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영상 이미지의 시각적 구조와 몰입에 관한 연구

        강현옥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8 조형미디어학 Vol.11 No.3

        Changes in the cultural realm based on advancing scientific technology have greatly affected the way people perceive and experience time and space greatly. Especially in particular, various attempts at for artistic expression have been made to magnify peoples’ ability for perceptive ability on, and to enable actual experiences with the aid of digital technology. Artistic expressions have shown a tendency toward constant change through disintegration, divergence and fusion following the digitalization of media, and these expressions allow various interpretations depending upon who adopts them. Newly formed perceptions enables people to experience the reality of new media by modifying meaning of the existing multimedia images ' meaning, and can even change individual media users' the aesthetic experiences and attitudes of individual media users. Moreover, an interactive narrative method, the so‐called 'digital narrative' based on digital media, creates a continuing narrative, and enables the expression of diverse multimedia images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roduction of video images through digital media, and the absorption that enables actual experience due to the composition of reconstructed images' composition. We regard the following aspects as absorption based on the structure of video images' structure reproduction of video images, interpretation of images following the change in visual perception, and the intermediate function of time, that which is granted role of narrative by media. Then, we analyze these el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The core of visual experience is an actual object and a viewer. If we assume that an object's the significance of an object can be provided only through a viewer’s optimal experience, it indicates that the daily substantiality of a visual perception itself is meaningless. Actual visual optimal experience through media involves a space into time when’re the aforementioned two elements blend to create a visual experience. That is, the optimal experience is based on an open structure that erases the boundary between visual experience in terms of time and space, and the daily substantiality of visual perception, as the object and the viewer confront each other. Inducing a viewer’s absorption using structure of multimedia images' structure for its narrative is a way to communication based on an open structure for the encounter between media and image. 미디어의 디지털화에 의해서 예술적 표현은 해체와 분화, 또는 융합 등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해 가고, 이것을 수용하는 사람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해지는 양상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에 의한 예술 표현은 대상과의 연관 관계 파괴, 공간과 시간의 연결의 해체 등에 의한 이미지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현상이 더욱 두드러졌다. 인간이 사물을 볼 때 시각 경험의 중심은 실재의 대상과 그리고 그 대상을 바라보는 경험자 자신이다. 바라보는 대상의 의미가 단지 바라보는 사람의 경험에 의해서만 그 의미가 주어진다면 시각 경험 자체가 지니고 있는 일상적인 실재성이 아무런 의미가 없게 된다. 이것은 미디어에 의한 영상과 만남의 열린 구조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의미하고, 궁극적으로 영상 이미지 시각적 구조를 결정하게 되어 미디어 사용자의 몰입을 유도하게 된다. 미디어 사용자는 이러한 몰입의 과정을 거치면서 어떤 감정적 즐거움을 느끼게 되면서 실재 경험을 하게 된다.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의 영상 이미지 구조에 의한 실재 경험인식을 위한 몰입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의 몰입은 칙센트미하이의 ‘몰입’, ‘최적 경험’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수용자의 인지 변화에 따른 영상 이미지의 해석, 그리고 이야기 형태의 서사구조가 지니는 매개적 기능이 영상 이미지의 시각적 구조에 의하여 수용자의 몰입을 유도하는 측면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경험의 서사화와 시각화 방법을 적용한 화예작품 창작의 연구

        한유정,유택상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0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3 No.-

        This study is on the creation of floral art works based on the intuitive insight acquired by methodological process of ruminating the experienced meaningful events of the artists utilizing sensible peception. The researcher used the narration and visualization techniques. The narration process adopted the writing technique of subjective impression, emotion, stream of consciousness to capture sensations of subconscious state, which were applied in three steps of ‘the exploration of experiences’, ‘the concretion of experiences’, and ‘the creation of meaning out of experiences’. The visualization process adopted collection, selection, class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related images, which were applied in three methods of ‘the creation of images’, ‘the utilization of intuition’, and ‘the perception through remembering’. Finally 5 art works of ‘Hammock is Good’, ‘At the Rooftop with Warm Sunshine’, ‘Standing at the Waterside Alone’, ‘Dizziness at Hot Sand Field’, and ‘Having Good Time at a Botanical Garden’were crea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methods mentioned above and complementary research and writing. The meaningfulness of this research lies in presenting methodological approaches of utilizing narration and visualization of experiences in art creation process. 본 연구는 연구자 자신의 경험 가운데 의미 있게 느껴지는 사건의 순간을 감각적 지각을 통해 반추하는 방법적 과정을 통해 추출하고 파악함으로써 직관적 통찰을 행하고 그를 통해 화예 작품 창작을 시도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경험의 서사화와 시각화를 시도하였는데 경험의 서사화 단계에서는 무의식 상태의 느낌을 포착하는 수단으로서 감각적으로지각되는 느낌과 주관적 인상, 정서, 의식의 흐름을 기술하는 느낌의 글쓰기 방법을 ‘경험의 탐색’, ‘경험의 구체화’, ‘경험의 의미 생성’의 세 단계로 실행, 적용하였고, 경험의 시각화 단계에서는 이미지리서치를 통한이미지의 수집, 선택, 분류 및 해석을 가지고 ‘이미지 형성하기’, ‘직관활용하기’, ‘기억작용으로 지각하기’의 세 방법을 실행,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들 방법의 통합과 추가적인 보완 리서치 및 글쓰기를 통하여‘해먹은 좋다’, ‘햇볕이 따듯했던 옥상’, ‘홀로 물가에 서다’, ‘뜨거운 모래밭과 혼미함’, ‘멋진 식물원에서의 한때’의 5개 작품의 창작이 이루어졌다. 종합하면 경험의 서사화와 시각화 방법을 결합 후 적용하여 작품 창작 과정의 방법적 접근을 시도한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 KCI등재

        Visualization Design of Traditional Chinese Desserts for Post- 90s Consumers

        Xi Chen,이혜민,반영환,장완석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12

        The global market for traditional foods is a unique and challenging market. As the demand for goods and services from young consumers continues to grow, the customers continue to ignore traditional desserts. The visual design of a product enhances the communication of its product information, attracts the attention of the younger demographic, and improves the sluggish market situation. This study uses visualization theory to analyze narrative thematic design, promote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and integrate interactive technologies to enhance the experience of traditional desserts in the marketplace. The innovation of the narrative-design is reflected in the content and data of the study, which was conducted using a mixed methods. The process was undertaken via a mobile application with a questionnaire for post-90s participants to evaluate the satisfaction of the service interface. A sample of 171 questionnaires was then tested through SPSS software and the data generated was analyze quantitatively, along with policy recommendations from interviews with experts. The study results show narrative design approach can enhance the user's experience of interacting with each element, and the above feedback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future visualization design. This study provides a framework for visual design to inform the narrative theme and help provide a sustainable service model for the traditional-industry in different regions.

      • KCI등재

        소비경험의 만족 / 불만족이 내러티브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 제품소비의 시각화와 자아조절동기를 중심으로

        조용석 한국광고PR실학회 2017 광고PR실학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기존 제품에 대한 선행 구매의 결과 즉 , 만족 /불만족이라는 감정 경험이 광고의 제품시각화라는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 그리고 내러티브 메시지가 소비자의 태도에 변화를 줄 수 있는지 여부를 실증을 통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 소비경험의 만족 /불만족 여부와 관계없이 내러티브 광고의 효과가 광고태도 , 브랜드태도 모두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 주장형식 광고에 비해 내러티브 광고의 설득효과가 매우 높음이 확인되었으며 , 특히 부정적 경험을 가진 소비자들은 예상기반에서 소비시각화를 하기 때문에 이들에게 좋은 경험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광고 메시지를 내러티브 형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 또한 조절초점에 따라 메시지전략의 변화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예방동기 성향 소비자의 경우 , 기억기반 시각화를 유도해야 하며 , 이를 위해 만족경험의 요인을 찾아 기존의 지식을 더욱 강화하는 전략이 유효함을 밝혔다 . 반면에 향상동기 성향 소비자의 경우 , 예상기반 시각화를 유도하는 메시지전략이 필요하며 , 이를 위해 새로운 기능을 상상하고 기대감을 가질 수 있도록 감성적 표현의 크리에이티브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특히 불만의 정도가 높은 소비자에게는 회피행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하며 , 인지욕 구가 강한 속성을 감안하여 다양한 프로모션의 활동 등을 통해 소비자가 스스로 참여할수 있도록 유도하는 전략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 향후 피험자들이 충분한 시각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험방법에 대한 보완의 필요성도 제기하였다 . The current study tried to examine how satisfaction/dissatisfaction could influence on the process of visualization of product advertised, and whether narrative advertising messages could impact the attitude changes. The result shows significant effect of narrative messages in attitude toward the ad and brand. Especially, for consumers with negative experiences, narrative advertising was more effective since they visualize their consumption with expectation-based status. Additionally, the study confirms that message strategy should be built with considering regulatory focus. For consumers with preventionbased motivations, memory-based visualization is needed. Thus, it is necessary to execute the strategy to reinforce the existing knowledge with finding the factors of satisfaction experiences. On the flip side, for consumers with promotion-based motivation, expectation-based visualization message strategy is necessary. Accordingly, emotional appealing creativity to imagine new functions and to have expectation is required. Especially, for consumers with high dissatisfaction, it is needed not to evoke avoidance behavior. Various promotion activities are recommended with considering their higher needs for cognition. The conclusion part suggests that following studies need to complement the experiment method in order to have enough level of visualization.

      • KCI등재

        시각장애거점지원센터 교사의 교육지원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충청북도 시각장애거점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동일(Dong-il Han)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1 시각장애연구 Vol.37 No.1

        연구목적: 이 연구는 시각장애거점지원센터에서 교육지원을 담당한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지원 수행 및 운영에 대한 경험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시각장애거점지원센터에 소속된 담당교사 1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경험을 수집하여 분석하려고 내러티브 탐구 방법이 활용되었다. 2020년 2월 업무를 부여받은 시기부터 2020년 12월 교육청에 실적 보고가 이루어진 시기로 한정하여 총 네 차례 심층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각장애거점지원센터 담당교사가 교육지원 수행 과정에서 형성된 경험은 새로운 도전, 진정한 통합 교육, 걱정과 기대 그리고 보람, 어려움으로 나타났고, 교육지원 운영에서 형성된 경험은 막연함, 소속감, 성장 가능성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주제를 바탕으로 시각장애거점지원센터 전반에 걸친 경험과 문제점 및 그에 따른 대안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결론: 시각장애거점지원센터의 기능과 역할을 확대하여 실질적인 통합교육 실현에 기여하도록 담당교사 전문성 향상과 역량 강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Purpose: The study was designed and performed to have a closer look into a teacher’s experience concerning de facto educational supports and operational matters while working for the regional support center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Method: A narrative inquiry was performed with the teacher to collect and analyze various facts and experiences at the regional support center. The teacher had gone through four in-depth interviews concerning her experience in the period from Feb. 2020 to Dec. 2020 when the official letters of designation were issued and performance report was handed in later in the year. Results: The teacher turned to such things as challenge, genuine sense of inclusive education, worries, expectations, achievements, and difficulties as experience while doing educational support, and also mentioned helplessness, sense of belonging, and growth potential as experience in institutional operation of the regional support center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Her overall experience and exposed problems were addressed along with plausible solutions and suggestion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further enhance expertise and competence of teachers who are supposed to do tasks in the regional support center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so that it can expand its function and roles to make much needed contribution to inclusiv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