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ㆍ중 경제관계와 `일대일로(一帶一路)` 대응방향

        곽복선 ( Kwag Bok Sun ) 현대중국학회 2016 現代中國硏究 Vol.18 No.3

        이 글은 한·중 경제관계와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에 대한 한국의 대응 방향을 분석한다. 중국정부가 2013년부터 추진해오고 있는 일대일로 전략에 대해 국내외 자료들은 주로 미·중의 세력 재균형, 사회간접자본 건설, 자원, 물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연계 등 시각에서 다루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각을 달리하여 한국과 중국, 한국과 일대일로 국가들과의 무역, 투자 현황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입장에서 일대일로전략에 대한 대응방향을 찾아보았다. 분석결과 한국의 입장에서 일대일로 국가들은 중국과 같은 정도의 중요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 국가들에 대한 진출은 중국이 주도하는 일대일로의 프레임 안에서의 신규 진출과 프레임 밖에서 기존의 진출을 확대하는 것이 모두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의 진출이 부진하거나 중국의 주도권이 강한 지역에서는 중국과의 협력기반을 통해 진출해야하며, 동남아시아와 같이 기존의 경제협력 관계가 많은 지역은 기본적으로 한국의 독자적 진출가능 영역을 심화 확대하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중국과의 협력진출이 필요한 지역에서는 중국을 통해 현지 정부, 기업과 협력 프레임을 만드는 방향을 모색해야 하며, 가능한 경우 무역과 투자 자유화의 수준을 높이는 FTA같은 협력 프레임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 일대일로와 관련 중국 자체에 대한 한국의 대응방향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일대일로의 연결을 현실화하는 것은 물론, 서부지역과 푸젠성(福建省) 등 중국 내부의 일대일로 건설 중점지역에서의 중국과의 경제협력을 실제화 하는 것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중국과는 이미 이루어져있는 한·중 FTA라는 경제교류 자유화 프레임을 강화하는 방향에 초점이 주어져야 하며, 이러한 협력기반 위에 일대일로 국가들에서 양국 경제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Korea-China economic relations and counter measures for Korea on China`s One Belt & One Road strategy. On One Belt & One Road strategy which is being pushed forward by China since 2013, many domestic and foreign papers mainly handle it from a viewpoint of power rebalancing between USA and China, SOC projects, energy resources development, logistic channels, Eurasia initiative etc. This paper studied comparatively on situations of trade volumes and FDI both of Korea-China and Korea-One Belt & One Road countries and tried to find out counter measures for Korea different from existing angles on One Belt & One Road strategy. As a result of analysis, it is known that One Belt & One Road countries have a same importance as China from Korea`s viewpoint. So, Korea should try to expand market developments in these countries within frame of One Belt & One Road led by China`s initiative and at the same time try to strengthen already existing footholds in those countries outside from that frame. Therefore, it is suggested as follows. In those countries where Korea has a weak basis or China has a great influence, Korea should enter those countries through cooperative relations with China and in those countries where Korea has established a good basis of economic cooperations as like ASEAN countries, Korea should expand and deepen her own domains regardless of China. In those regions where demand cooperative entering with China, Korea should construct cooperation frame with those countries` governments and companies through cooperative basis with China. and try to establish cooperative frames to promote level of liberalization on trade and investment as like FTA with them. Within China territory, Korea should try to connect Eurasia initiative and One Belt & One Road project and substantialize economic cooperations with China in core regions for One Belt & One Road project as like China`s western provinces and Fujian province. In addition to those cooperations, Korea should try to strengthen Korea-China FTA as a basic frame for economic exchange liberalization and on such basis, make an effort to create economic cooperations with China in One Belt & One Road countries.

      • KCI등재

        구글트렌드를 활용한 중국의 일대일로의 국제성 분석

        김세윤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ternationality" of China's One Belt One Road and its correlation with the performanc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main research question in this study is whether China's One Belt One Road, which stands up for the historicality and legitimacy of the "Old Silk Road," has the same internationality as the "Old Silk Road," which served as a shared asset across a wide range of multinational regions in the past. From this question, this study established two hypotheses: "China's One Belt and One Road has internationalit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fluences internationality of One Belt and One Road." As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mainly utilized big data tools using Google Trends, a search portal site that accounts for 90% of the world's internet portal searches as of May 2018. In addition, this study used literature review and status analysis. A literature review confirmed that Chin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ioneering and development of the Silk Road, which led to the development of brilliant human history by providing important channels for the propagation and connection of cultural objects in the East and West, and that China's One Belt One Road has secured internationality by advocating the succession of the historicality of the ancient Silk Road. Through big data analysis using Google Trends, it has been confirmed that world’s interest in "One Belt One Road" is distributed in most parts of the world, except in some areas, and that the interest in "One Belt One Road" has gradually acquired "internationality" since 2016 as it has showed co-movement with "Silk Road." According to the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the results of Google Trends analysis and the One Belt One Road international cooperation report, it has been confirmed that international cooperation, such as holding One Belt One Road international events and signing international agreements, has an effect on promoting the internationality of One Belt One Road all around world, but there is a limit to staying in temporary effect. By utilizing the big data analysis method using Google Trends, this study presented the direction in establishing not only the strategy of One Belt One Road, an international project of China, but also the methodology of verifying the "internationality" of the international project. 본 논문의 목적은 중국의 일대일로에 대한 국제성 여부 및 국제협력 성과와의 상관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문제는 ‘고대 실크로드’라는 역사성에 근거와 정당성을 표방한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가 과거 광범위한 다국적 지역에 걸쳐 공유자산으로서의 역할을 했던 고대 실크로드와 같은 국제성을 가지는가이다. 이로부터두 가지의 가설 즉 ‘중국의 일대일로가 국제성을 가진다’와 ‘국제협력이 일대일로의 국제성에 영향을 미친다’를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전 세계 검색량의 90%를 차지하고 있는1) 검색 포털사이트인 구글이 제공하는 구글트렌드에 의한 빅데이터 툴을 주로활용하고, 이와 함께 문헌고찰 및 현황분석을 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당시 동서양의 문물의 전파와 연결에 중요한 통로를 제공하여 찬란한 인류역사의 발전을 이끌었던 실크로드의 개척과 발전에 중국이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확인했고, 중국의 일대일로가 고대실크로드의 역사성 계승을 표방함으로써 국제성을 확보해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구글트렌드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의하면 일대일로에 대한 관심도가 일부지역을 제외한 전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 분포되어 있고, 관심도 추이가 2015년부터 서서히 높아지면서 2016년부터는 실크로드에 대한 관심도와 동조화 현상을 보이면서, 점차국제성을 획득해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글트렌드 분석 결과와 일대일로 국제협력현황 자료 비교를 통해 일대일로 관련 국제행사 개최 및 국제협약 체결 등의 국제협력이일대일로의 국제성을 촉진하는 데 영향을 미치나, 다소 일회성의 한계를 가진다는 것이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구글트레드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방법을 활용함으로써 국제적 프로젝트의 국제성 검증의 방법론과 함께 중국의 국제적 프로젝트인 일대일로의 전략 수립에 있어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국의 대(對)아세안 국제개발협력과 일대일로구상

        윤진 ( Yin Jin ),이권호 ( Lee Kwon Ho ) 한중사회과학학회 2021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9 No.4

        중국은 OECD DAC의 회원국은 아니지만 국제개발협력의 분야의 강력한 신흥공여국으로 등장하고 있다. 2013년 일대일로구상을 발표하면서 중국은 국제개발협력을 지렛대로 활용하면서 중국의 국가이익과 대외정책을 추진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일대일로의 해상실크로드의 연선에 있는 아세안 국가들은 중국의 국제개발협력의 주요한 대상 국가이다. 중국의 대아세안 개발협력의 동기와 규모 및 형태의 분석을 통해 중국의 국제개발협력의 목적과 성격을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연구목적이다. 본 논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여국의 일반적인 국제개발협력의 목적 범주를 가설하고, 이 가설에 기초하여 중국의 아세안 개발협력 사례를 분석한다. 특히 중국은 일대일로구상의 핵심 목표를 ‘5통’으로 설정하고 있는데, 5통의 각 내용에 기초하여 중국의 대 아세안 개발협력 사례를 조사한다. 과거 중국의 아세안 국가들에 대한 국제개발협력이 농후한 정치외교적 동기에 기초했다면, 2013년 일대일로구상의 발표 이후 중국의 대 아세안 정책은 경제 동반성장과 인도주의적 목적의 국제개발협력 형태로 포장되어 간다는 것이다. 일대일로구상의 5통정책에 대하여 일부 비판의 목소리도 있지만 수원국 국민들로부터 상당한 지지를 받고 있으며, 아세안 국가들은 중국과의 더욱 긴밀한 경제협력 관계 구축을 모색하고 있다. Although China is not a member of the OECD DAC, it has emerged as a strong emerging donor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hen China announced its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in 2013, it is showing a tendency to us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s leverage and pursue its national interests and foreign policies. In particular, ASEAN countries along the Maritime Silk Road of the One Belt One Road are the major targets of Chin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purpose and nature of Chin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rough analysis of the motive, scale and form into China’s ASEAN development cooper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paper, we hypothesize the objective category of general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donor countries and analyze the case of ASEAN development cooperation in China based on this hypothesis. In particular, China sets a key goal of the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as “Five Tongs,” which investigates China’s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ASEAN based on each of the five contents. In addition, the government will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China’s support cases and the hypothesis for the four main purpose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o reveal the performance and nature of China’s ASEAN development cooperation. In the past, Chin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ASEAN countries was based on rich political and diplomatic motives, but since the announcement of the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in 2013, China’s policy has gradually changed to economic shared growth and humanitaria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ere are some criticisms of the One Belt One Road Initiative’s Five Tongs Policy, but it has received considerable support from the people of the recipient country, and ASEAN countries are seeking closer economic cooperation with China.

      • KCI등재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과 해외 유학생 유치 고찰

        황지유,김병철 대한중국학회 2019 중국학 Vol.69 No.-

        The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announced in 2013 aims to build peaceful economic partnerships for countries in the region by implementing the old Silk Road. When the initiative was announced, all ministries, local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responded by announcing relevant policies that were appropriate for their respective situations. At the Ministry level,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strengthened its policy of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and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education sector. The Ministry of Education will be able to receive various supports, which includes scholarship support to attract international students thanks to its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As a result, China has become Asia‘s largest destination for studying abroad with the great expansion of its size. The strategic intercollegiate alliance signed with universities in ‘One Belt One Road’ countries has been expanded to 174 universities worldwide. It has also greatly achieved globalization, which includes the signing of mutual certification agreements for university degrees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on-board countries, the expansion of Confucius Academy and the establishment of a joint laboratory. There has been a positive change in quality with the number of students from Europe and the U.S.A. with the number of students studying in degree courses exceeding 52 percent. However, there are still problems such as many non-degree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studying abroad on scholarships and low quality of student. However, it is regarded to be a good example to work together on the national agenda with all ministries, local government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t is hoped that our government is also able to spend more money to attract more international students, given that it is a strong expression of its will to carry out its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through full budget support. Finally, if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was agreed to the spirit of ‘One Belt One Road’ by signing an agreement, it was added as a ‘One Belt One Road’ country. South Korea also signed an agreement in 2015 and was added as a ‘One Belt One Road’ country. Through these efforts, China has been able to form ‘One Belt One Road’ partnerships with twice as many countries as the original treaty states. It is hoped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South Korea makes it possible to attract 200,000 students by 2023. 본 논문은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 속에서 해외 유학생 유치를 어떻게 해나가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펼쳐나갈 것인지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유학생 정책은 ‘일대일로’ 구상에 있어서 매우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바로, 중국과 ‘일대일로’ 선상 국가들과의 교육 협력 및 교육 개방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교육부에서는 유학생 유치를 위해 ‘일대일로’ 장학금 지원 등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이에 유학생 규모가 크게 확대되어 아시아 최대의 유학 대상국이 되었으며, ‘일대일로’ 선상 국가의 대학들과 체결한 대학 간 전략적 연맹이 전 세계 174개 대학으로 확대되었다. 중국의 정책 방향의 수립과 각 부서 간의 공동 노력, 전폭적인 예산 지원 및 원칙과 확장성 등 중국의 ‘일대일로’ 유학 정책의 추진 과정을 통해서 2015년부터 ‘일대일로’ 국가로 추가된 한국 역시 중국의 경우를 거울삼아 유학생 정책을 어떻게 세워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一帶一路와 한-중 FTA가 새만금사업에 주는 법제적 시사점

        김명아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15 韓中關係硏究 Vol.1 No.2

        중국은 최근 일대일로(一带一路; One Belt and One Road) 구상을 빠른 속도로 구체화해 나가고 있으며, AIIB 창설과 함께 민간참여가 가능한 실크로드기금 조성을 통하여 일대일로 에 필요한 자금 융통 방안을 구축해가고 있다. 중국은 일대일로의 방향을 각 관련국의 경제전 략과 상호연계하여 비교우위산업 간 협력을 추진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2015년 6월 1일 한중FTA 서명식에서는 한중FTA가 일대일로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연 결고리가 될 것임을 확인한 바 있으며, 이에 향후 한중FTA를 통한 양국의 구체적인 경제협력 방향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중FTA는 서비스분야 및 투자분야 등의 후속협상을 예정하고 있기 때문에 미래지향적인 FTA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후의 후속협상 과정에서 양국 지방경제협력 시범지역 운영과 한중산업단지 조성 방식을 통한 다양한 협력사업을 통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협상의 방향을 정해 가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중FTA 협정문 제17장 경제협력 제17.26조에서는 한-중 산업단지/공업원 지정 및 협력에 관한 사항을 두고 있으며, 2015년 6월 22일 한국측은 새만금을 한중 산업단지로 운영하기로 한 바 있다. 새만금 한중경제협력단지 내에 설치되는 한중FTA산업단지는 한중FTA 제17장에 규정된 한중산업단지에 관한 내용을 토대로 향후 규제특례지역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중국이 제시하 고 있는 일대일로 행동 추진 방안과 새만금 규제특례지역 조성방안은 많은 부분에서 직접적 인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연결요소들이 있으므로, 향후 중국의 일대일로 관련 정책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해가야 할 것이다. 또한, 중국정부의 일대일로 구상과 중국 국내의 각 정책들이 모두 일관성을 가지고 국내의 각지역 특성별로 상호보완적으로 수립해가는 점에 착안하여, 우리나라도 향후 대 중국 경제협력 정책과 관련하여 국내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일관된 정책 수립과 시행이 필요하다. 새만금사업의 경우 관련 특별법이 제정되어 있으며, 중앙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정책 수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특구들과 연계한 일관된 한-중 경제협력 사업을 수행해간다면 충분히 그 사업의 성과가 확보될 것으로 예상된다. Recently, China is proceeding to take the initiative of One Belt and One Road at a rapid rate, making a financing plan necessary to build composition of the initiative by raising a Silk Road Fund induced by private-sectors’ participation,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AIIB. When it comes to the direction of One Belt and One Road, China has explained that it will promote a cooperation between comparative advantage industries by correlating with the economic strategy of the respective countries involved. Both Korea and China verified in FTA signing June 1, 2015, the Korea-China FTA would be the link between the Eurasian initiatives and One Belt and One Road, drawing a attention to specific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future. Korea-China FTA can be evaluated as future-oriented one because of a follow-up negotiations on such services and investment sectors, and it is expected to determine direction of the subsequent negotiations on the basis of the result through which various initiate pilot cooperation projects such as the operation of Local Economic Cooperation Demonstrations Area and the composition scheme of Korea-China Industrial Complexes/Parks. The details on specifying the Korean-Chinese economic cooperation and operation in the industrial Complexes/Parks are stipulated in article 17.26 of chapter 17 in Korea-China FTA Agreement and government of Korea designated Saemangeum as the industrial Complex between two countries. Korea-China FTA Industrial Complex planned to be installed in the area of Saemangeum Industrial Complex is expected to be built as a special regulation Area on the basis of Korea-China industrial Complex stipulated in Chapter 17. It will be needed to observe and analyze policies related to One Belt and One Road because there are lots of connecting elements between the promoting behavior measures of One Belt and One Road and the composition scheme of special regulation Area in Saemangeum, to lead to direct cooperation in many field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Chinese government’s initiative on One Belt and One Road is consistent with each of its related domestic policy to complement each other in establish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t is also necessary for Korea to make consistent policies and their implementation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Network in relation to the future economic cooperation policy for China. In the case of the Saemangeum project, related special laws are enacted and the active policy of the central government can be established, so, in this background, it is fully expected to ensure the performance of its business, if a consistent economic cooperation projects between the two nations are proceeded in conjunction with the other zones.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구상 분석 제기배경, 추진현황, 함의 고찰을 중심으로

        김애경 ( Ae Kyung Kim )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6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29 No.-

        이 글은 중국이 “일대일로” 구상을 제기하게 된 대내외적 배경과 추진현황 및 함의를 고찰한다. 중국은 대내적으로는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발전모델의 전환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아야 했고, 대외적으로는 미국의 대중국 견제 전략에 효과적으로 대응해야 했다. 따라서 중국은 그 동안의 추진해 왔던 산발적인 투자와 교류를 “일대일로” 구상으로 통합하여, 육로와 해로를 따라 인프라 건설을 통해 ‘띠’와 ‘길’을 연결하는 경제협력지대를 건설하겠다는 구상을 제기했다. 중국은 “일대일로” 백서를 통해 관련 국가들과 인프라 건설, 정책, 금융, 무역 및 민간교류확대 등 5통 실현의 목표를 주장한다. “일대일로” 구상은 표면적으로는 경제 무역로 및 인프라 건설구상이지만, 실제로는 경제협력을 위해 필요한 제도구축과 규범제정을 포함한 큰 그림이다. 세계경제를 움직이는 새로운 견인차 역할이 필요한 상황에서, 중국의 주변 국가 경제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자처하며 “일대일로” 건설을 통해 공동번영을 추구하고 있다. “일대일로” 구상이 가시적 성과가 도출된다면, 이는 경제적 영향력에만 한정되지 않고 정치·안보적 영향력 확대로 이어져 지역질서와 국제질서에서 상당한 경쟁과 갈등을 겪을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d the internal and external background for China to have brought up the plan of “One Belt One Road,” the current state of the project, and its implications. Internally, China had to find new growth engines through the transition of its development model, and externally, it had to cope effectively with the strategies of the U.S. to contain China. Thus, integrating its sporadic investments and exchanges into the “One Belt One Road” plan, China presented its vision to build an economic cooperation zone connecting ‘belts’ and ‘road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along land and sea routes. Through the whitepaper of “One Belt One Road,” China asserts that it targets the achievement of Wutong (5通) with relevant countries in the areas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olicies, finance, trade, and people. to. people exchange. The “One Belt One Road” plan is outwardly for constructing routes and infrastructure of economic trade, but actually it has a big plan embracing the establishment of systems and norms for economic cooperation. In the present situation that demands the role of locomotive for leading world economy, China is assuming the role of locomotive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of surrounding countries and promoting co. prosperity through the construction of “One Belt One Road.” If the “One Belt One Road” plan begins to produce visible results, its influence will not be limited to economy but may reach the areas of politics and national security, and consequently, cause formidable contests and conflicts in regional and international orders.

      • KCI등재

        실크로드의 정치경제학: 중화경제권, 일대일로전략구상과 국제관계

        김인 중국학연구회 2018 중국학연구 Vol.- No.86

        This study analysis new Silk Road with political economic perspective focus on Greater Chinese Economic Sphere, the “One Belt One Road” Strategic Initiative of the China and international relations. The “One Belt One Road” Strategic Initiative is based on the existing achievements of China's reform and opening policy, and on the other hand it is a new version of the reform and opening policy that responds to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conditions of the 21st century. “One Belt One Road” Strategic Initiative is a vision and implementation plan that systematically connects and functionally integrates the economic network led by China, which has grown and expanded since launch of the reform and opening policy, the Chinese economy at the global level. China is attempting to institutionalize the economic influence that it has already secured through the promotion of the “One Belt One Road” Strategic Initiative and to expand it to the geopolitical level. China's pursuit of the “One Belt One Road” Strategic Initiative inevitably impacts the existing order, and this will be a turning point in the challenge that will lead to a strong response from the established super powers. On the basis of these perceptions and regulations, China's “One Belt One Road” Strategic Initiative results in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One Belt One Road” Strategic Initiative formulation has a formal consistency of reform and openness and globalization. Second, the “One Belt One Road” Strategic Initiative has a political and economic complexity in terms of securing the supply of China's economic growth power and expanding its power to structure external influence projections. Third, the “One Belt One Road” Strategic Initiative creates a shock that can lead to a transformation of the existing world order on the geopolitical level, which inevitably has an international nature that causes a strong response from the existing powers like the United States. 이 논문의 목표는 “일대일로” 전략구상으로 확장될 중화경제권의 범위와 역할, 작동 기제, 함의 및 영향에 대한 문제 제기이다. 구체적으로 첫째 주제는 “일대일로” 전략구상이 왜 제기되었는가와 관련되는 배경과 추진 논리를 중화경제권의 확장을 중심으로 조명하는 것이고, 두 번째 주제는 “일대일로”는 어떻게 조직되고 있는가하는 구조의 문제와 어떻게 기능하는가하는 작동기제의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다. 세 번째 주제는 “일대일로”전략구상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어떻게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고 영향을 미치는가와 관련된 파급효과와 함의에 대한 문제를 특히 한국과 연관시켜 논의하는 것이다. 이 글은 “일대일로“ 전략구상이 추구하는 중화경제권에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관점에서 접근한다. 중국은 일대일로 전략구상의 추진을 통해 이미 확보한 경제적 영향력을 제도화하고 이를 지정학적 차원으로 확장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구상을 통한 주도권 추구는 필연적으로 기존 질서에 충격을 가하고, 이는 기성 패권세력의 강력한 대응을 야기하는 전환기적 도전이 될 것이다. 이러한 인식과 규정 위에서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구성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 것으로 귀결된다. 첫째, 일대일로전략구상은 형식적으로 개혁개방 기조와 세계화의 방향적 일관성을 갖고 있다. 둘째, 일대일로전략구상은 실천적 차원에서 중국의 경제 성장 동력의 공급원 확보와 대외 영향력 투사를 구조화하는 세력권 확장이라는 정치경제적 복합성을 갖고 있다. 셋째, 일대일로전략은 지정학적 차원에서 기존 세계질서에 변혁을 초래할 수 있는 충격을 발생시키며, 이는 필연적으로 미국을 위시한 기존 강대국들의 강력한 대응을 야기하는 국제성을 갖고 있다.

      • KCI등재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의 경쟁과 협력

        문희철(Hee Cheol Moon)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6 전자무역연구 Vol.14 No.1

        연구목적: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유라시아와 관련하여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의 주요내용을 살펴봄으로써 2개 정책상의 경쟁과 협력을 연구하여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성공적 추진에 기여하는 것이다.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는 유라시아지역의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하나의 대륙, 평화의 대륙, 창조의 대륙을 완성하는 것이고, 이 전략이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기 때문에 2개의 전략은 협력과 경쟁을 필요로 하고 있다. 논문구성/논리: 본 논문은 총 5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으로서 연구의 배경과 연구목적을 기술하고 있으며, 제2장은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에 대한 선행연구분석을 다루고 있다. 제3장은 한국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주요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주요 핵심사업의 성과를 설명하고 있다. 제4장은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을 분석하였는데 실크로드 경제벨트구축과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구축을 중심으로 모색하고 있다. 제5장은 결론을 내리고 있는데 본 논문을 요약하면서 경쟁과 협력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결과: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는 하나의 대륙, 평화의 대륙, 창조의 대륙에 근거하고 있고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2개의 전략이 아시아지역에 치중하고 있고 유라시아를 통한 물류네트워크 구축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을 살펴본 결과 중국은 상당히 오랜 기간을 통하여 정책을 수립하여 왔고 특히 21세기 해상 신실크로드 구축계획을 수립하기 이전에 이미 대서양 목걸이 전략을 전개함으로써 주요항만의 이용권을 확보하고 있어 일대일로정책에 따른 물류, 통신, 에너지 망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한국은 장기적인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첫걸음을 딛게 되었으며, 중국의 많은 성과에 비해 아직은 초라한 성적이다. 독창성/가치: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을 비교분석함으로써 Win-Win게임으로서 경쟁과 협력을 논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독창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논문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성공을 위해서는 미국, 러시아, 일본, 북한의 역할론을 제시하고 있다. 유라시아 지역에서 중국, 한국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라시아 지역에서 자신들의 역할을 정립하고 물류, 에너지, ICT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의적절하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존에 경쟁과 협력차원에서 이러한 전략을 비교분석하고 있는 논문이 없다는 점에서도 본 논문의 가치는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ward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Korea’s Eurasia Initiative by studying possibilities of mutual cooperation and competition by analyzing the core contents of Korea’s Eurasia Initiative and China’s One Belt and One Road Strategy. Both strategies need cooperation and competition as Eurasia Initiative is aiming at completing ‘One Continent,’ ‘Creative Continent,’ and ‘Peaceful Continent’ through construction of effective network in Eurasia region and this initiative has close relations with China’s ‘One Belt and One Road Strategy.’ Composition/Logic: This paper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Chapter I presents the introduction and explain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Chapter II analyzes literature survey on Korean Eurasia Initiative and Chinese One Belt and One Road Strategy. Chapter III deals with the main contents of the Eurasia Initiative and the outcomes of main logistics projects. Chapter IV deals with China’s strategy in view of the Silk Road Economic Belt and the 21st-century Sea New Silk Road. Chapter V concludes the study and suggests competition and cooperation in both strategies. Findings: Korean Eurasia Initiative is based on ‘One Continent,’ ‘Creative Continent,’ and ‘Peaceful Continent’ and has a close relation with Chinese One Belt, One Road strategy, considering both are focused on the Asia region and pertain to the logistics network across Eurasia. China has been working on the One Belt and One Road Strategy for a long time and China has the possibility in winning in Eurasia competition by securing the ports in sea route of the Atlantic in particular as China undergone the Pearl Necklace Strategy before China plans twenty-first century Sea New Silk Road. However, Korea undergone the first step for long term Eurasia Initiative, so there are a few outcomes of this strategy in spite of many outcomes of Chinese One Belt and One Road Strategy. Originality/Value: As a distinctive attribute, this study presents the significance of cooperation and competition as a win-win situation by comparing the core contents of China’s One Belt and One Road Strategy and Korea’s Eurasia Initiative. The study also emphasizes on the roles of the United States, Russia, Japan, and South Korea in the success of the Eurasia Initiative. These countries have a key role to play in Eurasia, and they have plans in place for improving the area and bolstering its logistics, energy, and ICT networks. This study also carries academic value, considering there is no prior study dealing with the comparative works of these strategies in view of mutual cooperation and competition.

      • KCI등재

        중국의 ‘일대일로’ 이니셔티브하의 내륙항 발전의 유형화 연구

        이충배(Choong-Bae Lee) 한국관세학회 2017 관세학회지 Vol.18 No.3

        One Belt One Road strategy proposed by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in 2013, that focuses on connectivity and cooperation between Eurasian countries, has becom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oreign policies. The initiative will have a huge impact domestically on China’s regional development as well as on politics and economy of the world including Northeast Asia in the future. The core of the One Belt One Road strategy is to promote economic development in China and increase international economic relations via especially infrastructure development. The inland ports(or dry port) which developed largely in a country with a huge territory, have contributed to the promotion of import and export, efficient logistics activities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by providing it to the role and functions of coastal port. Since the early 2000s, a number of inland ports have been developed in China with various forms and features. In this study, the features and patterns of the Chinese inland port development in line with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will be derived via their classification in order to suggest perspectives and some implications for the Chinese inland port development. To attain the propose of this study, firstly it is examined the general theory of the inland port, and analyzed the inland ports on the One Belt route. Through this analysis, classification of inland port data were undertaken on the basis of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ir objective, establishing body, size, customs clearance type etc.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inland ports in China has been carried out largly by the port authority, railway operator, local government or regional enterprise etc. The development of inland port aims to support logistics activities of import and export, attract cargo volume for coastal port and develop regional econom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two issues, the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and development of inland port, will interact, for example the One Belt One Road policy will play a vital role in driving the development of inland port, on the same time the growth of inland port will also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One Belt One Road strateg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Korean logistics companies to utilize logistics infrastructure on the One Belt One Road route when they enter into Chinese logistics market as well as increase the efficiency of import and export logistics to link with Eurasian countries.

      • KCI등재

        A Study on Classification and Development Model of Chinese Inland Ports on the Route of ‘One Belt One Road’

        Yanfeng Liu(유염봉),Choong-bae Lee(이충배) 한국국제상학회 2018 國際商學 Vol.33 No.3

        Ⅰ. 서론 Ⅱ. 내륙항 선행연구와 중국 내륙항 현황 Ⅲ. 내륙항 유형화 분석 Ⅳ. 내륙항 발전모델 Ⅴ. 결론 참고문헌 2013년 중국 정부에 의해 제안된 ‘일대일로’ 이니셔티브는 과거 해양과 육상실크로드를 재현함으로써 중국의 꿈을 실현하고자 하는 대내외 정책의 일환이다. 특히 중서부지역의 낙후된 경제를 개선할 수 있는 정책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즉 중국 내륙지역이 갖는 대외무역에서의 단점을 극복함으로써 해외자본의 유입과 수출입을 촉진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내륙의 수출기지와 항만간 그리고 내륙의 주변국가들을 지리적이고 물리적으로 원 활하게 연결시켜 주는 시설이 바로 내륙항이다. 중국은 중서부 지역과 국경지역에서 해양항 만 또는 유라시아대륙의 내륙국가로의 수출에서 발생하는 운송비용, 통관문제, 환적, 혼재 등 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2000년대부터 이 지역에 내륙항을 개발해왔다. 본 연구는 중국 내륙항의 유형화를 통한 비교와 이를 토대로 발전모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중국 전체 45개 내륙항을 대상으로 인프라, 입지, 경제력, 정책 및 제도, 경쟁력의 요인을 활용하여 유형화 분석을 하고, 이를 근거로 각 권역의 내륙항을 SWOT분석을 통해 발전모델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유형화 요인에서 ‘일로’ 노선상의 내륙항이 ‘일대’ 내륙항에 비해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제 및 정책적인 환경 즉 ‘일대일로’ 정책과 ‘서부대개발’ 등을 고려할 때 ‘일대’ 내륙항의 발전 잠재력은 더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우리나라 물류기업들의 내륙항을 중심으로 한 물류거점 지역으로 진출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