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 일상(new normal) 시대 교사의 문법 교수 역량 탐색

        이병규 ( Lee Byounggyu ) 반교어문학회 2023 泮橋語文硏究 Vol.- No.65

        이 논의의 목적은 ‘뉴 노멀(new normal)’ 시대 국어과를 가르치는 교사의 ‘문법 교수 역량’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 주제의 핵심어는 ‘뉴 노멀’과 ‘문법 교수 역량’이다. 따라서 이 주제를 탐색하기 위해서 ‘뉴 노멀’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그에 부합하는 문법 교수 역량의 특성을 규명했다. ‘뉴 노멀’은 ‘새 일상’과 ‘새 기준’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보았고, ‘뉴 노멀’로서 ‘새 일상’의 모습을 ‘사회적 측면’과 ‘교육적 측면’에서 논의했다. 이를 바탕으로 ‘새 일상’이 요구하는 교사의 문법 교수 역량으로 ‘새 기준(new normal)’을 제시했다. 문법 교수 역량으로서의 새 기준은 학습자의 문법 지식 탐구 능력 신장을 지원하는 교수 역량, 문법 지식 탐구 교재 재구성 역량, 과정 중심의 평가 계획 및 수행 역량, 문법 성취 기준 융합 역량, 기초 문식성 교수 역량, 미디어 문식성 교수 역량‘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 그 외에도 에듀테크 역량, 블렌디드 교수 역량도 필수적임을 지적했다.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is to explore the ‘grammar teaching competenci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new normal’ era. The key words in this topic are ‘new normal’ and ‘grammar teaching competence’. Therefore, in order to explore this topic, we identified what the ‘new normal’ is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grammar teaching competencies that correspond to it. We understanded that the term ‘new normal’ is used in two senses: ‘new daily lives’ and ‘new standards’, and discussed the appearance of ‘new normal’ as ‘new daily lives’ from ‘social aspects’ and ‘educational and curricular aspects’. Based on this, the ‘new normal’ as ‘new standards’ was proposed as the grammar teaching competency of teachers required by the ‘new normal’ as ‘new daily lives’. The new standards for grammar teaching competencies discussed in detail the teaching competencies for enhancing learners’ ability to explore grammar knowledge, the competencies for restructuring textbooks for exploring grammar knowledge, the competencies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process-oriented assessments, the competencies for integrating grammar achievement standards with achievement standards of speaking․listening․ reading․writing, the competencies for teaching basic literacy, and the competencies for teaching media literacy.

      • KCI등재

        코로나19와 뉴노멀의 인문학 - 코로나19 이후, 인문학의 미래와 전망을 중심으로 -

        양해림 ( Yang Hae-rim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1

        최근 종종 언급되고 있는 뉴노멀은 지난 2008년 세계금융 위기 이후 나타난 새로운 경제 질서를 지칭하는 용어로 급부상한 용어이다. 즉, 미국의 버블경제 이후 새로운 경제적 표준(Standard)이 일상화된 미래를 일컫는다. 전(全) 세계가 코로나 19를 겪고 있는 지금, 뉴노멀이 다시 전 세계적인 화두가 되고 있다. 이제 코로나19 사태가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진행 중인 세계화의 둔화를 재촉하리라는 전망이 불가피하게 많아졌다. 이렇듯 경제적인 변화에서 시작된 이 용어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 이후 자리하게 될 새로운 일상의 정상성이나 표준을 의미하게 되었다. 하지만 뉴노멀 시대에 새로운 표준이 우리 일상의 세밀한 행동을 넘어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 과학기술과 예술, 교육 등 거의 전 영역에 걸친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적인 변화를 반영해야 할 상황을 마주하고 있다. 이렇게 필자는 뉴노멀 시대에 뉴노멀 인문학이 가야 할 길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코로나19가 이후의 사회적 변화를 의미하는 포스트코로나(Postcorona) 시대에 어떻게 인문학을 대비해야 할 것인지 점검해 볼 시점이다. 따라서 필자는 인문학이 뉴노멀 시대에 새로운 변화를 해야 하는 이유, 그리고 인문학이 뉴노멀 시대에 인간과 동물의 근본적 관계설정을 다시 해야 하는 이유, 궁극적으로 필자는 코로나19 이후에 다가올 인문학의 역할과 과제 그리고 미래를 전망해 보고자 한다. New normal, which is often mentioned recently, is a term that has emerged as a term referring to the new economic order that emerged after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In other words, it refers to the future in which new economic standards become commonplace after the US bubble economy. Now that the whole world is suffering from Corona 19, New Normal is again becoming a global hot topic. Now, the outlook that the Corona 19 crisis will accelerate the slowdown of globalization, which is currently underway with the financial crisis originating from the US in 2008, has inevitably increased. This term, which originated from such economic change, has come to mean a new normality or standard of daily life that will be in place after the corona pandemic. However, in the new normal centuty, new standards foreshadow Copernician revolutionary changes in almost all areas, including politics and economy, society and culture, science and technology, art, and education, beyond the detailed actions of our daily lives. In this way, I would like to consider what the real path of New Normal Humanities in the New Normal period. It is time to examine how we should prepare for the humanities in the postcorona centuty, where Corona 19 means social change in the future. Therefore, I believe that the humanities need to make new changes in the New Normal century, and why we humans need to re-establish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in the New Normal century and ultimately the role and challenges of humanities that will come after Corona 19 and the future.

      • KCI등재

        새 일상(new normal) 시대, 국어 교육의 새 기준(new normal)

        이병규 ( Lee Byoung Gyu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특별호2

        이 글은 새 일상 시대의 국어 교육의 방향으로서의 새 기준을 논의했다. 먼저 ‘새 일상’과 ‘뉴 노멀’의 용어상의 관계를 살펴본 후, 새 일상 시대는 어떠한 모습을 띠고 있는지를, 사회적 측면과 교과적·교육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사회 변화적 측면의 새 일상으로는 먼저, 경제 침체에 따른 것으로 빈부 격차 심화, 교육 불평등 심화, 저출산 고령화로 인구절벽 심화, 1인 가족 및 1인 생활 일반화 등을, 4차 산업 혁명 시대와 관련된 것으로 뉴미디어의 발달, 비대면 온라인 소통 방식의 일반화, 각 분야의 인공지능의 개발로 인간의 역할에 대한 변화 등을, 코비드 19로 인한 새 일상으로 소득 양극화, 배달 문화의 활성화 및 플랫폼 노동자와 그 인권 문제 대두, 재택 근무의 일반화, 교육 양극화의 심화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기후 변화로 인한 저탄소 배출,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인 근로자 가정 및 국제 결혼 가정, 전세계적 한류 신드롬의 출현 등을 사회적 새 일상에 포함시켰다. 다음으로 교과적·교육적 측면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여섯 가지의 핵심 역량과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여섯 가지의 핵심 역량이 새 일상 시대에도 유효한 것으로 파악했다. 다만 여기에 새 일상 시대의 사회 변화의 모습을 2022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해야 함을 논의했다. 나아가 학문 간, 교과 간 통섭과 융합에 대한 요구, 코비드 19의 경우에서처럼, 사회적 거리 두기 등으로 인한 면대면(off-line) 중심의 학교·지역·사회 교육에서, 비대면(on-line) 병행 또는 비대면 중심의 학교·지역·사회 교육의 일반화 및 보편화 요구 등도 반영하여야 함을 논의했다. 끝으로 새 일상 시대의 특성과 성격을 국어 교육과 연계하여 논의하고, 새 일상 시대의 국어 교육이 지향해야 할 새 기준으로 첫째, 창의적 사고력 신장 강화, 둘째, 맥락과 어법에 맞는 국어 사용 능력 신장 강화, 셋째, 미디어 문식성 신장 강화, 넷째, 기초 문식성 강화, 다섯째, 융합적 사고 역량 강화를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new normal as a standard(NNS) as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new normal as a new daily life(NNL). First, after examining the termin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NNL’, ‘NNS’ and ‘new normal’,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NNL by dividing it into a social aspect and a curricular·educational aspect. The NNL in terms of social change is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economic downturn,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has widened, educational inequality has increased, the population cliff has been deepened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and single-person families and single-person lifestyles have generalized. As related to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are developments in new media, the generalization of non-face-to-face online communication methods, and changes in the role of humans due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ach field. As a NNL due to Covid 19, there are income polarization, the revitalization of delivery culture, the rise of platform workers and their human rights issues, the generalization of telecommuting, and the deepening of education polarization. In addition, low carbon emissions caused by climate change, foreign worker families and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and the emergence of the global Hallyu syndrome can also be included in the social NNL. Next, the NNL in terms of curriculum and education change is as follow. It was identified that the six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general summary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six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re effective in the NNL.It was just discussed that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hould reflect the social changes in the NNL era. Furthermore, It was discussed that the curriculum should also reflect the demand for generalization of non-face-to-face school, regional, and social education due to social distancing(Covid 19) and the demand for consilience and convergence between disciplines and subjects. Finally, four N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NL are presented. First, strengthening creative thinking ability, second, strengthening the ability to use Korean according to context and usage, third, strengthening media literacy, fourth, strengthening basic literacy, and fifth, strengthening convergence thinking capability.

      • KCI등재

        뉴노멀의 언어 자료와 초·중등 국어교육의 연계성

        한명숙 한국국어교육학회 2023 새국어교육 Vol.- No.137

        목적: 초·중등의 학습자를 연결할 수 있는 뉴노멀의 언어 및 언어 자료를 활용하여 초·중등 국어과 교육의 연계성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방법: 뉴노멀의 개념 및 뉴노멀의 언어와 언어 자료를 구체화하고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의 언어 자료 활용 실태를 살펴, 초·중등 국어과 교육의 연계 방안을 탐구한다. 결과: 뉴노멀은 21세기 인류의 삶에 새롭게 편입한 새로운 일상이자 새롭게 대두하는 보편성이다. 뉴노멀의 언어는 신조어 및 디지털 매체를 통해 송수신하는 매체언어 자료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국어과 교육에서 매체언어 활용은 2007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부터 나타났으며,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이 제시한 ‘국어 자료의 예’를 중심으로 볼 때 뉴노멀의 언어 자료를 수용한 양상 및 초·중등 국어교육 사이의 연계성은 미약하다. 하지만 국어과 교육에 매체언어 자료를 확충 활용함으로써 뉴노멀의 언어 자료로 초·중등의 국어과 교육을 연계할 수 있다. 뉴노멀의 언어 자료는 초·중등 학생의 언어생활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성취기준과도 조응함으로써 학년 군간의 상호 연계성을 구축하는 효율성을 높인다. 결론: 뉴노멀의 언어와 언어 자료를 초·중등 국어교육에 수용함으로써 시대 변화에 부응하고 초·중등 학생의 언어를 상호 연계하는 국어과 교육을 전망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o propose a plan to connec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the language and language materials of the new normal. Methods: (1) Review the literature to define the language and language materials of the new normal. (2) Analyze the use of media language materials in the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linkag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3) Explore ways to link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with the media language of the new normal. Results: (1) The new normal refers to a new daily life newly incorporated into human life and is universal, and the language of the new normal can be commonly seen in new words and media language material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digital media. (2) In the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acceptance of the new normal language and language materials is weak, and the connection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weak. (3) By expanding the use of media language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possible to connec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the language textbooks of the new normal. Conclus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st respond to changes in the times by utilizing the language and language materials of the new normal and realiz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connects the languag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To propose a plan to link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the language and language materials of the new normal.

      • KCI등재

        도시공간개발의 뉴노멀과 도시양극화에 대한 연구

        서준교 한국지방자치학회 2020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32 No.4

        A new phenomenon, new normal is characterized the phenomenon of down-scale in economy such as low-growth, low-consumption, low-production, low-return rates that has never been seen in the previous economic domain, which has received great attention. However, new normal in the national level is practically difficult to be appreciated distinct changes led by its effect and impact besides economic terms of reduction and decline. In a narrow measure, it can be reasonable that new normal in urban areas can be easier to understand its potential effect and impact. Urban new normal is also similar to the national level that reduction and decline are the main forms. Particularly in Europe and North America, cities have been suffered from demographic changes, such as a decrease in population with low-birth rates, a increase in aging population and low-class labour. Moreover, the rapid decline in manufacturing industries has made a increase in unemployment, which led to the deterioration of municipal finance and also to the decline of physical and non-physical aspects of urban areas that have been acknowledged as reasons for urban decline and being shrinking cities. Shrinking citie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have attempted to overcome urban decline through urban shrinkage that becomes a key strategy of urban spatial development. The main strategy of urban shrinkage is environment friendly and compactness of urban regeneration that is basically to compact previously developed sites for reuse that can prevent from the development of natural greenfield for urban use and also from over-development, which would result in urban sustainability. Recently, the urban regeneration is a common practice of urban spatial development not only in Europe and North America but also in the world-wide that seems to become a new order as a urban new normal. However, urban regeneration with environment friendly and compactness has produced adverse side effects, such as the serious gap of growth and development within a city, which has led to urban polarization and also has become another urban new normal. Reasons for the adverse side effects are various, but it is because of the way of urban spatial development and private-sector's dominant role of the developme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grasp the effects and impact of urban new normal and also its adverse side effects of growth and development differences and urban polarization. 뉴노멀은 저성장과 함께 낮은 소비, 생산, 수익률 등 기존의 경제영역에서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현상으로 관심을 증폭시키고 있다. 하지만, 뉴노멀은 국가단위에서 경제적 측면의 감소나 축소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뚜렷한 변화를 인식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협의적 단위인 지역 또는 도시와 관련된 영향이나 효과를 중심으로 새로운 일상화된 현상, 즉 도시의 뉴노멀을 파악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일 수 있다. 도시의 뉴노멀은 국가단위와 유사하게 감소와 축소가 핵심이다. 특히, 유럽과 북미 국가의 여러 도시들은 인구감소와 함께 낮은 출산, 인구고령화와 저급 노동력의 집중에 따른 인구구조의 변화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급격한 감소와 실업률의 상승 등은 도시재정의 악화와 물리적 그리고 비물리적 측면의 급격한 낙후와 축소를 초래함으로서 도시쇠퇴와 함께 수축도시로 전락하게 되었다. 유럽과 북미의 수축도시들은 도시쇠퇴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의 확대지향적인 도시개발에서 수축지향적인 접근을 중심으로 축소된 도시기능과 구조를 반영한 도시수축을 도시공간개발의 핵심 전략으로 추진하였다. 도시수축의 주요한 접근방법으로는 친환경성과 압축성을 내재한 도시재생으로 기개발지의 재활용을 전제함으로서 자연녹지의 보존뿐만 아니라 과잉개발에 따른 폐해도 방지하는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현재, 유럽과 북미 국가의 도시들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이러한 형태의 도시공간개발은 일상화된 현상의 새로운 질서, 즉 도시의 뉴노멀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유럽과 북미에 추진된 친환경성과 압축성의 도시재생을 통한 도시공간개발은 또 다른 도시문제를 양산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도시공간개발은 도시 내 특정 지역에 집중된 개발을 추진함에 따라 도시 내 발전과 성장의 격차와 함께 도시양극화를 초래하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러한 공간적 성장과 발전의 차별성은 민간부문의 주도, 민간주도형 도시공간개발에 의해 경제성과 수익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추진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친환경성과 압축성의 도시재생과 민간부문 주도의 도시공간개발에 따른 부작용이나 역효과로 인해 발생한 또 다른 도시의 뉴노멀로 거론되는 도시양극화에 대한 논증적 탐색과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

        뉴노멀시대 음악교육을 위한 음악 교과서 개발 방향 탐색

        김은주,민경훈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3 음악교육공학 Vol.- No.57

        The change in society as a whole after COVID-19 has led to the creation of a new word, new normal. It also influenced school education, and the need to reflect the changes of the new era emerged in education. School music education has also changed a lot compared to the past, but music textbooks have not reflected various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music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in the new normal era. To this end, first, the meaning of the new normal was grasped and implications for music education were derive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normal era reflect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Third, the direction of music textbook development was explored for music education in the new normal er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new normal for music education were as follows: strengthening teacher competency, support for stud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the necessity of discussion to harmonize with the nature of music subject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normal era were generally reflected in the curriculum amid the changed social background and needs. Music textbooks in the new normal era should be developed as textbooks for customized learning for learners, textbooks that embrace various aspects of music in the present and future, textbooks that seek to cultivate digital basic knowledge, and textbooks that encompass collaborative music activities.

      • 새로운 노멀, 한국의 부동산과 신뢰에 관한 소고

        김경동 한국부동산학회 2024 不動産學報 Vol.93 No.-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Korean real estate and trust facing the new normal.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explore the problems and future that arise from the combination of Korean real estat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mid changes in the rules of the game called the new normal. This paper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called trust and explored the sustainability of the Korean real estate industry.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applied descriptive research methods to new normal, artificial intelligence, real estate in Korea, and trusts. Through this, the paper attempted to discuss research topics in an explanatory and normative manner and draw implications. (3)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topic of real estate and trust in the new normal. The main keywords of this research were new normal, Korean real estate, trust, Artificial Intelligence(AI),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4IR). This paper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Existing prior research approaches the 4IR(AI) and Korean real estate with a focus on economic utility and technological benefit. In contrast, this study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called trust and attempted to explore the sustainability of the Korean real estate industry. 2. RESULTS In the new normal, real estate in Korea is presented as three major issues: 1. Problems of Korean real estate in transition, 2. Industrial revolution and collapse of trust, and 3. Transformation of the times and changes in social codes. In relation to this, this study derived three implications: first, compliance with the rule of law, second, discussion and direction on ethical guidelines, and third, response and preparation for information asymmetry and bias. This study predicts that Korea's real estate industry, facing a new normal, will minimize risks based on trust and develop the benefits and utilities provid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in a desirable direction.

      • KCI등재

        코로나 19시대 뉴 노멀의 윤리적 가치로서 ‘공동의 선’과 한국교회

        성석환(Sung, Suk-Whan)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0 기독교사회윤리 Vol.47 No.-

        ‘코로나19’ 이후 ‘뉴 노멀(the new normal)’에 대한 각계의 논의가 무성하다. 개인간의 삶의 방식만이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문화 및 종교에게도 많은 도전을 제기한다. 한국은 모범적인 방역과 대처를 통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는데, 이제 ‘뉴 노멀’의 정립을 위해 ‘공동의 선(the common good)’를 가치로 삼는 새로운 토론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교회는 정부와 시민사회의 대응에 비해 소극적이거 나 방어적인 탓에 사회적 비판을 받았다. ‘코로나19’에 대한 신학적 분석이나 대응도 중요하지만, 한국사회의 ‘뉴 노멀’의 수립 과정에 참여하여 모든 이들에게 좋은 질서의 토대를 제공하는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공공신학은 그것을 ‘공동의 선’으로 주장하며, 이것은 비단 한국 사회만이 아니라 지구적 차원에서 요청되고 있는 전환적 요청이다. 지구적 차원에서 ‘공동의 선’은 근대적 공론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모든 인간에게 동등한 권리와 혜택을 보장하여 번영할 수 있도록 하는 중대한 가치이다. 본 연구는 하버마스나 아렌트의 논의를 통해 지구적 차원에서 논의되는 종교의 공적 역할을 다루고, 그것을 ‘공동의 선’을 추구하는 ‘뉴 노멀’과 연결시켰다. 또 미로슬라프 볼프나 리오단과 같은 신학자들의 주장을 통해 ‘코로나19’ 이후의 ‘뉴 노멀’은 개인적 관계에서만 요청되는 것이 아니라 지구적 차원에서 모든 이의 번영을 위한 가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한국교회가 ‘뉴 노멀’의 형성과정에서 ‘공동의 선’을 실천하는 문화적 자원의 역할을 감당할 것을 요청한다. ‘The new normal’ situation, caused by the pandemic of ‘the Covid-19’, poses many challenges not only to the way of life but also to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areas. South Korea has received positive reviews for its exemplary defense to ‘the Covid-19’ but now Korean society has a task of public consensus on ‘the new normal’ based on the value of ‘the Common Good.’ This article argues that for Korean Churches it is more important to take par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new normal’ in society after ‘covid-19.’ Public theology would be a foundation in public sphere for discussing the ‘the new normal’ not only in a local but also on a global level. Thus, this study argues that the public role of religion on a global level is being discussed by non-theologians such as Jürgen Habermas and Hannah Arendt, and for Churches it means a request to contribute to drive ‘the new normal’ to pursue ‘the Common Good.’ And introducing the public theology of Miroslav Volf and Partick Riodan, the study argues all human being’s flourishing should be the key of ‘the new normal’ and Korean Churches should participate in public discussion and produce a value of ‘the Common Good’ to support all people’s flourishing in Korean civil society after ‘the Covid-19’.

      • KCI등재

        뉴노멀 시대의 공적 신앙 회복을 위한 교육설교: 존 웨슬리의 표준설교를 중심으로

        최은택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24 신학논단 Vol.115 No.-

        본 연구의 목적은 뉴노멀 시대 효과적인 기독교교육의 대안을 마련해 보는 데 있다. 오늘날은 급변하는 사회적 정황 속에서 새로운 기준이나 표준이 필요한 뉴노멀 시대가 되었다. 이것은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부터 기인하는데, 기독교는 이미 비대면 온라인 예배 등 종교의 뉴노멀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뉴노멀 시대에 요구되는 기독교교육의 과제를 찾고, 구체적으로 기독교교육이 어떻게 진행될 수 있는지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뉴노멀 시대 기독교교육의 과제가 무엇인지 사회문화적·역사적·신학적 관점에서 검토하고 제시하고자 했다. 그것은 첫째, 기독교교육의 공간을 확대하는 일이었다. 기존에는 대면 공간, 곧 가정과 교회, 그중에서도 교회가 신앙교육의 주요한 장이었으나, 이제는 온라인 공간으로 확대되었기 때문에 온라인 공간에서의 기독교교육이 중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둘째, 공적 신앙을 회복하는 것이다. 그동안 한국교회는 사적 영역의 신앙을 강조하다 보니 사회의 부정적 인식을 얻게 되었고, 이것은 가나안 성도 또는 탈교회 현상으로 이어졌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적 신앙을 회복해야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셋째, 교육설교에 관한 연구와 실천을 진행하는 것이다. 오늘날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 속에 살아가고 있고, 또 교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하다 보니 기독교교육의 참여율이 저조한데, 이를 위해 설교의 교육적 기능을 강화하여 교육설교의 형태로 기독교교육을 진행한다면 교육의 효율성과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기독교 역사에 있어 탁월한 교육설교가 중 한 사람인 존 웨슬리(John Wesley)의 표준설교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뉴노멀 시대 교육설교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그것은 크게 세 가지 곧 온라인 공간을 활용하는 교육설교, 또 공적 신앙을 강조하는 교육설교, 렙트(REBT) 원리를 지향하는 교육설교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기독교교육은 뉴노멀 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하며, 기독교 신앙과 공동체의 유지와 존속은 물론, 공적 신앙을 회복하고 하나님 나라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lternatives for effective Christian education in the new normal. Today is a new normal era that requires new criteria or standards in a rapidly changing social context. This is due to the impac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VID-19 and Christianity is already experiencing a new normal in religion, such as non-face-to-face online worship. In this context,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tasks of Christian education required in the new normal era and to provide direction on how Christian education can be conducted specifically. there are three main tasks for Christian education in the new normal era. First, it is to expand the space of Christian education. Previously, face-to-face spaces, namely the home and the church, were the main places for Christian education, but now it has expanded to the online space, so Christian education in the online space is important. Second, to restore public faith. The Korean church has been emphasizing faith in the private sphere, which has led to negative perceptions from society, and this has led to the phenomenon of Canaanite saints or de-churches, and it is necessary to restore public faith to solve this problem. Third, research and practice on educational preaching. Today, modern people are living in busy lives and have a strong negative perception of the church, so the participation rate in Christian education is low. It is believed that Christian education can be made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by strengthening the educational function of sermons and conducting Christian education in the form of educational sermons. To this end, we understood the standard sermon of John Wesley, one of the outstanding educational preachers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and proposed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sermons in the new normal era based on it. There are three main types of educational sermons: educational sermons that utilize online spaces, educational sermons that emphasize public faith, and educational sermons that orient to the REBT principle. Through this, it was seen that Christian education is still valid in the new normal era and will help to maintain and sustain Christian faith and community, as well as restore public faith and realize the ideal of the Kingdom of God.

      • KCI등재

        뉴노멀 시대와 칼 바르트 교회론 -기독론 집중의 교회론 비판과 대안을 중심으로-

        박홍기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2 조직신학연구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rst of a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normal’ era in which the COVID-19 pandemic has accelerated. Next, it is to introduce a Bible-centered Ecclesiology suitable for ‘New Normal.’ The new normal era is with the COVID-19 pandemic, and It’s bringing abou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aster and speeding up the digital transformation. Many churches around the world have disappeare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More seriously problematic, they are not prepared to prevent the deadly threat of the new normal era brought about by the COVID-19 pandemic.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ecclesiology to overcome New Normal’ upheaval. With digital transformation, the upcoming attacks of New Normal threaten the basis of the church. This dire situation reminds us that the essence of the church community must be found in the Word of God, the Bible. Karl Barth was a theologian who struggled to establish a new ecclesiology in Europe, where war broke out more than 80 years ago. He established Christology-centered ecclesiology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restoration of the European church, which was engulfed in pain and despair after World War II. However, despite his great efforts, his ecclesiology has limitations and weaknesses both biblically and theologically. For this reason, along with criticism of Barth’s ecclesiology, alternatives are also urgently needed. For this reason, along with criticism of Bart’s church theory, alternatives are also urgently needed.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logical unity contained in the Bible structure itself, and through this, ecclesiology which depends on the Bible’s own structure and God-oriented ecclesiology are presented as alternatives. 본 논문의 목적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가속화한 ‘뉴노멀’ 시대의 특성을 살펴 이에 대처할 성경 중심의 교회론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미 다가왔지만 아직 받아들일 수 없는 정황을 ‘뉴노멀’이라고 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지구 전체에 만연하지만 우리는 아직 그 바이러스와 동행하는 방법을 알지 못한다. 팬데믹으로 세계 교회가 붕괴하지만 그 대비를 하지 못하고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지구 공동체 존립을 위해 필수 요소가 되고 있다. 퇴치가 아닌 공존해야 할 삶의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불가피성은 4차 산업혁명, 디지털 전환 시대의 중요한 생존 조건이 되었다.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한 첨단 디지털 범용기술은 코로나19 이후 전개될 교회론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뉴노멀 시대가 요구하는 것은 새로운 기준이며 이는 교회론 혁신과 직결하는 문제다. 디지털 대전환으로 교회에 대한 통념이 근본부터 흔들리는 상황이다. 그런데 이는 교회의 유일한 표지인 절대 진리 성경의 권위를 다시 절실히 요청하게 한다. 코로나19 대재앙처럼 유럽 교회의 대격변 현장에서 교회론 정립을 고심했던 대표적 신학자가 칼 바르트다. 그는 두 번의 세계대전 한복판에서 교회를 위한 신학을 구상했다. 전통 신학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기독론 중심의 교회론’을 정립하여 참화(慘禍)로 붕괴된 교회를 위한 성경적 교회론을 정립하고자 했다. 하지만 대장정같은 그의 교회론은 한계를 넘어 치명적 결함도 보인다. 그래서 바르트 교회론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함께 대안 모색이 절실하다. 이에 성경 구조 자체의 논리적 통일성에 근거한 교회론과 신론 중심의 교회론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