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ocial Welfare Programs, Abortion And Government Interference In America: Implications for Korea

        James Bryan Pattison,Christopher John Clugston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 철학 Vol.- No.38

        There are three Tiers of Rights: natural, individual quality of life, and group identity. Natural Rights are preeminent among these. Quality of Life Rights is of a progressive type that would enhance and/or displace Natural Rights. Identity Group Rights are growing in victim-affirming efforts to address past wrongs according to whims of various Group memberships at the expense of Natural Rights. The purpose of government is to protect and nurture natural rights - life, liberty, and property. All else is left to the holders of those natural rights to respond to the needs of the people around them (the needy). The advantage of such a conservative government-populace relationship is that the people will find support for such social action as the populace believes to be moral and right. Although natural rights primarily concern life, liberty and property, they do encompass principles of anti-discrimination. However, these anti-discrimination principles being twisted from their original, natural rights, meaning and used to justify government action in support of lesser rights of the governed. While American government was conceived as the protector of Natural Rights through limited interaction with the governed, second and third tier rights demand more government interference with the governed in order to placate the needy: this is what may be called “big government.” Central to second and third tier rights is the concept of immutable characteristics. Immutability is a legal concept in U.S. Supreme Court jurisprudence that says that only groups identified by unchangeable characteristics need protection against the violation of rights. Progressives seek to expand the definition of “immutable” so that identity groups that are not linked by immutable characteristics may lay claims against the natural rights of outgroup members. The purpose of government is simply to protect and nurture natural rights. All else is left to the holders of those natural rights to respond to the needs of the people around them (those in need). A governments’ primary purpose should be to protect natural rights, leaving it to the holders of those right to address the problems of those in need. As such, public (private) support for social “needs” that are deemed “unworthy” will naturally wane. No intrusion upon the natural rights that exist above all others in fellow members of the population need be made. Private social action, then, is most effective, autonomous (from government intrusion), and responsive to the ebb and flow of social mores. Regarding abortion, the government which governs the least need proclaim only a prohibition against murder (illicit homicide). When it presumes to be more precise than such a general prohibition, it falls prey to the machinations of various interest groups that would seek to define “life” in a manner most responsive to their cause, requiring government to cater to an ever-expanding number of interest groups regarding their private definitions. Static religious definitions of “life” may conflict with interest group definitions, but those differences are not for the government to settle fully and finally. Regarding its pending legislation on abortion, due for resolution at the end of 2020, Korea should rely upon its general criminal homicide legislation to include prohibitions of abortions, and not endeavor to address the matter separately.

      • KCI등재

        자연법이론과 자연권 개념

        하재홍 한국법철학회 2023 법철학연구 Vol.26 No.1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laws and natural rights has many controversial subjects. While the tradition of natural law theory originated in ancient Greece, they usually consider the concept of natural rights the product of the modern civil-political revolutions. Among the researchers on natural law theory, some assume that natural right is a product of the political Revolutions of the 17th and 18th century. The medieval historians who agreed on natural rights before the modern Revolutions are divided again over the interpretation of William of Ockham and St. Thomas Aquinas. Some assert that Ockham has a subjective concept of rights, and studies of natural law in jurisprudence widely accept that Ockham discarded natural law and natural law theory. Whether St. Aquinas used modernized natural rights is controversial too. M. Villey denies it, but J. Finnis affirms in some conditions. This article discusses issu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law and natural rights. Firstly, this article asserted that M. Villey’s natural law reasoning rightly criticizes the subjective rights-centered approach of lawyers nowadays. Secondly, it reviewed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that William of Ockham denied natural law theory and traditions and argued for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William of Ockham and his natural rights. Thirdly, it argued that Finnis was wrong in interpreting ius as synonymous with rights and understanding both as interchangeable in St. Thomas Aquinas’s writings, but because by a notion of the natural order, ius and rights are common in principles and pursue the same purpose and in that case, it accepted Finnis’s interpretation. 자연법이론과 자연권 개념의 관계는 논란이 많은 주제이다. 흔히 자연법이론의 전통은 고래 그리스까지 소급하지만, 자연권 개념은 근대 시민 혁명의 산물로 여긴다. 자연법 이론가 중에도 자연권 개념을 근대 이후의 산물로 보는 견해가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반대 견해도 있다. 근대 이전에도 자연권 개념이 있었다고 주장하는 견해는 다시 아퀴나스와 오캄의 해석을 두고 의견이 나뉜다. 오캄이 개인의 주관적 권리를 절대화했으며 근대적 자연권 개념의 기원이라 보는 견해가 있지만, 국내 법학계에서는 오캄이 자연법을 부정했고 그것이 유명론의 귀결이라 보는 것이 통념이다. 아퀴나스에 자연권 또는 권리 개념이 있었는가도 논란이 있는데, 빌리는 부정하지만 피니스는 긍정한다. 본 논문은 자연법이론과 자연권 개념의 관계에서 제기된 몇 가지 문제를 검토했다. 첫째, 자연법이론의 전통이 자연권과 관계되는 측면인데, 빌리의 자연법적 사고는 근대의권리 중심 접근법을 정당하게 비판한다고 보았다. 둘째, 오캄에 대한 이해인데, 오캄이 자연법을 부정했으며 그것이 그의 유명론의 귀결이라고 보는 국내 학계의 통념을 비판하고 오캄의 자연권 개념에 대해 정밀한 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셋째, 아퀴나스와 자연권 개념에 대해 피니스가 ‘ius’를 권리와 동의어로해석하고 양자를 치환할 수 있다고 본 것과 관련된 논쟁에 대해 자연법적 질서를 매개로 양자는 결국 원리에서 상통하며 같은 목적을 추구하는 것이라 주장했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자연생태계 보존을 위한 자연의 권리 연구

        최진이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법학논총 Vol.44 No.2

        현행법은 권리능력(법인격)을 가질 수 있는 자격을 ‘사람(자연인 또는 법인)’으로 한정하고 있지만, 환경파괴와 기후위기 등으로 인해 권리주체가 될 수 있는 법률상의 자격을 자연환경(자연 또는 자연의 구성물)에까지 확장 적용할 수 있도록 힐 필요가 있다는, 이른바 자연의 권리에 관한 논의가 글로벌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대표적인 최근의 사례가 에콰도르이다. 2008년 9월 에콰도르는 헌법 개정을 통해 자연의 권리를 인정하는 규정을 신설함으로써 자연도 스스로의 생존권을 보호할 수 있는 헌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볼리비아는 2010년 12월에 자연의 권리에 관한 보편적 권리를 선언적으로 규정하는 법률을 제정함으로써 자연의 권리를 법률로써 인정한 첫 국가의 사례가 되었다. 콜롬비아는 헌법에 자연권에 관한 규정을 두지는 않고 있지만,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에서는 생태중심주의(ecocentrism) 관점에서 환경권과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자연권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다. 대한민국 헌법 제35조에서도 환경권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으나, 이는 자연을 권리주체로 인정한다거나, 자연 그 자체의 내재적 가치나 생태계 보호를 위한 것이 아니다. 자연과 자연의 구성물은 오직 인간의 편익을 위한 도구로만 인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인간 중심의 자연에 대한 가치관으로는 오늘날의 자연파괴와 그로 이한 기후위기를 근본적으로 해소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미래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자연생태계를 담보하기 위하여 인간이 아닌 자연 또는 자연의 구성물에 대하여 일정한 법적 지위를 부여하려는 이론적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자연의 주체 중 인간 이외의 자연권의 개념과 자연권에 관한 국내논의 및 주요 해외사례를 살펴본 다음, 자연권의 국내적 수용방안을 모색한다. The Civil Law limits the qualifications to have legal personality to ‘persons (natural persons or corporations).’ However, since the 1970s, the opinion that there is a need to extend the legal qualifications for rights subjects, which are limited to humans, to include nature or natural components has emerged as a major concern in law. This is a discussion about the so-called rights of nature. A representative recent example is the Republic of Ecuador. In September 2008, Ecuador revised its constitution and established a new regulation recognizing the rights of nature, thereby providing a constitutional basis for nature to protect its own right to survival. Meanwhile, Republic of Bolivia became the first country to recognize the rights of nature in law by enacting a law declaratively defining universal rights to the rights of nature in December 2010. And Republic of Colombia does not have provisions on natural rights in its constitution. However,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Supreme Court recognize the existence of natural rights by actively interpreting environmental righ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s from the perspective of ecocentrism. Article 35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lso provides for environmental right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recognize nature as a subject of rights, or to protect the intrinsic value of nature itself or the ecosystem. Nature and its components are recognized only as tools for human benefit. However, with this human-centered view of nature, it is impossible to fundamentally resolve today's natural destruction and the resulting climate crisis. Therefore, in order to ensure a sustainable natural ecosystem for future generations, theoretical attempts are underway to grant a certain legal status to non-human nature or natural objects.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concept of the rights of natural objects other than humans or nature itself among the subjects of nature, as well as domestic discussions and major overseas cases regarding natural rights. And a plan for domestic acceptance of natural rights was sought.

      • KCI등재

        공리주의 대 자연권

        이상영(Lee Sang Young)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0 세계헌법연구(世界憲法硏究) Vol.16 No.2

        이 글은 필자의 벤담에 대한 탐구의 세 번째에 해당한다. 여기에서는 ‘자연권(과 자연법)’에 대한 ‘공리주의’의 대결과 공격이다. 벤담은 평생에 걸친 자신의 학문적인 저술활동에서 Common Law의 현실과 이론에 대한 비평을 이어갔고, 마찬가지로 프랑스 인권선언과 같은 자연법과 자연권에 대한 공격적인 도전을 하였다. 벤담의 생애에 걸친 수많은 작업과 다양한 내용들의 하나의 축인 ‘자연권 비판’에 초점을 맞춰 전개하고자 한다. 비단 벤담이 집중적으로 비판하려고 하였던 프랑스 혁명과 프랑스 인권선언에 명시적으로 그리고 원칙적인 내용으로 나타난 자연권 규정을 비롯하여, 프랑스 인권선언과 미국의 독립선언 등 근대사회의 인권선언의 사상적 원천과 배경이 되었던 수많은 근대 자연권 사상과의 대 결의 과정은, 곧 벤담의 공리주의 원칙의 형성과 공리주의에 입각하여 기존의 제도와 법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던 과정이라고 바꿔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벤담의 자연권 비판 혹은 공리주의에 입각한 자연권 비판 논의의 중심적 내용과 발전과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벤담의저작들을 시기별 그리고 내용별로 구분하여 분석할 것이다.따라서 이 글은 벤담 당시의 일련의 사건들과 상황과의 관계 속에서 ‘자연권’에 대한 벤담의 비평과 논증 그리고 주장 등을 시기별로 구분하고 각 시기에서드러나는 특징들을 정리 분석해보고자 한다. 물론 가장 기본적인 전제로 ‘공리성’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법, 법학, 재판과 사법과정, 법개혁과 입법 등 한편으로는 법이론과 입법이론의 이론적 차원부터 실천이성의 차원에 이르기까지, 다른 한편으로 경험적 분석부터 규범적 평가까지 망라하여 전개된 벤담의 논의에서 자연권 비판’이라는 특정 한 주제를 떼어내어 정리하는 어려움은 당연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벤담의 논의를 거론하면서 제기되는 것들 중 빠짐없이 포함되는 것은 벤담의 자연법과 자연권에 대한 분석과 비판일 것이다. 특히 벤담이 당시 영국의 Common Law 체계에 대하여 비판적 논의를 전개할 때, 프랑스 혁명과 실질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으면서도 결국 인권선언에 대하여 무자비한 비판을 가했을 때, 그리고 벤담 자신의 ‘공리성 원칙’을 구체화하고 체계화하고자 했던 과정에서 중요한 주제는 ‘자연법과 자연권 비판’의 문제일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가능한 한 벤담의 논의 중 ‘자연권 비판’에 한정하여 내용을 정리한다는 의도로 전개하고자 한다. 먼저 비교적 초기에 해당하는 벤담이 법과 법학, 그리고 사법과정에 대한 관심이 ‘Common Law 체계’에 집중되는 과정과 그 시기의 특징적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다음으로 프랑스 인권선언을 주공격대상으로 삼아‘자연권’에 대한 본격적인 비판을 전개 하였던 논의 과정과 시기적 특징을 중 몇 가지 중요한 주제를 정리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rrange and situate Bentham's critical evaluation of natural rights and natural law, to trace the assumptions on French Revolution and French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Man and Citizens(Declaration), and thereby to propose(or gain) some useful perspective of the meaning of the principle. To perceive, at least access to the Bentham'sevaluation of natural rights and natural law theory, it is in its nature necessary to understand and conceptualize the line of Bentham's theory of utilitarianism and political reform program. Although Bentham was originally a supporter of French Revolution, he had soon become horrified at its excesses. His particular distaste for natural rights was based on Bentham's aversion to natural law, an attitude that inspired his earliest works. Bentham, in his lifelong academic writings, attacked both the practice and the theory of common law, so much as he challenged aggressively to natural rights, for example the Declaration of Rights. Bentham's argument and critique of natural rights and natural law theory focused on two problems. First, Bentham's most categorical and damning criticism of natural rights is the claim that they simply don't exist. Second, as his attack to natural rights with the concept of 'fiction of law', he dare to point out that the Declaration is a 'perpetual abuse of words'. And Bentham gave his own criticism the title as 'Nonsense Upon Stilts'. Bentham argued it is impossible to have rights without a government or without law. Ultimately, maybe Bentham attemp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plan of the complete body of laws(pannomion) supposing it to be constructed ab origine, according to a method of division grounded on natural and universal principles.

      • KCI등재

        A Critique of the Legal-Philosophical Approaches to the Basis for Human Rights from a Theological-Ethical Perspective

        김형곤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2 장신논단 Vol.44 No.3

        In legal philosophy, there are broadly two categories of theory as to the basis for human rights: legal positivism and natural law theory. According to legal positivism, human rights are given and thus can be deprived by the enacted law; thus the basis for human rights is “positive laws.” According to natural law theory, human rights are given supposedly by natural lawin sofar as they are human; thus the basis for human rights is “natural law”. However, words such as ‘human’ and ‘rights’ refer to humanity as subjects. Hence legal philosophy, which is always likely to be a phase of a philosophical anthropology, has limit. Moreover, legal positivists require the ultimate foundation of critical norm as anchors. We cannot agree upon even the method of assumption and presupposition in natural law theory. Although there are many ideas and theories of natural law having been put forth throughout history, persistent doubts about the intelligibility of the concepts of natural law have dogged these theories. Faith in natural law might not be affirmed by a considerable number of people around the world. Above all, the natural law theorists deify the mind by positing that the ultimate source of law is reason or conscience. The Bible in Christianity can provide the fullest meaning of human rights and the strongest motive to the demand for human rights. The image of God forms the basis for universal moral principles including human rights. In this respect, we can assert that human rights are derived from the inherent dignity and worth of the human being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s long as we continually try to find the higher law as an anchor of human rights, especially the ultimate higher law in theological area, we can anchor our hope on human rights.

      • KCI등재
      • KCI등재

        지구법학의 원리와 사유재산권

        정준영(Jung, Jun-Young)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1 환경법과 정책 Vol.26 No.-

        토마스 베리가 주창한 지구법학은 지구에 대한 인간의 무제한적인 착취를 규범적으로 뒷받침하는 인간중심적인 법체계를 비판한다. 지구법학의 요체는 모든 존재자의 권리를 인정하는 권리이론이다. 우주는 모든 존재의 기원이자 규범의 원천이다. 그러한 우주로부터 지구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기본적인 권리를 가진다. 이런 논변에 의해 주체로서의 인간과 객체로서의 사물 사이의 고전적인 이분법이 무너지고, 이른바 ‘자연의 권리’가 도출된다. 자연의 권리는 바로 그 자연을 객체로 삼고 있는 인간의 사유재산권을 강력하게 제한하는 원리를 제공한다. 자연의 권리 개념을 기존의 양대 권리이론, 의사이론과 이익이론으로 검토해보았을 때, 우선 의사이론에 기초하면 자연물은 원천적으로 권리를 가질 수 없다. 다음으로 이익이론에 따르면 ‘인간에게 의무를 부과할 만큼 도덕적으로 중요한 자연물의 이익’에 기초한 논변을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자연물이 가지는 이익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관한 어려운 쟁점이 다시 제기된다. 베리가 말하는 지구법학의 권리 개념은 ‘본성·기능·역할을 실현할 자유’라 할 수 있는데, 이는 법학의 권리 개념과는 질적으로 다른 것이다. 한편 지구법학은 지구 공동체의 원리에 따라 인간의 법에 효력과 한계를 부여하는 일종의 자연법학으로 제시된다. 그런데 자연법 관념은 우주와 인간 존재에 관한 특정한 이해방식에 따라 인간이 제정한 실정법을 평가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그것의 도덕적 전제에 관하여 근원적 의견 불일치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민주주의 정치 공동체에 언제나 존재하는 의견 불일치라는 조건 속에서, 지구법학의 원리는 논란의 여지가 적은 엷은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법원리로서 다시 정식화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중첩적 합의의 토대가 될 수 있다. 지구법학의 원리는 인간의 법이 규율하는 사유재산권의 개념을 재구성하고 그 제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다. 우리는 이러한 논의 과정에서 기존의 사유재산권을 뒷받침하는 규범적 기초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Earth jurisprudence, as advocated by Thomas Berry, criticizes the anthropocentric legal system normatively supporting unlimited human exploitation of the Earth. The essence of Earth jurisprudence is the theory of rights that recognizes the rights of all beings. The universe is the origin of all beings and the source of norms, and such universe gives all the components of the Earth basic rights. This argument decomposes the classical dichotomy between human being as a subject and thing as an object, thereby deriving the so-called “the rights of nature”. The rights of nature provide principles that strongly restrict private property rights over natural objects. The concept of rights of nature can be examined with two existing theories of rights; the will theory and the interest theory of rights. Based on the former, natural things cannot have rights fundamentally while according to the latter, an argument based on “natural things’ interests that are morally important enough to impose duties on human subjects” can be constructed. However, the complex issue of what the interests of natural things mean is again raised. The concept of rights that Berry presented in Earth jurisprudence means “freedom to realize its own nature, function, and role,” which i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rights in human jurisprudence. Earth jurisprudence is presented as a kind of natural jurisprudence that gives both effect and limitation to human law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Earth community. However, the idea of natural law is subject to fundamental disagreement about its moral premise since it serves to assess human-made positive law based on a specific understanding of the universe and human existence. Under such conditions that always exist in a democratic political community, the principle of Earth jurisprudence can be re-formulated as legal principles that consist of thin elements and are less controversial. This could serve as a basis for the overlapping consensus. The principle of Earth jurisprudence is the basis for reconstructing the concept of private property rights and changing the private property system regulated by human law. However, we should consider importantly the normative basis of private property rights in these discussions.

      • KCI등재

        루소에 있어서 인권사상

        오수웅(Sue Woong Ohrr) 한국정치학회 2007 한국정치학회보 Vol.41 No.4

        이 글의 목적은 루소의 인권개념이 무엇인지를 정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2장에서 루소의 개념과 오늘날의 개념이 얼마나, 어떻게 다른가하는 것을 비교하여 인식하기 위해, 인권 개념에 대한 현대적 논의들을 살펴보고 비판한다. 인권은 인간과 권리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의 합성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의 본성과 권리의 본성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본다. 3장에서 권리개념의 기원과 발달을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권리개념이 어떻게 영향을 받고 어떻게 다른지가 드러난다. 그 과정에서 인권(자연권)의 언어적 기원과 발달, 그리고 그 본성이 무엇인지가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루소가 인간의 본성과 권리의 본성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에 대해 답이 찾아진다. 그래서 루소에게 인권은 자연권이자 곧 인간적 정의(human justice)와도 같으며, 이에 기초한 존재론적 차원의 인권개념이 제안된다. 이 과정에서 루소와 현대의 학자들의 이해의 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나게 되며, 앞으로 인권개념에 기초한 연구들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에 대한 성찰과 제언의 기회가 제공된다. This study aims to respond to the following question : what is the concept of human rights in Rousseau’s political philosophy? In order to do so, I utilizes a linguistic method to trace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concepts from the ancient times to Rousseau. In chapter 2, I criticize recent conceptualizations of human rights found in some studies of scholars in order to make clear how they differ from Rousseau’s concept. These conceptualizations are artificial and founded on misunderstandings of what a human nature is and what a “right” is, even though the word and meaning of “human rights” are derived from a conceptualization of “natural right” used in the eighteenth century. “Human rights” as a term is a synthesis of responses to questions of what a human is and what a right is. In chapter 3, I traced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words “right” and “law” from the Latin ‘ius’ and ‘lex’. As a result, I find that the meaning of “right” was originally related to, and derived from “justice” until the eighteenth century. A right was related to moral and legal justice, and I argue that human rights can be understood as human justice. In chapter 4, I explore Rousseau conception of human nature and the nature of a right; in his political philosophy, human nature consists of self love, pity, reason, and I find other faculties derived from the association and combination of the three. There are serious differences between Rousseau and preceeding thinkers such as Hugo Grotius, Thomas Hobbes, etc. While his predecessors stress only reason in human nature and its role in the state of society, Rousseau rightly reminds us that self love and pity exist prior to reason in human nature, and emphasizes their important roles in human justice. In Rousseau’s political philosophy, I find that human rights originated from droit naturel (natural right) and were transformed into political and civil rights through social contract, Droit naturel is “the natural faculties or powers sufficient to satisfy his/her natural needs,” that is food, rest and sex, derived from Nature. Loi naturel (natural law) is made up of the rules of droit naturel, and is set apart as natural among civil laws through the right reason and conscience of individuals in a society. This is why the concept of human right in Rousseau’s political philosophy is not only political but also legal. In Rousseau’s political philosophy, human rights are promoted when societally imposed limitations to natural faculties or powers are removed, and then these faculties or powers are cultivated. Therefore, the promotion of human rights might require the modification of established laws simultaneously educating people. In this respect, Rousseau’s concept of human rights is directed towards legal reformation in the short or long term. I often come across the term “human rights”, but the concept is very different from Rousseau’s. I believe that Rousseau’s concept plays a important role when revisiting theories using the idea oh human rights; furthermore, Rousseau’s ideas can help us understand the political and moral implications of human rights, especially in the educational and political fields.

      • KCI등재

        자유권-자유와 평등의 그림자

        김연미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법학논총 Vol.31 No.2

        To deny natural rights means that all rights are positive and legal rights. Why does natural rights reflect on the background of freedom(liberty) and equality? The reason is dependent on the history of rights theory. Natural rights that H.L.A. Hart defined, is “the equal right of all men to be free”. The Conception of freedom have generally been classified as being negative, positive or republican. Hobbes’s natural rights characterized by the right to negative freedom as non-interference is known to modern negative freedom theory. A third republican conception is the conception of freedom as non-domination. This paper regards the third republican freedom on the background of freedom and equality as the sound natural rights. I have tried to reason the ideal of liberty and equality in the natural right which has non-protection by concealment , through the “counter-control” paradigm in the P.Pettit’s republicanism. 자연권을 거부한다는 것은 모든 권리가 실증적 권리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왜 자연권이 자유와 평등의 이름으로, 혹은 그 배경 속에서 찾아지는가? 그것은 권리이론의 역사와 무관하지 않다. 하트가 정의한 자연권은 “모든 사람들이 자유로울 평등권”(the equal right of all men to be free)이다. 하트에 따르면 자연권은 간섭/지배/침해를 받지 않는 자유로운 상태로부터 확보된다. 자연권은 다른 사람의 자의적인 행위에 의해서 만들어진 권리가 아니다. 근대의 홉스적 자연권은 불간섭(non-interference)의 자유라는 소극적 자유론의 선구자로 알려져 있다. 자유의 개념은 이사야 벌린의 적극적/소극적 자유개념이라는 구분을 넘어서 ‘비지배의 자유’라는 제3의 공화주의적 자유개념까지 발전되고 있다. 이 글은 지배의 부재상태 즉 비지배(non-domination)라는 페팃의 공화주의적 자유개념을 통해 자유와 평등의 배경을 가진 자연권을 사유한다. 자유와 평등의 자연권은 특히 페팃의 역통제의 패러다임을 통해 논증하고자 하였다. 자연권을 비지배라고 사유하는 공화주의적 관념에 따를 때, 자연권이 가지는 은폐성을 가시적으로 보여준다.

      • KCI등재

        에콰도르 헌법상 자연의 권리, 그 이상과 현실

        박태현 한국환경법학회 2019 環境法 硏究 Vol.41 No.2

        1972년 스톤(Christopher Stone) 교수는 “나무도 원고적격을 가져야 하는가?”라는 글을 통해 자연물(natural objects)에도 법적권리를 인정할 수 있음을 설득력 있게 논증하였다. 그러나, 실제 자연물이 당사자가 된 소송에서 자연물에 사실상 권리주체성을 인정한 법정은 없었다. 2008년 9월 에콰도르는 자연의 권리 조항을 담은 헌법개정안을 국민투표로 통과시킴으로써 헌법에서 자연의 권리를 인정한 첫 번째 나라가 되었다. 헌법 제71조는 “생명이 재창조되고 존재하는 곳인 자연 또는 파차마마(Pachamama)는 존재와 생명의 순환과 구조, 기능 및 진화 과정을 유지하고 재생을 존중받을 불가결한 권리를 가진다. 모든 개인과 공동체, 인민과 민족은 당국에 청원을 통해 자연의 권리를 집행할 수 있다.”고 한다. 2011년 에콰도르 법원은 처음으로 자연의 권리 조항을 인용하여 환경영향평가를 하지 않고 도로 건설과정에서 발생한 폐기물을 하천에 버린 지방정부를 상대로 강과 주변 생태계의 원상회복을 구한 원고의 청구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자연의 권리 조항이 언제나 헌법의 본래 취지에 따라 해석,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으로 콘도르-미라도르(Condor-Mirador) 노천 채광개발 사건에서 법원은 채광개발사업은 ‘보호지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공익에 해당하는 광산 개발이익이 사적 목적에 해당하는 시민사회의 자연보호 노력에 우선하므로 이 사건에서 환경 훼손은 자연의 권리 조항을 위반한 것은 아니라고 판시하였다. 자연의 권리 조항에 따라 제기된 소송 중 원고가 승소한 것도 패소한 것도 있다. 이러한 소송결과는 겉으로는 자연의 권리 조항의 해석, 적용을 둘러싼 다툼의 결론으로 보이지만, 그러한 해석, 적용에는 에콰도르의 정치경제적 개발구조와 기득이익집단의 세력, 사법부의 독립성, 법률가들의 자연의 권리에 관한 법적 소양 등 여러 다양한 변수들이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자연의 권리가 법원에서 받아들여진 것은 자연의 권리가 실제 현실에서 정상성(normalcy)을 획득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자연의 권리가 지금은 약하지만 자연적 실체를 사람과 같은 것으로 보는 방식으로 더 강해질 수 있을 것이고, 그럴 때 자연의 권리는 단순한 립-서비스에서 비중을 갖는 그 무엇으로 바뀔 것이다. 여기서 특히 중요한 것은 자연적 실체의 법적 보호를 지지하는 정치적 의지의 향방이다. In September 2008, Ecuador became the first country in the world to recognize the rights of nature as a constitutional right by passing a constitutional amendment containing the provisions of nature's rights by referendum. The article 71 of the Constitution states that “Nature, or Pacha Mama, where life is reproduced and occurs, has the right to integral respect for its existence and for the maintenance and regeneration of its life cycles, structure, functions and evolutionary processes. All persons, communities, peoples and nations can call upon public authorities to enforce the rights of nature. To enforce and interpret these rights, the principles set forth in the Constitution shall be observed, as appropriate.” In 2011, the Ecuadorian court favored a plaintiff's claim to restore rivers and its surrounding ecosystems against local government, who did not conduc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before dumping the waste generated in the road construction process into rivers. However, the provisions of the rights of nature are not always interpreted and applied following the original purpose of the Constitution. Some of the lawsuits filed under the provisions of the rights of nature have prevailed or the others have not. The results of the litigation seem to be the conclusions of the dispute over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provisions of natural rights, but such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are related to the polit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structure of Ecuador, the forces of the interest group, the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and lawyers’legal literacy on the rights of nature. Despite these failings, in Ecuador the rights of nature do seem to be deepening and developing. While rights of nature arguments have won in only a few cases, and never against large extractive concerns, these few cases evince a growing normalcy in actual, practical care for the rights of nature. These rights are weak currently but will likely become stronger, in a way that makes natural entities more legitimately person-like, as they become implicitly normed in law, moving the rights of nature from lip-service to something with heft. What matters here is the tenor of the political will supporting legal protections of these ent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