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헌종비(憲宗妃) 효정왕후(孝定王后)의 국혼(國婚)과 남양(南陽) 홍씨(洪氏)의 역할

        임혜련 ( Lim Hye-ryun ) 수선사학회 2017 史林 Vol.0 No.62

        Queen Hyojeong was the 24th king Heonjong's wife of Choson dynasty. Three of the queens of the 19th century were from Andong Kim's family. They were the Sunjo's Queen Sunwon, Heonjong's first wife Queen Hyohyun and Chuljong's wife Queen Chulin. However, Queen Hyohyeon was not Andong Kim's family among the four queens from Sunjo to Chuljong. This was a very unusual case at the time. Queen Hyojeong was the daughter of Hong Jae Ryong, Namyang Hong's family. The characteristic of the royal marriage of Queen Hyojung was that Queen Hyohyun died and was taken without holding three-year mourning. The reason was Heonjong without having a son. The choice of Queen Hyojung as the queen was the great queen dowager Sunwon. It was very important to hold or keeps power that any pedigree becomes relatives on the mother's side in 19th century. The family of Queen Hyojung did not have much strong power. There were not many members of the family, and no one was in high ranking position. Nevertheless, It was able to royal marriage because having weak power was not a threat to Andong Kim's family. After that, chosen the Queen of chuljong again from Andong Kim's family, and provided a justification for the selection of a spouse for the royal family.

      • KCI등재

        문중문화의 박물관 전시와 스토리텔링 기법

        한기범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2 No.-

        Family name culture is the base for the clan culture in Korea and the repository of the yangban life culture in Korea. Noblesse oblige clan story i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 of the welfare and individualism in our society as it shows the issue of sharing and caring.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review the storytelling method and the exhibition of clan culture in the museum as a method to share the ideas. In Chapter 2, the clan culture and storytelling and he connectivity of the two are described. In Chapter 3, the story and the delivery methods are outlined. In the story of the family name story, Daejeon Buri Part, Hong Ho-yeon Story of Namyang Hong. Segye Hwangssi Contests are introduced. In the Noblesse Oblige clan storying, Hoedeok Hwang family's Mireukwon voluntary activities that have been continued over the 100 years in three generation to help homeless people food from 1332 and Kyeongju Choi Rich Choi family story who help poor people in 12 generations under the cause that there should be no one who die of hunger around 100 ri from their home were described under the theme of the Sharing and Caring. In addiction, Yoon Joroo's Monhwa Yoo story is introduced who gave people rice by filling his rice storage. However, the stories are described by taking advantage of KHS root broadcasting in which my voice is recorded for Hong Ho-yeon story who was the refugee during the Japan's invasion of Korea and video record of Mireukwon story that was introduced to public in the Daejeon Root Culture Festival through the play in 2012 in addition to the one-dimensional exhibition. In addition, the family registry information of the relevant figures and pictures and other additional materials were fully used and many models were produc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ublic in addition, the picture of the Hong Ho-yeon who is holding he brush and the engraving showing the Chinese letter "patience" are provided to the public for the stamp. in addition, the phrase of Mireukwon Namruki of Lee Saek and Family motto of Kyeongju Choi is displayed which the visitors can read loudly as a method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visitors in the exhibition. In Chapter 4, tasks generated by the clan culture exhibition in the museum and the storytelling method is reviewed. First, the family name story to bring up a sense of root consciousness and noblesse oblige family story for the volunteer activities were explored. Second, aggressive collection and production of the additional data for the reservation of the remains in the clan culture. third, the production of the media materials for clan culture which include broadcasting interview, theater, movie, musical, etc. Fourth, high technology method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use in the museum. Last, establishing the museum that specifies clan culture for the spread of the clan culture. Clan culture is drawn attention these days to resolve the tasks in the current period and there 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ongoing exhibition. 한국의 성씨문화는 문중문화의 모체이고, 문중문화는 전통생활문화의 보고(寶庫)이다. 뿌리의식을 일깨우는 성씨문화와 ‘나눔과 배려’를 보여주는 노블레스오블리주 문중 이야기는 우리가 당면한 개인주의와 복지문제의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문중문화의 박물관 전시와 스토리텔링 기법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우리의 문중문화는 다양한 스토리를 지니고 있으며, 그것은 스토리텔링의 방법을 활용하면 박물관 전시의 좋은 소재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하여 박물관 전시 소재로서 성씨이야기로는 ‘뿌리의식’을 주제로 한 대전뿌리공원과 효문화뿌리축제의 이야기, 전쟁 포로 남양홍씨 홍호연 이야기, 14개국 황씨들의 모임인 세계황씨대회를 각각 소개하였다. 그리고 노블레스오블리주 문중 이야기로는 ‘나눔과 배려’를 주제로 하여 1332년부터 지나는 길손에게 겨울마다 무료로 숙식 제공하기를 3대 100년이나 계속한 회덕황씨가의 미륵원 봉사와, 17세기 초엽부터 자기집의 사방 100리에 굶어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는 가훈으로 12대 동안이나 빈민 구제에 힘썼던 경주최씨 최부잣집 이야기, 그리고 자신의 집에다가 쌀독을 만들어 두고 어려운 사람들이 누구나 쌀을 가져갈 수 있도록 배려한 운조루의 문화유씨 이야기를 각각 소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이야기들에 대한 박물관 전시기법으로는 평면적인 전시 외에 다음의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필자가 지난 2012년에 대전 뿌리문화축제에서 연극을 통하여 대중에게 선 보였던 <미륵원 이야기>의 녹화 영상, 임진왜란의 포로 소년 홍호연이야기에 대한 필자의 육성 방송을 담은 KHS 뿌리방송의 녹화 영상, 그리고 경주 최부자집 후손의 인터뷰가 담긴 방송 자료 등 영상매체를 동원하는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관련 인물들의 족보 자료와 그림 및 사진자료 등 보조 자료들을 적극 활용하고, 디오라마를 활용한 현장감 있는 여러 모형물의 제작과 표출을 통해서 관람자의 이해를 적극적으로 이끄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붓을 든 포로소년 홍호연의 모습과 또 포로생활에서의 그의 깨우침을 집약한 참을 ‘인(忍)’자를 각각 판화와 도장으로 새겨서 관람자가 그것을 스템프로 찍어가게 하고, 또 목은 이색의 <미륵원 남루기>의 경구나, 경주최씨의 가훈을 전시하여 함께 읽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하여 화자와 관람자가 하나 되는 소통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한편 문중문화의 박물관 전시에 요청되는 과제는 대개 다음과 같다. 첫째는 뿌리의식을 일깨우는 성씨 이야기와 대를 이어 사회적 봉사를 해 온 노블레스 오블리주 문중 이야기의 적극적인 발굴이다. 둘째는 관련 유물의 확보와 복제 유물 등 보조 자료의 적극적인 수집과 제작이다. 셋째는 이러한 문중문화를 영상매체화 하여 전시하는 작업이다. 여기에는 전시 자료에 대한 방송인터뷰, 연극화, 영화화, 뮤지컬화한 영상물의 제작 등이 있을 수 있다. 넷째는 이러한 방법들을 박물관전시에서 입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첨단적 도구를 갖추고 기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문중문화를 집중적으로 연구 전시하고 보급하는 전문적인 연구기관 및 전시 박물관의 건립이다. 문중문화가 시대적 과제에 대한 해결 방안의 하나로 주목되고 있고, 따라서 그 상설 전시의 필요성이 요청되 ...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사학(史學) : 문중문화의 박물관 전시와 스토리텔링 기법

        한기범 ( Ki Bum H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2 No.-

        한국의 성씨문화는 문중문화의 모체이고, 문중문화는 전통생활문화의 보고(寶庫)이다. 뿌리의식을 일깨우는 성씨문화와 ‘나눔과 배려’를 보여주는 노블레스오블리주 문중 이야기는 우리가 당면한 개인주의와 복지문제의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문중문화의 박물관 전시와 스토리텔링 기법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우리의 문중문화는 다양한 스토리를 지니고 있으며, 그것은 스토리텔링의 방법을 활용하면 박물관 전시의 좋은 소재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하여 박물관 전시 소재로서 성씨이야기로는 ‘뿌리의식’을 주제로 한 대전뿌리공원과 효문화뿌리축제의 이야기, 전쟁 포로 남양홍씨 홍호연 이야기, 14개국 황씨들의 모임인 세계황씨대회를 각각 소개하였다. 그리고 노블레스오블리주 문중 이야기로는 ‘나눔과 배려’를 주제로 하여 1332년부터 지나는 길손에게 겨울마다 무료로 숙식 제공하기를 3대 100년이나 계속한 회덕황씨가의 미륵원 봉사와, 17세기 초엽부터 자기집의 사방 100리에 굶어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는 가훈으로 12대 동안이나 빈민 구제에 힘썼던 경주최씨 최부잣집 이야기, 그리고 자신의 집에다가 쌀독을 만들어 두고 어려운 사람들이 누구나 쌀을 가져갈 수 있도록 배려한 운조루의 문화유씨 이야기를 각각 소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이야기들에 대한 박물관 전시기법으로는 평면적인 전시 외에 다음의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필자가 지난 2012년에 대전 뿌리문화축제에서 연극을 통하여 대중에게 선 보였던 <미륵원 이야기>의 녹화 영상, 임진왜란의 포로 소년 홍호연이야기에 대한 필자의 육성 방송을 담은 KHS 뿌리방송의 녹화 영상, 그리고 경주 최부자집 후손의 인터뷰가 담긴 방송 자료 등 영상매체를 동원하는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관련 인물들의 족보 자료와 그림 및 사진자료 등 보조 자료들을 적극 활용하고, 디오라마를 활용한 현장감 있는 여러 모형물의 제작과 표출을 통해서 관람자의 이해를 적극적으로 이끄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붓을 든 포로소년 홍호연의 모습과 또 포로생활에서의 그의 깨우침을 집약한 참을 ‘인(忍)’자를 각각 판화와 도장으로 새겨서 관람자가 그것을 스템프로 찍어가게 하고, 또 목은 이색의 <미륵원 남루기>의 경구나, 경주최씨의 가훈을 전시하여 함께 읽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하여 화자와 관람자가 하나 되는 소통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한편 문중문화의 박물관 전시에 요청되는 과제는 대개 다음과 같다. 첫째는 뿌리의식을 일깨우는 성씨 이야기와 대를 이어 사회적 봉사를 해 온 노블레스 오블리주 문중 이야기의 적극적인 발굴이다. 둘째는 관련 유물의 확보와 복제 유물 등 보조 자료의 적극적인 수집과 제작이다. 셋째는 이러한 문중문화를 영상매체화 하여 전시하는 작업이다. 여기에는 전시 자료에 대한 방송인터뷰, 연극화, 영화화, 뮤지컬화한 영상물의 제작 등이 있을 수 있다. 넷째는 이러한 방법들을 박물관전시에서 입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첨단적 도구를 갖추고 기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문중문화를 집중적으로 연구 전시하고 보급하는 전문적인 연구기관 및 전시 박물관의 건립이다. 문중문화가 시대적 과제에 대한 해결 방안의 하나로 주목되고 있고, 따라서 그 상설 전시의 필요성이 요청되기 때문이다. Family name culture is the base for the clan culture in Korea and the repository of the yangban life culture in Korea. Noblesse oblige clan story i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 of the welfare and individualism in our society as it shows the issue of sharing and caring.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review the storytelling method and the exhibition of clan culture in the museum as a method to share the ideas. In Chapter 2, the clan culture and storytelling and he connectivity of the two are described. In Chapter 3, the story and the delivery methods are outlined. In the story of the family name story, Daejeon Buri Part, Hong Ho-yeon Story of Namyang Hong. Segye Hwangssi Contests are introduced. In the Noblesse Oblige clan storying, Hoedeok Hwang family``s Mireukwon voluntary activities that have been continued over the 100 years in three generation to help homeless people food from 1332 and Kyeongju Choi Rich Choi family story who help poor people in 12 generations under the cause that there should be no one who die of hunger around 100 ri from their home were described under the theme of the Sharing and Caring. In addiction, Yoon Joroo``s Monhwa Yoo story is introduced who gave people rice by filling his rice storage. However, the stories are described by taking advantage of KHS root broadcasting in which my voice is recorded for Hong Ho-yeon story who was the refugee during the Japan``s invasion of Korea and video record of Mireukwon story that was introduced to public in the Daejeon Root Culture Festival through the play in 2012 in addition to the one-dimensional exhibition. In addition, the family registry information of the relevant figures and pictures and other additional materials were fully used and many models were produc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ublic in addition, the picture of the Hong Ho-yeon who is holding he brush and the engraving showing the Chinese letter "patience" are provided to the public for the stamp. in addition, the phrase of Mireukwon Namruki of Lee Saek and Family motto of Kyeongju Choi is displayed which the visitors can read loudly as a method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visitors in the exhibition. In Chapter 4, tasks generated by the clan culture exhibition in the museum and the storytelling method is reviewed. First, the family name story to bring up a sense of root consciousness and noblesse oblige family story for the volunteer activities were explored. Second, aggressive collection and production of the additional data for the reservation of the remains in the clan culture. third, the production of the media materials for clan culture which include broadcasting interview, theater, movie, musical, etc. Fourth, high technology method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use in the museum. Last, establishing the museum that specifies clan culture for the spread of the clan culture. Clan culture is drawn attention these days to resolve the tasks in the current period and there 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ongoing exhibition.

      • 조선전기 洪任의 관직 활동

        임선빈 ( Yim Seonbin ) 한국계보연구회 2023 한국계보연구 Vol.13 No.0

        본고는 15세기 중엽부터 16세기 초기까지 관료로 활동한 홍임에 대해 가계와 초기 사환, 성종대 목민관으로서의 활동, 연산군·중종대 정치 격변기의 관직 생활에 대해 살펴보았다. 홍임의 선대는 고려 중·후기에 고위직 관료로 많은 활약을 했으나, 고려말에는 쇠락하였고, 조선 초기의 인물인 홍임의 할아버지와 아버지는 사적(史籍)에서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음관으로 벼슬길에 나아간 홍임은 뛰어난 무재(武才)와 이재(吏才)를 지니고 있었으며, 성종대에 서반직과 목민관으로 활약하면서 서서히 조선왕조의 새로운 관료군에 편입되어 갔다. 특히 아버지의 사환을 배경으로 문과에 급제한 아들 홍경주가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일등공신으로 책훈되자, 이후 홍임은 공신의 아버지로서 음직 가자(蔭職加資)까지 더하게 되었고, 재상급 관료로 중앙조정의 정책논의에도 참여하면서 정치 관료로서의 역할도 수행했다. 이와 같은 홍임의 관직 진출과 활동은 남양홍씨 가문의 이해는 물론, 홍임-홍경주 부자의 관력(官歷)을 통해 여말선초에 한때 쇠락했던 가문이 득세하는 과정을 볼 수 있으며, 조선왕조 관료제 사회의 일면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This article examines about Hong Im, who served as a bureaucrat from the mid-15th century to the early 16th century, in the field of his family tree, his early governmental job, his activities as a Mokmin-gwan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and his life as a public servant during political upheaval in Yeonsan-gun and Joongjong periods. Hong Im’s predecessors played a lot of political roles as a high office during the middle and late Goryeo Dynasty, but their prestige collapsed with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Hong Im’s father and grandfather, who were figures of early Joseon Dynasty, were not found in any historical records. Hong Im held a government post by benefiting from ancestors’ virtue system(Um-suh system). He had outstanding abilities both in martial arts and governing people, so he gradually incorporated himself into the new bureaucracy of the Joseon Dynasty while he worked as Surban-jik and Mokmin-gwan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In particular, when his son Hong Kyung-ju, who had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the background of his father’s governmental post, was awarded as Prime Jooonggook Gongshin for participating in the Joongjong Rebellion, Hong Im, as a father, was elevated to higher position in public office in a way called Umjik-Gajah. As a result, he held a role high as a prime minister and participated in policy discussions on central coordination. Hong Im’s activities as bureaucrat can help understanding not only in the way of studying the Namyang Hong Family, but also in the way of how once-decreased family in early Joseon can regain its power back by using Hong Im and Hong Kyung-jus’ governmental power. Furthermore, it helps in understanding the aspects of Joseon Dynasty’s bureaucratic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