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n Exploration of Cursor Positioning Styles of One-Handed Mobile Camera Based Cursor Manipulation

        Liang Chen,Dongyi Chen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media and Ubiquitous Vol.10 No.9

        Mobile camera based interaction, which makes use of video input from the inbuilt camera, has been investigated to serve as a supplementary or alternative technique for direct touch manipulation on mobile devices to address usability issues such as the occlusion problem and fat finger problem. Despite some prototype systems have been designed and developed, we still do not possess a good understanding of many fundamental issues closely related to mobile camera based manipulation. In order to enrich this body of knowledge, we conducted a user study using Fitts’ reciprocal pointing tasks to explore different cursor positioning styles' influence on users' pointing performance in one-handed mobile camera based cursor manipu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yle of moving the cursor to the opposite direction to which the device moved outperformed the style of moving the cursor to the same direction in terms of both selection time and error rate, although the latte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former gained great popularity among participants.

      • KCI등재

        OverIT: An Interactive Overlay for Touchscreen-based UI Customization by Demonstration

        Lee, Kyungyeon,Chung, SeungA,Oh, Uran The Institute of Internet 2021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 Vol.10 No.3

        Smartphones have been widely used for various purposes and stay connected with people at all times. However, the use of such touchscreen devices can be physically restricted depending on users' context where only one hand is available to interact with the device. Even major smartphone manufacturers (e.g., Apple, Samsung) offer one handed mode, they still lack functions in the third-party applications, and the process is also complicated. We propose OverIT, a system that enables users to customize interfaces by adding new buttons on an interactive overlay which can be positioned anywhere on the touchscreen where each button serves the same functionality as an existing one. It is designed to support users to map a certain button event freely and easily to a newly created button by performing a demonstration of a button tap. We expect our system to improve the overall user experience of one-handed interaction with touchscreen devices.

      • KCI등재

        OverIT: An Interactive Overlay for Touchscreen-based UI Customization by Demonstration

        Kyungyeon Lee,SeungA Chung,Uran Oh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1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Vol.10 No.3

        Smartphones have been widely used for various purposes and stay connected with people at all times. However, the use of such touchscreen devices can be physically restricted depending on users' context where only one hand is available to interact with the device. Even major smartphone manufacturers (e.g., Apple, Samsung) offer one handed mode, they still lack functions in the third-party applications, and the process is also complicated. We propose OverIT, a system that enables users to customize interfaces by adding new buttons on an interactive overlay which can be positioned anywhere on the touchscreen where each button serves the same functionality as an existing one. It is designed to support users to map a certain button event freely and easily to a newly created button by performing a demonstration of a button tap. We expect our system to improve the overall user experience of one-handed interaction with touchscreen devices.

      • 한 손을 사용한 스마트폰 카메라 인터페이스의 사용성에 관한 연구

        송승현(Sunghyun Song),이지훈(Jihoon Lee),박민재(Minjae Park),오정균(Jungkyun Oh),조준동(Jun-dong Cho)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논문은 한 손으로 스마트폰 카메라의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경우, 각 메뉴 별 사용성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실험 방법은 태스크 수행을 통한 정량적 분석과 사용자 설문을 통한 정성적 방법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스마트폰 카메라 사용에 익숙한 피실험자들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정량적 분석 방법은 단계별 태스크를 부여하고 이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작 오류와 스마트폰을 떨어뜨리는 확률을 측정함으로써 편이성을 조사한 것이다. 조사 결과 확대축소, 환경설정, 포커스 기능들이 각 평균 8.04초, 8.08초, 7.47초로 소요되었고, 다른 기능 조작시간과 비교하여 수행시간이 길었다. 사진별 조작오류는 28.13%, 그리고 폰 드랍(drop) 확률이 3.13%로 측정되었다. 이 후, 정성적 분석을 위해 두 종류의 설문을 1~5점 척도로 수행하였다. 첫째는 한 손 조작으로 얻어진 사진의 품질만족도를 조사한 것으로 평균 2.29/5인 45.8%의 결과 값을 얻었다. 둘째는 카메라의 조작 용이성을 각 인터페이스별로 조사한 것이다. 확대축소가 1점, 환경설정이 1.5점, 포커스가 2점, 바로가기가 2.25점의 수치였으며, 이는 모두 ‘보통’이하의 점수이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카메라 인터페이스의 문제점을 규명하고, 새로운 인터페이스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와 더불어 향후 연구 과제로 사람의 요소를 고려한 편이성 측정 모델의 틀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is about the interface usability of the smartphone camera when it used by just one han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0 subjects who are familiar with using smartphone. A experiments were processed two types. one is quantitative analysis by performing tasks, another is qualitative analysis by doing a survey. To be specific, quantitative analysis is measuring how convenience user felt, through checking time to carry out, error rate and dropping rate after giving tasks to subjects. According to the result, it spends more time to use the functions of the zoom, the configuration and the focus than the others, 8.04, 8.08 and 7.47 seconds on average. Plus, error rate was 28.13% and dropping rate is 3.13% in each picture. Then, we carried out two questionnaires which are consisted of 1~5 point scales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First one is the user satisfaction research about the picture’s quality. It was 2.29 point on average (45.8%). Second, it is research of people’s usability, handling each interface of the camera. Zoom is 1 point, configuration is 1.5 point, focus is 2 point and quick menu is 2.25 point. All these points are under the 3 (normal) score. Through this, we bring out the problem of the smartphone camera interface distinctly and suggest necessity of the new interface. Added to this, we propose the model of the measuring convenience considering the human factor as our future work.

      • 한 손을 사용한 스마트폰 카메라의 인터랙션에 관한 연구

        민모란(Moran Min),이기혁(Geehyuk Lee)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현재 스마트폰의 트렌드는 화면의 대형화와 베젤리스(bezel-less)이다. 이는 스마트폰 본연의 기능인 전화나 메신저 외에도 동영상 감상이나 게임등의 엔터테인먼트 소비가 갈수록 증가함에 따라서 화면크기, SBR(Screen to Body Ratio)값을 키움으로써 소비자들에게 큰 화면으로 좀 더 콘텐츠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현재의 스마트폰 카메라의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조작함에 있어서 불편한 점이 없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실시한 사용자 스터디에서는 여러 가지 finding 이 있었지만 그 중에서 한 손 조작에 따른 인터랙션의 문제로 인한 불편한 점이 두드러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시킬 수 있는 세 가지 Design Goal 을 도출하여 이를 모두 만족하는 두 가지 대안을 설계하여 어플리케이션형태의 워킹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이렇게 제작한 프로토타입을 이용하여 NASA TLX, Likert Scale Questionnaire, Open- Ended Question 을 활용하여 사용자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카메라 인터페이스 대비 새로운 프로토타입에서 Shutter 기능을 제외한 Zoom, Focus 기능의 심리적 부하 점수는 줄어들었으며, 조작용이성과 만족도에서는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