신(現身), 신적인 능력을 지닌 샤먼, 존경받는 고승의 이미지를 가지는가 하면 어릿광대나 바보의 이미지의 양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양면은 당시 불교를 전파하고 있는 승려들의 이미지를 상승시키면서 교화의 효과를 강화하는 역할과 당시 지방의 수령, 학자, 의사들의 추태나 비판을 담아풍자하거나 희화화하여 민중들의 마음을 달래는 두 가지 역할을 하고 있다. 반면, 사회적으로 제한되고 한정된 활동을 보이는 오우나의 이미지는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자발적 은둔형은 초반에 가인(歌人)으로 귀족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다가 스스로 지방으로 은둔하여 외롭게 말년을 보내는 경우이다. 자발적으로 하는 배경에는 사회적으로 암묵적 이해가 따르는 듯하다. 둘째, 경제적 의존형은 주로 아들들에게 의존하여 말년을 보내는 이름 없는 노모들이 대부분이다. 스님이 된 아들을 둔 경우가 가장 따듯한 보살핌을 받다가 왕생을 이루는 경우로 꼽을 수 있고 나머지는 노모 부양을 거부하거나 버리거나 살해하려는 아들들이다. 이들이 불벌로 징계를 받는 사례들이 다수로 요즘 현대사회의 단면을 그대로 보는 듯하다. 마지막으로 오니형은 늙고 추하고 죽음에 가까워진 노파와 귀신의 이미지가 합체하여 성립된 이미지이다. 산속이나 라쇼몬 같은 낯설고 외딴곳에서 예상의외로 친절한 노파가 갑자기 오니로 변하는 경우와, 어머니가 돌연 오니로 변하여 아들들을 잡아먹으려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이는 낯설고 두려운 공포의 대상인 오니와 힘없고 나약한 이미지이다. 오로지 자식을 위해 희생만 하여온 노모의 억울함과 분노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이미지가 아닐까 여겨진다. 늙고 추하고 나약하고 죽음이 가까워진 인간이 두렵고 강하고 죽음을 초월한 존재인 오니로 변신하고 있다. 이는 가장 나약한 존재가 가장 강력한 존재로의 변신이다. 이것은 죽음과 늙음의 공포를 이겨내고 싶은 인간의 근본적 욕망이 만들어낸 변신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오키나, 오우나의 이미지에는 차이가 있다. 오키나의 경우는 사회적으로 개인적으로 욕망을 거침없이 표현하고 추구해가는 모습이 긍정적으로도 부정적으로도 그려지고 있다. 오우나의 경우는 대다수는 고립되고 의존적인 모습이지만 오니로의 변신은 인간의 공포와 욕망의 극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노인의 이미지는 후대의 문학에도 연결되어 오키나의 경우는 광대나 바보의 이미지가 더욱 확대되어 교겐(狂言)으로, 오우나의 경우는 노(能)의 애증과 집념의 오니로 진행되어 현대의 일본 공연예술 문화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show three types of images of old men and women appearing in Konjakumonogatarishu and how to classify them and how these images may influence modern literatures. We may show them through taking representative examples; a male old man Okina and female one Ouna. Okina takes part in active lives in Kyoto and other rural countries thanks to his former professions such as chiefs, Samurai and men of letters, while old woman Ouna takes part in limited jobs in the court and houses as a maid or cook. Okina may appear as a mixed images of Buddhist priest and Shamans with divine powers, and a high priest in addition to images of a foolish clown. Such two faces may add to the enlightenment of the high Buddha priest resulting in softening ordinary people``s mind by satirizing shameful conducts of local leaders such as civil servants, men of letters and doctors. Ouna may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isolate type, dependent and Oni. Isolate type may be retired as a single noble living her later life lonely. Dependent type may spend her later life as a mother by depending on her successful sons and other sons. An old woman having a priest son may spend a happiest later life enjoying her son``s caring and go after death to Nirvana. Most of the rest may be abandoned or worse killed by their sons. These evil sons may be punished by Buddha for want of filial piety. Oni may be tranformed into a spirit who appears as a poor and fearful woman in front of doors and words. In one example an old mother appears suddenly transformed as a Oni and try to devour her son. This example may show a mixed image of familiar mother and cruel Oni, which may show that a woman may be forced to be sacrificed and suppressed succeeding in finding an exit in Oni. But we cannot find an image of Buddhist Goddess of Mercy differing from Okina. Such kind of differences in male and female images appearing in the collection of Buddhist tales. Okina may be active and affirmative in expressing his passions at his will, while Ouna may appear as a woman who may hide her own passions and depend on her sons and daughters. Such a feeble old mother may transformed into a Oni in order to express her extreme passions. Ouna may be thought to have only one way to express her own depressed passions. These three types of images may oppear in literatures of following generations. Okina``s clownish facet may be developed into Kyogen but Ouna``s image may expanded into Various characters in modern No. The shadows of the images we have shown may be thought to cover the modern Japanese literature.

      • KCI등재

        초등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도깨비 형상 연구

        박기용(Park Ki-yong) 한국어문학회 2010 語文學 Vol.0 No.109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kkeabi figure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effected by Oni figures in Japan. Tokkeabi stories, which are fantasy stories for kids, give children interests and help them establish their identity. Korean language textbooks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up to this day show that there is a close affinity between Tokkeabi in Korea and Oni in Japan. In terms of some characteristics such as a horn, a face, a dress, accessories, and a magic club, Tokkeabi seems to have copied Oni. A certain group’s archetypal complex creates their own imaginative products. Korea is supposed to have its own archetypal objects, too. However, the department of Korea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n elementary school, still teaches students Oni figures instead of Korean own Tokkeabi even after 65 years from independence.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is situation distorts Korean tradition and damages its identity. Some scholars, who are aware of this problem, have created a new Tokkeabi figure, but they haven’t reflected archetypal Tokkeabi from old literature and legendry. So Tokkeabi that is inadequate should be improved. It is necessary that students be taught a proper tokkeabi figure expressing Korean identity.

      • KCI등재

        그림책에 나타난 도깨비의 시각적 표현 연구

        이하영,남윤태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7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8 No.51

        도깨비는 한국의 설화와 민담을 통해 전해 내려온 상상 속의 존재이다. 그러나 우리가 접하는 현대 도깨비의 모습은 한국의 것이 아닌 일본 요괴인 오니의 형상이다. 이에 학술연구와 미디어에서 도깨비의 왜곡된 정체성에 대한 이의를 제기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의가 제기된 후, 2013년과 2016년 사이 출간된 어린이 그림책을 대상으로 어린이 그림책속의 도깨비의 시각적 표현이 어떤 경향을 보이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먼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도깨비와 오니의 성격적, 외형적 차이를 파악한 후 이를 기준으로 어린이 그림책 속 도깨비의 시각 표현의 성향을 분류·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의 어린이 서고에 비치된 그림책 중‘도깨비’를 키워드로 하여 검색되는 단행본으로 하였다. 이 중 도깨비의 모습을 시각화하여 표현한 일러스트레이션이 포함된 그림책에 한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그림책 속의 도깨비는 일본의 오니의 모습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도깨비와 오니가 혼합된 형태의 도깨비나 한국 민담의 도깨비와 같이 사람의 모습을 닮은 도깨비의 표현도 낮지 않은 비율을 나타냈다. 이는 그림책 시장에서 도깨비를 표현함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의 움직임이 있음을 보여준다. 예측 가능한 도깨비의 시각화의 경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담의 도깨비와 같이 사람의 모습으로 도깨비로 표현하는 것 둘째, 기존의 오니와 한국 도깨비의 모습을 섞은 중간적인 표현의 시도 셋째, 기존에 없던 완전히 새로운 모습의 도깨비를 창작하는 것이다. 현재 그림책 속 한국 도깨비의 시각화는 그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도기적 단계이다. Dokkaebi is a mythical creature that lives in the imagination of Korean fairy tales. But the academia and, the mass media as well have criticized it, of which the visual representation has not traditionally identified with the Korean Dokkaebi, but with Japanese one, the Oni. This picture book study is envisaged as an enterprise critically observing its actual visual representation(2013-2016) after these doubtful public comments. The observation method is based on a comparative and historical description of Dokkaebi and Oni and intended to engage in exegesis of their various figures in picture books. The results show that the mis-representation problems are taken up again on the level of visual representation but with some moderated expressions between the two, which show a slice but positive movement of creation. The results lead us to the predictions on its visual representation as following; 1) to represent Dokkaebi in just the way it used to be 2) to represent Dokkaebi in the way it converses with the Oni 3) to represent Dokkaebi in the absolute new way.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Dokkaebi in on the period of transition which shows some positive aspects so as to make possible the predictions.

      • KCI등재

        설화에 나타난 일본의 오니(鬼)와 한국의 도깨비 비교 연구

        이광형 ( Kwang-hyung Lee ),김금숙 ( Gum-suk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論叢 Vol.56 No.-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일본의 오니(鬼) 설화 <배가 아픈 말>과 한국의 도깨비 설화 <도깨비와 싸워 이긴 소>의 서사 구조를 비교함으로써 두 텍스트의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배가 아픈 말>과 <도깨비와 싸워 이긴 소>의 서사 구조는 인간-동물-환상물이 삼각관계를 이룬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두 설화의 차이는 인물의 직업, 동물의 종류, 환상물의 형상이 다른 데서 생겨난다. <배가 아픈 말>에서 마바리꾼은 말의 배 속에 1년 동안 숨겨 주면 말에게 10배의 힘을 주겠다는 오니의 제안을 수락하고 계약을 이행한다. 갖은 고난을 이겨내고 계약을 완수한 말과 마바리꾼은 오니의 힘으로 천하제일의 말과 짐꾼으로 거듭난다. <도깨비와 싸워 이긴 소>에서 농부는 배고픔에 지쳐 소를 팔아 양식을 구하러 장에 가는 길에 도깨비를 만난다. 소를 주지 않으면 잡아먹겠다는 도깨비에게 농부는 소와 싸워 이기라는 내기를 제안한다. 뿔로 도깨비를 물리친 소는 집으로 돌아와 먼저 도망친 농부를 꾸짖고는 계속 한 집에서 농부의 극진한 대접을 받으며 생을 이어간다. 두 설화를 삼각형의 욕망에 따라 분석하면 <배가 아픈 말>에는 뛰어난 능력 획득을 통해 신분 상승을 이루고자 하는 욕망이, <도깨비와 싸워 이긴 소>는 재난 극복의 해학을 통해 고단한 삶이나마 지속해 나가고자 하는 욕망이 드러난다. This paper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exts by comparing the narrative structures of the Japanese folk tale "The Horse with a Stomachache" and the Korean folk tale "The Bull that Won Against a Dokkaebi". The epic structure of "The Horse with a Stomachache" is similar to that of "The Bull that Won Against a Dokkaebi" in that humans, animals and fantasy form a triangl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ales come from the fact that characters’ occupations, the types of animals and the shapes of fantasy are different. The packhorse driver of "The Horse with a Stomachache" accepts Oni's offer to give the horse 10 times the power if he hides it in the horse's stomach for a year and carries out the contract. After overcoming all the hardships and completing the contract, the horse and the packhorse driver are reborn as the world's best horse and porter thanks to Oni's power. The farmer of "The Bull that Won Against a Dokkaebi" goes to the market to sell his horse getting tired of hunger and happens to meet a dokkaebi on his way to the market. The dokkaebi threatens to eat the bull. So the farmer suggests to the dokkaebi that it should fight and defeat the bull. After having defeated the dokkaebi with its horns, the horse returns home and scolds the farmer who ran away first, and continues to live receiving the farmer’s hospitality in the same house. The analysis of the two tales according to the triangle of desire reveals the desire to achieve the rise of status by getting a outstanding ability in "The Horse with a Stomachache", and the desire to continue even a hard life by overcoming disasters humorously in “The Bull that Won Against a Dokkaebi".

      • KCI등재

        일본구전설화를 통해 본 아마테라스 오미카미(天照大神) 신앙

        이시준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7 일본학연구 Vol.52 No.-

        『고사기』『일본서기』의 신화는 이후 각 시대의 문화・사회적, 정치적, 사상적 환경에 맞추어 변용되고 재생산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신화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논의를 염두에 두고, 근대 이후에 채록된 구전설화에 나타난 아마테라스 상(像)과 신앙을 고찰하였다. 필자가 고찰한 테마는 ‘인간 창조와 오니와의 싸움’ ‘부적(신찰)’ ‘정해진 운명’ 등인데, 가능한 한 구전설화 속의 아마테라스 관련 전승을 망라해서, 그것을 어떻게 분류할 것인가에 주안점을 두었고, 더불어 현재의 구전설화와 그 이전의 문헌설화의 영향관계에 대해서도 밝히고자 하였다. 각각의 제재 속에 드러난 아마테라스는 때로는 희화화되어 상대를 교묘하게 속이는 존재로 그려지는가 하면, 신호(神號)가 쓰인 부적으로 통해 ‘복을 주는 신’으로 신앙되기도 하고, 때로는 갓파와 같은 마물로서 등장하기도 하는 다양한 신앙적 층위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Myths of 『kojiki』『nihonsyoki』 has been changed and reproduced according to the cultural, social, political and ideological environment of each age afterward. This study considered the discussion of chronological changes of these myths to research the image and faith of Amaterasu which have been appeared in oral stories narrated since modern times. The themes researched by the author include ‘Human creation and the battle with Oni’, ‘Amulet’, ‘Defined Destiny’, focused on how to classify by containing tradition related to Amaterasu in oral fables if possible, intend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t oral narrative and previous tales of literature. It was found Amaterasu revealed in each theme showed various religious aspects, sometimes secularized, described to be the existence who cleverly deceive their opponent, believed to be ‘a god who blesses’ through the talisman in which the name of god is written.

      • KCI등재

        日本古代文学における「物の気」 「鬼」を韓国語でどう翻訳すべきか - 韓国語版『源氏物語』の翻訳の例を中心に

        李市埈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8 비교일본학 Vol.43 No.-

        본고는 일본의 ‘모노노케’ ‘오니’를 어떻게 번역해야 할지에 대해서, 한국의 ‘귀신’의 개념에 주목하면서 한국어판 『겐지이야기』의 번역의 용례를 살펴보았다. 들여다봤다. 그 결과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한국어판『겐지이야기』의 경우, ‘모노노케’를 거의 전부 ‘귀신’으로 번역하고 있다. 필자는 병을 일으킨다는 ‘모노노케’의 성격을 부각시키는 의미에서, 정체를 모른 경우는 ‘병을 일으키는 귀신’으로 번역하고, 병을 일으킨 ‘모노노케’의 정체가 밝혀지고, 특히 그 사람의 원한이 명확하게 기술되고 있다면, ‘원령’이라고 번역하는 편이 글 뜻을 보다 명확히 전달할 수 있지 않을까 하고 제안했다. 한편, 한국어판 『겐지이야기』에서는 총 20사례의 ‘오니’를 전부 ‘귀신’으로 번역하고 있다. 그런데 필자가 예를 둔, 일화나 옛날이야기(소설)속에 등장하는 ‘오니’는 그 모습과 행동에 있어서 현실적이고 실체적이다. 통속적인 이미지의 ‘귀신’의 경우, 이러한 모습과 행동의 사례가 발견되지 않는 점, 또 헤이안 시대의 ‘오니’란 일종의 기호로서 그 이미지가 다양한 점 등을 염두에 두면, 무리하게 ‘귀신’으로 번역하기보다는 일본어 발음대로 ‘오니’라고 하는 편이 합리적이라고 제안했다. For many translators, it is often a confusing matter to translate a proper noun. In particular, the concept such as “mononoke” and “oni” is very different from country to country. This makes it a struggle for translators to think of the best suited transl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Korean translations of “mononoke” and “oni” from the Tale of Genji. This Korean version, focuses on the concept of “gwisi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the “gwisin” as it appeared in “Hanguk Gubi Munhak Daegye”. As a result, there are not many descriptions of how a “gwisin” looks, as it usually appears in the human form. Also, there are few examples of a “gwisin” as a subject of worship. Four -fifths of appearances, account for the cases in which the “gwisin” appears after a person has died. In addition, in more than half of cases, the “gwisin” appears as “a ghost of revenge”. Secondly, in the Korean version of the Tale of Genji, “mononoke” in most cases is translated as “gwisin”. However, in order to accurately convey the disease causing characteristics of the “gwisin”, “mononoke” should be translated as “the gwisin which is causing the disease” when it is not identifiable. In addition, if a grudge of a person is specifically illustrated, then “mononoke” would be better translated as “a ghost of revenge.” Lastly, 20 examples of “Oni” are all translated as “gwisin.” However, “oni” usually only appear in anecdotes and tales. This study picked up on a realistic “oni” in both its shape and behavior. It is not commonly found that the “gwisin” will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oni”. The “oni” in the Heian period is a kind of symbol that has a variety of images. Thus, it is suggested that the “oni” can be translated not as a “gwisin” but as an “oni” following its Japanese pronunciation in order to convey a more precise mea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