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뉴스와 소셜 데이터를 활용한 텍스트 기반 가짜 뉴스 탐지 방법론

        현윤진(Yoonjin Hyun),김남규(Namgyu Kim) 한국전자거래학회 2018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3 No.4

        최근 가짜 뉴스가 분야를 막론하고 전 세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현대경제연구원에서는 이러한 가짜 뉴스로 인한 피해 규모가 연간 약 30조 9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하였다. 정부에서는 “가짜 뉴스 찾기”를 주제로 “인공지능 R&D 챌린지” 대회를 개최하여 가짜 뉴스를 가려낼 인공지능 원천기술 개발에 대한 첫 걸음을 내딛고 있으며, 민간 차원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팩트 체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학계에서도 가짜 뉴스를 탐지하기 위한 시도가 전문가 기반, 집단지성 기반, 인공지능 기반, 시맨틱 기반 등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조작의 정밀도가 높을수록 뉴스 자체에 대한 분석만으로 진위 여부를 식별하기가 더욱 어렵다는 한계를 경험하고 있으며, 가짜 뉴스 탐지 모델의 정확도가 과평가된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짜 뉴스 탐지 모델 정확도의 공정성을 확보하고, 뉴스의 내용뿐만 아니라 해당 뉴스에 대한 반응으로 자연적으로 발생한 광범위한 소셜데이터를 활용하여 뉴스의 진위 여부를 판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Recently, fake news has attracted worldwide attentions regardless of the fields. The Hyundai Research Institute estimated that the amount of fake news damage reached about 30.9 trillion won per year. The government is making efforts to develop artificial intelligence source technology to detect fake news such as holding “artificial intelligence R&D challenge” competition on the title of “searching for fake news.” Fact checking services are also being provided in various private sector fields. Nevertheless, in academic fields, there are also many attempts have been conducted in detecting the fake news. Typically, there are different attempts in detecting fake news such as expert-based,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nd semantic-based. However, the more accurate the fake news manipulation is, the more difficult it is to identify the authenticity of the news by analyzing the news itself. Furthermore, the accuracy of most fake news detection models tends to be overestima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first propose a method to secure the fairness of false news detection model accuracy. Secondly, we propose a method to identify the authenticity of the news using the social data broadly generated by the reaction to the news as well as the contents of the news.

      • KCI등재

        인터넷 미디어의 ‘미국ㆍ이라크’ 전쟁 보도 경향과 담론구조

        백선기(Seon-Gi Baek)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3 No.-

        본 연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인터넷 미디어인 〈오마이뉴스〉가 미국과 이라크 정쟁에 대해 어떠한 보도경향들을 보이고 있으며, 그러한 보도경향들을 지탱하고 있는 서사구조나 담론구조들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서서구조나 담론구조가 이번 사안을 어떠한 방향으로 의미짓고 있으며, 이러한 의미가 우리사회에서 함축하고 있는 바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2003년 3월 20일분터 12월 19일까지의 9개월간의 〈오마이뉴스〉의 기사들을 추출하였으며, 이들을 4가지 국면들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으로는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특히 D. Bell의 ‘뉴스 텍스트의 담론구조 모델’을 중점적으로 적요하였다. 그리고 나서 뉴스텍스트의 이데올로기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시간구조와 사건구조에 대한 분석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첫째, 〈오마이뉴스〉는 기존 미디어들과는 다른 보도태도와 보도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기존 미디어들이 이번 전쟁에 대한 진행과정에 주목하면서 ‘스트레이트’ 기사에 주력했다면, 〈오마이뉴스〉는 정쟁의 발발원인, 배경, 대처 및 파장 등과 같은 ‘의견이나 해설 기사’에 주력하였다. 둘째, 기존 미디어들은 전쟁상황, 미국과 이라크의 전투현장, 사상자나 피해자 등과 같은 전투현장에 주목하고 있다면, 〈오마이뉴스〉은 미국과 부시 대통령의 의도, 친미와 반미의 대립, 한국군 파견에 대한 문제제기 등과 같이 전투현장보다는 이 사안과 관련된 여타 사안들에 보다 주목하고 있다. 셋째, 기존 미디어가 사건에 대한 전체의 과정을 추적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면, 〈오마이뉴스〉는 이번 사안과 관련된 ‘의제 설정’이나 ‘여론 수렴’을 주도하고 있다. 넷째, 기존 미디어들이 서로 비슷한 시각과 입장을 표방하고 있는데 반해, 〈오마이뉴스〉는 이들과는 다른 대안적 견해와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오마이뉴스〉는 저널리즘 미디어로서 다소 미진한 부분이 없지는 않으나, 이번 사안에 대해 ‘의제를 설정하고’, ‘여론을 주도하며’, ‘새로운 대안적 견해를 제시해’ 줌으로써, 우리사회에 대안 미디어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verage patterns of the Korean internet news media on 'US-Iraq War' and its meaning and discourse structure. The internet news media was recently established and become a popular news media to compete with old news media in Korea. The author selected the 'Oh My News' as a representative internet news media for his analysis, and collected its news items from Mar. 20, 2003 to Dec. 17, 2003. on the basis of 4 different phases of the war. He analysed the whole of news items with various semiotic and discourse analytic methods, especially applying for Bell's concepts of time and discourse structure.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of all, it was found that the 'Oh My News' tended to cover this war so different ways as the old news media did. It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procedure of war, especially, battlefields, fighting between US and Iraq, damages and casualties. But, instead, it paid attention to many doubts about intention of US government and the President, Bush, dichotomous shift between pro-America and anti-America, rightness of dispatching Korean army into Iraq, etc. Secondly, it functioned as a kind of alternative media to speak up different voices comparing with those of old media. It tended to suggest different perspectives and opinions, while the old media tended to follow American perspectives and opinions. Thirdly, it became as a kind of new media setting agendas for this war in Korean society. It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for setting agendas for various issues related with this war. In conclusion, the internet news media has recently become a kind of new news media for suggesting alternative or different opinions, setting agendas, initiating discourses, etc., even though it still has may problems of becoming so called orthodox news media.

      • 가짜뉴스(허위조작정보)에 대한 현재의 규제와 향후 규제방향에 대한 소고 -

        배태준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21 Law & technology Vol. No.

        미국, 프랑스 대선 등에서 벌어진 가짜뉴스 캠 페인은 가짜뉴스의 정치적 의사 결정 왜곡 가능 성을 보여준다. 특히 인터넷 환경의 발달로 인해 가짜뉴스의 전파성과 신뢰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은 가짜뉴스의 규제 필요성을 강조한다. 그런데 가짜뉴스를 규제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가짜뉴스인지를 확정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 가 짜뉴스의 정의에 대하여 아직 견해가 일치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헌법 제21조에 따라 표현의 자유와 조화를 이루고 비례의 원칙에 부합하는 대응수단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 현행 법제하에서는 정보통신망법, 공직선거법, 언론중재법, 민⋅형법 등에서 가짜뉴스 생성자를 규제하고, 정보통신 서비스 제공자에 대하여도 일 부 가짜뉴스 유통을 막도록 의무를 부여한다. 뿐 만 아니라 가짜뉴스의 규제에 대하여 여러 입법 안들이 상정되어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형벌이나 행정권에 의존하고,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에게 과도한 의무를 부여한다는 비판도 있다. 세계 각 국에서도 가짜뉴스 규제에 대한 여러 제도를 두 고 있으나, 대체로 과도한 규제를 도입한 법제에 대하여는 여러 위헌성에 대한 비판이나 판단이 내려지고 있다. 결국 가짜뉴스는 법률에 따른 규제와 자율규제 모두를 통해 제어해야 한다. 규제적 방안으로는 경제적 이익 박탈이 가장 중요하다. 자율규제의 경우 객관적인 기관을 통한 팩트체크, 가짜뉴스 배제 알고리즘 적용 인터넷 사업자에 대한 지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등이 필요하다. 21대 국회 에서 이러한 논의들이 일부 진행되고 있는 점은 고무적이며, 가짜뉴스의 폐해 방지와 표현의 자유 보호간 균형을 찾으려는 노력이 계속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Influence campaigns through fake news in the US and French presidential elections show the possibility of fake news distorting political decision-making.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spread and credibility of fake news is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environment emphasizes the need for regulation of fake news. In order to regulate fake news,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define what the fake news are, but there are various opinions on the definition of fake news. In addition, pursuant to the Article 21 of the Constitution, it is necessary to adopt countermeasures that are in balance with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conform to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Under the current legislation, fake news creaters are regulated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Act,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the Media Arbitration Act, and the Civil and Criminal Act. Information service providers are also required to prevent the distribution of some fake news. Several legislative bills have been proposed for the regulation of fake news as well. However, there are also criticisms of excessive reliance on punishment or administrative authority, and of placing excessive obligations on information service providers.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been trying to regulate fake news, but in general, there are criticisms or judgments about the unconstitutionality of such laws introducing excessive regulation. In the end, fake news must be controlled through both legal and self-regulation. As a regulatory measure, deprivation of economic interests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case of self-regulation, fact-checking through objective institutions, support for Internet service providers applying fake news exclusion algorithm,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are required. It is encouraging that a couple of bills are dealing with such self-regulation in the 21st National Assembly. Efforts to find a balance between the harmful effects of fake news and protection of freedom of expression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

        시각적 위계구조를 이용한 능동적 채널 이미지 형성에 관한 논의

        전광실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4

        News programs determine the image and reliability of a broadcasting station, which means it is highly critical to design news titles that give away the first impressions of news programs. It is, however, also highly challenging to visualize the channel's identity and create a positive channel image while delivering the attributes of new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In such a case, processing information in a hierarchical format and visualizing it can reduce the complexity of information and present a clear picture of its structures and relationships, thus promoting the viewers'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and creating a channel image as a news delivering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and analysis results of news opening titles between KBS and BBC, KBS had the symbolic elements of news and delivering figures deliver their respective indicator meanings fully. However, they had no interconnections or highlights between them, thus remaining as a notice to inform the beginning of news. On the contrary, BBC successfully embodied its image as an active and aggressive public service broadcasting station as the two elements were structured in a relationship of dominance and subordination and the news delivering organization BBC itself claimed an upper position in the hierarchy. Processing information in a hierarchical format is the same as choosing words and deciding their order, intonation, and accent to convey certain content and messages when communicating with others in conversations. In particular, the news delivering organization can build a more active and independent structure and effectively create an active and aggressive channel image by maintaining the hierarchy in which the news delivering organization has a higher-order concept than the news indicator when setting such a structure. 뉴스는 한 방송사의 이미지와 신뢰성을 결정하는 간판 프로그램이기에 뉴스프로그램의 첫인상인 뉴스타이틀을 디자인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짧은 시간에 뉴스의 속성을 전달하면서 채널의 아이덴티티를 시각화하여 긍정적인 채널 이미지를 형성하는 일은 어려운 일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런 경우 정보를 위계적 형태로 가공하여 시각화하게 되면 정보의 복잡성을 줄이면서 그 구조나 관계들을 정확히 보여줄 수 있어, 정보에 대한 시청자의 이해를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뉴스 전달자로서의 채널 이미지 도출이 가능하다. 실제로 KBS와 BBC의 뉴스 오프닝 타이틀을 비교분석해 보면, KBS는 뉴스와 전달자의 상징적인 요소들이 각자의 지표 적 의미전달에는 충실하나 서로간의 상호연관성이라든지 강조점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단순히 뉴스의 시작을 알리는 고지에 그치고 있는 반면, BBC는 두 요소들이 지배와 종속이라는 관계로 구조화되고 뉴스 전달자인 BBC가 상위의 위계질서를 가짐으로써 공영방송으로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BBC의 이미지를 형상화 하고 있다. 이렇듯 정보를 위계적 형태로 가공하는 일은 우리가 대화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 특정 내용과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단어들을 선택하고 그들의 순서와 억양, 강조점 등을 설정하는 일과 같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이 구조를 설정할 때에 뉴스 전달자가 뉴스 지표보다 상위의 개념을 갖도록 위계질서를 유지시키면 전달자가 보다 활동적이고 주체적인 구조를 갖게 되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채널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효과적이다.

      • KCI등재

        Mobile Internet News Consumption: An Analysis of News Preferences and News Values

        배정근,설진아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8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9 No.2

        Internet news consumption is rapidly growing in Korea, and majority of that is being done through Naver, Korea’s primary search engine. Naver is also the go-to search engine for smartphone use. This study analyzed 824 most popular news accessed via mobile gears; the news items were selected from Naver’s ‘Daily Top 10 Stories,’ dating from March 2016 to December 2016. The results indicate that entertainment news were the most viewed, while political and social issue news were the most liked and commented by mobile users. With regard to news value, ‘prominence’ and ‘impact’ were the two most important factors that influenced a user’s news selection process in a mobile environment. The degree of a news’ ‘prominenc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d the number of views, while ‘impact’ was critical to determining “the most commented-upon” and “the most liked” news.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mobile news consumers prefer more dramatic storylines and events that incite public anger or grief, threaten the safety of citizens, or evoke emotional sympathy rather than ‘hard news’ about such subjects as politics and economics.

      • KCI등재

        가짜뉴스의 형식적.내용적 특징과 여론 형성력: 가짜뉴스가 가지고 있는 위험요소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바탕으로

        표시영 ( Siyoung Pyo ),정지영 ( Jiyeong Jeong ) 정보통신정책학회 2020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공공의 이익인 사회적 법익을 침해하며, 미등록의 비언론사인 동시에, 허위정보를 의도성을 가지고 생산 및 배포하는 저널리즘 양식의 가짜뉴스’ 콘텐츠의 형식적·내용적 도식과 여론 형성력을 분석했다. 그 결과, 89개의 분석대상 콘텐츠 중 91%에서 ‘언론인 출신 혹은 관련 전문가’를 활용하여 진행하고 있었고, 형식은 전통적인 언론보도와 매우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89개의 콘텐츠는 모두 허위의 사실을 유포하고 있었는데, 최초보도에서는 대체로 이를 명백하고 단언적으로 보도한 반면, 그 외의 콘텐츠에서는 주로 간접적으로 허위의 사실로 유도하는 형태로 보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또한 대체로 ‘주제적 프레임’을 사용하여 심층성을 높이고자 하였고, 뉴스 프레임은 가짜뉴스 특성상 ‘의혹/고발’ 프레임이 과반수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불안’, ‘분노’ 정서가 많았고, 이를 ‘단일관점’에서 ‘부정적’ 논조를 활용하여 다소 강하게 보도함으로써, 이용자에 대한 설득 효과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 89개의 콘텐츠 중 정보원이 있는 경우는 52.8%에 불과했고, 이마저도 출처를 밝히는 경우는 전체의 18%밖에 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대부분의 가짜뉴스의 형식적 · 내용적 도식 특징이 이용자로 하여금 진실로 인식하거나 동조하는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법제도의 사각지대에 있으면서 협의의 범주에 해당하는 가짜뉴스’에 대한 실효성 있는 대응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위에서 논의한 대응 필요성이 있는 가짜뉴스 콘텐츠에 대한 방안을 크게 가짜뉴스 가이드라인 보완, 생산자 및 유통자에 대한 자율규제강화, 그리고 이용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 분류하여 논함으로써, 정책적 대응뿐만 아니라 이용자 스스로 자생력을 키울 수 있는 장기적 차원의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formal and content schema of ‘fake news in media coverage that infringe on public interest and distribute false information with intent,' and implications for public opinion formation. Analyzing 89 news items that disseminated false information, 91% were found to have been carried out by ‘former journalists or related experts,’ and their format was similar to that of traditional media news. Most of the 89 news items reported false information clearly and assertively, while some alluded to false information indirectly. Fake news items generally aimed to increase depth by using subjective ‘topic frames,’ and more than one-half of them utilized ‘suspicion/accusation’ frames. The news items expressed ‘anxiety’ and ‘anger’ sentiments, and increased their persuasiveness among viewers by using ‘negative’ arguments from a ‘single point of view.’ As few as 52.8% of the news items cited information sources, and only 18% actually revealed their sources.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formal and content schemas of most fake news contain risk factors for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Effective countermeasures are thus needed to address the regulatory blind spot represented by fake news. This study enumerates a three-pronged response, consisting of the adoption of supplementary fake-news guidelines, strengthening of self-regulation of producers and distributors, and enhancing of users' media literacy. Long-term responses also entail enhancing users' self-reliance with respect to identifying fake news.

      • KCI등재후보

        뉴스 리터러시 : 새로운 뉴스 교육의 이론적 탐색

        이정훈 한국소통학회 2012 한국소통학보 Vol.19 No.-

        본 연구는 디지털 뉴스 생태계에서의 뉴스의 능동적 수용과 활용을 위한 뉴스 리터러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뉴스 리터러시의 개념화를 시도하였다. 미디어 리터러시가 제시하는 이론적 보편성을 뉴스 콘텐츠 수용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교화시키고 NIE 교육이 가지는 이론적 부재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본 연구는 뉴스 교육을 위한 이론적 토대로서의 뉴스 리터러시의 개념적 정의를 제시하였다. 뉴스의 특성, 미디어 리터러시의 이론적 개념, 한국의 뉴스 교육의 현황에 관한 다양한 이론적 논의들을 살펴보고 뉴스 리터러시를 목표로 하는 뉴스 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미국의 두 개의 프로그램(스토니브록 모델, 뉴스 리터러시 프로젝트)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뉴스 리터러시를 뉴스 콘텐츠를 능동적으로 수용하면서 뉴스 콘텐츠의 메시지를 해석하고 뉴스를 활용하는데 필요한 능력과 관점이라고 정의하고 뉴스 리터러시에 포함된 다양한 기술과 능력을 크게 기초 리터러시, 고급 리터러시, 그리고 뉴스에 대한 처리 소재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뉴스 리터러시 개념화는 뉴스 교육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논의와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후속 연구를 위한 토대를 제시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conceptualize news literacy, suggesting the needs of news literacy for active consumption and application of news in the new news ecosystem. The digital news ecosystem has brought out various changes in the new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these changes led to the changes in the news consumption patterns. With lower interests about news, these changes in the news ecosystem suggested the needs of news education. This study reviewed various literature on news characteristics, theoretical concepts of media literacy, the present condition of Korean news education and analyzed US news education programs (Stonybrook model, News literacy Project) for news literacy. The research defined news literacy as necessary capabilities and perspectives to consume news contents actively, analyze the messages of news contents and apply news. Also, the research suggested to classify the various skills and capabilities of news literacy into three groups: rudimentary skills, advanced skills and personal locus.

      • KCI등재

        뉴스신뢰도, 뉴스관여도와 확증편향이 소셜 커뮤니케이션 행위에 미치는 영향: 가짜뉴스와 팩트뉴스 수용자 비교

        김미경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52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such as clicking ‘like’, posting and sharing depending on news credibility, news involvement and the confirmation bias. Especially, by comparing news credibility, news involvement, and confirmation bias to how fake news and fact news applies,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news audience characteristics and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Research has shown that news audiences have distinguished themselves from fake news. The audiences are judging news quality through value. More value involvement was given to fact news by audiences and it promotes audiences use the news based on the value involvement, and issue involvement and political involvement affected the news quality judgment of fact and fake news. The confirmation bias of the audiences was strong against fact news. As the confirmation bias increases, both fake and fact news audiences influence news credibility. Fact news showed a bit more influence than fake news. In fact, after looking at the impact of news credibility, news involvement and confirmation bias on social diffusion, the news credibility affected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The value involvement among the components of news involvement such as value involvement, issue involvement and political involvement also influenced the spread of the fact news. The confirmation bias, along with news credibility, is affecting the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본 연구는 가짜뉴스와 팩트뉴스 수용자의 뉴스신뢰도, 뉴스관여도와 편향의 차이가 뉴스의 소셜커뮤니케이션 행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가짜뉴스와 팩트뉴스에 대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뉴스 수용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소셜커뮤니케이션 행위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뉴스 수용자들은 가짜뉴스와 팩트뉴스의 신뢰도 차이를 보였다. 수용자들은 가짜뉴스와 팩트뉴스 모두에 대해 가치관여가 높게 나타났다. 팩트뉴스에 대해서 더욱 가치관여됨으로써 뉴스에 대한 방어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자들의 확증편향은 팩트뉴스에 대해 강하게 나타났다. 확증편향은 뉴스신뢰도를 강화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뉴스신뢰도와 뉴스관여도, 확증편향이 소셜커뮤니케이션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뉴스신뢰도는 소셜커뮤니케이션 행위에 영향을 미쳤으며 뉴스관여도 중 수용자의 가치관여는 팩트뉴스의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 확증편향도 뉴스신뢰도와 함께 소셜커뮤니케이션 행위에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소셜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대한 뉴스 소비자의 확증편향과 관여도 매개효과: 진짜뉴스와 가짜뉴스 비교

        이은지,김미경,성동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This study examines how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such as clicking ‘like’, posting and sharing is influenced through the confirmation bias and involvement(value relevant involvement and issue relevant involvement) focusing on comparing between real news and fake news. Firstly, all readers who read real news and fake news have confirmation bias. The readers who read real news are little stronger than fake news. Secondly, real news showed that value-relevant involvement is higher than fake news. Issue-relevant involvement influenced consuming news but there is no difference of real news and fake news. Thirdly, the consumer of real news played more social endorsement such as ‘like’ and ‘share’ than fake news. Fourthly the confirmation bias, value-relevant involvement and issue-relevant involvement play important role of mediated effect to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on the real news and fake news. The higher confirmation bias and value-relevant involvement is, the higher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such as ‘like’ and ‘share’ is. The higher issue-relevant involvement is, the higher mediation effect of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such as ‘post’ and ‘share’ is. 본 연구는 진짜뉴스와 가짜뉴스를 본 수용자가 확증편향과 관여도(가치관여와 이슈관여)를 통해 어떻게 소셜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하였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소셜커뮤니케이션 행위를 자신의 선호정보를 알리는 ‘좋아요’, 적극적인 의견행동인 ‘댓글달기’, 확신정보를 공유하는 ‘공유하기’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진짜뉴스든 가짜뉴스든 뉴스 수용자는 확증편향을 보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진짜뉴스 수용자가 좀 더 확증편향이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가짜뉴스 보다 진짜뉴스에 대해 가치관련 관여가 높게 나타났다. 이슈관련 관여는 뉴스수용에 영향을 미쳤지만 진짜뉴스와 가짜뉴스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짜뉴스보다 진짜뉴스에 대해 소셜 지지가 많이 이루어졌다. ‘좋아요’와 ‘공유하기’를 통해 소셜 지지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넷째, 진짜뉴스와 가짜뉴스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좋아요’, ‘댓글달기’, ‘공유하기’)에 대해 확증편향, 가치관여, 이슈관여는 중요한 매개작용을 하였다. 확증편향과 가치관여가 클수록 ‘좋아요’와 ‘공유’등의 행동에 대해 매개효과가 컸으며 이슈에 대한 관심도가 클수록 ‘댓글과 공유행동에 대해 매개효과가 컸다.

      • KCI등재

        디지털 가짜뉴스에 대한 청소년의 확증 편향 연구 : 경북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안도헌 ( Ahn Do-hun ) 한국지역언론학회 2020 언론과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가짜뉴스에 노출된 청소년들의 확증 편향적 뉴스 소비 태도를 분석했다. 즉,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강했던 청소년들과 긍정적인 인식이 강했던 청소년들이 북한에 대한 가짜뉴스에 노출된 뒤에 기존의 자기 견해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집단의 확증 편향은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내용의 가짜뉴스 소비에 제한적으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집단의 확증 편향은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내용의 가짜뉴스 소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오히려 확증 편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인식 변화가 일어났다. 선행 연구들은 가짜뉴스에 노출된 성인들은 확증 편향적 뉴스 소비 형태를 띤다고 주장했다. 즉, 뉴스 소비자들이 자신들의 기존 인식을 강화하는 가짜뉴스는 수용하고 그렇지 않은 가짜뉴스는 무시한다는 것이다. 가짜뉴스의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하지만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본 연구에 따르면, 확고한 인식 도구가 성립되지 않은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기존 인식을 약화시키는 가짜뉴스를 무시하지 못하였고, 오히려 가짜뉴스의 영향으로 자신들의 기존 인식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경우 가짜뉴스의 영향이 성인들에 비해 훨씬 더 강력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firmation bias of adolescents exposed to fake news. In other words, it examined whether the adolescents who had a strong negative perception of North Korea and those who had a strong positive perception had changed to strengthen their own views after being exposed to fake news about North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firmation bias of a group with a negative perception of North Korea has only a limited effect on the consumption of fake news with negative content. Second, the confirmation bias of a group with a positive perception of North Korea had no effect on the consumption of fake news with negative content. Rather, perception shift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confirmation bias. Previous studies have argued that those exposed to fake news have a confirmatory biased news consumption pattern. That is, news consumers accept fake news that enhances their existing perception and ignore fake news that is not. This meant that the impact of fake news could be limited. However, according to this study, a study of adolescents showed that those with unstable recognition tools could not ignore fake news that weakened their existing perception, but rather changed their existing perception under the influence of fake new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adolescents have found that the impact of fake news can be much stronger than that of ad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