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여가활동유형 분류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 ‘국민여가활동 조사’를 중심으로

        윤채빈(Yoon, Chaebeen),박수정(Park, Soojung),윤소영(Yoon, Soyoung) 한국여가문화학회 2021 여가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여가백서, 국민여가활동조사는 물론 여가학 전반에서 사용하고 있는 여가활동유형 분류를 에믹과 에틱의 관점에서 한국적 상황에 적합하게 변형하여 한국형 여가활동유형 분류 체계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여가활동유형 분류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분석하고, 분석된 자료를 근거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한국형 여가활동유형 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한국형 여가활동유형 분류의 타당성은 전문가회의를 거쳐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한국형 여가활동유형 분류표는 한국의 여가현상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여가백서, 국민여가활동 조사는 물론 여가학 전반에 활용 가능할 것이다. 또, 각 유형 간의 상호중복과 이중기준이 무의미하게 사용되고, 에믹과 에틱을 고려하지 않은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가 및 사회적인 가치관, 우리나라 여가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한국형 여가활동유형 분류체계에 대한 재정립이 될 것이다. 이는 국가종합전략 및 범부처 연구개발 과제 제시 등 다양하게 변화하는 국민의 여가활동 트랜드 분석에 활용 가능할 것이며, 추후 여가정책의 방향정립을 가능케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Korean version of classification system about leisure activities types by transforming the leisure activity type classification used in leisure white papers,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as well as leisure studies as a whole to suit the Korean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mik and etic. To this end,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bout the problem of classification of leisure activity types and improvement method. Also, based on the analyzed data,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develop a classification system for Korean leisure activity types, and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Korean leisure activity classification was verified through expert meetings. The Korean version of leisure activity classification system table deriv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to study leisure phenomena in Korea. In addition, it can be used for leisure white papers, surveys on national leisure activities, as well as overall leisure studies. In addition, mutual redundancy and double standards between each type are used meaninglessl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that did not consider emics and etics, It can be a re-establishment of the Korean version leisure activity classification system in consideration of national and social valu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isure environment in Korea. It can be used to analyze diverse trends in leisure activities of the people, such as presenting comprehensive national strategie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s of various ministries, and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leisure policies in the future.

      • KCI등재

        한국인의 여가활동 잠재유형과 영향요인

        신아름 ( Areum Shin ),김석호 ( Seokho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21 조사연구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여가활동 유형을 추출하여 그 특성을 비교하고, 각 유형의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 국민여가활동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수행하고, 여가활동 유형의 차이를 만들어내는 사회경제적 특성, 인구학적 특성 그리고 여가자원 특성을 검토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여가활동의 잠재집단 유형은 ‘일상적 여가형’, ‘스포츠·관광 몰입형’, ‘취미오락 중심형’, ‘적극적 옴니보어형’, ‘문화예술 애호가형’ 등 5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일상적 여가형’과 다른 네 가지 유형을 비교한 결과 첫째, 교육수준, 가구소득, 거주지역 등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일상적 여가형’과 다른 네 가지 유형을 구분 짓는 중요한 요인이다. 둘째, 성별과 연령은 ‘일상적 여가형’과 다른 네 가지 유형을 차별화하는 특성으로 나타났으며, 혼인여부와 일인가구 여부는 부분적으로 ‘일상적 여가형’과 다른 유형을 구분짓는 요인이다. 반면 연령대별 자녀 수는 대부분 ‘일상적 여가형’과 다른 네 가지 유형을 구분짓는 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 자원의 경우 여가시간이 증가할수록 ‘적극적 옴니보어형’과 ‘문화예술 애호가형’보다 ‘일상적 여가’형에 속할 가능성이 크고, 여가비용이 많을수록 ‘스포츠·관광 몰입형’과 ‘취미오락 중심형’에 속할 가능성이 크다. 이 연구는 한국인의 다양한 여가활동 지형을 읽어내고 서로 다른 여가활동에 관련된 원인을 인구학적 특성, 사회경제적 지위, 여가자원 차원으로 구분해 설명함으로써 향후 정책 수립에 필요한 심층적 정보를 제공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a distinctive leisure activity pattern among Koreans. However, though the leisure pattern consists of several leisure activities, existing studies primarily concentrated on each leisure activity. To bridge the empirical gap, the present study conducts Latent Class Analysis to identify subgroups of leisure activities. The data come from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atent class analysis identified five distinct subgroups with different leisure activity types: ‘Casual Leisure’, ‘Sports and Tourism Lover’, ‘Hobby and Entertainment-Centered’, ‘Active Omnivore’, ‘Culture and Art Enthusiast’.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belonging to leisure activity patterns were gender, age, education, household income, and residential area. Second,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nd age were found to differentiate four other types from the'Casual Leisure', and the marital status and single-family status were partially distinguished from the ‘Casual Leisure’ appear.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children by age group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ird, as leisure time increases, it is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Casual Leisure’ than the ‘Active Omnivore’ and the ‘Culture and art Enthusiast’. The current research offers substantial findings that provide leisure topography in Korean society. Also, it can be extende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that affect the leisure activity type.

      • 대한민국 국민의 여가시간은 충분한가?

        황희성 ( Heesung Hwang ),이유진 ( Yujin Lee ),황선환 ( Sunhwan Hwang ) 한국융합과학회 2022 한국융합과학회 국제학술대회자료집 Vol.2022 No.0

        목적: 대한민국은 ‘국민여가활성화기본법’과 ‘주52시간근무제’도입과 같이 국민의 여가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2019년 발병한 COVID-19로 인하여 우리의 삶은 송두리째 바뀌었고, 다양한 제약이 발생하면서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여가시간이 갑자기 증가하게 되었다. 때문에 여가에 대한 인식과 행복에 대한 생각이 변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시간을 인식하는 것은 매우 주관적이기에 그것이 길고 짧은지 느끼는 것에 따라 ‘자신이 충분한 시간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2019년도와 2021년도 국민여가활동조사’를 활용하여 코로나 발생 전과 후의 여가시간, 여가시간충분도, 여가만족, 그리고 행복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과정: 국민여가활동 조사의 전체 표본 수는 2019년 10,060명, 2021년 10,049명이다. 측정변인으로 인구사회학적특성은 성별, 나이, 교육 수준, 결혼 유무, 월 소득을 살펴보았고, 주요변인은 평일 여가시간, 평일 여가시간충분도, 여가생활만족도, 행복을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으로 SPSS 27.0 version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Andrew F. Hayes가 개발한 Process Macro 프로그램의 Model 7번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치에 대한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은 2019년도에 비해 2021년도가 높은 반면에, 평일 여가시간충분도와 여가생활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일 여가시간은 2019년과 2021년 모두 행복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19년도의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생활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2021년도는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생활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2019년의 경우,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평일 여가시간충분도의 수준에 따른 여가생활만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의 경우,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시간충분도의 수준에 따른 여가생활만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시간충분도가 높은 집단은 여가시간이 증가할수록 여가만족도가 낮아지고, 여가시간충분도가 낮은집단은 여가시간이 증가할수록 여가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여가시간충분도는 여가시간이 여가만족을 경유하여 행복으로 가는 경로를 조절하였다.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의지와 결과의 만족에서 가치는 결정되는 것이다. 하루에 더 많은 여가시간을 가지지 않고도 그 시간을 풍요롭게 느끼며, 자신의 여가활동에 최대한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려는 노력은 행복한 삶의 가치를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e Republic of Korea has made efforts to guarantee the leisure of the people, such as the introduction of the “Framework Act on Leisure Activation” and the “52-hour maximum work week policy”. However, due to COVID-19, which occurred in 2019, our lives have changed, and as various restrictions have occurred, leisure time has suddenly increased regardless of our intention.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the idea of happiness have changed. Recognizing time is so subjective that depending on how you feel whether it is long or short, thinking that you have enough time can also appear differently.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we inte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leisure time sufficiency, Leisure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outbreak using the “2019 and 2021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Method: The total number of samples in the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was 10,060 in 2019 and 10,049 in 2021. As measurement variabl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by gender,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and monthly income, and the main variables were leisure time on weekdays, leisure time sufficiency on weekdays, satisfaction with leisure life, and happines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7.0 version as data processing methods. In addition, Model 7 of the Process Macro program developed by Andrew F. Hayes was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significance level for all statistics was set to 5%. Result: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leisure time and happiness on weekdays were higher in 2021 than in 2019, while leisure time sufficiency and Leisure life satisfaction were lower. Second, leisure time on weekday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happiness in both 2019 and 2021. Third, it was found that leisure life satisfaction had no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on weekdays in 2019. On the other hand, in 2021, leisure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4)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on weekdays. Fourth, in 2019,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leisure lif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but there w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leisure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leisure time sufficiency. In the case of 2021,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leisure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leisure time suffici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It was found that leisure life satisfaction decreased as leisure time increased in the group with higher level of leisure time sufficiency, however leisure life satisfaction increased as leisure time increased in the group with lower level of leisure time sufficiency. Conclusion: Leisure time sufficienc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mediated by Leisure life satisfaction. The value is determined by the will to do and the satisfaction of the result. Efforts to find ways to feel rich in time without having more leisure time a day and feel the maximum satisfaction of one's leisure activities are expected to maximize the value of a happy life.

      • KCI등재

        코로나19 전후 스마트폰에 의한 여가식민화 현상의 심화 : 「국민여가활동조사」 및 「한국미디어패널조사」를 중심으로

        김형수,이호규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roportion of the time spent on smartphones in South Korean’s leisure life from the perspective on colonization of leisure and explore its implications before and after COVID-19. In other words, analyzing data of ‘The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and ‘The Korean Media Panel Survey’ from 2019 to 2020,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whether the proportion and influence of smartphones in South Korean’s leisure time have increased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compared to the period before COVID-19, leisure time increased on both weekdays and holidays, and the time to use smart devices including smartphones during leisure time also increas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time spent using smart devices during leisure time has increased by nearly 20% since COVID-19, accounting for more than half of leisure time. In particular, teenagers accounted for 80% and those in their 20s and 30s accounted for more than 70%. Third, the number of smartphone users increased in most time windows measured in every 15 minutes for 24 hours a day except for sleep time. Fourth, when smartphones were used simultaneously with other media, the number of users increased the most from 7 p.m. to 10 p.m. called ‘Prime Time’, which is assumed to be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atching TV and using smartphones at the same time. Lastly, Though TV still accounted for a large part of our leisure time, it is found that smartphone is the medium that controls the rhythm of our daily lives. Taken as a whole, the deepening of colonization of leisure by smartphones after COVID-19 has been verified. In this vein, we suggested that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crit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economic and technical systems related to smartphones, such as platforms and algorithms that induce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 KCI등재

        청년세대의 여가활동 잠재유형과 결정요인

        신아름 여가문화학회 2023 여가학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specific types of leisure activities of the young generation, and if there are such types, what factors influence the classification of leisure activities. This paper starts from the premise that in order to explain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young generation, we need to look at their leisure characteristics along with thei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For analysis, potential group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a sample of young people aged 19 to 34 from the 2022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eisure activity type of the young generation was classified into ‘relationship-oriented type’, ‘complex leisure type’, ‘culture/art/tourism participation type’, ‘hobby/entertainment type’, and ‘relationship indifferent typ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the five types a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household income, occupation, and residential area, and leisure characteristics such as leisure time, time using smart devices, and awareness of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leisure life. Confirmed.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and leisure expenses were not factors that differentiated the types of leisure activities of young peopl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leisure of the young gener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청년세대의 여가활동에 따라 특정한 유형이 존재하는지, 그러한 유형이 존재한다면 여가활동 유형을 구분 짓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논문은 청년세대의 여가활동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사회경제적 특성과 더불어 이들이 가진 여가 특성을 살펴봐야 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분석을 위해 2022년 국민여가활동조사 자료의 19~34세의 청년 표본을 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청년세대의 여가활동 유형은 ‘관계지향형’, ‘복합 여가형’, ‘문화예술관광 참여형’, ‘취미오락 무관심형’, ‘관계 무관심형’ 등으로 유형화되었다. 5가지 유형을 구분짓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가구소득, 직업, 거주지역 등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여가시간, 스마트기기 이용시간, 일과 여가생활의 균형에 대한 인식 등의 여가 특성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결혼여부, 교육수준, 가구소득 그리고 여가비용은 청년의 여가활동 유형을 구분짓는 요인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들을 바탕으로 청년세대의 여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여가정책의 중요성 인식에 대한 연구: 지역규모를 중심으로

        신아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3 문화정책논총 Vol.3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규모가 여가정책의 중요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여가정책에 대한 기존 논의를 살펴보 고, 2022년 국민여가활동조사를 활용하여 지역규모가 여가정책 중요성 인식에 미치 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여가정책은 크게 여가여건에 대한 지원, 특정 집단의 여가에 대 한 지원 그리고 여가와 관련된 법적 제도에 대한 지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주요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정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정책 분야는 여가여건에 대한 지원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가여건 중 여가시설의 다양성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평가했다. 또한 정책분야를 막론하고 지역규모가 커질수록 여가정 책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여건과 관련된 정책에서는 대도시 가 읍면지역에 비해 여가시설, 여가프로그램, 여가 전문인력에 대해 중요하게 평가했 다. 이는 도시의 여가여건이 우수하더라도 정부의 역할 증대를 기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특정 집단에 대한 정책의 경우 소외계층 여가생활 지원에 대해서는 대도 시일수록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고 있지만, 동호회 육성 및 지원에 대해서는 지 역규모가 중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법적 제도에 대한 정책에 대해서는 지역규모가 커질수록 여가 관련 법규 및 제도와 공휴일 및 휴가 의 법적 보장에 대해 더욱 중요하게 평가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역규모에 따라 여가정책 중요성 인식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밝히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했다. This study analyzes and identifies the effect of regional scale on the importance of leisure policy. This study reviews existing discussions on leisure policies that are currently being implemented and analyzes the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in 2022 to examine the effect of regional size on the importance of leisure policie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leisure policy area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was support for leisure conditions, and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the diversity of leisure facilities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policy area, as the size of the region grows, the importance of leisure policy is greatly recognized. Second, in the policy on leisure conditions, large citie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leisure facilities, leisure programs, and leisure professionals compared to towns and villages. This can be interpreted as expecting an increase in the role of the government even if the urban leisure conditions are excellent. Third,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size and policies for specific groups, in the case of leisure life support for the underprivileged, the importance was higher in large cities, and in the case of club development and support, regional size did not af fect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Lastly, regarding the policy on legal systems, the larger the regional scale, the stronger the importance of leisure-related laws and systems and the legal guarantee of public holidays and vacations. Various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se analysis results were presented herein.

      • KCI등재

        일과 여가균형 정도에 따른 남성 베이비부머의 여가시간, 여가생활만족 및 행복수준의 차이

        김종순(Kim, Jong-soon),오세숙(Oh, Sae-sook) 한국여가문화학회 2018 여가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일과 여가균형 정도에 따른 여가시간, 여가생활만족 및 행복수준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6 국민여가활동조사」를 원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조사기간 현재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일하는 남성 55년~63년생 베이비부머 2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과 여가의 균형은‘일에 더 집중하는 집단’, ‘일과 여가의 균형 집단’, ‘여가에 더 집중하는 집단’으로 나누었다. 일과 여가의 균형 각 집단에 따라 여가시간, 여가생활만족, 행복수준의 차이 결과는 여가시간 충분도와 자유도, 여가생활만족 및 행복수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일과 여가의 균형에 따라 남성베이비부머의 여가시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여가시간 충분도와 자유도는 차이가 있었다. 여가에 집중하는 남성 베이비부머들이 여가시간 충분도와 자유도를 가장 많이 느끼고 있었다. 둘째, 일과 여가의 균형에 따라 남성 베이비부머의 여가생활만족과 행복수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여가에 집중하는 남성 베이비부머들의 여가생활만족과 행복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남성 베이비부머의 일과 여가 균형감이 여가시간의 질적 요인과 행복수준에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n leisure time, leisure life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happiness of male baby boom generation based on their work and life balance. This study utilized 2016 National Leisure Activities Survey as an original source and took 213 male baby boomers residing in the metropolitan area born between 1955 and 1963. Their work and life balance was divided into 3 groups: Those who were wiling to concentrate on their works, those who were trying to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and those who were wiling to concentrate on their leisure.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leisure time adequacy, and the degree of leisure time freedom, leisure life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happiness by groups. First, it i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leisure time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leisure time adequacy and the degree of leisure time freedom of the male baby boomers. It could mean that those willing to concentrate on their leisure tended to feel stronger their leisure time adequacy and the degree of their leisure time freedom than the others did. Second,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leisure life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happiness, which could be interpreted that those willing to concentrate on their leisure showed the highest level of their leisure life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happines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life and leisure balance of male baby boomers could be an important determinant in their leisure time in quality and the degree of happiness.

      • KCI등재

        만성질환 노인의 활동 제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8기 자료를 활용하여

        황호성,최지현,김수경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1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8기 원시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2,701명의 정상 노인과 만성질환 노인의 활동 제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만성질환 노인이 정상 노인보다 활동 제한을 느낀다고 조사되었다. 뇌졸중, 고혈압 환자의 활동 제한 요인으로는 주관적 건강 상태, 경제 수준, 스트레스 인지 정도, 중강도의 일과 여가이다. 심장질환 환자의 활동 제한 요인으로는 주관적 건강 상태, 경제 수준이었 으며, 관절질환 환자의 활동 제한의 요인으로는 주관적 건강 상태, 고강도의 일과 여가이다. 폐 질환 환자의 활동 제한 요인으로는 교육 수준, 고강도의 일과 여가이며, 내분비계 환자의 활동 제한의 요인으로는 주관적 건강 상태, 스트레스 인지 정도, 고강도의 일과 여가이며, 암 환자의 활동 제한의 요인으로는 주관적 건강 상태, 스트레스 인지 정도, 중강도 의 일과 고강도의 여가이다. 만성질환 노인의 지속적인 활동 참여를 위한 재활프로그램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a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activity restriction of 2,701 normal elderly and chronically ill elderly aged 65 and over using raw data from the 8th period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felt more restricted in their activities than the normal elderly. Activity limiting factors in stroke and hypertension patients are subjective health status, economic level, stress perception, and moderate-intensity work and leisure. The factors limiting activity in patients with heart disease wer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economic level, and factors limiting activity in patients with joint disease wer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igh-intensity work and leisure. Activity limiting factors for lung disease patients are education level, high intensity work and leisure, and endocrine system activity limiting factors include subjective health status, stress perception, high intensity work and leisure, and activity limiting factors for cancer patients. is subjective health status, stress perception, moderate-intensity work and high-intensity leisure. Rehabilitation programs and policy support are needed for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 KCI등재

        장애인의 일-여가의 균형, 여가시간 및 비용 충분도, 행복 수준에 관한 연구

        장철승,조창빈 한국스포츠학회 2024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일-여가 균형 및 이에 따른 여가시간 및 비용 충분도, 행복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고 여가시간 및 비용 충분도가 행복 수준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22 국민여가활동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조사 표본으로 선정된 장애인 1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장애인의 39.7%가 일-여가의 균형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였고 38.4%는 여가에 더 집중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둘째, 일-여가 균형에 따라 여가시간 및 비용 충분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행복 수준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여가비용 충분도는 현재 행복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여가시간 충분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나지 않았다.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통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장애인의 일-여가 균형에 관한 심도 있고 다차원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장애인의 일-여가 균형을 통한 여가 활동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차원의 여가 활동 지원이 필요할 것이며, 무엇보다 정부 부처 간 긴밀한 협력 속에서 예산확보 및 여가비용지원 정책을 더욱 확대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work-leisure balance of disabled people and the resulting differences in leisure time, sufficiency of costs, and level of happines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leisure time and sufficiency of costs on the level of happiness. The research subject used raw data from the ‘2022 National Leisure Activities Survey’ and targeted 151 disabled people selected as a survey sample. Research results: First, 39.7% of disabled people recognized that work-leisure balance was achieved, and 38.4% were more focused on leisure.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isure time and cost sufficiency depending on work-leisure bala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appiness level. Third, leisure cost sufficienc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urrent happiness level, but leisure time sufficienc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main conclusions fro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depth, multidimensional research on the work-leisure balanc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s needed, and leisure activity support at various levels will be needed to encourage disabled people t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through work-leisure balance. Above all, close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ministries will be necessary. There is a need to further expand budget security and leisure cost support policies.

      • KCI등재

        여가신체활동 참여자들의 안전의식과 건강행동 차이분석

        신외선,김영재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1

        사람들은 삶의 질은 높이기 위해 여가활동에 참여하지만 최근 코로나로 인해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안전 의식이 중요하게 되었으며, 건강행동이 다시 한 번 수면위로 나오면서 모든사람들에게 중요하게 작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여가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대상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참여특성에 따라 안전의식과 건강행동에 차이를 규명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7기 2017년 자료를 활용하여 3,750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안전의식은 남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기혼 그룹에서 건강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신체활동 량은 고신체활동량 그룹에서 안전의식과 건강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건강행동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건강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유무에서는 미혼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여가신체활동량에서는 중신 체활동량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여가활동 참여자의 안전의식과 건강행동 증진을 위해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People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but recently COVID-19 has made it important for people to be safe, and health activities are once again on the surface, which is important for everyone.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subjects who participate in leisure physical activities as a population and tri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safety consciousness and health behavior depending on their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To this end, 3,750 people were analyzed using data from 2017 of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As a result, the first gender-specific safety awareness was found to be high in men, and health behaviors were high in married groups. In addition, the amount of leisure physical activity was found to have high safety awareness and health behaviors in the group of high-body activity. Second, men showed higher health behaviors than women in gender-based health behaviors, and unmarried groups were higher in marital status. The amount of leisure physical activity was high in the heavy physical activity group.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promote the safety awareness and health behaviors of leisure particip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