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들러의 한국 중립론

        정상수 ( Sangsu Jung ) 한국서양사연구회 2017 서양사연구 Vol.0 No.57

        The former studies insisted that the grounds of Budler’s Korean Neutralism were prevention from military conflict between China and Japan, and exalitation of German dignity in Korea. But Budler judged that the war between China and Japan was likely to break out. In this circumstances he prepared a written advice for the Neutralism of Korea. Budler took the place of Mollendorff, who was absent in Seoul, and made the Korean Neutralism as an objective European adviser. Mollendorff established Belgium as example of Neutralism for Korea, but Budler proposed Swiss. Budler prepared the Korean Neutralism not for the German national interest, but for the Korean national security and development. Comparatively speaking Yu Kil-chun’s Korean Neutralism, which was made in December 1885, Budler’s Neutralism exert a big influence upon the politic in Korea. When the Russian-Japanese War broke out in 1904, Gojung declared the Neutrality of Korea, which was originated from Budler’s Neutralism. (ssjung15@hanmail.net)

      • KCI등재

        사회과 교육에 있어서 ‘중립성’ 문제

        정호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8 사회과교육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교육의 중립성 문제와 관련된 배경적 이론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에서 나타나고 있는 중립성 문제의 실태를 파악하며, 여기서 도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다. 첫째, 교육의 중립성 문제의 배경 이론으로서 ‘국가중립성’과 ‘가치중립주의’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 ‘교사 중립성’ 개념을 탐색하였다. 둘째, 최근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에서 나타나고 있는 중립성 논란의 사례를 검토하였다. 셋째,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의 중립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대응 방안을 제도적 측면과 합의적 측면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was examined as the background theory of educational neutrality 'national neutrality' and 'value neutralism', and explored the concepts of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and 'teacher neutrality'. Second, I have searched for examples of the controversy of neutrality that has recently emerged in social studies education in Korea. Third, I proposeed the countermeasures to resolve the neutrality problem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Korea divided into institutional and consensual aspects.

      • KCI등재

        중립불가능의 시대와 회색의 좌표―이병주의 "관부연락선", "지리산"에 나타난 지식의 표상을 중심으로―

        이광욱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民族文化硏究 Vol.84 No.-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Lee’s awareness of the problem in The Gwan-Bu Ferry Ship and The Mountain Jiri. The main characters of the two novels are portrayed as those who try to maintain neutrality in the face of intense ideological confrontation. This attitude has been a target of criticism, referred to as ‘gray thinking’. However, Lee’s neutrality should be seen as a product of his will to maintain his faith, even while enduring criticism from both sides, and a problem of colonialism that has still not been overcome after liberation. What’s noteworthy is that Lee Byung-joo spends considerable weight on portraying the main character’s intellectual bias and self-consciousness as an intellectual in the process of shaping neutrality. Yoo Tae-rim and Park Tae-young are figures who experienced an intellectual hiatus through the end of the colonial era, whe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collapsed. Even school institutions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reduced to a channel for mobilizing student soldier, and reading, which was the only way to satisfy their intellectual yearnings, was often considered rebellious action regardless of the content of the book. To intervene in the distribution of knowledge in these times is soon was forced to as a political context. Furthermore, the novel, The Gwan-Bu Ferry Ship and The Mountain Jiri can be seen as a kind of relationship. Yoo Tae-rim and Park Tae-young share common ground in that they were the so-called student soldier generation, but their subsequent moves show a significant contrast. Yoo Tae-rim become a teacher after liberation and meddles students who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ideologic side logic and tries to maintain a balanced view. However, with the assassination of Yeo Un-hyung, he is now engaged in a campaign against the single government in earnest, and he is missing along with the Korean War. The second half of The Mountain Jiri begins at the point where the epic of The Gwan-Bu Ferry Ship has stopped, after which Park Tae-young takes the path of being a partizan alone, criticizing liberalism, nihilism and communism. The fundamental desire he found at the end of his last intellectual quest was to have a status as an agent who was not subjugated to anything. Although their story boils down to the failure of neutrality, Lee wanted to show that failure in novel was not a failure as a novel. 본고는 <관부연락선>과 <지리산>에 나타난 이병주의 문제의식을 규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두 소설의 주동인물인 유태림과 박태영은 극심한 이데올로기 대립 속에서도중립성을 지키려는 인물로 그려진다. 이러한 태도는 ‘회색의 사상’이라 일컬어지면서비판의 대상이 되어 왔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병주가 내세운 중립주의는 양 진영으로부터의 비난을 감내하면서라도 자신의 신념을 견지해 나가고자 하는 의지의 소산이며 해방 후에도 여전히 극복되지 못한 식민성에 대한 문제제기라고 보아야 한다. 주목할 것은 이병주가 중립주의를 형상화하는 과정에서 주인공의 지적 편력과 지식인으로서의 자의식을 묘사하는 데 상당한 비중을 할애한다는 점이다. 유태림과 박태영은 공적 교육 시스템이 붕괴된 일제 말기를 거치며 지적 공백기를 경험한 인물들이다. 심지어 일제 말기의 학교기관은 학병을 동원하기 위한 창구로 전락하게 되었으며, 그들의 지적 갈망을 채워줄 수 있는 유일한 경로였던 독서는 책의 내용과 관계없이 불온하게 여겨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시대 상황 속에서 지식의 유통망 속에 개입하는행위는 곧 정치적인 것으로 맥락화될 수밖에 없었다. 더 나아가 <관부연락선>과 <지리산>은 일종의 짝패 관계를 형상화하고 있는 소설이다. 유태림과 박태영은 이른바 학병세대였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지만 이후의 행보는 유의미한 대조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해방 후 교사가 된 유태림은 진영논리에 따라분화된 학생들을 중간자적 입장에서 중재하며 균형잡힌 시각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다. 그러나 그는 여운형 암살 사건과 함께 본격적으로 단정반대 운동에 뛰어들게 되고, 한국전쟁과 함께 행방불명된다. <지리산>의 후반부는 <관부연락선>의 서사가 멈춰선 그 지점부터 시작되는데, 결국 박태영은 자유주의, 허무주의, 공산주의를 모두 비판하며 홀로 ‘빨치산’이 되는 길을 택한다. 그가 지난한 지적 편력의 끝에서 발견한 근본적 욕망은 어디에도 복속되지 않는 주체로서의 지위를 갖는 것이었다. 비록 그들의이야기는 중립주의의 실패담으로 귀결되지만, 이를 통해 이병주는 소설 속에서의 실패가 소설로서의 실패가 아님을 보여주고자 했다.

      • KCI등재

        중립 지향의 재일조선인사의 기원을 찾아서: 북구의 언어학자 조승복의 어떤 전후사

        임경화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論叢 Vol.79 No.4

        Usually, post-war Zainichi history tends to be described in terms of the ideological polarization between pro-South Korean Mindan and proNorth Korean Chongryŏn. This confrontational structure crystallized soon after Liberation, and has not significantly changed even into the present day, despite the general weakening of the Korean diasporic organizations’ influence in Japan. However, there were continuous attempts to overcome this institutionalized confrontation – in fact, these attempts started also right after the Liberation. This paper will deal with one such attempt, discernable in the post-Liberation activities of Cho Seung-bog (1922-2012). Born in Manchuria, educated in Japan and later famous as a Sweden-based scholar of East Asian languages and unification activist, Cho is deeply related also to Zainichi society’s history. Cho resided in Japan for 9 years, from the time he was enrolled at the First High School in 1939 and until he, as a graduate of Tokyo University, left for America in 1948. Having started by studying for career advancement, Cho ended up as an activist dreaming of building an ideal democratic society in united Korea. Active in the Zainichi movement since 1945, Cho continuously liaised with the Zainichi milieu even after settling in Sweden. As not an out- and in-sider in Zainichi society, he remained a boundary personality tightly related to it even after leaving it. His memoirs, written in the 1990s, reveal his special identity of a Manchurianborn Korean, and a number of unique experiences it entailed. One of these experiences was the history of the Zainichi community, and his attempts to overcome the confrontation inside it, viewed from a perspective of a boundary-placed participant-observer. This paper, based on his memoirs, attempts to reconstruct the post-1939 history of Zainichi community as depicted by Cho, and searches his activities for the roots of Zainichi’s quest for neutrality amidst the national division system. 재일조선인의 전후사는 일반적으로 냉전체제의 형성으로 인한 남북 분단에 심각하게 영향을 받으며 이남과 이북을 각각 추종하는 민단계와 총련계의 대립으로 그려져 왔다. 이 대립구도는 재일조선인 사회에서 동포조직의 영향력이 현저히 떨어진 오늘날에도 변함없이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이 대립 구도를 넘어서려는 시도 또한 해방 초기부터 존재했다. 본고에서는 그 초기 사례로 조승복의 실천 운동을 다루고자 한다. 만주에서 태어나 일본 유학을 거쳐 스웨덴에서 언어학자로 활약하며 통일운동에 힘쓴 재외동포로 알려진 조승복은 실은 재일조선인의 전후사와도 밀접하게 관련된 인물이다. 그는 만주국 관비유학생으로 선발되어 1939년에 도일하여 제1고등학교를 거쳐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한 후 1948년에 도미할 때까지 9년간을 재일조선인으로 살았다. 그에게 일본 체류는 일본의 식민주의로 인해 차별받는 조선인들을 발견하고 차별을 극복하는 수단으로 민주주의적 이상사회로서의 단일민족 국가 건설을 꿈꾸게 했던 곳이었다. 그는해방 직후부터 재일조선인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미국을 거쳐 스웨덴에 정착한 이후에도 재일조선인 사회와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으며 교류를 이어 갔다. 그는 1990년대 말에 자신의 생애를 회고하는 자서전을 집필하는데, 거기에는 만주 출신 조선인으로서의 독특한 위치와 함께 그가 아니었으면 체험하지 못했을 귀중한 경험들이 담겨 있다. 그 중심축의 하나가 경계인으로서 참여하고 바라본 재일조선인의 전후사 속에서 대립 구도를 넘어서는 재일조선인 사회를 추구하려는 그의 실천 운동이었다. 본고에서는 1939년부터 조승복이 그려 낸 재일조선인의 전후사를 재구성하여 중립 지향의 재일조선인사의 기원을 찾고자 한다.

      • KCI등재

        1950년대 남한의 아시아 내셔널리즘론

        김예림(Kim, Yerim)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2 亞細亞硏究 Vol.55 No.1

        This paper analyzes discourse on Asian nationalism developed in the 1950s. To explore the progress and transformation of discussion, I pay attention to Sasanggye which is very significant journal in understanding South Korea’s political position on Asian nationalism and Non-Alignment. It needs to take interrelated two agendas for detailed investigation into actual development and structure of discussion. First, the problem of how Southeast Asian region was regarded and what kind of meaning it had in South Korea at that time. To deal with this question, I examined especially the phenomenon in which Southeast Asia began to be discovered and constructed as objectives of ‘knowledge’ at the atmosphere of the cold war. The net of knowledges organized in the 1950s can be called ‘quasi area studies’. Secondly, this paper looks into the South Korea’s consciousness toward main agents took the lead in non-aligned movement in Southeast Asian region. South Korea assumed ambiguous attitude toward them and through this fact we observe that strong anticommunism and needs for modernization work together. In addition I analyzed the change concerning agenda of non-alignment, which appeared in 1960 with the collapse of Rhee Syngman regime. At this period, national reunification and diplomacy were newly taken as important issues. Such situation brought about some transformation of approach to non-alignment or neutralism. Neutralization became ‘our’ problem awaiting serious and prudent consideration. However, a lot of intellectuals of South Korea maintained negative and critical perspectives on the possibility of neutalization. Fundamentally, somewhat changed position and trial were not beyond anticommunistic horizon.

      • KCI등재

        탈젠더화를 꿈꾸는 여성 로커의 목소리 - 밴드 새소년 황소윤의 사례

        권현석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5

        To create the trend of today’s sonic degenderization is ‘gender neutralism.’ This perspective refers to one that aims not to lean on either masculinity or feminity. It is shown in an interesting way in the scene of ‘female-participatory rock’ in the area of popular music that forms part of the sonic world of young people in their twenties. That music has refuted a long-standing gender stereotype that ‘rock is a male genre.’ This movement is subtly sensed in the voice of female rockers. A typical example is offered by Hwang So-yoon, a vocalist and guitarist of the Korean indie rock band Se So Neon(New Boy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paper aims to look at how gender neutralism is displayed through voice, looking at a case study of Hwang. To this end, this study intends to employ an ‘semiotic-vocal approach.’ This is a methodology to examine how a gender-related view of vocalization is shown semiotically and vocally. With this approach, this research finds three things. First, from a ‘vocalism’ seeking degenderization, Hwang forms a ‘sonic semanticity’ of lyrics in a complex way. Second, she produces a ‘convergent and divergent’ voice using a mix of masculine, true voice and feminine falsetto. Third, through those practices, Hwang constructs the self or the other as an ‘existence’ that goes beyond masculinity and feminity. Those practices imply an extension of a boundary area of a rock society pursing degenderization.

      • 박정희 정권하의 국가와 노동관계

        신치호(Shin Chi-Ho)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08 노동연구 Vol.16 No.-

        이 글은 박정희 정권의 권위주의체제하에서의 노동정책과 노동운동을 둘러싼 국가와 노동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제3공화국하의 국가와 노동관계는 군사정부에서 개정한 노동관계법과 신설된 국가기구를 중심으로 국가가 노동통제를 제도화하였다. 박정희 정권은 유사민간정부 구성 이후에는 노동의 탈정치화를 기반으로 행정적 중립주의와 부분적 국가코포라티즘(국가조합주의)의 노동통제방식을 구사하였다. 노조 활동은 어용화된 한국노총의 지도하에 정치적ㆍ조직적 공간 모두 약간 보장되거나 취약한 상태에 처하였다. 유신체제하의 국가와 노동관계는 국가가 법적ㆍ행정적ㆍ이념적 통제에 긴급조치와 국가보안법 등의 초법적 기제를 결합시켜 노조 활동을 전면 중단하거나 억압하였다. 국가는 노동에 대해 노조 활동을 고립시키는 전면적 억압이라는 배제적인 시장기제적 노동통제방식을 구사하였고, 노동은 이에 맞서 파업과 단체행동, 나아가 반체제 민주화운동을 전개하는 정치적ㆍ조직적 공간을 스스로 확대시켰다. 종합하면, 박정희 정권하의 국가와 노동관계는 정치과정론의 분석시각인 정치체제와 계급연합정치 및 위기상황이란 독립변수에 의해, 국가의 노동정책이 중립적→포섭적→억압적으로 변모하였으며, 노동의 정치적ㆍ조직적 공간도 약간 보장→축소 내지 약화→(자발적) 확대되었다. 특히 유신체제의 말기에, 노동부문은 반체제 민주화운동에 집중하면서 정치적ㆍ조직적 공간을 대폭 확대시켰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e and labor relations which surround the labor policy and labor movements under the authoritarian system of Park Chung Hee regime. The state and labor relations under the Third Republic systematized state labor control by the labor act amendment and new-established state apparatuses from the military government. Park Chung Hee regime of the Third Republic used the labor control style of ‘administrative neutralism’ and ‘partial state corporatism’ with depoliticization of labor. And the activities of labor unions under the lead of Hankook Nochong(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guided by state were weak in both side of the political and organizational spaces. Under the Yushin system, the activities of labor unions were wholly discontinued and repressed. While Korean state combined the Special Measures for Safeguarding National Security and the National Security Act with legal, administrative, and ideological controls. Korean state controled the activities of labor unions within the wholesale and exclusive repression by market mechanism. On the contrary, labor organizations enlarged the political and organizational spaces through the strikes, collective actions, and anti-regime democratization movements. Synthesized, the state and labor relations under Park Chung Hee regime were reexamined by three independent variables like ‘political regime,’ ‘politics of class coalitions,’ and ‘crisis of circumstantial setting’ of the political process perspective. The state’s labor policy transfigured “neutral → inclusive → repressive,” and also the labor’s political and organizational spaces were “some guaranteed → abridged or weakened → (voluntarily) magnified.” Specially, in the end of Yushin system, the labor organizations enlarged the political and organizational spaces through anti-regime democratization movements.

      • KCI등재

        중립주의 vs. 비동맹주의: 이론과 실제의 공통점과 차이점

        백태열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1 국제지역연구 Vol.30 No.4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ory and practice between neutralism and non-alignment. To this end, it seeks to choose Switzerland and Sweden as case studies of neutralism and India and Egypt as those of nonalignment, respectively, especially from the comparative approach. The author attempts to analyze this study at two different aspects of environment and policy. Here environment is defined as international and domestic situations affecting either neutralism or nonalignment. Policy is referred to as foreign policy based on either neutralism or nonalignment. (...) In conclusion, one of conspicuous similarities is that both of neutralism and nonaligment show the trend to stay away their relationships with powerful countries in international affairs. one major finding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is study is that neutralism seeks to play a passive rol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ile nonalignment organizes the power and influence to resist the powerful countries, at the same time getting deeply involved with many thorny issues arising from the planet. 본 연구는 중립주의와 비동맹주의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한 목적을 이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중립주의의 사례로서 스위스와 스웨덴, 비동맹주의 사례로서 인도와 이집트를 각각 선정하여 비교분석의 방법을 선택한다. 본 연구의 비교 대상은 크게 대내외적 배경과 대내외적 정책으로 구분하여 중립주의와 비동맹주의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한다. 스위스와 스웨덴의 중립주의의 공통점은 양국 모두 외세의 침략과 전쟁, 그리고 지정학적 특성에 기인한다. 반면에 중립주의의 대외정책과 노선의 차이점은 스웨덴의 중립주의 대외정책은 스위스의 그것 보다 훨씬 유연하고 신축적이다. 인도와 이집트의 비동맹주의정책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공통점은 양국 모두 식민지를 경험했다는 점이다. 양국의 비동맹주의노선의 커다란 차이점은 이집트의 경우 비동맹주의의 노선을 통해 중동의 아랍주의를 강화하려는 역할을 하였다. 반면에 인도는 보다 글로벌 차원에서 비동맹운동의 확산을 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중립주의와 비동맹주의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요약하면 공통점의 경우 양 이념 모두 강대국에 대한 두려움, 적대감, 그리고 배타주의를 갖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비동맹주의는 중립주의 보다 강대국에 대해 강력한 접근을 하였다는 점이다. 주된 차이점은 중립주의의 이념은 대외적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지향하지 않았지만 비동맹주의는 제3세계의 이름으로 상당히 왕성한 국제적 역할을 하였을 뿐만 아니라 글로벌 차원에서 세력화하려고 하였다.

      • KCI등재

        후기 워싱턴 행정부의 외교정책과 고별사

        김정은 ( Jeong Eun K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1 No.-

        외교사 연구자들은 워싱턴 행정부 시기의 외교를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바라본다. 이 시기 외교를 연방주의자들이 주도했다는 시각과 워싱턴 행정부의 정책 결정자들이 중립·고립주의 원칙에 따라 외교문제를 해결했다고 보는 시각이다. 본고에서는 후기 워싱턴 행정부 기간 동안에 발생했던 외교사건 즉, 1793년 프랑스와의 외교문제, 1794년 영국과의 외교문제를 워싱턴과 그의 내각이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시각이 타당한가를 살피고자 한다. 본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1793년 프랑스와의 외교문제에 직면한 워싱턴 행정부가 과연 중립·고립의 원칙에 따라 외교문제를 해결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워싱턴 대통령과 그의 내각 구성원들은 당시 미국에게 가장 이익이 되는 것이 무엇인가를 고려했다. 그 결과 워싱턴 행정부는 1793년 중립선언에서 ``중립``이라는 용어를 삭제했고, 1793년에 발생한 일련의 외교사건에서도 국제법과 합리에 근거하여 외교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여 유럽의 전쟁에 휘말리지 않으려고 했다. 이를 살펴볼 때 워싱턴 행정부가 중립·고립이라는 원칙에 따라 초기 미국 외교를 이끌어갔다고 하는 주장은 재고되어야 한다. 둘째, 그동안 외교사에서 조명되지 않았던 대통령 워싱턴(George Washington)과 국무장관 랜돌프(Edmund Randolph)의 외교적 역할을 재조명하는 것이다. 특히 제이조약이 친밀했던 프랑스와의 관계를 정리하고 영국과 친밀한 관계가 되기를 원했던 해밀턴 때문에 체결, 승인되었다는 기존의 주장과 달리 조약 조건이 미국에게 불리했음에도 불구하고 워싱턴 대통령과 국무장관 랜돌프가 제이조약을 승인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앞에서 언급한 후기 워싱턴 재임 기간에 있었던 외교적 사건을 워싱턴 행정부가 어떻게 해결해 갔는가를 살펴봄으로써 1796년 발표된 고별사가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즉, 1796년에 발표된 고별사가 중립·고립이라는 초기 미국 외교 원칙에 근거하여 선포된 것이 아니라 워싱턴이 1793년과 1794년에 발생한 외교사건을 해결하면서 느낀 점과 제이조약 이후 국내 상황을 고려하여 작성한 것이다. 위와 같은 검토를 통해 후기 워싱턴 행정부의 외교는 워싱턴 대통령이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갔으며, 1793년 중립선언은 고별사의 배경이 되어야 하고 중립·고립이라는 원칙을 세운 고별사를 실제적인 중립·고립외교의 시작으로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Researchers in the field of diplomatic history observe the foreign policy during the period of the Washington administration largely from two perspectives. One way of looking at it is that federalists drove diplomacy then, and the other viewpoint is that policy decision makers in the Washington administration advocated neutralism and isolationism to deal with diplomatic issues. The present study examines how Washington and his Cabinet coped with two diplomatic events arising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administration - that is, diplomatic issues with France and England in 1793 and 1794, respectively - so as to verify the validity of previous viewpoints. This thesis consists largely of three parts. First, it is to find out whether Washington`s administration adhered to neutralism and isolationism to solve the diplomatic issues with France in 1793. The President Washington and his Cabinet members prioritized national interest then. As a result, Washington`s administration deleted the term ``neutral`` from the Neutrality Proclamation of 1793, and made rational efforts based on the international law to deal with a series of diplomatic events that took place in 1793 so that the country would not be involved in the war in Europe. In this sense, the assertion that the Washington administration led the early American diplomacy in accordance with isolationism and neutralism need be re-considered. Second, diplomatic roles of George Washington as the President and Edmund Randolph as the Secretary of State, which have never been investigated in the field of diplomatic history, are reviewed here. Particularly, unlike previous opinion that the Jay Treaty was signed and approved because of Hamilton, who wanted to end the friendly relationship with France in favor of England, this study delves into why the President and the Secretary approved the Jay Treaty despite the terms and conditions unfavorable to the US. Third, by looking through how the Washington administration fixed up other diplomatic issues during the latter period of its regime, the meaning of the Farewell Address announced in 1796 is considered here. So to speak, the Farewell Address released in 1796 was not based on the country`s early diplomatic principles of neutralism and isolationism, but it was written in consideration of domestic conditions after the Jay Treaty and his speculation on the process of settling diplomatic issues in 1793 and 1794. Based on the reviews aforementioned, the diplomacy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Washington administration seems to have been driven by George Washington himself, and the Neutrality Proclamation of 1793 should be considered to be the background of the Farewell Address, which in turn should be regarded to have established and commenced the principle of neutralism and isolationism in diplomacy.

      • KCI등재

        중립의 꿈 1945~1968 ― 냉전 너머의 아시아, 혹은 최인훈론을 위한 시론

        권보드래 상허학회 2012 상허학보 Vol.34 No.-

        Neutralism is a political unconsciousness that has governed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the period of 1945~1968. Neutralism has meant a pursuit of the national independence and autonomy amid the conflicts of powers in Korea while its definition is originally limited to the realm of diplomatic and military practices in the international order. Korea has experimented the neutralism from as early as the 1880s to the late 1960s, among which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mid 1960s deserve the special attention. The vision of 'one world', which stem from the experience of trans-continental alliance between U.S. and U.S.S.R, stimulated Koreans to devote themselves to building up the 'one democratic world' across borders and constructing the free unified nation on Korean peninsula. The expectation toward to 'the third way' between two systems revived in the 1960 although Korea had experienced the destructive Korean war in 1950~53. Encouraged by the Asian-African practices across many countries including India, Indonesia, Egypt, Syria, Korea also ventured to take into account the neutralization doctrine, but declined to the involvement in the triangle alliance system of U.S.- Japan- Korea after having witnessed the ends of neutralized Indochina. A novelist Choi In-hoon formulated his fictions under the political (un)consciousness of neutralization, and appealed to the narrative strategy of allegory and broadcasting frame in Typhoon and "The Voice of the Governor-General". 중립화론 혹은 중립화통일론은 해방 이후 지금까지 한반도를 가로지르고 있는 중요한 의제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1960년 4월 항쟁 직후에 집중되어 있고, 그 밖에 해방기나 한국전쟁 직후, 1960년대 중반에 있었던 중립화론에 대한 고찰은 영성한 편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별로 주목받지 못했던 이 세 시기, 즉 1945~48년, 1953~54년, 1964~66년을 중심으로 각 시기 중립화론을 검토하면서, 그것을 미·소 중심 냉전 체제에 저항하는 가운데 ‘제 3세계적 연대’를 통해 새로운 세계 질서를 창출하고자 한 시도로서, 한반도와 세계의 다른 미래에 대한 상상으로 읽어보고자 했다. 중립화론의 논리 자체를 추적하기보다 그 사회·문화적 함의를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해방기를 통해서는 이른바 ‘중간파’ 노선이 국제적 현실성을 갖고 있었음을, 한국전쟁 직후를 통해서는 무장 대립의 상황에서도 미·소 중심 체제에 대한 비판이 살아 있었음을, 1960년대를 통해서는 냉전 체제 밖 ‘제 3 세계’적 대안이 진지하게 검토되었음을 증명하고자 했다. 나아가 ‘중립의 꿈’이 한국의 정치적 무의식으로 작동한 양상의 일단을 밝히고자 최인훈의 『광장』과 『태풍』「총독의 소리」를 대상으로 중립 문제가 어떻게 서사의 동력으로 작용했는지를 분석했다. 중립에의 몽상이야말로 『광장』의 결말에 낙관적 색채를 부여한 원천이었으며, 「총독의 소리」의 탈형식과 『태풍』의 알레고리는 중립국 상상이 좌초한 이후 정치적 시계(視界)가 닫힌 데서 온 형식이었다는 것이 분석의 대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