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위협 인식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

        황정미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6 아태연구 Vol.23 No.2

        This paper analyses South Korean's attitude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perceived threats’. Based on survey data sets collected from 2007 to 2015, this research organizes several regression model to investigate whether perceived threats of South Korean respondents intensify their exclusive attitude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Now there are almost 29,000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South Korea. They have multiple and often contradictory positions in South Korean society. On the one hand, they are legal citizens and the same blood brothers, but on the other hand, they are refugees or migrants who have to adapt to a new host society. This research suggests that prejudice against minority groups like North Korean defector is not only reinforced by explicit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such as increased labor market competition and conflicts around additional policy costs to support minorities. It is also important to examine that respondent's perception of social threats, sense of insecurity, concerns about unemployment and unstable future may provoke mechanisms of contra-identification to put minority groups out of majority’s boundary of community.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scale of social distance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inclines to extend when respondents' level of perceived threats increases. However, respondent's occupation and education background show no significant impact in our regression model. This means that exclusive attitudes toward minorities tend to be reinforced if ordinary people are more worried about instability and insecurity in their everyday lives. It is also found that the effect of perceived threat is more significant among young respondents in their twenties. Young people who are more concerned about unemployment crisis, especially since 2013 survey, incline to have negative attitudes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This result implies that competitive social conditions in South Korea may increase young people's perceptions of powerlessness which in turn amplify exclusive attitude toward minorities and out-groups such as North Korean defectors. It also supports for the importance of policy measures including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the value of multicultural coexistence among young generation and also social inclus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이 연구는 남한 주민들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느끼는 사회적 거리감이 위협 인식(perceived threat)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지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2007-2015년 통일의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적 위협 인식이 높아질수록 외집단이자 사회적 소수자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배타적 태도가 확대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거리감은 남한 주민들이 인지하는 사회적 위협의 수준이 높을수록 더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으로 인한 집합적 위협과 더불어 남한의 사회환경 위협, 즉 빈부격차나 실업 문제가 더 심각하다고 생각할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친근감이 줄어든다. 셋째, 20대 연령층에 대한 분석에서 인지된 위협의 효과는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특히 2013년 이후 청년들은 실업 문제에 대한 우려가 높을수록 북한이탈주민을 더욱 소원하게 느끼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과도한 경쟁과 취업 위기에 직면한 청년들의 구조화된 무력감이 사회적 소수자에 배타적인 태도를 확산시킬 우려가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북한이탈주민의 수용뿐 아니라 앞으로 통일 전망 및 통일 준비 과정에서 사회통합의 중요성을 환기시키는 의미가 있다.

      • 윤석열 정부의 통일정책 방향

        조한범(CHO Han-bum) 한국외교협회 2024 계간 외교 Vol.- No.148

        윤석열 정부는 임계점을 넘은 북핵위협, 비정상적 남북관계, 그리고 국제질서의 다극화와 무극화 등 복합적인 통일환경에 직면해있다. 윤석열 정부는 ‘자유, 평화, 번영에 기여하는 글로벌 중추국가’를 목표로 남북관계의 정상화와 한반도 평화를 추구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의 통일정책은 북한 비핵화, 남북관계 정상화, 그리고 남북 인도적 문제 해결의 세 방향을 지향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남북관계 정상화, 북한의 점진적 변화 유도, 헌법에 입각한 통일정책 추진, 북한 인권문제의 전면화, 국제사회의 단합된 대북 주도 등을 강조해 문재인 정부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의 원칙적 통일정책에도 불구하고 북핵위기는 해소되지 않고 있으며, 남⋅북한 간 군사적 긴장은 지속되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지난 30여 년간 남북관계와 비핵화협상을 성찰해 단기적 성과보다 지속가능한 통일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북핵 위협의 억제와 완전한 비핵화 지향, 지속가능한 남북관계 형성, 실질적 북한 주민정책, 북한변화 견인, 그리고 한국형 세계전략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Yoon Suk Yeol government is facing a complex unification environment, including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that has crossed the threshold, abnormal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multipolar and non-polarization of the international order. The Yoon government is pursu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malization of inter-Korean relations with the aim of becoming a “global pivotal country contributing to freedom, peace, and prosperity.” The Yoon government’s unification policy aims at three directions: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normalization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resolution of humanitarian issues between the two Koreas. The Yoon government is different from the Moon Jae Inn government, in emphasizing normalization of inter-Korean relations, inducing gradual changes in North Korea, promoting a constitutional unification policy, advancing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 and lead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unity. However, despite the Yoon government’s principled unification policy,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has not been resolved, and military tensions between the two Koreas continue. The Yoon government should consider inter-Korean relations and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over the past 30 years to pursue a sustainable unification policy rather than a short-term outcome. To this end, the Yoon government should seek to curb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and pursue complete denuclearization, form sustainable inter-Korean relations and substantive North Korean policy, driving change in North Korea, and a South Korean-style global strategy. The system competition between the two Koreas has long ended, and South Korea maintains a firm advantage over North Korea in all respects. Based on the status of the global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the Yoon government should gradually implement a unification road-map based on the national community unification plan, and make efforts to secure public consent for this purpose.

      • 윤석열 정부의 통일정책 방향

        조한범 ( Cho Han-bum ) 한국외교협회 2024 외교 Vol.148 No.0

        윤석열 정부는 임계점을 넘은 북핵위협, 비정상적 남북관계, 그리고 국제질서의 다극화와 무극화 등 복합적인 통일환경에 직면해있다. 윤석열 정부는 ‘자유, 평화, 번영에 기여하는 글로벌 중추국가’를 목표로 남북관계의 정상화와 한반도 평화를 추구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의 통일정책은 북한 비핵화, 남북관계 정상화, 그리고 남북 인도적 문제 해결의 세 방향을 지향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남북관계 정상화, 북한의 점진적 변화 유도, 헌법에 입각한 통일정책 추진, 북한 인권문제의 전면화, 국제사회의 단합된 대북 주도 등을 강조해 문재인 정부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의 원칙적 통일정책에도 불구하고 북핵위기는 해소되지 않고 있으며, 남·북한 간 군사적 긴장은 지속되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지난 30여 년간 남북관계와 비핵화협상을 성찰해 단기적 성과보다 지속가능한 통일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북핵 위협의 억제와 완전한 비핵화 지향, 지속가능한 남북관계 형성, 실질적 북한 주민정책, 북한 변화 견인, 그리고 한국형 세계전략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남·북한 간 체제경쟁은 이미 종식된 지 오래며, 모든 면에서 우리는 북한에 비해 확고한 우위에 서 있다. 윤석열 정부는 글로벌 대한민국의 위상을 바탕으로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에 입각한 통일 로드맵을 단계적으로 구현해 나가야 하며, 이를 위한 국민적 동의를 확보하는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The Yoon Suk Yeol government is facing a complex unification environment, including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that has crossed the threshold, abnormal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multipolar and non-polarization of the international order. The Yoon government is pursu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malization of inter-Korean relations with the aim of becoming a “global pivotal country contributing to freedom, peace, and prosperity.” The Yoon government’s unification policy aims at three directions: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normalization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resolution of humanitarian issues between the two Koreas. The Yoon government is different from the Moon Jae Inn government, in emphasizing normalization of inter-Korean relations, inducing gradual changes in North Korea, promoting a constitutional unification policy, advancing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 and lead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unity. However, despite the Yoon government’s principled unification policy,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has not been resolved, and military tensions between the two Koreas continue. The Yoon government should consider inter-Korean relations and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over the past 30 years to pursue a sustainable unification policy rather than a short-term outcome. To this end, the Yoon government should seek to curb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and pursue complete denuclearization, form sustainable inter-Korean relations and substantive North Korean policy, driving change in North Korea, and a South Korean-style global strategy. The system competition between the two Koreas has long ended, and South Korea maintains a firm advantage over North Korea in all respects. Based on the status of the global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the Yoon government should gradually implement a unification road-map based on the national community unification plan, and make efforts to secure public consent for this purpose.

      • KCI등재

        핵보유 북한이 채택 가능한 도발형태 분석

        박휘락 한국통일전략학회 2019 통일전략 Vol.19 No.4

        This paper is written to analyze North Korean military options to unify the whole Korean Peninsula on its terms with the threat or use of its nuclear weapons. It suggests preparatory measures for South Korea as well. For this purpose, it analyzes North Korean military strategy including nuclear one, compares the military power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s to decide the probability and types of North Korean provocations. As a result, this paper introduced five North Korea military options to South Korea. These are ① the resumption of nuclear and/or missile tests ② a nuclear threat to South Korea and US forces in South Korea to unify South Korea ③ an attack to South Korean islands in Northwestern Sea ④ a surprise attack to Seoul ⑤ all-out war under nuclear threat. It evaluated that another test of long range missiles could be most probable option by North Korea, but South Korea should not exclude option ②, ③ and ④ as well. Therefore, South Korea should recognize the grim reality of North Korean nuclear threat and prepare for the worst case scenario based on trinity between the government, military and people. It should also strengthen its alliance with the US in order to deter North Korean nuclear threat and/or use. 본 논문은 핵무기를 보유한 북한이 남한에 대한 공산화 통일을 위하여 채택 가능한 방안을 분석하면서 그에 대한 대비책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북한의 군사전략과 핵전략을 분석하였고, 북한의 핵 및 재래식 능력을 남북한의 비교를 통하여 평가한 후 도발의 가능성을 판단하였다. 그리고 나서 현 상황에서 북한이 채택 가능한 도발형태를 제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북한은 ①핵실험이나 미사일 시험발사 재개 ②주도적 한반도 통일을 위한 남한과 주한미군 위협 ③서북 5개도서 등에 대한 국지도발 ④수도권에 대한 기습공격 ⑤핵위협 하 전면공격 등의 도발을 결행할 수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 중 ①번 중에서는 미사일 시험발사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하였고, ②번과 ③번은 물론이고, ④수도권에 대한 기습공격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한국은 북한의 핵위협이 매우 심각하다는 점을 인식한 상황에서 정부, 군대, 국민이 삼위일체를 이루어 필요한 대비조치를 강구할 필요가 있다. 한미동맹을 강화함으로9써 북한의 핵공격을 억제하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남북한 주민의 주변국 인식 비교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최규빈 ( Gyu Bin Choi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6 통일과 평화 Vol.8 No.1

        이 글의 목적은 남북한 주민들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남북한 주민들의 주변국인식을 비교 분석 하는 것이다.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의 남한주민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통일의식조사와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북한주민 통일의식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각각의 주변국 관계인식 파트에서 우호인식, 위협인식, 통일희망인식 조사결과를 분석함으로써 남북한 주민들의 국제관계 및 통일인식은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남북한 주민 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최근 4~5년 동안 어떠한 변화가 있어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조사년도 보다 1년 전에 북한을 떠난대상으로 표본을 한정함으로 북한거주 당시의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남한주민의 대미친밀감, 북한주민의 대중친밀감은 주변국과 비교하여 높은 수준이나인식 변화의 가능성은 존재하였다. 남북한 상호위협인식은 비대칭성이 발견되었고 중국에 대한 남한주민의 호감도 증가, 북한과의 친밀감에도 불구하고 남북한 주민들의 대중위협인식은 유동적이었다. 남북한 주민들 모두 주변국의 한반도 통일희망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perceptions and images of North and South Korean people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The data used in this paper is collected from “Unification Attitude Survey” and “Attitude of North Korean Defectors Survey” conducted by the Institute for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y investigating three different perceptions which are friendliness, threat, and unification this paper especially pays attention to the main features of North and South Koreans’ perceptions and images toward neighboring countries. It also explores differ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s and changes in public attitudes and awareness that have occurred for the last four or five years.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four-fold. First, despite the respective high level of friendliness of South Koreans toward the United States and of North Koreans toward China, those perceptions are changing. Second, there is asymmetry of mutual perceptions or images between the two Koreans. Third, in spite of increased friendliness of South Koreans toward China and the continued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threat perceptions of North and South Korean people are fluid. Lastly, it reveals that both North and South Koreans have an overall negative view of whether neighboring countries want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북핵 위협 고도화에 따른 정부 역할의 실태와 과제

        朴輝洛 한국의정연구회 2017 의정논총 Vol.12 No.1

        본 논문은 북핵위협이 고도화되어가고 있는 현 상황에서 행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정부가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할 것인가를 분석하여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쟁에 관한 정부의 일반적인 역할을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핵위기 또는 핵전쟁에서 정부가 수행해야할 역할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현 실태를 분석하고 보완되어야할 몇가지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 한국은 지금까지 북핵에 대한 군사적 대비에만 치중한 채 정부 차원에서 구체적인 대응책을 마련하여 시행하는 데만는 미흡함이 적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제 한국 정부는 북한의 핵능력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할 수 있어야하고, 정부차원에서 주도적으로 북핵 위협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직부터 보강해야할 것이며, 자체적인 핵대응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 미국의 확장억제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미동맹을 강화하고, 전 정부 차원에서 북핵 대응에 필요한 과제를 추진해야 한다. 앞으로 북핵관련 위기가 발생할 경우 이성적으로 관리하여 핵전쟁으로 비화되지 않도록 하고, 한반도의 평화정착이나 통일을 지향함으로써 북핵 위협의 원천을 차단할 수 있어야 한다. This paper is written to find out the necessary roles of South Korean government in coping with the increasing North Korean nuclear threat. For this purpose, it reviews the government's general roles regarding a war and draws specific roles to deal with a nuclear crisis or a nuclear war. Then, it assesses the level of current North Korean nuclear threat and South Korean government's tasks to handl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effectively. In conclusion, this paper evaluated that South Korean government's current roles in dealing with North Korean nuclear threat were very limited. Therefor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do more in collecting accurate intelligence on North Korean nuclear capabilities, establish necessary organizations to handle the threat effectively and come up with nuclear deterrence and defense strategy on its own. It should also strengthen its alliance with the U.S. and ensure the implementation of the U.S. extended deterrence. It should effectively manage a possible crisis, which could involve nuclear weapons in order to prevent an escalation to a nuclear war. It should try to realize the peaceful coexistence and unification with North Korea as a fundamental way to solve this nuclear threat.

      • KCI등재

        통일과 북한에 대한 대학생의 의식조사 연구: 부산, 울산, 경남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박범종,서선영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5 No.-

        This study analyzed unification and perception of North Korea among universities student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Hypothesis 1. Under the premise that “university students will show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political ideology, and monthly income,” gender and monthly income were important variables in universities students' perception of unification. Political ideology were important variable in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and the reasons for unification. Hypothesis 2. Under the premise that “universities will show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North Korea based on gender, political ideology, and monthly income,” gender and political ideology were important variabl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North Korean perceptions. Gender was also an important variable in North Korean knowledge and perceptions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In general, boys were more aware and threatened than girls in North Korea's knowledge and North Korean nuclear threat. As a result of this study, 'political ideology' was an important variable in university students' unification perception, but gender showed more important variables than North Korea's political ideolog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s to overcome differences in unification and North Korean perception according to gender and political ideology. Logit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variables that influence unification interests of university students. Monthly income, hostile perception of North Korea, and knowledge of North Korea's nuclear threat were found to be important variables. In order to raise interest in unifi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seems necessary to educate the right knowledge acquisition and to reduce the negative perception of North Korea. 본 연구는 부산, 울산, 경남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통일과 북한 인식에 관해 분석했다. 특히 2018년 이전 분단과 갈등의 정치적 상황에서 벗어나 3차례의 남북정상회담 개최와 북미회담 등 평화담론이 시작된 시점에서 대학생의 통일과 북한인식 연구라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이러한 분석에 있어 가설 1. ‘대학생들은 통일 인식에 있어 성별, 정치이념, 월 소득에 따른 차이를 보일 것이다’ 라는 전제하에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관심도에 있어서는 ‘성별’과 ‘월 소득’이 중요한 변수였다. 하지만 통일의 필요성과 통일 필요 이유에 있어서는 ‘정치이념’만이 중요한 변수로 밝혀졌다. 가설 2. ‘대학생들은 북한 인식에 있어 성별, 정치이념, 월 소득에 따른 차이를 보일 것이다’라는 전제하에 분석한 결과, 북한 대상인식에 있어서는 ‘성별’과 ‘정치이념’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중요한 변수였다. 하지만 북한 지식과 북핵 위협 인식에 있어서 ‘성별’만이 중요한 변수였다. 대체로 북한 지식과 북핵 위협에 있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많이 알고 있고, 위협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 대체로 대학생의 통일인식과 북한인식에 있어 중요한 변수인 ‘성별’과 ‘정치이념’에 따라 통일과 북한인식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통일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대학생의 통일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찾기 위해 로짓분석을 해 본 결과, 월 소득, 북한에 대해 적대적인 인식 북한에 대한 지식, 그리고 북핵 위협인식이 중요한 변수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통일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북한에 대한 올바른 지식습득 교육과 북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성과 친밀감의 연도별 변화와 영향 요인

        김영기(Young-Ki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7

        본 연구는 남한주민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성과 친밀감이 연도별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인구 · 사회학적 요인뿐 아니라 개인적 신념까지를 포함하여 영향 요인을 총체적으로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북한을 경계 및 적대의 대상이라고 생각하는 것보다 지원 및 협력대상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친밀감과 수용성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는 한민족으로서 북한이탈주민을 이해하고 범주화하는 경우 민족정체성이나 민족적 자금심의 향상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친밀감이 정적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여성보다 남성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성과 친밀감이 높다는 분석 결과는 선행연구들과 유사한 결과이며, ‘현실경쟁이론’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를 설명하는 데 적합함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한국경제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현 정권의 국정운영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친밀감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는 ‘사회적 위협 인식’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강화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한다. 다만, 북한이탈주민의 수용성과 친밀감이 2011년 대비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는 것은 남한사회 전반의 불안요소가 증가하고 있고 위협으로 인식될 수준이라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how changes the South Korean’s magnanimity and closeness of North Korean refugees by over time, and overall analyses what the factors influencing it included bo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conviction, based on the 2014 Survey on National Identity in South Korea. Because South Korean have attitude of North Korea as positive than as negative more high magnanimity and closeness of North Korean refugees, must be educated to accept North Korean refugees of the Korean people. Analysis result of Man than woman more high magnanimity and closeness of North Korean refugees same preceding research’ results, it saw ‘Realistic Conflict Theory’is possibly the theory to describe attitude of North Korean refugees. Also, Analysis result of the higher satisfaction about Korean economy and governing style current regime more high magnanimity and closeness of North Korean refugees same preceding research’ results, it saw ‘social perceived threat theory’ is possibly the theory to describe attitude of North Korean refugees.

      •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장기적/안정적 대비방향: 미사일 방어망 구축

        박휘락 한국군사학회 2013 군사논단 Vol.73 No.-

        North Korea announced that it succeeded to reduce the size of its nuclear weapons smaller enough to deliver them by missiles just after its third nuclear test on February 12, 2013. It has about 800-1,000 various missiles and the Republic of Korea docs not have sufficient capabilities to hit and kill the missiles, if attacked by them. It is very necessary for the Republic of Korea to hurry up to establish the effective missile shields. First of all, South Korean people should clearly recognize their dire situation that they do not have any effective means of defense against North Korean possible nuclear attack. They need to acquire the PAC-3 system to provide the protection for its strategically important facilities and discuss the suitable and feasible missile defense system of its own. They should establish national level organization to assess the nuclear and missile threats of North Korea. They should demand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o focus on how to deal with North Korean nuclear missile threat and allocate th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for the missile defense to services including Army, Navy and Air Force. They also should closely cooperate with allies, such as U.S. and Japan. It is very high time for the Republic of Korea to do everything possible to protect the people from North Korean nuclear missile threat in the future.

      • KCI등재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한 한국의 군사전략

        박창희 세종연구소 2017 국가전략 Vol.23 No.4

        This paper aims to conceptualize South Korea’s military strategy to counter North Korean nuclear threats. While focusing on introducing cutting-edge weapon systems to win over North Korean nuclear and missile capabilities, ROK military has neglected on developing concepts to deal with such threats. Especially, it has not much heeded the question of “how to fight and win” if North Korea breaks out a war with nuclear weapons. As a result, ROK military, lacking thorough analysis on changing threats and strategy of North Korea, has failed to grasp proper direction for developing its countering strategy. This research, therefore, examines how North Korean military threats and strategy have evolved, and suggests South Korean deterrence strategy and warfighting strategy. We should not think “all is over,” or “war is impossible” because North Korea has nuclear weapons. Under current situation, it is important to analyse how North Korean regime would employ its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with what intention and purpose, and to prepare a strategy to respond effectively. This paper will propose the concepts of “comprehensive tailored deterrence strategy” and “short-term annihilation strategy based on preemption.” 이 글은 북한의 핵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의 군사전략을 개념적으로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한국군은 북한 핵위협을 억제하기 위해 첨단무기를 도입하는데 주력해 왔지만 상대적으로 이에 대비한 군사전략 개념을 발전시켜 이를 ‘한국화’하는 데에는 소홀한 면이 있었다. 특히, 북한이 핵 능력을 고도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만일 북한이 핵전쟁을 야기한다면 우리는 ‘어떻게 싸워 승리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이 많지 않았다. 그 결과 북한의 변화하는 군사위협과 군사전략에 대한 냉철한 분석이 결여되고, 나아가 이에 대비하기 위한 한국군의 군사전략에 대한 방향과 개념을 명확히 잡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이 연구는 먼저 북한의 군사위협 및 군사전략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한국의 군사전략을 억제전략과 전쟁수행전략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북한이 핵을 가졌다고 해서 상황을 비관하여 ‘이제 전쟁은 안 된다, 북진도 불가능하다, 모든 것이 끝났다’는 식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북한이 어떠한 상황에서 어떠한 의도와 목적을 가지고 어떠한 방식으로 핵 및 미사일을 운용할 것인지를 분석하고, 그에 부합한 대응개념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그러한 개념으로서 ‘총체적 맞춤형 억제전략’과 ‘선제기반의 단기섬멸전략’을 구상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