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참여정부의 해외직접투자(OFDI) 정책 연구

        이율빈(Lee, Yulbi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7 亞細亞硏究 Vol.60 No.2

        이 글은 참여정부 해외직접투자(OFDI) 정책을 분석하는 정치경제학 연구이다. 그동안 OFDI는 경영학과 경제학에서는 중요한 연구주제로 다루어져 왔으나, 정치학에서는 관심 있게 다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공백을 보완하고자 이 연구는 OFDI에 대한 국가의 입장에 초점을 맞추어 OFDI 장려정책 도입과 그 배경을 설명한다. 한국 OFDI 정책은 경제성장에 따라 점점 자유화되어 왔고, 참여정부 시기에는 대대적 장려 정책이 출현한다. 일반적으로 보아 OFDI가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유형별・산업별・목적별로 상이하며, 심지어 투자대체효과 및 수출대체효과의 차원에서 국가경제에 손해가 된다는 관점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지속 추진된 참여정부의 대대적 OFDI 장려정책은 국가의 강한 정책의지가 바탕이 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정책의지는 경상수지 흑자와 정권의 ‘경제이념(idea)’에 기반하여 설명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OFDI) policy of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from a political economy perspective. OFDI has been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n the fields of economics and business. In political economy arena, however, OFDI has not been gotten the attention of researchers it deserve. As part of an effort to fill this void, this study addresses the OFDI incentive policy of the Roh administration in terms of state-preference. The Korean OFDI policies have become increasingly liberalized as the Korean economy grew. This trend has become more pronounced under the Roh administration where they introduced large-scale incentives to promote the OFDI. In general, whether it was beneficial to the Korean economy is subject for discussion due to the varying results across its purpose, the types and the industries. In fact, some even suggest that the sort of investment did more harm than good to the Korean economy in terms of its export-substitution effects or investment-substitution effects. The assumption is that the current account surplus and “the economic idea” of Roh administration can explain why the administration employed the large-scale incentive policies for all the uncertainties.

      • KCI등재

        중국의 OFDI정책 패러다임 변화와 전략 -자본수출국으로의 전환점에서-

        정혜영 ( Jung Hye Young ),김명아 ( Kim Myoung Ah ) 한중사회과학학회 2017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5 No.1

        중국의 해외직접투자(OFDI)는 2001년 10차 5개년 규획 강요에서 본격적으로 실시한 `저우추취`(走出去) 해외투자 정책에 힘입어 꾸준하게 발전하여 왔다. 특히 중국의 외자유치 성장정책으로 확보된 외화보유고는 중국기업들의 해외진출과 M&A투자의 든든한 밑받침이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급성장한 중국의 해외투자의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고 자본수출국의 전환점에 서있는 중국의 해외 투자패러다임 정책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중국의 투자정책과 연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성장전략과 그 목표가 의미하는 바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해외투자정책의 성장전략을 `자본수출국으로의 전환`과`국제위상 제고`라는 각도 아래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미시적으로는 투자액의 변화와 투자지역, 투자성격, 투자방식의 전략적 측면에서 중국의 해외투자 성장전략을 분석하였다. 특히 에너지 확보를 위한 투자에서 기술과 시장 확보를 위한 자본투자로의 전환, 중국기업의 해외기업 M&A를 집중 살펴봄으로써 중국 해외투자의 변화상이 의미하는 바를 살펴보았다. 또한 중국이 국제사회 안에서 추진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는 지역별 투자구상(Initiative)을 통하여, 해외투자의 패러다임을 전환하여 지역질서 중심축 역할을 하고자 하는 정책패러다임(policy paradigm)을 분석하였다. 중국은 해외투자정책 목표와 성장전략에 따라 단계별로 성공적인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국제위상을 제고와 경제외교의 최종목표 달성에 근접하고 있음을 주장하는 바이다. Chinese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OFDI) has improve dramatically from “go gloval” policy since it was established in 2001. Furthermore, Chinese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policy successfully implemented on “bring in” policy, Chinese company has become much easier go overseas by the huge foreign exchange reserves of China. In this process, China stand on the turning point of Capital Exports Country now. This paper reports a China`s OFDI Policy Paradigm analysis by Chinese government OFDI Strategy under the policy change that transform `Capital Exports Country` and enhance `the country`s prestige and boost its imag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be more specific, Four analysis are highlighted: first, Current Situation of China`s OFDI and its government policy; second, OFDI for securing more energy, market and technology; third, M&A of chinese companies; fourth, Investment Initiative of `One Belt One Road` for China`s role of a central axis on regional order. Accroding to analysis of four factor by chinese OFDI Strategy, this study result proves that how do China sucessfully tried to shift OFDI policy paradigm. And it asks the question: Does China`s economic growth and International status will be boosted by OFDI?

      • KCI등재

        중국의 해외직접투자(OFDI)가 국가 이미지를 향상 시키는가?

        후스첸(Shiqian Hu),레이밍웨(Mingyu Lei),정승안(Seungan Jung) 지역사회학회 2024 지역사회학 Vol.25 No.1

        국가 이미지 구축은 중국 소프트파워 구축의 핵심이다. 본 논문은 PEW 리서치 센터의 설문 조사 데이터를 중국의 국가 이미지 평가 데이터로 삼고, 2009년부터 2019년까지의 해외직접투자(OFDI) 데이터를 활용하여 OFDI와 중국의 국가 이미지 향상 간의 관계와 OFDI가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OFDI가 중국의 국가 이미지 향상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강건성 테스트(robustness test)는 관련 결론을 추가로 검증하였다. 메커니즘 검증에서는 OFDI가 경제 및 사회 발전의 촉진 효과, 사회적 책임 효과 및 여론 개선을 통해 중국의 국가 이미지 개선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추가 분석에 따르면 OFDI가 국가 이미지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는 ‘이질적인 투자 동기’, ‘투자 단계’, ‘투자 계약 및 정치적 친화성’이 있으며, 국가 이미지 향상에는 ‘시간 효과’ 및 ‘거리적 효과’가 있다. 본 논문의 연구 성과는 중국의 국가이미지 구축 및 개선을 위한 기준과 의사결정의 근거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중국의 대외적 이미지 개선과 교착상태에 있는 한중관계를 개선하는 데 있어서 정책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uilding the national image is the core of building China's soft power. This paper used the survey data of the PEW Research Center as the data for evaluating China's national image, and used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OFDI) data from 2009 to 2019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FDI and the improvement of China's national image and the mechanism by which OFDI affects the national imag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OFDI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 improvement of China's national image, and the robustness test further verified related conclusions. In the mechanism verification, it was found that OFDI contributes to promoting the improvement of China's national image through the promotion effect of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the effect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improvement of public opinion. According to additional analysis, OFDI's effects on improving the national image include ‘heterogeneous investment motivation’, ‘investment stage’, and ‘investment contracts and political affinity’, and ‘time effect’ and ‘distance effect’ on improving the national image.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the basis for standards and decision-making for building and improving China's national image, and to make a policy contribution to improving China's external image and deadlocked Korea-China relations.

      • Globalism and Korea in the 21st Century : Globalizing the World with Korean Business Groups

        Kim, Eun Mee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2 제2회 김옥길 기념강좌 : 위기의 문명과 대안 문명의 새 패러다임 Vol.2002 No.

        세계화가 세상의 모든 폐해를 치유하는 만병통치약이라고 믿는 사람이나, 세계화가 제 3세계에게는 단지 가난과 박탈감만을 증대시킨다고 믿는 사람이나, 세계화가 역사상 유래 없이 전세계 국가와 국민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1997년에서 1998년에 걸친 아시아의 금융위기는 한국과 같은 거대한 규모의 경 제도 혼들 수 있는 세계화된 금융 자본의 위력을 부각시켰다. 이 드라마의 진정한 아이러니는 금융 위기의 여파로 한국이 이전보다 더 넓은 경제개방의 압력을 받았다는 것이다. 그래서 다국적 기업(Transnational Corporations; TNCs)은 자유롭게 한국에 투자할 수 있게 되었고,한국의 주식시장은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개방되었으며,한국의 부동산도 이제 외국인 매수가 가능해지게 되었다. 외국산 수입상품도 낮은 관세를 적용하거나 면세로 한국 시장에 들어올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한국민의 눈에는 잘 띄지 않는 하나의 흐름은 세계 속의 한국 기업이 더욱 부 각되었다는 것이다. 우선 1960년대엔 섬유와 봉제완구 가발 같은 한국의 값싼 제품들이 세계의 소비자들의 환영을 받았다. 하지만 이제 그런 시대는 지났다. 한국은 자동차,컴퓨터 그리고 반도체의 주요 수출국이 된 것이다. 1990년대 이후로는 전세계적으로 외국으로의 직접투자(overseas foreign direct investment,OFDI)의 성장이 신경향이 되었다. 1990년에는 한국의 OFDI가 외국인의 국내 직접투자(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IFDI)를 앞질렀고,한국을 외국 직접투자(FDD의 순수출국으로 만들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세계화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한국은 자신을 세계화의 수용자가 아니라 행위자로서 인식해야 한다. 세계화를 하고 있는 한국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정 중의 하나는 한국의 재벌이다. 한국의 재벌은 전세계를 누비는 기업이 되었다. 이제 한국의 재벌 기업의 거대한 전광판이 뉴욕의 타임 스퀘어를 장식한다. 전세계의 주요 국제 공항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한국 재벌의 광고판이 붙은 카트를 만나게 된다. 이런 광고는 재벌의 수출 상품을 위한 것이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로는 재벌의 상품들 뿐만 아니라 재벌 그 자체가 세계화 되었다. 그들은 이제 전 세계에 자회사와 합작기업을 설립한다. 그리고 그들의 존재는 진출한 국가의 정부로부터 환영 받는다. 예를 들어 1996년 7월 19일 우즈베키스탄-대우 자동자 헌정식을 주최한 사람은 다름아닌 우즈베키스탄의 대통령이었다. 그는 김우중 대우 회장에게 우즈베키스탄 최고 명예 훈장을 수여했다. 인도네이시아의 대통령은 LG의 텔레비전 모니터 공장의 오픈행사에 참석했다. 한국이 이런 특별대접을 받은 것은 비단 개발 도상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영국에 삼성 전자제품 공장을 세울때도 영국여왕이 참석 했다. 이 논문은 한국재벌의 세계화에 초점을 맞추었으며,특히 OFDI에 중점을 둔다. 재벌은 1960년대이후로 한국경제를 지배해 온 가족이 소유하고 경영하는 복합기업체를 일겉는다. 재벌의 시장/사회지배 또한 거대히 증가해왔으므로 재벌의 역할에 대한 주의깊은 평가없이 한국경제를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국정부는 총자산을 기초로 하여 매년 30대기업(재벌)을 선정한다. 2002년에는 기준 최소 총자산은 26억 달러였고,처음으로 공기업도 포함되었다. 30대 기업집단은 공정거래위원회의 정책대상인데,이는 자회사간 상호 지급보증 금지와 엄격한 신용관리 정착을 내용으로 한다. 이 논문의 목표는 가장 잘 이해되지 않지만 기업의 세계화의 중요한 면인 -즉 한국재벌의 OFDI-를 연구하는 것이다. 재벌의 세계화는 또한 IFDI와 다국적 기업으로부터 재벌로의 기술제휴; 세계적인 경쟁과 국제경영업무를 포함한다. 이중 OFDI는 가장 최근의 현상으로 1990년대에 대규모로 일어났고 극소수만 연구되었다. OFDI는 1997년 후반 이후 아시아를 휩쓴 금융위기가 도래하면서 곤란한 이슈가 되었다. 어떤 이들은 재벌의 OFDI가 국제 금융 기구로 부터의 과도한 차용에 기초한다고 하였고 국내 금융 기관 뿐 만 아니라 재벌의 자금 소모를 유발했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세개의 중요부문으로 구 성되어있다: 국가에 의해 주도된 한국경제의 세계화 : OFDI의 전반적인 양상 : 그리고 재벌의 OFDI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가 그것이다. Whether you believe that "globalization" is a panacea for curing all evils in the world, or that it only brings greater sense of deprivation and poverty to the Third World, everyone agrees that globalization has affected nation states and citizens worldwide like no other phenomenon in the world's history. South Korea is no exception. The Asian financial crisis of 1997-98 brought to fore the tremendous force of globalized financial capital in making or breaking an economy as large as that of South Korea. The true irony in this unfolding drama is that in the aftermath of the financial crisis, however, South Korea was forced to open its economy even wider to the world, so that transnational corporations (TNCs) could freely invest in South Korea, South Korea's stock market would be open to foreign investors, South Korea's real estate could now be bought by foreign nationals, and foreign imported goods could come into the South Korean market with little or no tariff. All these signaled the encroaching global economy onto South Korea. However, a trend not so conspicuous in the eyes of South Koreans IS the growing visibility of South Korean business in the world. At first it was South Korea's cheap products that greeted the world consumers with textiles, stuffed toys and wigs in the 1960s. Those days are long gone. South Korea became a major world exporter of automobiles, computers, and semi-conductors. An even newer trend since the 1990s has been the growth of overseas foreign direct investment (OFDI) throughout the world. By 1990, South Korea's OFDI outpaced its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IFDI), making South Korea a net exporter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Thus, we need a shift In our paradigm about globalization. South Korea should no longer simply identify itself as a recipient of the forces of globalization, but as one of the "agents" of globalization. And among many things "Korean" that have gone "global," South Korean chaebol are one of the most prominent. The South Korean chaebol have become globetrotting enterprises. Huge electronic advertisements for the South Korean chaebol have adorned New York City's Times Square for some time. Visitors to major international airports throughout the world are greeted by luggage carts bearing advertisements for the South Korean chaebol. These advertisements are for the chaebol's export products. However, not only the chaebol's products but the chaebol themselves have gone "global" since the 1990s. They now set up subsidiaries and joint ventures around the world, andt their presence has been noted with fanfare by the host governments. For example, hosting the dedication ceremony of the Uzbekistan-Daewoo Motors on 19 July 1996 was none other than the president of Uzbekistan/ who decorated Kim Wu Chung, the president of Daewoo, with Uzbekistan's highest honor. The president of Indonesia attended the opening of LG's television-monitor factory in Indonesia. It was not just in developing countries that the South Korean chaebol received such royal treatment. At the opening ceremony of Samsung's electrical-appliance factory in England the queen herself was present. This paper focuses on the South Korean chaebol's "globalization" and in particular, OFDI. The chaebol are family-owned and -managed business conglomerates, which have dominated the South Korean economy since the 1960s. Their dominance in the market as well in society in general has increased tremendously, and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understand the South Korean economy without a careful evaluation of their role in i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dentifies thirty business groups (chaebol) each year based on total assets. In 2002, the minimum total assets were $2.6 billion and state enterprises were included for the first time. The thirty business groups are subject to the Fair Trade Commission's policies, which prohibit cross-debt guarantees among chaebol member firms, and place stringent credit control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one of the least understood but crucial dimensions of corporate globalization -- i.e., OFDI of the South Korean chaebol. Globalization of the chaebol also include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IFDI) and/or technology transfer from multinational corporations to the chaebol; global competitiveness; and global management practices. Of these, OFDI is the most recent phenomenon, which occurred to a great extent in the 1990s, and thus is the least studied. OFDI has also become a thomy issue in light of the financial crisis, which has swept through Asia since the latter half of 1997. Some argue that the chaebol's OFDI was based on excessive borrowing from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and brought financial drains on the chaebol as well as the domestic financial institutions. This paper is organized into three main parts: globalization of the South Korean economy led by the state; the overall pattern of OFDI; and a critical assessment of the chaebol's OFDI.

      • KCI등재

        러시아의 대외투자 현황과 전망

        한종만(Han Jong-Man) 한국정치정보학회 2008 정치정보연구 Vol.11 No.1

        2000년부터 러시아경제는 연료?원료의 국제시세 폭등과 정치 사회적 안정 등의 덕택으로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추가하면서 세계 제3위의 외환보유고와 안정화기금(적립금과 사회복지기금)의 지속적인 증대, 높은 해외투자 자금의 유입, 러시아기업의 국내외 주식공개(IPO), 자본유입등으로 유동성이 높아져 가고 있다. 자금의 유동성이 풍부해진 러시아 경제주체들은 포트폴리오투자와 기타 해외투자 이외에도 해외직접투자(OFDI)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러시아의 OFDI는 신흥 시장 국가 중에서 제1위를 기록하고 있다. 러시아 OFDI의 상당부분은 자원관련 대기업, 예를 들면 에너지와 철강 및 금속 기업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OFDI의 대부분은 EU, CIS, 북미지역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러시아의 OFDI는 자원관련 부문뿐만 아니라 非자원관련부문, 예를 들면 항공, 통신, 은행, 유통, 건설부문 등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러시아 OFDI 수혜국의 지역분포도 구미와 CIS뿐만 아니라 중동, 아프리카, 남미, 아시아 등 전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러시아의 OFDI의 동인은 경제적 요인 이외에도 비경제적 요인 등 다양한 목적에서 기인된다. 러시아정부는 자연독점(Natural Monopoly)기업의 OFDI를 통해 연료?원료자원을 정치적 지렛대와 가격협상에서 우위확보 혹은 OFDI의 반대급부로 해외기업의 선별적 대러시아 진출을 허용하고 있다. 러시아의 OFDI에 대해 CIS는 정치적 독립과 경제적 예속을 두려워하고 있으며, EU와 미국도 총론적으로 찬성하고 있으나, 각론과 사안별로 부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OFDI의 활성화는 러시아기업의 국제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물론 러시아기업의 국제화는 더욱더 글로벌 스탠더드와 시장경제 부응하는 제도 개혁 등이 조처가 뒤따라야할 것이다. 향후 러시아의 WTO 가입으로 러시아는 해외자본의 유입과 유출이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article deals with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perspective of outward foreign investment from Russi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ausality of Russian outward foreign investment. The Russian macroeconomic indicators have been changing positively since 2000. The main reason for the positive growth dynamics in Russia is a high level of oil and gas prices and the sharply rouble devaluation. In several years the largest Russian enterprises take part in the process of internationalization. OFDI(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s) from Russia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2000. Recently OFDI stocks from Russian conglomerates is increasing in EU, CIS, USA, and other countries. Among the most Russian OFDI motives, which often combine with market, strategic assets, and efficiency seeking, the author can make reference to political and/or individual purpose seeking motives and etc. Future prospects for OFDI from Russian Federation remain highly promising despite the somewhat discouraging domestic policies toward authorities. Increasing international OFDI diversification provides Russian enterprises with capabilities to match the moves of their global competitors. In the conclusion, Russian economic units should improve their business culture and elaborate the state support policies of Russian OFDI expansion which are adequate for market economy or global standard.

      • KCI등재

        한국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 TPP 국가를 중심으로

        성연주,정진섭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7 국제경영리뷰 Vol.21 No.1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13년까지 17년간 TPP 참여국 중 브루나이를 제외한 11개국을 대상으로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외향 해외직접투자(Outward FDI) 결정요인을 TPP 라는 지역경제통합의 현안에 맞추어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 해외직접투자 대상국의 GDP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기업들은 무엇보다도 시장규모가 큰 국가에 해외직접투자를 많이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장확장, 경제성장 등 의미가 있는 자유무역협정(FTA) 역시 정(+)의 영 향으로 나타나, 자유무역협정의 체결이 해외직접투자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투자대상국의 평균관세율, 1인당 GDP, 경제적자유도가 높을수록 한국기업들은 해외직접 투자를 적게 수행하는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는 한국 해외직접투자의 고유한 특성과도 관련된다. 한편, 2003~2013년 기간 동안의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 분석에서는 해외직 접투자 대상국의 지리적 격지성이 클수록, 기술무역 수준이 높을수록 한국 기업들은 투자를 적게 하였으며, 우리나라와의 자유무역협정 체결의 영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 거리는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paper syntheticall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Korean firm’s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OFDI) by using of gravity model from 11 TPP (Trans-Pacific Partnership) countries as targets, which is from 1997 to 2013 except Brunei. And here, TPP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variable representing the recent phenomenon of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Results of this empirical test showed that the GDP of host country had positive (+) impact on OFDI. Consequently, Korean firms entered into the large markets, countries with large GDP. And the free trade agreements (FTAs), related to market expansion, economic growth, and enhancement of corporate competitiveness, etc., also showed positive (+) effect, indicating that the conclusion of a FTA has a positive effect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However, GDP per capita of host country, average tariff tax rate, degree of economic freedom show negative (-) correlations in Korean firms' OFDI. These are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many Korean firms have been carried out OFDI in countries with low GDP per capita. For example, China and Vietnam have a low GDP per capita and therefore they can provided cheap labor to foreign firms such as Korea's firms. The results are the same as those of previous studies. Second, it is considered that Korean firms’ OFDIs are most countries with a low average tariff rate because Korean firms uses a strategy of transferring production facilities to countries with low tariffs by utilizing tariff benefits. As a result, many Korean firms have invested heavily in countries with relatively lower economic degrees of freedom than Korea. In addition, geographical distance, cultural distance, and level of technology trad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se were analyzed that they had little effect on Korean firms' OFDI. First of all, the fact that the size of the GDP of the investing country greatly affects the Korean firms’ OFDI suggests that the goal of Korean firms' OFDI is the market-seeking type, regardless of advanced and underdeveloped countries. In addition, since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plays a role in expanding the market, a Mega FTA such as the TPP is positively related to FDI. Meanwhile, in an additional empirical test of OFDI determinants analyses from 2003 to 2013, the high level of technological trade of host countries shows low invested tendency. In addition, culture distance reveals the positive (+) effect although the impact is slight. Based on two period of empirical analyses which is related to TPP, this paper suggests the direction of OFDI determinants in Korea’s company and provides some valuable strategic implications for CEOs, scholars, and government officials.

      • Research on Factors Affecting South Korea’s OFDI Based on a Spatial Measurement Model

        Shuai Su,Fan ZHANG 한국무역학회 2022 Journal of Korea trade Vol.26 No.1

        Purpose –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via a spatial lag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economy to fi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South Korea’s OFDI along with 60 countries. Design/methodology – In the study of regional economic phenomena, we must first test the corresponding spatial correlation, and on this basis, complete the construction of the spatial model. For the target research object, after testing the spatial correlation, if there is spatial correlation, a spatial measurement model is needed. This paper uses the global Moran’s I index for calcul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needs of the research object, this paper selects the spatial lag model to verify the existence of the spatial effect and factors affecting OFDI. Findings – Our results show that export scale, infrastructure, technology level, political stability, resource endowment, market size, distance and labor cost have a certain impact on Korea’s OFDI, but at present the distance and market size factors are the most important influencing factors for South Korea’s OFDI, The technical level and political stability have little effect on South Korea’s OFDI, and are not main factors determining South Korea’s OFDI. Originality/value – Through spatial measurement verification, it was found that the spatial effec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OFDI, along with more than 60 countries. On this basis, relevant suggestions are put forward, which have strong practical significance for South Korea's OFDI to achieve health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 KCI등재

        스페인 기업의 해외투자 진출과 심리적 거리에 관한 연구

        류재원,김용덕 한국무역학회 2023 貿易學會誌 Vol.4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 of psychic distance between home country and host country on overseas foreign direct investment(OFDI) of Spanish companies through panel analysis. The panel data was based on cultural, institutional, economic, and geographical distance data over the past decade between Spain and Spain's OFDI countries. According to the Random Effect Model(REM) analysis, cultural distance(CULD) had a negative effect on OFDI, while institutional distance(INSD) had a positive effect. Among economic distances, income size distance(GDP) had a positive effect on OFDI, but export size distance(EXPO) had a negative effect. Geographic distance(PKM) had a negative impact. Meanwhi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to prove the psychic distance effect by OFDI size, the effects of CULD and INSD in the quartile (75%) to which Korea belongs were the same as the REM analysis results. In addition, GDP and EXPO had a positive effect, and PKM had a negative effect but EXPO had a positive effect. Therefore, FDI host countries need to establish differentiated strategies through quantile analysis while making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the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본사국과 현지국간의 심리적 거리(Psychic distance)가 스페인기업의 해외투자진출(OFDI)에 미치는 영향을 패널분석으로 증명하는 데 있다. 패널데이터는 스페인과 스페인의 OFDI국가 간의 최근 10년간 문화적, 제도적, 경제적, 지리적 거리 데이터를 기초로 하였다. 임의효과모델분석에 의하면 문화적 거리(CULD)는 스페인기업의 OFDI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제도적 거리(INSD)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경제적 거리 중 소득규모거리(GDP)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수출규모거리(EXPO)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지리적 거리(PKM)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OFDI규모별 분위분석 결과에 의하면, 한국이 속한 4분위(75%)에서는 CULD와 INSD의 영향은 REM분석 결과와 같았다. 또한 GDP는 긍정적인 영향을, PKM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EXPO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FDI유치 국가는 지속적인 제도개선 노력과 함께 분위분석을 통한 차별화된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 한국기업과 선진국기업의 외향적 해외직접투자 특징 비교: 정부의 OFDI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곽연 ( Guo Juan ),정진섭 ( Jung Jin Sup ),이민재 ( Lee Min Jae ) 숙명여자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3 기업경제연구 Vol.42 No.1

        세계가 개방화되고 글로벌화 됨에 따라, 한국도 다각적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FTA 체결을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국내 기업들의 해외진출 지원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향적 해외직접투자(OFDI, outward FDI)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한국기업과 주요 선진국기업을 대상으로 OFDI 수행 시, 고려해야 할 주요 네 가지 중요한 정부지원정책에 대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시장맞춤형 OFDI 지원, 해외 네트워크 지원, 규제완화 및 개선이라는 세 가지 부문에서는 한국기업이 다른 선진국기업에 비해 그 필요성을 보다 더 크게 느끼고 있었으며, 정부의 자금지원측면에서는 두 그룹 모두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Increasing the connectivity and interdependence of business caused by globalization, forcing institutional transformation to adopt open-door policy, Korean government has expanded the scope of FTA, while setting up various financial incentives for local firms to promote overseas expansion. This study employed four policy and institutional factors as key determinants of OFDI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empirically analyzed their influences in different contexts of Korea and other advanced countries. Dealing with foreign firms in advanced countries as a comparative benchmark, the findings derived from empirical analyses suggest that more market adaptable OFDI support (conforming to market principle), more oversea network support, as well as relaxation of regulation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are prerequisites for Korean firms’ OFDI success. Regarding a government financial assistance-OFDI link,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were found in our empirical models.

      • KCI등재

        중국의 대동남아 내륙개도국(CLMV) 경제외교정책: 해외직접투자(OFDI) 전략을 중심으로

        정혜영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7 국제지역연구 Vol.21 No.3

        Under the national system of ‘Xi Jinping’, the role of ‘Economic Diplomacy’, in which China's economic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are strengthened, has become more important. Moreover, China's OFDI, which is being strengthened, has been driven by the task of realizing the "China Economic Development" goal. It has been pursued as a means of implementing “The grand national strategy ” to expand China's influence. It has been driven by a Chinese enterprise under the framework of the "Economic Diplomacy Strategy," which has been in the long-term investment paradigm of the government.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how China 's ‘Economic Diplomacy’ influence on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And how China's OFDI is being developed through her ODA. Especially, CLMV (Cambodia, Laos, Myanmar, Vietnam)countries are adjacent to China's foreign policy and fiercely contested area of a global investment. China's overseas investment starts with the need for economic engine of resources to secure from outside. In the mid-2010s, as the global trade environment entered the era of New-normal, China’s OFDI play a facilitator role in transferring of the overproduction industry to overseas. The role of China 's OFDI in this region has also changed as a means of transferring a experience of industrial technology with China' s political and diplomatic influence. China and the CLMV countries have developed Economic Diplomatic relations through ODA which has been carried out by the government diplomatic relations. and the ODA relationship strengthen by China’s Investment cooperation. ‘The One Belt and One Road’ is a new investment cooperation policy. Through this investment plan, China wants to secure the legitimacy of international influence and the Regional Investment Promotion. However, for the shared prosperity of developing countries in Southeast Asia, China still have to make responsible of their investment and show the value of China 's OFDI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show that the enormous economic power of China are not a means of their hegemony. Cooperating with an investment competitors in this region, is a matter to be solved of China’s OFDI. 시진핑 체제하, 중국은 주변국과의 경제관계가 강화된 경제외교(Economic Diplomacy)가 더욱 부각되었다. 중국의 해외직접투자는 ‘중국경제발전’ 목표실현의 임무와 함께, ‘중화제국의 꿈’의 실현이라는 ‘국가대전략’ 이행수단으로 ‘경제외교(Economic Diplomacy)전략’ 이라는 큰 틀 하에 진행되어온 측면이 강하다. 본 논문은 아시아 내륙개도국에 대한 중국의 경제외교 영향력이 원조와 연결된 투자를 통하여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중국과 인접하고 있으면서 세계투자경쟁 구도가 형성되고 있는 CLMV (Cambodia, Laos, Myanmar, Vietnam) 국가에 대한 중국의 투자는 중국의 외교정책과 긴밀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중국은 CLMV 국가들에게 원조와 투자의 중요성을 부각하여 중국의 정치⋅외교적 영향력 확대를 강화하는 경제외교 전략을 택하고 있다. 이들 국가들은 수교를 전후하여 정부 대 정부차원으로 진행했던 원조(ODA)를 통하여 관계를 발전시켰으며, 이는 다시 강화된 투자협력관계로 이어졌다. 중국이 제시한 ‘일대일로(一帶一路)’ 협력투자구상은 해외투자를 통해 중국이 국제협력의 중심이 되기 위한 노력이다. 동시 국제영향력의 정당성과 지역투자 주도권확보를 위한 노력이다. 그러나 동아시아 내륙개도국 공동번영을 위하여, 중국의 투자는 여전히 지역 내 해결해야할 과제를 안고 있으며, 국제사회가 수용할만한 보편성 있는 투자 가치관도 함께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