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보훈복지국가 한국의 “나라사랑”과 “나라지킴” 운동

        황미경 한국보훈학회 2017 한국보훈논총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ways for private-public cooperation and roles in governance in terms of the movement of “Loving the Nation” and “Protecting the Nation” in Korea as a state for the sake of veterans welfare pursuing the enhancement of mind for veterans and also national reunification. Accordingly, the author has considered veterans welfare systems for those subject to veterans welfare, how to connect veterans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s with soldiers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s, and also roles demanded to veterans welfare governance promoting cooperation in the pursuit of national reunification.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the roles of veterans welfare governance pursuing preemptive veterans welfare and peaceful national reunification are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mind for veterans welfare and national identity to integrate the people through loving the nation, promote roles in preemptive veterans welfare and also veterans welfare groups through the movement of protecting the nation, and also encourage cooperation for education about national reunification and national reunification itself. Being aware of the importance of roles in veterans welfare governance pursuing national identity and national reunification, as ways for integrating the people in the state of veterans welfare supporting private-public cooperation, this research has investigated how to love the nation and protect the nation grounded on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본 연구는 보훈의 이념을 바탕으로 통일을 지향하는 보훈복지국가 한국의 국민통합 방안인 “나라사랑”과 “나라지킴” 운동의 기본 방향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국민통합을 이끄는 나라사랑과 나라지킴 운동은 국가정체성을 바탕으로 선제보훈과 통일을 지향하는 보훈복지거버넌스의 과제이다. 따라서 국민통합의 기본 이념이 되는 보훈정신과 보훈복지제도를 고찰하고 민관학의 협력을 촉구하는 보훈복지거버넌스의 과제를 성찰하였다. 이에 보훈복지와 군인복지 연계, 통일지향 보훈복지거버넌스 구현, 나라사랑 운동으로서 보훈정신과 국가정체성 및 국가상징 교육, 나라지킴 운동으로서 선제보훈과 보훈단체의 역할, 통일교육과 통일지향의 협력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국가경제정책에 대한 유럽 주요 국가별 인식 비교 -사회인구학적, 정치의식 특성을 중심으로-

        서운석 ( Woon Seok Suh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11 유럽사회문화 Vol.6 No.-

        A welfare state is a concept of government where the state plays the primary role i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economic and social well-being of its citizens. It 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equality of opportunity, equitable distribution of wealth, and public responsibility for those unable to avail themselves of the minimal provisions for a good life. The general term of national economic policy may cover a variety of forms of economic and social organization. According to Esping-Andersen, there are three ways of organizing a welfare state, based on comparative histories of actual welfare states, that they fall into three types of policies: liberalist(heavily means tested, limited services), corporatist(pre-market conservative welfare state in origin, social insurance schemes), and social democratic(universalistic ``Beveridge`` style social rights based on citizenship instead of working life). Under the Esping-Andersen model, in this paper added welfare regimes of the transformative states such as Czech Republic, Hungary and Poland. This paper i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erception of national economic policy among UK, France, Sweden and Czech. To do this,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1996 and 2006 ISSP(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modules. In this paper the perception of national economic policy was made up by 4 variables: ``cut in government spending``, ``less government regulation of business``, ``support for declining industries to protect jobs``, and ``reducing the working week to create more jobs``. And socio-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includes 4 variables(sex, age, years of schooling, and trade union membership), political consciousness characteristics includes 5 variables(interest in politics, average citizen influence on politics, understanding political issues, trust in member of parliament, and trust in government administrators). In this regards, this paper purports to examine if differences of welfare state system among 4 countri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perception of national economic policy among UK, France, Sweden and Czech. For this purpose it takes the perception of national economic policy by 2 factors of ``liberalism`` and ``welfarism``. It duly argues that the perception of national economic policy among UK, France, Sweden and Czech was statistically different in 2 factors of liberalism and welfarism.

      • Productive Welfare in Korea, which way to go?

        Kim, Young-Hwa 慶北大學校 社會科學大學 2004 社會科學 Vol.16 No.-

        한국의 복지는 그동안 정권유지의 수단이나 목적으로 활용되어왔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고유한 복지논리의 접근이나 이념보다는 경제성과 효율성에 많은 비중이 주어져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기득권의 권익을 옹호하는 쪽으로 그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1997년 한국에 불어닥친 외환위기에서 한국은 총체적 부실을 경험하였고, 생활보호법을 통한 사회적 약자만의 공적부조가 아니라 국민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기초생활보장을 튼튼히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을 절감하게 되었다. 이에 김대중정부는 외환위기 상황을 타결하기 위해 저소득층의 문제를 해결하고 중산층을 견고히하며, 실업대책을 강구하여야 했다. 생산적복지는 이러한 상황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났다. 한편으로는 구고고정과 다른 한편으로는 일자리창출을 통해 경제위기를 극복해야하지만, 그 영향은 계속되고 있으며 오히려 새로운 경제위기를 낳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생산적복지를 탐구하고, 생산적복지가 사회통합을 가져올 수 있었는지, 그럴 수 없었다면 생산적 복지의 한계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세계화시대에 지속가능한 사회복지의 형태는 어떠해야 하는지, 그것이 만약 사회 개발적 복지라면, 사회개발적 복지와 생산적 복지는 경제와 복지간의 균형과 통합을 가져올 것인지에 대한 의문에 답을 찾아보려고 한다. 국민 개개인의 단위에 초점을 맞추어져 있는 생산적 복지의 한계는 지역사회는 공동체를 강조한 개발적 복지의 측면에서 보충함으로 극복되어 질 수 있다고 본다. 세계화에 동반되는 신자유주의적 흐름과 경쟁과 효율을 통한 경제발전의 전략적 목적을 넘어서, 소외된 계층과 배제된 사회적 영역을 통합하는 한국사회복지의 대안적인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인간투자와 사회투자의 개념도입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have an overview of major areas in Korea's productive welfare, examine whether the economic crisis can be overcome and social integration possible through productive welfare, and, going a step further, point out limitations of productive welfare. In addition, I would like to tap on developmental welfare to find out what form constitutes sustainable social welfare, which goes beyond the limitations of productive welfare and is suitable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viewpoint of developmental welfare and productive welfare - i.e.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and balance between the economy and welfare - can be a very dramatic approach in the sense that it goes beyond the generally accepted belief that the economy and welfare clash. I believe that the limitations of productive welfare, focusing on individuals, can be complemented by many aspects of developmental welfare, which puts emphasis on a communal entity and the community. I hope that developmental welfare will become a crucial guide in searching for a more universal and integral alternative in Korea's social welfare, going beyond the government's simple aim of strategic economic development.

      • KCI등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지위 변화와 우울의 관계

        이원진(Lee Won-J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4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1~3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우울과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지위 변화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급진입은 우울수준을 증가시킨다. 이는 주로 빈곤진입을 동반한 수급진입이 경제적 스트레스를 증가시켰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둘째, 수급탈출은 우울수준을 감소시키지 않는다. 하지만 수급탈출 중에서도 탈빈곤을 동반한 수급탈출의 경우에는 우울수준을 감소시킨다. 셋째, 높은 우울수준이 수급진입확률을 증가시킨다. 넷째, 높은 우울수준이 수급탈출확률을 감소시키지 않는다. 수급탈출을 나누어 보면, 높은 우울수준은 탈출 후에도 여전히 빈곤한 수급탈출(탈락)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This study examines a casau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welfare transitions of the National Basic Likelihood Protection Program. From a social selection perspective, prior high levels of depression are likely to select people into welfare or serve as a barrier to leaving welfare. From a social causation perspective, entering or exiting welfare can change the levels of depression. Thes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KOWEPS(Korean Welfare Panel study) 2005~2007.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tering welfare clearly increases the levels of depression. The increased economic stress resulting from falling into poverty seems to play a major role in the negative effect of welfare entry. Second, exiting welfare does not decrease the levels of depression. However, when welfare exits are classified into distinctive categories, welfare exit combined with concurrent poverty exit is likely to decrease the levels of depression. Third, high levels of depression clearly increase the probability of entering welfare regardless of the prior poverty status. Fourth, high levels of depression do not decrease the probability of exiting welfare, but rather increase the probability of an administrative disentitlement which leads to even worse economic conditions after exiting welfare. One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is that negative policies such as time limit and strengthening sanctions can increase the number of welfare cyclers who are able-bodied but mentally weak.

      • KCI등재

        고령사회 주거복지정책의 법적 쟁점과 개선 방안- 국민연금기금의 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

        김영국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論叢 Vol.40 No.-

        As of the end of August, 2017, Korea entered an aging society, and it is expected to become a super aging society with unprecedented speed in the world. The problems of aging that Korea will face includes job problem, poverty problem and housing welfare problem. Our future depends on how we prepare now.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elderly housing welfare problem, and confirmed that housing welfare for the elderly is closely connected to the elderly poverty and other medical welfare services due to the income statu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mong 5 elderly housing welfare related legislative bills drawn up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 Low Birthrate and Aging Society Basic Law,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and The Elderly Welfare Act, which are under the jurisdiction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stly regulate the contents of medical welfare promotion of the elderly and partly regulate elderly housing welfare problem. The Act on Support for the Underprivileged in Housing, which is under the jurisdiction of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puts rules regarding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policy that can guarantee safe and convenient residential lives of the underprivileged in housing such as the handicapped and the elderly, and Housing Basic Law guarantees citizens' right to housing and establishes policies that contribute to people's resident stability and resident condition, which indicates that the objects these laws protect are comprehensive rather than limiting the elderly and the handicapped. However, these housing welfare policies need liaison with welfare services such as medical welfare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claimed the importance of connection among related laws, and of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among the ministries and offices concerned, and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avoid overlapped investment of government budget and to make continuous efforts for effective resource distribution when the government executes policie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elderly poverty leads to housing poverty, and the housing poverty becomes the big burden of the government budget of elderly housing welfare. The government injects a considerable portion of finance and gives basic pension to low income elderly citizens, and the amount is supposed to increase gradually. For this reason, the government's finance for policies like housing welfare road map is in a bad condition. The government presents plans using Urban Housing Fund, but it is not enough for stable execution of housing welfare road map, which is large scale of national project. In addition, there is limitation in the elderly housing welfare improvement policies such as public silver towns due to concentration on housing supply for the youth and newly married coupl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method tha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ssue tentatively named ‘Housing Welfare Special Bond’ and National Pension Fund purchase the whole quantity. 2017년 8월 말 현재 우리나라는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세계에서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빠르게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측되고 있다. 초고령사회에 우리가 직면하게 될 노인문제는 일자리 문제, 빈곤 문제, 주거복지 문제로 집약할 수 있는데, 지금부터 어떻게 준비하느냐? 에 따라 우리의 미래가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노인주거복지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고, 고령자 소득수준·생애주기의 특성상 노인주거복지는 노인빈곤과 기타 의료복지서비스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헌법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노인주거복지 관련 5개의 법안 가운데, 보건복지부 소관 법령인 저출산·고령화기본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노인복지법 등은 주로 노인의 의료복지증진 관련 내용을 규정하면서 노인주거복지 문제도 부분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소관 법령인 주거약자지원법은 장애인·고령자 등 주거약자의 안전하고 편리한 주거생활을 보장할 수 있는 정책 수립과 시행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으며, 주거기본법은 국민의 주거권을 보장하고 정책 수립에 국민의 주거안정과 주거수준에 이바지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노인이나 장애인에 한정하지 않고 보호 대상이 포괄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주거복지정책은 기본적으로 의료 등 복지서비스와의 연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부가 정책을 수행함에 있어 관련 법령의 연계 노력, 소관 부처 간의 협력 및 협업 관계가 중요함을 주장하였고, 그러한 연장선에서 정부 예산의 중복 투자를 자제하고, 효율적인 자원 배분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보았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노인빈곤이 주거빈곤으로 이어지고, 주거빈곤은 정부의 노인주거복지 재정에 커다란 부담이 될 것임을 주목하였다. 정부는 이러한 상황에서 재정의 상당부분을 투입하여 기초연금을 저소득층 고령자에게 지급하고 있으며, 단계적으로 그 지급액을 증액하기로 하였다. 이로 인해 주거복지로드맵과 같은 정책의 추진에 필요한 정부의 재원은 충분한지 의문이다. 국토교통부는 주택도시기금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대규모 국책사업이라 할 수 있는 주거복지로드맵의 안정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새로운 재원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청년층, 신혼부부를 위한 주택공급에 정부 정책의 집중으로 공공실버타운 같은 노인주거복지 개선 정책의 추진에도 한계가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국토교통부가 가칭 “주거복지특별채권”을 발행하고 국민연금기금이 전량 매수하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미국의 사회보장급부권 논의와 복지실현의 헌법적 방법

        이상경 한국공법학회 2013 공법연구 Vol.42 No.2

        Although many countries in the world have been discussing the methodology of achieving the welfare that the constitutions would pursue, no concerted opinion about what the social welfare really means has been acquired. In a broad sense, in order to make up the roof hole or the downside of the market economy, the social welfare nation is defined as a nation having the system which provides the social welfare services to protect social minorities and prevent the poverty, establishing the social welfare system to address the matters of the unemployment and disproportional distribution. Here, the real issue is to decided how much the nation should intervene the private sectors to provide and control the goods and services. Hence, this article i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liberal anglo-saxon welfare model" in the United States, which allows the market to solve the social welfare issue and provides the limited social welfare services only for the socially weak classes. Even though the Amendments to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include the bill of rights, they only consist of the rights of freedom and liberty against the government. Thus, there is no social consitutional right, explicitly accepting the services of nation, which should been necessarily accepted under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onstitution. It means, in other words, that the constitutional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mean only the right of liberty and freedom. Hence, the approach to the right of the social welfare is same as the approach to a civil right. As a result, it is very difficult to take the right of the social welfare as the constitutional right, but it has been accepted to utilize the equal protection clause under the 14th. and 5th. Amendment to get the equal opportunities for everyone, and the due process of the 14th. and 5th. Amendment to extend the classic notion of the liberty and freedom to the inclusion of the right to survival with human dignity, which is, so to speak, a indirect way to achieve the constitutional preamble scheme of the social welfare. This article examines the feasibilities of extracting social welfare benefits right's selectivity and claimable character as is the civil right the under the main stream of the civil right interpretational approach to the social welfare benefits in the United States. 세계 각국은 복지국가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논의를 전개해왔음에도 헌법이 추구하는 복지국가란 과연 어떤 것을 의미하는가에 대한 의견의 일치는 보지 못했다. 넓은 의미에서 시장경제의 폐해를 보정하기 위해 실업과 분배문제에 관한 사회보장제도를 확립하고 시장과는 다른 관점과 고려에 의해 결정된 일련의 복지서비스를 제공하여 빈곤을 예방하며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국가를 복지국가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복지국가이념은 재화와 서비스의 공급에 있어서 어느 정도 국가의 역할을 인정해야 하는가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본 논문이 논의의 중심축으로 삼고 있는 미국의 경우는 소위 “자유주의적 앵글로색슨 복지국가모델”을 채용하여 복지의 문제를 먼저 시장에서 해결하도록 노력하고 다만 소위 취약계층에 대해서만 국가가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자유주의적 모델은 미국 헌법의 특성에 기인한다. 미국 연방헌법 수정조항은 권리장전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만 고전적인 의미에서의 국가로부터의 자유만을 의미하는 권리들로 구성되어 있을 뿐이다. 복지국가 실현을 위해 필연적으로 수긍해야 하는 사회적 기본권에 관한 내용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미국 연방헌법 하에서 헌법적 차원의 권리란 곧 자유권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보장급부권에 대한 접근도 원칙적으로 소위 시민권, 즉 자유권적인 방법을 중심으로 한다. 따라서 헌법적 차원의 사회보장급부권을 정면으로 인정하기 보다는 다른 관련 헌법상의 원칙의 적용을 통하여 사회보장급부권을 수용하고 있다. 즉, 법 앞의 평등보장의 의미에서 기회의 평등을 도출하여 여기서부터 최소한의 복지에 관한 권리를 수긍하거나 적법절차조항을 통해 고전적인 자유권에 생존을 보장받는 것을 포함시키려는 간접적인 방법이 인정되고 있는 것이다. 미국의 사회보장급부권 논의에 관해 시민권적 요소와 사회권적인 요소에 주목하면서도 특히 시민권적인 접근과 해석이 주류를 이룬다는 점에 착안하여 여기서 사회보장급부권의 선별성과 청구권성 등을 도출할 수 있다는 점을 본 논문은 강조하고 있다.

      • KCI등재

        제6차 교육과정 이후 『사회·문화』교과서 ‘사회복지’ 내용 변화 연구

        최석현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2 사회과교육연구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how social welfare concepts that are discussed in “Society and Culture” textbooks have changed from the 6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examination was done with a focus on how the allocation of welfare role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reflects how the textbook describes the key social welfare concep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dea of social welfare in textbooks shifted from an abstract and residual character-based description to a description emphasizing the aim of social welfare in response to specific and individual social risks as the welfare institutions expanded substantially from the 1990s. However, only a few textbooks were found to provide adequate coverage of social integration through social redistribution, another goal of welfare. Second, when the idea of social welfare took shape, there were modifications made to how welfare institutions were described and presented, with a focus on social security systems. Additionally, the explanation of a welfare state that properly understands Korea’s welfare institutions was much shorten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 description highlighting the inefficiency problem caused by the expansion of the government’s welfare role was consistently conveyed in all of the curricula this study analyzed. 본 연구는 1992년에 도입된 제6차 교육과정에서 2015년에 도입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에서 서술하고 있는 사회복지 개념에 관한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분석은 교과서에 서술된 사회복지에 관한 주요 개념들에 관한 서술이 국가와 민간의 복지 역할 배분 현실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춰 이뤄졌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90년대부터 사회복지제도가 급격히 확대됨에 따라 교과서 내의 사회복지 개념이 추상적이고 잔여적인 성격에 기반을 둔 서술에서 구체적이고 개인의 사회적 위험에 대응하는 사회복지의 목적을 강조하는 서술로 변화하였다. 하지만 복지의 또 다른 목적인 사회적 재분배를 통한 사회통합에 관한 서술은 일부 교과서에서만 제한적으로 발견되었다. 둘째, 사회복지 개념이 구체화 됨에 따라 복지와 관련된 다양한 정책들에 관한 서술에서 공공부조, 사회보험, 사회서비스로 구성된 사회보장제도로 국한하여 사회복지제도를 서술하여 제시하는 변화가 있었다.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복지제도를 종합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복지국가 개념 서술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대폭 축소되었다. 셋째, 교육과정별 수준의 차이는 있으나 국가의 복지 역할 확대에 따른 비효율성 문제를 강조하는 서술 내용이 모든 분석대상 교육과정에서 일관되게 제시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 헌법상 공공복리 실현원리에 관한 비교 연구

        노기호,천지에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0 동북아법연구 Vol.13 No.3

        Although the concept of public welfare is frequently used in the legal system of China, the constitutional lack of a practical mechanism for public welfare restricts public welfare and it does not effectively exercise the balance function between public power and personal interests. Liberal democratic constitutions, such as the Korean Constitution and socialist constitutions, such as the Chinese Constitution, differ greatly in character, but The Chinese Constitution gives a positive meaning in seeking the real meaning of the public welfare provision because of the Korean Constitution that contains the principles and values of the provisions of public welfare. By comparing the mechanisms of realization of public welfare provisions of the two countries and the principles of their inherent values, we tried to supplement the mechanisms of realizing public welfare under the Chinese Constitution by identifying the merits of the mechanisms of public welfare under the Korean Constitution. The Chinese Constitution's provisions for public welfare are based on the idea of collectivist ideology, which has a clear instrumental orientation as an idea of serving public interests as the goal of 'state wealth.' This has turned public welfare into a provision on which national public power arbitrarily violates the rights of individuals, and the normative function of the public welfare provision in the Constitution is becoming less famous. The Korean Constitution has effectively guaranteed the realization of public welfare and the normative function of the provisions of public welfare by a series of institutions built on democratic principles. China is in a rapid social transition and is entering the era of rights. It is necessary to mirror some of the ideas and institutions of the Korean Constitution based on its national identity in the process of socialist China moving from tradition to modernization. The combined normative ideology and practical experience should be combined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contain and realize the value of public welfare that meets China's reality and meets the needs of the times. 공공복리의 개념은 중국의 법체계에서도 빈번하게 사용되는 개념이지만, 헌법상 공공복리에 대한 실현적 메커니즘의 부재로 공공복리를 제한하고 공권력과 개인의 이익 간의 균형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지 못하고 있다. 한국헌법과 같은 자유민주주의 헌법과 중국 헌법과 같은 사회주의 헌법은 성격상 크게 다르지만, 한국헌법에는 공공복리 조항에 관한 원리와 가치가 포함되어 있어 중국헌법상 공공복리 조항의 실현적 의미를 모색하는 데 있어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한다. 두 나라의 헌법상 공공복리 조항의 실현 메커니즘과 그 내재된 가치의 원리를 비교하여 한국헌법상 공공복리 실현의 메커니즘이 갖고 있는 장점을 찾아내어 중국헌법상 공공복리 실현의 메커니즘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한국헌법은 민주주의 원리에 의해 구축된 일련의 제도에 의해 공공복리의 실현과 공공복리 조항의 규범적 기능을 효과적으로 보장해 오고 있다. 중국은 빠른 사회적 전환기에 있고 권리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사회주의 중국이 전통에서 현대화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자신의 국가적 정체성에 입각하여 한국헌법의 일부의 이념과 제도를 거울로 삼아야 한다. 발전된 규범적 이념과 현실적 경험을 결합하여 중국의 현실에 부합하고 시대의 요청에 맞는 공공복리의 가치를 내포하고 실현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 KCI등재

        좌산종사시대에 있어서 원불교사회복지의 전개, 그 특징과 의의

        오세영 한국신종교학회 2020 신종교연구 Vol.42 No.-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roblem of lack of evaluation and academic research efforts despite the rapid development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in Jwa-San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Won-Buddhism social welfare has been developed in A, and to examine its features and significance. To achieve this goal, the background of Won-Buddhism’s social welfare in Jwa-San Era was examined in terms of political, socio-economic and ideological aspects, and then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Won-Buddhism’s social welfare developed at that time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n-Buddhism’s social welfare in Jwa-San Era has developed direct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government’s policy response due to changes in the regime, IMF economic crisis, low birth rate and aging. Second, Won-Buddhism’s social welfare was influenced by the perceptions of the welfare issues of the left mountain workers and the economy. Third, the method of establishing a parish unit social welfare corporation according to the ‘nationalization of welfare’ has left many problems by choosing to separate from an existing corporation rather than to establish a new corporation. Fourth, the Korean Overseas Koreans Support Project of the Won-Buddhism Social Welfare Council provided an opportunity to develop overseas business of the Won-Buddhism Social Welfare Corporation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Chinese and North Korean cultivation. Lastly, the development of non-profit organizations created on the ideological basis of Won-Buddhism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base of Won-Buddhism’s social welfare. Despit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Won-Buddhism’s social welfare, Jwa-San Era’s Won-Buddhism social welfare has left many challenges. 본 연구는 좌산종사시대에 있어서 원불교사회복지의 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평가와 학문적 연구의 노력이 미흡하였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좌산종사시대에 있어서 원불교사회복지가 어떻게전개되어 왔는가를 고찰하고, 그 특징과 의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달성하기 위하여 좌산종사시대의 원불교사회복지의 배경을 정치적, 사회⋅경제적 및사상적 측면에서 살펴본 후, 그 시기에 전개된 원불교사회복지의 내용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좌산종사시대에 있어서의 원불교사회복지는 정권의 변화, IMF 경제위기, 저출산⋅고령화 등의 변화에 따른 정부의 정책적 대응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으면서 발전해왔다. 둘째, 좌산종사시대에 있어서원불교사회복지는 좌산종사의 복지문제에 대한 인식과 경륜의 영향을 받았다. 셋째, ‘복지의 전국화’경륜에 따른 교구단위 사회복지법인 설립방식은 기존의 법인으로부터분리하는 방식을 택함으로써 많은 문제점을 남겼다. 넷째, 원불교사회복지협의회의한민족해외동포지원사업은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해외사업 개발과 중국 및 북한교화의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원불교의 사상적 기반위에서 생겨난 비영리조직의 발전은 원불교사회복지의 저변을 확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원불교사회복지의 특징과 의의에도 불구하고 좌산시대에 있어서의 원불교사회복지는 많은 과제를 남겼다.

      • KCI등재

        북한 복지체제의 성립과 변동

        김연정(Kim, Yeon-jung),남현주(Nam, Hyun-joo)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아시아문화연구 Vol.31 No.-

        사회주의체제는 일원적 이데올로기와 국유화된 생산구조 등을 바탕으로 복지에 대한 책임은 국가가 주도적 역할을 하는 ‘국가복지체제’의 형태가 대부분이다.사회주의 체제인 북한은 국가가 주민생활보장을 일차적으로 책임지고 있지만,경제상황이 뒷받침되고 있지 않는 북한의 복지체제는 대내외적 환경변화에 따라 단편적 형태로 나타나지 않고 변동의 과정을 겪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는 이 점에 주목하여 복지제공 주체의 변화에 따른 북한 복지체제의 성립과 변동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한국전쟁 이후 사회주의 건설기와 맞물린 복지체제의 형성기에는 복지는 국가중심의 주도적 역할과 책임에 의해 제공되었고,이때 북한은 국가복지체제의 형태에 충실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즉,대부분의 복지정책이 이 시기에 완성되었으며 북한은 국가보장체제의 확립을 통해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나타낼 수 있었다.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복지체제 운영기반이 되는 경제상황이 불안정해짐에 따라 북한은 더 이상 계획경제 내에서 국가가 주도적으로 복지를 보장하는 것이 어렵게 되었다.이로 인하여 국가의 약화된 통제 아래 지역-단위가 복지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조정되고,이후 국가 및 지역-단위의 역할이 점차 약화되면서 복지제공의 책임주체는 개인으로 변화될 수밖에 없었다. 결론적으로,북한은 국가 전략 방향에 따라 정치적ㆍ경제적 도구로 복지체제를 활용하기 위해 국가가 복지를 보장하는 구조였지만,복지체제의 운영기반이 되는 경제체제의 변화로 인해 복지책임에 대한 비중이 점차 달라지고 있는 것이다.따라서 북한의 경제상황이 안정되지 않는 이상 ‘국가복지체제’구조는 더 이상 유지하기 어렵다고 볼 수 있다. North Korea based on socialist system primarily takes responsibility for citizens" welfare system in that welfare system has been getting structured in an accordance with strategic direction of a nation. The socialist system is based on national welfare system where welfare responsibilities are nation-centered. This study aims at presenting the establishment of welfare system and the process of change in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main welfare provider. In the period of formation of welfare system correlating with the construction of socialism, welfare-security was centered by nation. However, as socialist economy"s contradictions became worse and worse, the main provider of welfare started to change. Therefore, the system in North Korea is being transferred to transitional society security system where welfare security is made according to labor capacity, which was developed from the district-unit system. In conclusion, in the early stages North Korea consisted of the system where nation guarantees welfare system preferentially but there was the changes of the main welfare provider due to the changes of economical system being on the basis of the operation of welfare system in that it seemed to have difficulty for North Korea maintaining the welfare system governed by nation-centered any long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