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첨단전략기술의 지정․관리 및 보호조치에 관한 고찰 - 국가첨단전략산업법과 산업기술보호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조용순 한국지식재산학회 2022 産業財産權 Vol.- No.71

        This paper examines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strategic technologies in the National Advanced Strategic Industry Act(NASIA) compared to the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ct(ITPA). It is concerned that the technology to be protected, the definition of the technology, and the requirements for designation were compared and reviewed as to whether the strategic technology is a concept included in the national core technology. Regarding the designation of strategic technologies, the designation procedure was compared with the ITPA. In addition, companies with strategic technology are directly regulated in the case of exports, overseas M&A, and criminal punishment. Therefore, like the designation of national core technologies under the ITPA, ‘necessary․minimum scope’ is likely to be necessary for NASIA, and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strategic technologies separately from protection targets and foster targets in consideration of the aspect of strategic industry development. see. Regarding the export of technology and overseas M&A, as in the ITPA, it is necessary to relax regulations by dividing them into ‘approval’ into cases where ‘national R&D expenses are supported’ and ‘reporting’ in other cases. And it is necessary to list the non-compliance with the order of the MOTIE as a type of infringement. Regarding the protection measures for strategic technologies, it seems possible to apply the ITPA to the problem that there is no fine for negligence. Regarding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designation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provision of immigration information for professional manpower, there are issues of freedom of choice of profession and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under the Constitution. 본 논문은 국가첨단전략산업법에서의 전략기술의 지정 및 관리와 관련하여 산업기술보호법과 비교하여 고찰한 것이다. 보호대상 기술과 관련하여서 전략기술이 국가핵심기술에 포함되는 개념인지에 대하여 기술의 정의 및 지정요건을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전략기술의 지정과 관련하여서는 지정절차를 산업기술보호법과 비교하였다. 또한 전략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 등은 수출, 해외 인수․합병, 형사처벌 등의 경우 직접적으로 규제를 받는다. 따라서 산업기술보호법상의 국가핵심기술의 지정과 같이 이 법에서도‘필요․최소한의 범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전략산업의 육성의 측면도 고려하여 전략기술을 보호대상과 육성대상을 구분하여 지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술의 수출 및 해외 인수․합병 등과 관련하여서는 산업기술보호법과 같이 ‘국가연구개발비가 지원된 경우’에는 ‘승인’, 그 이외에는 ‘신고’라는 형식으로 이원화 하여 규제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명령불이행이 침해행위 유형으로 열거될 필요가 있다. 전략기술의 보호조치와 관련하여서는 과태료 규정이 없다는 문제점에 대하여 산업기술보호법의 적용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인력 지정, 전문인력의 출입국 정보 제공과 관련된 규정과 관련하여서는 헌법상 직업선택의 자유,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유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산업기술보호법』상 산업기술 범위의 재정립

        송동수,최영우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東亞法學 Vol.- No.95

        As technology advances and accelerates its advancement, industrial technologies become more recognized as an important assets of a nation for both economy and national security. Nowadays, obtaining industrial technologies has direct impact on nation power. As a result, nations put a lot of efforts to acquire industrial technologies, at times, aggressively. Countries have been attempting to, or been victims of, technology leakage through illegal means. And Republic of Korea was not an exception. In 2006, in order to protect industrial technologies from the leakage and exploitation, the ‘Act on Prevention of Divulgence and Protec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was enacted. The law seeks to protect industrial technology from the illegal activities by punishing offenders of such crimes, putting regulations on exports, company acquisition and merges, and providing financial support for technology protection. The Industrial Technologies, that are eligible to be protected by the Act on Prevention of Divulgence and Protec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are listed in the law. However several problems could be found regarding the scope of industrial technology. For example, technologies that has no legal effects since 5 years ago is still on the list of industrial technology, even though there was a major change to national core technology, the law has not been amended and etc. This means that detailed management has not been carried out. To achieve the goal of the ‘Act on Prevention of Divulgence and Protec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the first step would be establishing the scope of legal term ‘industrial technology’ properly. Therefore, in order to protect the interests of the nation, problems arising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scope of industrial technology shall be prioritized. The paper analyzes each industrial technology listed in the law and propose reformations that should be done in order to eliminate issues present in the current system. Such as broadening scope of industrial technology for certain articles and giving the Minister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the obligation to regularly check the scope of industrial technology.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고도화됨에 따라서 산업기술은 국가의 경제와 안보에 중요한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오늘날 산업기술의 확보는 곧 국가의 경쟁력이 되기 때문에 각 국가는 이를 위하여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때로는 산업기술의 불법 유출 등과 같이 공격적인 방법을 통한 기술의 탈취도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의 탈취와 유출로부터 산업기술을 보호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는 2006년 「산업기술보호법」을 제정하였다. 「산업기술보호법」은 산업기술 유출자를 처벌하고, 국가의 경제와 안보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산업기술에 대해 수출 및 해외 인수․합병을 제한하는 등 엄격한 규제에 관한 내용뿐만 아니라 기술의 보호를 위한 금전적 지원 등과 같은 다양한 보호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산업기술보호법」에서는 이러한 규제와 보호의 대상이 되는 산업기술의 범위를 열거형식을 통해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위헌적인 요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개정된 산업기술의 범위는 오히려 산업기술의 보호 대상을 축소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본 논문은 「산업기술보호법」에 열거된 산업기술을 분석하고 관련된 문제를 파악한 후,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산업기술의 범위를 규범의 특징에 따라 이원화시키고, 산업기술 범위의 타당성을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정기적으로 검토하도록 하는 등과 같은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기술유출 방지를 위한 비밀특허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한 고찰 — 일본 경제안전보장추진법 및 기타 주요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조용순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법학논총 Vol.39 No.3

        Only ‘inventions necessary for national defense’ are subject to secret patents in Korea. However, as major countries prohibit the disclosure of technologies that threaten national security, the scope is broader than that of Korea. In particular, Japan re-introduced the secret patent system by enacting the Economic Security Promotion Act in May 2022, expanding the scope to specific important technologies. In the case of Korea, it is necessary to target the scope of national core technologies and strategic technologies such as semiconductors, biotechnology, secondary batteries, and displays. Al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method of classifying technologies invested in national R&D budgets as objects of confidential patents in the first place among technologies corresponding to national security. The designation and cancellation of secret patents should be reviewed at least once a yea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operate flexibly in conjunction with those who frequently designate and release national core and strategic technologies. In order to guarantee the effectiveness of the secret patent system,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principle of first country application to the KIPO. For this to be effectiv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enalty provision. In addi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procedure for the designation of a secret patent and to check in advance whether the patent is subject to a secret patent,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 dedicated organization or unify the confirmation window in the KIPO to inquire whether the patent is subject to a secret patent or not. When the secret patent system is introduced,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an institution that will prepare a compensation system, evaluate the reasonable compensation amount, and calculate the compensation amount accordingly. In add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prepare standards for information leakages prevention measures such as confidentiality for applicants and related businesses, prepare penalties for securing their effectiveness, distribute manuals for security management, and support education. 우리나라는 ‘국방상 필요한 발명’에 한하여 비밀특허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주요국은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는 기술의 공개를 금지하고 있어 우리나라보다 그 대상이 넓다. 특히 일본은 2022년 5월 경제안전보장추진법의 제정으로 비밀특허제도를 재도입 하면서 그 대상을 ‘특정중요기술’로 확대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반도체, 바이오,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등 국가핵심기술 및 전략기술의 범위까지 그 대상이 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국가안보에 해당하는 기술 중에서도 국가연구개발 예산이 투입된 기술의 경우 우선적으로 비밀특허의 대상으로 분류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비밀특허의 지정 및 해제에 있어서는 연 1회 이상 검토하되 국가핵심기술, 전략기술의 지정・해제가 수시로 이루어지는 바 이들과 연동하여 탄력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 비밀특허제도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리나라 특허청에 먼저 출원하도록 하는 제1국 출원주의를 도입할 필요가 있고, 이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벌칙규정을 둘 필요가 있다. 그리고 비밀특허의 지정절차의 원활화 및 비밀특허 대상인지 사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특허청에서 비밀특허의 대상인지 관련기관에 조회할 수 있는 전담조직의 신설 또는 확인창구의 일원화가 필요할 것이다. 비밀특허제도가 도입되는 경우 보상체계의 마련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할 것이며 합리적인 보상액 평가를 수행할 기관을 지정하고 이에 따른 보상규모 산정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출원인 및 관련 사업자 등에게 비밀유지 등 정보유출 방지조치의 기준 마련, 이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벌칙규정 마련, 보안관리를 위한 매뉴얼 배포, 교육지원 등도 필요할 것이다. 아울러 후출원자의 통상실시권, 비밀특허를 기초로 한 국내우선권등과 관련된 규정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국가첨단전략산업법상 전략기술의 유출·침해행위 및 형사처벌 규정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조용순 한국지식재산학회 2022 産業財産權 Vol.- No.72

        The National Advanced Strategic Industry Act(NASIA) has several problems with the leakage and infringement of strategic technology under Article 15 and the application of the penalty provisions of Article 50. For example, it is ambiguous in the meaning of related terms that may fall under the component, some of the types of infringement are omitted, and some of the penalty provisions are not stipulated. It violates the principle of legalism, the principle of clarity,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analogical interpretation, and the principle of adequacy, which are the derivative principles of criminal justice. Therefore, the NASIA needs to be revised as follows. First, the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ct(ITPA) should not be applied to the 'criminal punishment' provisions that are not in the NASIA by broadly interpreting the concept of 'protective measures' in Article 4, Paragraph 2 of the NASIA. Second, about the definition of the term, Article 15 of the NASIA uses the terms' target institution' and 'strategic technology hold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ify and use it as a 'strategic technology holder.' Third, non-compliance with the order of the Minister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is not listed as a type of infringement in Article 15 of the NASIA, so it is necessary to specify it. Fourth, concerning the duty of confidentiality, there is a problem in that each subparagraph of Article 34 of the ITPA must be compared with the NASIA, and the target must be selected and applied by analogy. Therefore, there should be a separate punishment and clear rules for those subject to the duty of confidentiality. Fifth, in the case of the penalty provisions,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stipulate the provisions for imprisonment and fines, confiscation and other collection, secret leakage, theft, attempted crimes, preliminary and conspiracy, and both punishments omitted in the NASIA. 국가첨단전략산업법은 제15조의 전략기술의 유출 및 침해행위와 제50조의 벌칙적용과 관련하여 구성요건에 해당될 수 있는 관련 용어의 의미가 모호하거나 침해행위 유형의 일부가 누락되거나 형벌규정의 일부가 규정되어 있지 않다. 이는 죄형법정주의의 파생원칙인 법률주의, 명확성의 원칙, 유추해석 금지의 원칙, 적정성의 원칙에 위배된다. 이에 국가첨단전략산업법은 다음과 같은 개정이 필요하다. 첫째, 다른 법률과의 관계와 관련한 제4조 제2항의 ‘보호조치’의 개념을 확대해석하여 국가첨단전략산업법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형사처벌’ 관련 규정에 대하여 산업기술보호법을 적용할 수 있는 근거로 해서는 안될 것이다. 둘째, 용어의 정의와 관련하여 국가첨단전략산업법 제15조에서 ‘대상기관’과 ‘전략기술보유자’를 혼용하고 있는데, 동법에서는 별도의 대상기관에 대한 정의가 없기 때문에 제12조 제1항에서 정의하고 있는 ‘전략기술보유자’로 통일하여 관련 규정에 사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명령불이행에 대해서는 국가첨단전략산업법 제15조에 침해행위유형으로 열거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를 명시할 필요가 있다. 넷째, 비밀유지의무와 관련하여서는 산업기술보호법 제34조 각 호를 국가첨단전략산업법과 비교하여 그 대상을 선별하여 유추적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수범자의 입장에서 그 대상이 되는지 파악하기 매우 어렵다. 따라서 비밀유지의무 대상자에 대한 명확한 규정과 함께 별도의 처벌규정을 두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다섯째, 벌칙규정의 경우 국가첨단전략산업법에 누락되어 있는 징역과 벌금에 대한 병과, 몰수·추징, 비밀누설 및 도용, 미수범, 예비·음모, 양벌규정을 별도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국가첨단전략산업법의 실효성에 관한 고찰: 국가첨단전략기술 보호 관점에서

        김소희,김학경,김민정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2022 한국산업보안연구 Vol.12 No.3

        In Korea, the 'Act on Special Measures for Reinforcement and Protection of National State-of-the Art Strategic Industry's Competitiveness' officially began to be enforced from August 2022. From the viewpoint of economic security, the brand-new Act adopted reinforced protection measures of national state-of-the art strategic technologies, such as immigration information notice and strengthen penalties for relevant offences. In this context, the paper tries to examines the Act's effectiveness, particularly by deriving the limitations of the Act's (reinforced) protection measures and further suggesting (corresponding) improvement measures. Specifically, the paper tries to review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not only the immigration information notice-related provisions but also offence provisions in the Act, especially based on qualitative interviews of police investigators in the field. Taking advantage of the improvement measures suggested, the paper finally would like to contribute to the protection of national cutting-edge strategic technologies (e.g., semi-conductors, secondary cells, etc) which are closely connected with Korean national economic security. 최근 전 세계는 자국의 첨단기술을 보호하기 위하여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세계적 수준의 첨단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 역시 강력한 보호 대책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국가첨단전략산업법상 강화된 보호조치가 마련되었다. 본법에는 기존 산업기술보호법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보호조치가 일부 도입되었으며, 처벌 수준도 한층 강화되었다. 새롭게 도입된 보호조치 중 일정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 기업이 전문인력의 출입국 기록을확인할 수 있도록 한 조항은 전문인력의 개인정보를 열람한다는 점에서 우려의 시선이 적지 않다. 또한, 처벌 규정 역시 꾸준히 강화되어 왔으나 실제 선고되는 형량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경찰청 산업기술유출 수사관들과의 인터뷰를 통해실무적인 관점에서 출입국 정보 제공 및 처벌 규정에 대한 실효성을 분석하고, 더 나아가 도출된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및 국가첨단전략산업법의 실효성 강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통해 국가첨단전략산업법이 국가 경제·안보와 직결된 첨단기술을 강력하게 보호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국가첨단전략산업 경쟁력 강화 및 보호에 관한 특별조치법 분석

        송유원(Yu-Won Song) 경희법학연구소 2022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Vol.15 No.1

        국가 간 첨단산업 기술 선점 노력이 치열해지고, 미국과 중국의 패권 분쟁이 EU, 대만등을 포함한 핵심 산업 공급망 전쟁으로 확대되며 국가ㆍ경제 안보의 미래가 불확실성위에 놓이게 되었다. 이에 정부는 첨단전략산업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 필요성을 인지했으나, 산업 전체를 아우르는「산업발전법」이외에는 주요 지원 정책을 강력히 추진할수 있는 개별법상 근거가 없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반도체 등 특정 산업을 지원하는 특별법을 추진하기로 결정하였으나, 논의 과정에서 특정 산업만을 별도로 지원하는 것은WTO, GATT 협정 등을 위반하여 통상 마찰을 불러올 우려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어‘공급망 변화에 대한 신속 유연한 대응이 필요한 산업 전반’을 지원하는 본 법률(약칭: 국가첨단전략산업법)이 제정되었다. 「국가첨단전략산업법」은 ‘국가첨단전략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기반을 구축하기 위한생태계를 조성하고, ‘국가첨단전략기술’이 외국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국가첨단전략산업’ 및 ‘국가첨단전략기술’의 경쟁력 강화를 체계적으로 실현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제정되었다. 더 나아가 궁극적으로는 ‘국가첨단전략산업’을 육성해 국가ㆍ경제 안보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국가첨단전략산업법」의 주요 목적 중에서 특히 기술 유출 방지를 강조하자는 의견이 산업통상자원부 법률안 검토 과정에서 제기되어 법률제명에 ‘보호’ 부분이 포함되기도 했다.…

      • KCI등재

        국가첨단전략산업 기술보호를 위한 전담조직 설립 필요성 연구

        최진주,김형수 미래융합통섭학회 2022 현대사회와 안전문화 Vol.5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가첨단전략산업법 재정에 따른 기술보호 강화를 위한 전담조직 설립 필요성에 대해 연구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방법(Qualitative research)으로 정성적 연구를 하였다. 특히 고찰방법 중 체계적 문헌고찰(Sysematic reviews) 방법을 적용하여 논문의 목적에 충실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국가첨단전략산업 기술보호를 전담할 수 있는 전담기관 지정 또는 설립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결론 신 경제안보시대에 국가 경쟁력 강화 및 국민 이익 증대를 위해 국가첨단전략산업 기술보호를 위한 전담기관 지정 및 설립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 KCI등재

        연구보안 사고사례분석을 통한 연구자 보안대책 설계방향 관찰연구

        김영권,장항배 아이씨티플랫폼학회 2022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Vol.10 No.4

        오늘날 기술이 국가 경쟁력과 직결되는 기술패권 경쟁의 흐름 속에서 연구개발 투자뿐만 아니라 연구개발에 대한 보안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연구개발 보안사고 발생이 가져오게 되는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연구산출물에 대한 유출사고는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개발 산출물에 대한 유출사고의 사례를 분석하여, 연구기관 중심의 거시적인 보안관리체계보다는 연구현장에 있는 연구자에 대한 규정 개발이 시급하다는 1 차적 결론을 도출하였고, 그 다음 현장 관찰방법론을 통해 연구자 중심의 보안대책 설계 방향을 크게 4 가지로 세분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자 보안대책 설계 방향은 향후 연구 현장에 특화된 규정 및 연구기관 보안 관리 체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