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독교계통 신종교에서 세계 신종교로의 연구 패러다임전환 ―전통별 사례연구

        안신 한국대학선교학회 2012 대학과 선교 Vol.23 No.-

        This paper deals with new religions in South Korea from a perspective of phenomenology of religion. Recently, new religions are growing among the Korean groups of young adults and seniors,while existing religions are shrinking from the Korean society. I argue that Christian churches and their members should have proper knowledge about new religions as they do about world religions including Islam and Buddhism. Due to the shortage of scholarship and scholars, the study of new religions still remains one of undeveloped area. Though they have great influence on church life and society, Christian educators and leaders often overlook the importance of new religious movements in their works and ministries. Especially students in the university level are likely to expose themselves to the active transmission of new religions. Therefore, a typological interpretation of new religions on the basis of phenomenology of religion will help us to understand their value systems and missionary strategies. First, a Islamic new religion, Baha'i Faith proposes the doctrine of progressive revelation by pointing out the unity among the founders of world religions. Second, a selftraining new religion,Daesoonjinrihoe focuses on the transformation from the former heaven to the latter heaven by solving animosity among people and repaying the grace to one another. Third, a new age religion, a Course in Miracles, changes Christian terms into gnostic worldview to awaken the materialistic society. Fourth, an Easternthought new religion, Hare Krishna movements transmits Hindu cultures and values among Indian nationals and Korean seekers. Fifth, a UFO new religion, Raelian movement pays attention to the scientific explanation by explaining the teachings of Rael given by the aliens of highly developed planet. In conclusion, we need to understand new religions in the 21st century, for they give alternative values to young generation who are dissatisfied with Christian values and their huge gaps between ideas and realities. Therefore, the objective and empathetic knowledge of new religions will build the healthy environment for young people, expecially University students who face the suffering of the present and the uncertainty of the future due to the economic crisis and political turmoil. 본 논문은 한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신종교들에 대한 유형론적이해를 시도한 글이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주류 종교들은 세속화와다원화의 영향을 받아 그 세력이 위축되고 있지만 새로운 종교들은청년과 노년계층을 중심으로 그영향력을 확장해 나가고있다. 기독교교회들과학자들은기독교계통의신종교에대한연구에는민감한관심을보이면서도 정작 다른 신종교들에 대한 파악을 거의하지 못하고 있다. 나아가 ‘이단논쟁’이나‘사이비논쟁’을남발함으로써기독교에대한불신과사회적불안을조장하기도한다. 그러므로종교현상학에기초한공감적이며 객관적인 신종교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첫째로, 이슬람계통신종교, 바하이신앙은점진적계시이론을제안하며다양한세계종교들의일치를주장한다. 둘째로, 자기수련계통신종교,대순진리회는 교육과 복지를 통하여 사회에 대한 이미지를 쇄신하고있고해원상생을통한지상의신선과천국을목표로하고있다. 셋째로,뉴에이지계통신종교, 기적수업은기독교적용어들을차용하면서도영지주의적세계관으로재구성하고있다. 넷째로, 동양종교계통신종교하레크리슈나운동은유일신론을주장하며한국인구도자들의관심을끌고있다. 다섯째, UFO계통의신종교, 라엘리안무브먼트는라엘이우주인들을만난종교경험을 토대로 종말론을 주장하며 과학적 무신론을 전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신종교들에대한바른이해는대학생들의영적복지와시민들의 정서적 안정에 기여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문가 양성이절실하게 필요하지만 교회와 사회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사회적공감대가 먼저 형성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나아가 신종교연구가개인연구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학회차원이나 교회와 정부의 지원을받는 연구소의 차원에서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이돈화의 신종교 기획- 종교적·정치적 주체 만들기 -

        이예안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22 개념과 소통 Vol.- No.30

        이 글은 1910년대 이돈화의 ‘신종교’ 개념 제시 및 논의 전개를 기성종교와 공인종교에 대한 저항으로서, 천도교 주도의 종교적 주체 만들기 기획인 동시에 정치적 주체 만들기 기획으로 설명한 것이다. 1910년대 한국에서 유통된 ‘신종교’ 개념은 기성종 교와 비교해 ‘새로운 종교’라는 의미를 가지는 한편 정통성이 결여된 ‘이단’, ‘요설’이 라는 의미를 가졌으며, 총독부 종교정책 아래의 ‘종교유사단체’ 취급과 같은 선상에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이돈화는 천도교를 ‘신종교’로 정의한 것인데, 거기에는 종교적 저항성과 동시에 정치적 저항성이 작동하고 있었다. 그의 신종교론은 구시대정신과 구종교를 주체적으로 비판하지 못하고 오히려 신종교를 배척하는 사람들의 인습적 주관을 적발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구시대의 타력적 신앙과 전제적 정치를 시대착 오적인 종교와 정치로 비판한 것이며 그로부터 탈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로부터 이돈화는 식민 당국의 이른바 ‘정교분리의 시대’의 허구성에 대항하기 위해 신종교가의 모습을 정교일치적 지배자로 요청한다. ‘신종교’가 종교와 정치에 관한 ‘새로운 가르 침’이므로 ‘신종교가’는 그 ‘새로운 가르침’을 체현하는 주체이다. 또한 ‘신종교가’는 단수가 아니라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활동하는 복수의 주체이다. ‘자기’를 타력적 신앙과 전제적 정치에서 해방시키고, ‘자기’의 권위와 가치를 회복시킴으로써 새로운 종교적·정치적 주체로서 ‘자기’를 세울 것을 주장한다. 각자가 모두 다 같이 ‘자기’의 가치와 권위를 회복하고, 권리와 자유를 향유하는 주인-되기. 그 실현을 향해 이돈화는 신앙의 방식과 활동의 혁신을 주창하며, 신종교로서의 천도교 기획을 추진한 것이 다. 그의 신종교 기획의 현장을 살피는 이 작업은 식민지 조선에서 천도교를 포함한 신종교가 가지는 독특한 위상과 의미, 그리고 그 종교적·정치적 주체의 가능성을 생각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This article explores Lee Donhwa’s theoretical approach to the new religions which arose in Korea in the 1910s. His intention was to create a religious and political subject, as exemplified by Cheondogyo, which would stand against established religion and authorized religion. In this period the concept of ‘new religion’ had three meanings: (1) a newly developed religion in comparison with established religions, (2) a heretical system which lacked legitimacy, (3) an organization with religious attributes to be reviewed by the religious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Against this context, Lee Donhwa defined Cheondogyo as a new religion in which religious resistance and political resistance could operate simultaneously. He sees the separ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as a system invented and imposed by the colonial authorities, and calls for the unified rule of church and state. He understands new religion as a “New Teaching” on religion and politics so that the “New Religionist” is the subject which embodies this “New Teaching.” This “New Religionist” is not singular, but rather a plural subject which is active in all areas of society. Lee Donhwa argues for “self” to be established as a new religious and political subject by liberating “self” from blind faith and despotic politics, in order to restore its authority and value. This restoration is central to Lee Donhwa’s project for the new religion of Cheondogyo, through which anyone could become “Master of Self” and thus enjoy the corresponding rights and freedoms. This article examines his project to create a new religious and political subject, and also surveys the distinctive status and meaning of Cheondogyo and other new religions during the colonial period.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신종교와 신종교학

        신광철 ( Kwang-cheol Shin ) 한국신종교학회 2021 신종교연구 Vol.45 No.-

        코로나19 펜데믹은 종교의 지향에 대한 전면적 성찰을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신종교학회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신종교와 신종교학”을 주제로 학술적 토론의 장(場)을 열었다. 이 글의 목적은 한국신종교학회의 이러한 학술적 성과를 갈무리하여 현재적 지점을 진단하고 미래적 전망을 시도함에 있다. 이 글에서는 ‘신종교연구’ 44집을 통해 갈무리된 학술적 성과를 중심으로 이러한 진단과 전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진단과 전망을 통해, “포스트코로나 시대 신종교학”이 ‘다시 개벽의 신종교’, ‘공공성의 신종교’를 연구 주제로 삼아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지금 한국의 신종교계는 ‘재난 거버넌스’라는 공통의 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종교는 ‘공공적 배려’의 능동적인 ‘주체’가 되어야 할 것이다. 신종교학은 그러한 ‘공공적 배려’를 위한 이론적 토대와 실천적 지향점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비대면’이 강제된 현실 속에서 ‘공공적 배려’를 통해 이웃들의 진정한 얼굴을 따뜻하게 보고 보듬을 수 있을 ‘공공성의 신종교학’이 절실한 시점이다. The COVID-19 pandemic is calling for a full reflection on the orientation of religion. At this point, the Korean Academy of New Religions opened an academic discussion on the topic of “New Religion and Research on New Religions in the Post-Corona Era”.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agnose present points and attempt future prospects through thes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Korean Academy of New Religions. In this article, these diagnoses and prospects were carried out focusing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that had been divided through the 44th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ew Religions. Through these diagnoses and prospects, it was concluded that ‘Research on New Religions in the Post-Corona Era’ should focus on ‘new religions of Gaebyeok again’ and ‘new religions of the public nature’ as research subjects. Currently, the new religious community in Korea is facing a common task of ‘disaster governance’. In this situation, the new religion should become an active ‘subject’ of ‘public consideration’. The study of new religions should present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practical direction for such ‘public consideration’. In a reality where ‘non-face-to-face’ is forced, ‘a new Research on New Religions of public nature’ that can warmly see and care for the true faces of neighbors through ‘public consideration’ is urgently needed.

      • KCI등재

        신종교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안신(Shin Ahn) 한국선교신학회 2012 선교신학 Vol.31 No.-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possibility of new issues in mission studies by examining new religions in a phenomenological way. The phenomenology of religion emphasizes the stopping of value judgment and the empathetic understanding of religious essence. Though scholars in mission studies pay attention to the study of world religions including Islam and Buddhism, they seem to have overlooke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study of new religions such as Unification Church and Mormonism. The scholars in the West, especially, the USA, UK, Italy, and Sweden, initiated the study of new religions in order to give proper information on new religions to the public, government, and churches. Anti−cultist's criticism on new religions often distorted the contents and image of new religion, so we need more objective research on new relig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text analyses, interviews, and field works. The death of Mun Sun Myung(1920−2012), the founder of the Unification Church, recently increased the public concern to new religions. Considering its influence on Korean society and the world, scholars should study new religions existing in the world. According to tradition, the six classification of new religions is possible: ① Christian tradition, ② Islamic tradition, ③ Asian religious tradition, ④ UFO tradition, ⑤ self−cultivating tradition and ⑥ New age tradition. New religions have different views on religious authority, scriptures, family, and the role of women from existing majority religions. Their mission strategies focus on the youth group and the elite intellectuals seeking for the new meanings through individual contacts and mysterious experiences. Like the case of 1978 mass suicide of the People's Temple, new religions sometimes shows the destructive respect. Therefore, more objective and scientific studies on new religions are necessary for us to protect the security of society and the health of religion from its fanaticism. In conclusion, the author proposes three possible issues related to new religions in mission studies. First, the updated information on new religions is needed. Second, the publication of documents, the training of religious experts, and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institutes on new religions are necessary. Third, rather than theological debate, ethical engagement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신종교` 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신종교` 개념 문제를 중심으로

        김태연 ( Kim Tae Yeo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7 종교문화비평 Vol.31 No.31

        본 연구는 `신종교` 개념 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기존의 `신종교` 연구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신종교` 개념은 과거의 `유사종교`, `신흥종교`, `이단`, `사이비 종교단체`와 같은 부정적 함의를 탈피할 수 있는 중립적 개념이라고 주장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신종교` 개념은 이를 사용하는 학자마다 다른 방식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신종교` 개념이 등장하는 맥락은 서구의 경우와 한국의 경우가 상이하다. 한국의 경우 `신종교`를 1860년 동학 이래로 등장한 종교집단에 대해 사용하고 있지만, 미국이나 유럽에서의 `신종교` 개념은 1960년대 이래로 등장한 종교집단에 사용 된다. 또한 한국의 경우에는 일제시기 독립운동과 민족정신 함양에 기여한 `민족종교`, 그리고 엘리트보다는 넓은 `민중` 계층에 영향력을 발휘한 `민중종교`로서 `신종교`를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서구에서는 개인주의와 세속화가 확산되면서 `기성종교`에 대한 대안으로서 등장하는 `신종교운동`, `컬트` 등을 가리킨다. 이러한 서구의 `신종교` 개념과 한국에서의 `신종교` 개념이 그 의미에 대한 성찰이 없이 혼용될 경우 `신종교` 개념은 더욱 모호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새롭다`는 형용사의 문제가 있다. 언제까지 `신종교`는 새로운 `종교`, 즉 `신종교`로 머물 수 있을까?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신종교`에 대한 국내외의 다양한 연구와 정의, 그리고 이를 둘러싼 상호 의미망에 대하여 검토하고 자 한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한국에서 `신종교` 개념의 정착과 개념상의 문제점에 대해 고찰한다. 3장에서는 한국에서의 `신종교` 이해에 대한 다섯 가지 경우를 살펴본다. 이후 미국과 독일의 대표적 사례를 중심으로 서구에서의 `신종교` 개념의 함의와 그 접근법에 대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를 통해 `신종교` 개념과 그 연구에 대해 반성적으로 접근하여 `신종교`라는 개념이 한국의 `신종교` 연구를 위한 분석적 범주로서 얼마나 유효한지를 성찰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examine the professional term of `new religion`, by analyzing the various researches on the problems, raised by the concept of `new religion`. It has been so far argued that the concept of `new religion` is a neutral term, being at least avoidable of the negative implications upon this terms like `pseudo-religion`, `emerging religion`, `heresy` and so on. In reality, any scholars who concern about the definition of this term do not agree each other on its connotation.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new religion` is varied along with the context where this term is used and applied: particularly, the usage of this terminology is quite different between Korea and the West, where it is first used as professional term. In Korea, `new religion` is designated as the various religious groups that have newly emerged since Donghak(東學) movement in 1860, but in the United States or Europe it is used to define new religious groups that have emerged since the 1960s. In Korea, there happens a tendency of calling `new religion` as a `people`s(kor.: 민중 Minjung) religion`, which contribu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enhanced the national spiri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o `people`s religion` is naturally accepted as `new religion` that impacted upon a wide range of people. In the West, on the other hand, `new religious movements` and `cults` are emerged as the alternatives to the `institutionalized religions`, under the influences of the wide spread of individualism and the secularization. The confused concept of `new religion` could be used in a more vague mode if not clearly reflected on its meaning and its usages in the cultural contexts in the West and in Korea. The adjective word of `new` is again the problematic for its connotations. How long can `new religion` stay as a `new religion`? This paper will examine these varieties of the definitions of `new religion` and the research papers, appeared up to now in Korea and the West, will be critically examined with their interrelated semantics. This paper is composed of as follows: In Chapter 2, I will consider how to settle down the concept of `new religion` in Korea and its conceptual problems. In Chapter 3, I will examine five prevalent definitions of `new religion` in Korea and some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new religion` in the West. The approach methods of the West are provided, focused on the distinctive cases of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Finally, I will try to apply this re-evaluated concept of `new religion` to the researches to come, and to examine how the concept of `new religion` can be analytically categorized for the researches on `new religion` in Korea.

      • KCI등재

        『한국신종교사전』 편찬을 위한 기초연구-연구방법론의 제기로부터 표제어 추출까지-

        김도공 ( Do Gong Kim ),윤승용 ( Seung Yong Yun ),고시용 ( Shi Yong Ko ),김항제 ( Hang Je Kim ),원영상 ( Yeong Sang Won ),권동우 ( Dong Woo Kwon ),허남진 ( Nam Jin Heo ) 한국신종교학회 2014 신종교연구 Vol.31 No.-

        본 연구는 근현대 한국 신종교의 역사?교리?교조?조직?의례?문화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연구하여 사전(事典)으로 편찬하기 위한 기초 방법론의 제시와 표제어추출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신종교사전의 편찬은 향후 신종교 관련 연구 및 일반적 활용을 위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근현대 한국문화의 연구를 위한학술 인프라구축에 기여할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진행한 작업은 『한국신종교사전』 편찬을 위한 ①신종교 관련자료의 조사, ②범주분류, ③표제어 추출이다. 『한국신종교사전』 편찬을 위한 분류체계는 크게 대분야, 중분야, 소분야로 하며,그 하위구조에 집필해 갈 구조를 다시 10개 범주로 구분하였다. 대분야는 자생신종교, 불교신종교, 기독교신종교, 외래신종교, 신종교(학)일반/신영성운동이다. 사전집필의 범주구분은 교단명, 인물, 교리/사상, 역사/사건, 의례/상징/문화예술, 문헌, 단체, 유적/성지, 조직/제도, 기타로 대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표제어를추출하였다. 표제어는 각 교단의 한국종교문화사적 위상 및 연구 성과, 대사회적활동 등을 고려하여 대항목, 중항목, 소/세항목으로 구분·기술하도록 하였다. 항목 표제어 추출은 ①기초자료조사를 통한 표제어 추출, ②공동연구를 통한 1,2차 점검, ③사전편찬회의를 통한 3차 점검을 거쳐 완성하였다. ①기초자료조사를통한 표제어 추출은 문헌조사, 웹사이트를 통한 자료수집, 실태조사에 의한 확인으로 진행하였다. ②공동연구를 통한 1, 2차 점검 및 수정을 통해 대/중/소항목의 비율을 조정하고, 표제어 선정기준 및 원칙을 세워 ??한국신종교사전??에 적합한 표제어를 추출하도록 하였으며, 각 범주에 대한 표제어 선정기준을 마련하였다. ③사전편찬회의를 통한 3차 점검에서는 각 분야 전문가인 편찬위원들의 문제제기 및 의견을 수용하여 표제어의 전반적인 수정을 가하여 최종 점검을 받은 후 표제어를 확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ynthetically review histories, doctrines, organizations, religious rituals, and cultures for the Korean new religions in the modern history and to suggest the methodology and entry words for the compilation of a new religion dictionary in Korea. The compilation of a new religion dictionary in Korea may serve as the objective basis for the further related studies and general uses, and can contribute to build the academic infra-structure for studying the modern Korean cultures. Especially, this research focused on 1) reviewing the related data and references, 2)classifying categories, and 3) suggesting entry words in new religions. The classification scheme, which consists of three scales (large, medium, and small) according to fields, includes the 10 categories as its sub-schemes. The large category is classified into 5 fields such as 1) native new religions, 2) Buddhist new religions, 3)Christian new religions, 4) foreign new religions, and 5) general new religions/new spiritual activities. The 10 categories of its subscheme is 1) religion title, 2) central figures, 3) discipline/thought,4) history/evenement, 5) ceremony/symbol/culture and art, 6)documents, 7) foundations, 8) historic site and shrine, 9) organization and system and 10) the others. The entry words are originated from these categories. The entry words are classified and described into the three types of articles : large, medium, and small, considering status, academic results, social activities for each entry word. The process for suggesting entry words passed through the three steps such as 1) sampling entry words based on the review for basic data and references, 2) the two times checking co-works and study, and 3) the final checking discussion by the committee for the compilation of dictionary. The second step had made adjustments tothe ratios of large, medium, and small article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hecking works and suggested the standards and principles for sampling entry words. In the last step, the committee, which consists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had made the final check through various problem presentation and discussions for entry words and come to the definite decision for entry words.

      • KCI등재

        한국 신종교의 개혁사상과 다문화가정

        조응태 ( Eung Tae Jo ) 한국신종교학회 2009 신종교연구 Vol.21 No.-

        본 논문은 현대 한국 사회 속에서 다문화가정이 갖는 고통이 한국 신종교들이 창교될 당시의 민중이 겪었던 고통과 같은 맥락에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서, 신종교들이 인간존중 사상과 조화와 융합사상으로 사회개혁에 앞장섰던 전통을 현대에 계승하고자 한다. 특히 금년은 동학의 창교 150주년을 맞이하는 뜻 깊은 해를 맞이하며, 또한 한국이 다문화가정을 중심하고 다문화민족으로 전환해야 할 중요하고도 문화적 위기를 맞이한 시점에서 신종교들이 가정문화 개혁에 주도적 역할을 하는 사명을 다해야 할 것이다. 길게는 150년에서 짧게는 5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신종교들이 창교 정신을 망각하여 다문화국가를 향한 개혁과 새로운 질서 체계 구축과 통합을 위한 사회적 패러다임의 재편에 앞서지 못한다면 현대인들로부터 외면당하게 될 것이다. 자칫 다문화가정을 중심하고 기성종교가 신종교가 되고 신종교는 노화된 종교로 전락할 상황에 처할 수 있는 때가 지금이다. 현대인들은 기성종교나 신라종교라는 명칭보다도 고통당하는 이들에게 다가가고 동참하며 개혁을 위하여 노력하는 명실상부한 현대적 신종교를 찾고 있다. 그러므로 경제적, 문화적, 교육적, 법률적인 측면에서 다문화가정이 겪고 있는 고통에 관심하며, 저들의 고통 너머에 한민족과 인류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과 장점이 있음을 중시하여서, 신종교들이 다문화가정을 중심한 새로운 가정문화 정책개발과 실천을 통하여 한국을 다문화국가로 개혁시키고 하나의 지구촌 구현을 향한 전진에 앞서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신종교들이 추구할 새 가정문화 컨텐츠로써 신종교들 사이의 개방적인 교류 확대와 결혼 정책 등을 제시하면서 종교들이 먼저 실제적 다문화가정이 되거나 의식적 다문화가정이 되어야 할 것을 주장한다. 본 고찰을 위하여 신종교들 중에서 동학, 증산교, 원불교, 통일교를 선택하였다. Korean New Religions were appeared among the social confusion and pains of people occurred by the inflow of foreign countries and the corruption of Joseon dynasty, and finally bestowed national religion or people`s religion. Now, however, they have long history, from 50 to 150 years. We should remember that to keep the original reformative spirit of Korean New Religions is more important than long history. We should not satisfy with comfort and richness. Without having courage to devote ourselves to suffering people, New Religions would lose their reputation and honor. Therefore we should move the New Religion to True Religion which would be accepted by the citizen who are not concern the title but true and pure function of religion. In modern society, most of Multicultural Families still stay in the suffering states which are equal to the pains of people(Minjung) during the first establishment of New Religion, Donghak. But their sufferings have a potential power and should be used for the bright future, ideal world that all New Religions have been pursued as the concept of new heaven and new earth. The new concept of multicultural family would be developed by New Religions, which is summarized 10 items. Some of main ideologies of New Religions are Anthropocentrism, Harmony, and Confusion of Religions. And especially with the Inter-new religious marriage or visiting each other religious communities, the main idea suggested by this paper, New Religions can revitalize and achieve the original spirit of new religions that the establishers had already suggested. It could lead us a new huge family culture and the great one world, where human beings enjoy life together as a siblings, and pains could not be found there. Korean New Religions should be changed to World New Religions and True Religion, and after that should change Korea sustained by the old concept of blood lineage, homogeneous nation, and patriarchy to multicultural nation, and change world separated by boundaries between neighbor nations to One Great Family. It means that the common hope of Korean New Religions will be accomplished by Mun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한국 신종교 연구의 현황과 전망 -신종교연구지를 중심으로-

        김항제 ( Hang Je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09 신종교연구 Vol.21 No.-

        한국의 종교지형은 불교, 천주교와 개신교를 포함한 기독교가 주류이며 뒤안길로 밀려난 유교가 명맥을 겨우 유지하고 있고 한국의 신종교는 그 규모에 있어 주류 종교와 현격한 차이 때문에 많은 수에 비해 변변한 지형을 갖고 있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종교지형을 하나의 정원에 비한다면 밟고 밟아도 돋아나는 질경이 풀보다도 더 질긴 잡초인 한국의 신종교는 하나의 정원을 꾸미는 구색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난국의 신종교도 종교생태계를 지켜온 파수꾼역을 해왔다고 할 수 있다. 건강하게 지속될 수 있는 한국의 종교생태계는 다원화된 종교의 생태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구의 신종교 스스로 종교생태계의 조화를 위한 종교라고 할지라도 종교의 사회적 기능 곧 통합기능을 상실한 채 역기능적인 한국의 신종교도 잡초의 밭에는 널려 있음도 부정할 수 없다. 그래서 한국의 신종교는 하늘의 별 만큼 생기기도 하고 멸하기도 한다. 이에 한국의 신종교를 비판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한국의 신종교 자신을 위해서만이 아니고 한국의 종교생태계를 위해서도 피할 수 없는 요청이라고 할 수 있다. 하여 한국신종교학회는 새 천년기를 맞이하면서 출발하게 되었고 그에 부응하여 10여년의 세월이 흘러왔으며 학회지인 `신종교연구`는 매년 2집씩 총 19집(2008년 현재)을 출간하기에 이르렀다. 총 5천4백여 페이지에 달하는 `신종교연구`지에는 한국의 신종교를 연구해온 연구자들이 발표한 연구논문이 다수 실려 있어 한국 신종교 연구의 현황과 전망을 대략이나마 살피는데 크게 부족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신종교 연구의 현황과 전망을 한국신종교학회의 학회지인 `신종교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은 나름대로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한국신종교학회의 `신종교연구`지를 통해 살핀 `한국 신종교 연구의 현황과 전망`은 비록 한국의 신종교 연구를 전체로 현황과 전망을 말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한국의 신종교를 연구하는 저작물이나 학술발표가 극히 미미한 점을 생각한다면 반드시 그렇지도 않다. 한국신종교학회가 한국의 신종교 연구를 선도하는 한국의 유일한 학회이며 `신종교연구`지는 한국신종교학회의 학회지잉기 때문이다. 다만 본 논문에서 덧붙이고 싶은 제언이 있다면 세계화시대를 맞이하여 신종교 연구를 위한 국제적 연대 또한 꼭 필요하고 요청되는 활동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신종교학회에서도 국제학술회의를 2년마다 개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일본에서 열리는 신종교 연구를 위한 국ㅈ적 연대도 그러한 의미에서 매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제적 연대가 온라인상에서도 이루어져 연구의 자료와 내용을 공유하고 상호 연구를 진작 시키는 노력이 경주된다면 금상첨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Religions in Korea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main groups: Buddhism, Roman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In comparison, Confucianism maintains its slender existence and new religions are not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However, an important point to emphasize is the fact that the new religions in Korea have been keepers watching diversities of religions. On the contrary, contributing to social integration of the new religions is still open to criticism. That is an important reason why so many new religions have destroyed themselves. Over the past 10 years, a considerable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y Korean Association for the new religions. An example of the studies is the journal of new religions published twice a year. There are numerous studies in the journal of new religions. The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new religions have been discussed in the journals. But the question of universal validity remains unsettled. Is spite of this limitation, what is apparent is Korean Association for the new religions is an leading association studying new religions in Korea. Now we are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nternational network and activities for the new religion studies can be helpful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International conference can be a good example to illustrate one of our efforts.

      • KCI등재

        김효경의 한국 신종교 연구 시각 고찰

        박병훈 ( Park Byoung Hoon ) 종교문화비평학회 2024 종교문화비평 Vol.45 No.45

        김효경(金孝敬, 1904~?),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에서 유학한 종교학자로 그가 왕성하게 논의를 전개했던 무속, 풍수, 불교 등등의 연구분야에 있어 현재는 거의 이름이 언급되지 않는다. 최근 전경수가 김효경이 쓴 글들을 모아 자료집을 낸 이후 김효경에 대한 연구의 물꼬가 트였으나, 현재 한국학계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는가 하는 점에 있어서는 다소간 회의적이며, 한국 신종교사에 있어 더욱 그러하다. 이는 그가 한국 신종교에 대해 남긴 글이 많지 않고, 그에 따라 자신만의 독창적인 시각을 보이지 못한 탓이 크다. 그러나 김효경이 당대 한국신종교를 바라보았던 시각을 발굴해 낸다는 것은 유의미한 작업임은 분명하다. 그는 ‘민족종교’란 용어를 통해 한국 신종교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드러내었는데, 이는 한국 신종교가 과거로부터의 민간신앙적 요소를 갖고 있어 당시 사람들에게 익숙한 면을 갖고 있는 한편, 현존 종교 및 체제에 대해 반항하는 측면과 급변하는 시대적 요구에 대한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는 무라야마 지쥰의 《조선의 유사종교》에서 드러내는 시각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무라야마 지쥰은 신종교의 발생 원인을 당시의 불안하고 불평등한 시대상과 결부시켰다. 신종교는 발생에 있어서는 사회고를 배경으로 한 조선의 사회상을 반영하고, 영향에 있어서는 조선사회의 진동(進動)에 크게 기여하였기에 경시해서는 안 된다고 평하고 있다. 그러나 이 사회운동과 신종교와의 관련성은 부정적인 측면에서 다뤄진다. 신종교가 혁명사상을 고취하고 민족의식을 농후하게 하는 것은 오히려 민중 사이에 잠재되어 있는 혁명사상과 민족의식에 대한 환영심리를 이용한 것이라 하여, “종교의 가면을 쓰고 정치운동을 하고 있다”라 표현하기까지 한다. 한편 김효경은 한국 신종교의 반항적 특징은 한편으로 정감록과 결합되는데, 정감록 역시 우연히도 현재의 불만족스러운 현실을 바꾸어야 한다는 세계관을 갖고 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김효경이 신종교에 대해 남긴 글은 많지 않지만 그의 시각은 일제강점기의 한국 신종교를 바라보는 하나의 관점으로 여전히 유효하다. Kim Hyo-kyung (金孝敬, 1904~?) was a scholar of religious studies who studied in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lthough he actively engaged in various research areas such as shamanism, feng shui and Buddhism, his name is rarely mentioned today. Recent interest in Kim Hyokyung has increased since Jeon Kyung-soo compiled Kim's writings into a collection. But there remains some skepticism regarding whether his work provides meaningful insights into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This skepticism is particularly pronounced in his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new religions in Korea, as he did not leave a substantial body of work and failed to present his unique perspective. Nevertheless, exploring Kim Hyo-kyung's views on how he perceived contemporary Korean new religions is a worthwhile endeavor. By using the term “ethnic religion,” Kim Hyo-kyung presented a positive perspective on Korean new religions. Such a perspective stemmed from the idea that Korean new religions, while integrating elements of traditional folk beliefs from the past familiar to people, also reflected a response to the rebellious aspects and changing demands of contemporary religious and social systems. This perspective can be attributed to the influence of Murayama Chijun’s Pseudo-Religions in Joseon. Murayama Chijun associated the emergence of new religions with the unsettled and unequal societal conditions of society. He emphasized that new religions, in their emergence, reflected the social status of Joseon (Korea) based on societal anxiety, and in their influence, greatly contributed to the fluctuations of Joseon society. He warned against disregarding them.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social movement and new religions is discussed from a negative perspective. It is argued that new religions, by intensifying revolutionary ideology and fostering national consciousness, actually tapped into the latent revolutionary ideas and national consciousness among the people. Some even go as far as to express it as “wearing the mask of religion while engaging in political movements.” Additionally, Kim Hyo-kyung argued that the rebellious traits of Korean new religions were associated, in part, with Jeong's Predictions. This was because Jeong's Predictions were perceived as advocating the necessity of changing the unsatisfactory reality. While Kim Hyo-kyung did not leave extensive writings on new religions, his perspectives continue to offer a valuable viewpoint in understanding Korean new religions. The writings left by Kim Hyo-kyung regarding new religions may not be plentiful, but his perspective remains valid as a viewpoint when examining Korean new religio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KCI등재

        아네사키 마사하루(姉崎正治)의 ‘신종교’론과 그 실천 양상

        이연승 종교문화비평학회 2023 종교문화비평 Vol.44 No.44

        Masaharu Anesaki (1873~1949) was a prominent Indian scholar, Buddhist scholar, and founder of Japanese religious studies. This paper highlighted one aspect of his religious studies, focusing on his ‘New religion’ theory and its practical aspects. In previous studies, confusion often arose due to the interchangeable use of ‘new religion’ and ‘New Religion’, leading to misunderstandings. However, in my analysis, I distinguish between the two terms and explore Anesaki's concept of ‘New Religion’. In this context, ‘New Religion’ refers to an ideal form of religion demanded by Japan's unique historical circumstances during that era. It represents a novel type of religion capable of harmonizing with scientific knowledge. This reflects the new trends and ideologies of the religious community that emerged in the Meiji 20s, and was mainly supported by the intellectual class. Anesaki explains that the need for ‘New Religion’ arose from the specific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Meiji era, and characterized the history of Japanese religions as a history of inclusiveness and synthesis, with ‘New Religion’ being the most notable manifestation of this characteristic. His ‘New religion’ theory, developed when he was 24~25 years old, lasted throughout his life as a religious scholar and religious person. The 1896 Conference of Religious Council(宗敎家懇談會) marked the pinnacle o f the ‘New R eligion’ m ovem ent in t he M eiji 2 0s a nd 3 0s. Masaharu Anesaki's participation in this conference had significant academic and social implications. Following this, he played a leading role in subsequent ‘New Religion’ activities such as the Society of Teiyu Ethics (丁酉倫理會), the Wartime Religious Community Meeting(戰時宗敎家懇談會) in 1904, and the Tri-Religious Meeting(三敎會同) in 1911. Reflecting on the history of interreligious cooperation from the Religious Congress of 1896 to the Tri-Religious Meeting of 1911, Anesaki took pride in leading these activities, recognizing their close association with the Department of Religious Studies that he headed within the College of Letters. From this perspective, it becomes evident that Anesaki's theory of ‘New Religion’ and his practical engagement constituted a core part that permeated his entire body of work in religious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