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공관련학과 NCS 기반교육이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지된 가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미라 ( Mira K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관련 학과에서 NCS 기반 교육이 학생들의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나아가 학생들의 인지된 가치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최근 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이론중심의 교육과 실제 현장에서 요구되는 업무수행능력 사이에 나타나는 차이를 최소화시키고자 NCS모듈이 정부주도로 실시되었다. 이에 실효성과 성과를 알아보고 NCS 기반 교육과 교육만족 간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가 실시되었다.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검증을 실시한 결과 첫째, NCS 기반 교육은 교육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NCS 기반 교육과 교육만족 간 학생들의 인지된 가치가 조절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는 NCS 기반교육이 항공서비스관련 대학과정에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NCS-based education affect education satisfaction an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Despite of the importance of NCS-based education to achieve education satisfaction with effective student’s performance in airline service academy area, there have been limited empirical studies linking to the NCS-based education and education satisfaction. So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impact of NCS-based education on education satisfaction based on students of airline service academy area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220 students and 2 hypotheses (4 sub hypothese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NCS-based educa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ducation satisfaction. Second, there are a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between NCS-based education and education satisfaction, while there are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f perceived value between NCS-based education and education satisfaction. As aresult, NCS-based education needs education process of airline service academy.

      • KCI등재

        NCS 기반 교육과정의 운영성과 및 개선방안-학습자 중심으로-

        이하진,한정희 한국세무회계학회 2020 세무회계연구 Vol.0 No.6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field - oriented curriculum using NCS (National Inability Standard) to accounting and tax related subjects of 2 - year university students and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the curriculum. [Methodology] For the research metho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students of major in tax accounting in Daejeon and Ulsan. and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FGI (Focus Group Interview), a group in-depth interview for a small group. [Find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factors of NCS-based curriculum, it showed that there is a positive (+)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performance in the educational content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econd, among the factors of NCS-based curriculum, only the contents of education showed a positive (+)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of employment. Third, NCS-based educational achievement has a positive (+) effect on job recognition. Finall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learners who are receiving training according to the NCS-based curriculum in the tax and accounting related departments. As a representative problem, the question of effectiveness of operation of the enhancement course was raised. The improvement process not only impedes the concentration of learners, but also points out that there is a problem in learning motivation. [Implications]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think about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improvement process. If the improvement effect of the improvement process is positiv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operation timing again.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전문대학 재학생들의 회계․세무 관련 교과목에 NCS(국가직무능력표준)를 적용한 현장중심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교육과정의 운영성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대전과 울산의 전문대학 세무회계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소수그룹을 대상으로 집단심층면접법인 FGI(Focus Group Interview: 집단 심층 면접)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NCS를 기반으로 하는 교육과정 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교육과정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회계 및 세무 관련 학과의 NCS 기반 교육과정의 운영성과의 문제점 도출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의 요인 중에서 교육내용과 교육환경에서는 교육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의 요인 중에서 교육내용만이 취업인지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NCS를 기반으로 하는 교육성과가 취업인지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회계 및 세무 관련학과에서 NCS 기반 교육과정에 따라 교육을 받고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대표적 문제점으로 향상 심화과정 운영에 대한 실효성 문제를 제기하였으며 직무능력평가 실시 후 진행되는 향상심화과정은 학습자들의 집중력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학습의욕 고취에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이는 향상심화과정이 가지고 있는 교육 목적에 대해 고민해볼 필요성이 있으며 향상심화과정의 학습효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운영시기에 대해서 다시 한 번 검토해볼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NCS 기반 시스템 반도체 제조공정 장비의 실무교육을 위한 OJT Skill Check 교수․학습 자료 개발

        임영대(Yeong-Dae Lim),김동연(Dong-Yeon Kim) 대한공업교육학회 202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NCS 기반의 반도체 이론적 문헌을 고찰, 분석하여 NCS 기반 시스템 반도체 제조공정 설비 장비의 실무교육을 위한 OJT Skill Check 교수·자료를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 내용과 방법은 국내 반도체 장비의 세분류를 조사, 분석하여 PDIE 모형에 근거하여 교수·학습 자료를 수준별(L5, L4, L3)로 각각 1개씩 설계,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수·학습 자료를 연구 대상자(6명)에게 질적 연구(FGI, BEI) 방법을 적용하였고, 연구 결과를 OJT Skill Check 교수·학습 자료에 모두 반영하여 수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한 교수·학습 자료를 내용 전문가(11명)에게 타당도를 검증,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국내 NCS 기반 반도체 장비의 세분류를 분석하였다. 둘째, NCS 학습모듈에 기초 수준별(L5, L4, L3) NCS 기반 OJT Skill Check 교수·학습 자료(안)를 각각 1개씩 개발하였다. 셋째, 교수·학습 자료를 교육 대상자(6명)에게 집체 교육(이론과 실무)을 실시한 후 질적 연구(FGI, BEI)를 실시하였다. 넷째, 질적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교수·학습 자료를 수정, 보완하고,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여 NCS 기반 OJT Skill Check 교수·학습 자료를 최종 개발하였다. 따라서 NCS 기반 OJT Skill Check 교수·학습 자료는 시스템반도체 제조공정 기업의 신규직원, 재직근로자 직무수행능력 향상 및 관련 교육기관에서의 교수·학습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 응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JT Skill Check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NCS-based system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equipment by reviewing and analyzing theoretical literatures on NCS-based semiconductors in South Korea. For research content and method, the subcategories of semiconductor equipment in South Korea were examined and analyzed, after which one teaching-learning material for each level (L5, L4, L3) was designed and developed based on the PDIE model. The develop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were applied to 6 research participants using qualitative methods ((FGI, BEI), and the materials were revis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developed through this process were validated and confirmed by 11 content exper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categories of NCS-based semiconductor equipment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Second, one NCS-based OJT Skill Check teaching-learning material (plan) for each basic level (L5, L4, L3) was developed for the NCS learning module. Third,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were applied to group training (theory and practice) of the 6 participants, after which qualitative research (FGI, BEI) was conducted. Fourth,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by reflecting the qualitative study results, and the content validity was tested to develop the final version of the NCS-based OJT Skill Check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e NCS-based OJT Skill Check teaching-learning materials are expected to be used and applied effectively as basic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rel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to improve job performance skills of new and current employees at system semiconductor manufacturing firms.

      • KCI등재

        NCS적용여부에 따른 대학교육서비스 측정기법개발과 적용 및 비교분석

        이영일,최민철,정성광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1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higher education service measurement scale for comparison between NCS applied university and NCS unapplied university. In other words, this study examines to select evaluation factors through perceived value of higher education service and quality of higher education service of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through the factor analysi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appropriate scale of higher education service is determined. Lastly, the relative weight for each evaluation factor is set through AHP analysis of higher education service. Therefore, we will evaluate NCS applied university and NCS unapplied university with the developed higher education service measurement scale. Based on these results, we would like to suggest implications for NCS and higher education services. This study developed the scale for higher education service evaluation based on perceived value of higher education service(ego-oriented value, socially oriented value) and quality of higher education service(tangibles, assurance, responsiveness, reliability). In addition, the comparison results of NCS applied university and NCS unapplied university are as follow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NCS applied university and NCS unapplied university for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ego-oriented value and Tangibles, NCS applied university was higher than NCS unapplied university. However, in the case of socially oriented value and assurance, responsiveness, reliabilit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NCS applied university and NCS unapplied university. 본 연구는 NCS 적용하는 대학과 NCS 비적용 대학 간의 대학교육서비스를 측정하는 기법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에서는 재학생들의 대학교육서비스 지각가치와 SERVQUAL의 대학교육서비스 품질을 통해 평가요인들을 선정하고자 한다. 그리고 평가요소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해 적합한 척도를 확정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대학교육서비스의 AHP 분석을 통하여 각 평가요소들에 대한 상대적 가중치를 설정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된 대학교육서비스 측정기법으로 NCS 적용 대학과 NCS 비적용 대학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NCS와 대학교육서비스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대학교육의 지각가치(자아지향적 가치, 사회지향적 가치)및 대학교육 서비스 품질(유형성, 신뢰성, 확신성, 응답성)을 중심으로 대학교육서비스 평가에 대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또한 NCS 적용 대학과 NCS 비적용 대학의 비교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가항목의 종합지수에 대한 NCS 적용대학과 NCS 비적용대학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아지향적 가치와 유형성의 경우 NCS 적용대학이 NCS 비적용대학 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사회지향적 가치, 신뢰성, 확신성, 응답성의 경우 NCS 적용대학과 NCS 비적용대학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

        NCS 기반 의사소통 교육에 관한 국어 교육적 접근

        최숙기 ( Choi Sook-ki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6 청람어문교육 Vol.59 No.-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이란 산업 현장에 적합한 직무 수행자를 훈련하고 교육하고 선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가 수준에서 근로자가 갖추어야 할 직무 수행 능력을 지식, 기능, 태도 차원에서 표준화하여 제시한 것이다. 최근 교육부는 ‘2015 개정 교육과정(15. 9. 23)’을 고시하면서 직업 현장과 학교 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NCS를 특성화고나 마이스터고를 대상으로 한 전문 교과와 보통 교과에 반영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국어 교과의 경우에는 NCS의 직업기초능력으로서 의사소통 능력(국어) 신장을 목적으로 하는 ‘실용 국어’ 라는 진로 선택 교과가 신설된 바, 직무 의사소통 교육이 중등 국어 교과 수준에서 실현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NCS 기반의사소통 교육에 관한 논의는 직업 교육이나 대학 교양 교육 차원에서 대개 이루어져왔고, 중등 국어 교육 차원에서는 NCS와 관련한 직업기초능력 평가에 관해 부분적으로 이루어져왔다. 이에 본 논의에서는 학교 교육과 산업 현장 간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직무능력표준(NCS)의 개념, NCS의 직업기초능력으로서 규정하고 있는 의사소통 능력과 성취수준, 직업기초능력평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진로 선택 교과인 ‘실용 국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실용 국어’를 중심으로 한 NCS 기반 의사소통 교육의 국어 교육적 실현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to reflect and teach career commincation education of NCS in korean language arts. NCS is korea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s career performance competency which korean worker must have knowledge, skill, attitudes for successful career life. There has been much discussion of NCS based career communication education in terms of college general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job traing, workplace traning so on. But there were no discussions about NCS based career communication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especially korean language arts. So this study is discussed the way to teach NCS based career communication education in korean laguage arts of secondary education exploring the relation of NCS professional basic ability assessment(teen up), NCS professional basic ability standards, practical korean language of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 KCI등재

        NCS 중심 교육과정 도입에 관한 상업정보 교사들의 인식

        이광호 한국상업교육학회 2014 상업교육연구 Vol.28 No.6

        이 연구의 목적은 NCS 중심 교육과정의 도입에 대해 상업정보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 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업정보 교사들의 NCS에 대한 이해 수준(5점 척도에서 1.68점)과 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수준(5 점 척도에서 1.48점)은 매우 낮았다. 둘째, 상업정보 교사들은 NCS 중심 교육과정 도입이 상업정보교육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5 점 척도에서 4.60점). 이런 경향은 대체로 교직경력이 많은 교사들에게서 더욱 두드러졌다. 셋째, 상업정보 교사들은 NCS 기반 교육과정이 도입될 경우, 교재 개발 능력, 직무 분석 능력, 교육과정 설계능력, 실무영역 평가 능력 등의 순으로 중요도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론지도 능력과 지적영 역 평가능력의 중요도는 크게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실무지도 능력은 현재에도, 그리고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 이후에도 중요한 능력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상업정보 교사들은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능력 중에서, 이론지도 능력과 지적영역 평가능력은 보통 이상, 직무분석 능력, 실무지도 능력, 실무영역 평가능력은 보통 이하의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 고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상업정보 교사를 대상으로 한 NCS 및 NCS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연 수를 강화해야 하고, 실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수업방식을 개선해야 하며, 산업체의 요구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교사들의 직무분석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mmercial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he introduction of NCS based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mercial high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NCS and NCS based curriculum is very low.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NCS is 1.67 and that of NCS based curriculum is 1.48 in 5 point Lickert scale respectively. Second, most of commercial high school teachers think that the introduction of NCS based curriculum into commercial high school will affect business education very much (4.60 in 5 point Lickert scale). This trend is more prominent to teachers with more teaching career. Third, after introduction of NCS based curriculum into commercial high school, the following abilities will be increasing in importance. - subject development ability, job analysis ability, curriculum design ability, executive domain evaluation abilityKnowledge based teaching ability and cognitive domain evaluation ability will not be increasing in importance. Executive domain evaluation ability is important now and will be important after introduction of NCS based curriculum into commercial high school. Forth, commercial high school teachers think that their own ability is above the average in relation to knowledge based teaching ability and cognitive domain evaluation ability. And they think that their own ability is below the average in relation to the teaching and evaluation ability of executive domai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training which raise the level of the understanding for the concept of NCS and NCS based curriculum. And the instruction method should be changed toward competence based instruction. After introduction of NCS based curriculum into commercial high school, every commercial high school teachers should get the ability of job analysis.

      • KCI등재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전문교과 교사의 수업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이수정 한국직업교육학회 2016 職業 敎育 硏究 Vol.35 No.2

        이 연구에서는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에 따라 전문교과 교사의 수업역량 준거를 제안하고, 수업역량에 대한 교사의 보유도, 중요도, 연수 필요도 등 교육요구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특성화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수업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원 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교사의 수업역량 준거는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가지 영역과영역의 하위에 10가지 역량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수업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영역별 분석 결과 보유도와 중요도 차이가 큰 영역은 분석 영역, 평가 영역의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요구도가 높은 상위 5위에 해당하는 역량은 NCS 기반 교육과정 설계, NCS 기반 교과 교육과정의 성과 평가, 요구 분석,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수업 설계, 교수・학습 방법 선정 및 실행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교사의 수업역량에 대해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교육 요구도를 고려한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eaching competencies of teachers of specialized subjects in response to the introduction of the NCS-based curriculum, als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including the level of possessed competencies, the level of importance, and the level of in-service nee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incentives to improve the teaching competencies of teachers in specialized subject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eaching competencies of teachers associ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NCS-based curriculum were consisted of five area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execution, and evaluation phase. Second, the difference order between the level of possessed competencies and the level of importance in terms of the areas of teaching competencies was analysis area, evaluation area. Third, the competencies to correspond to the top five of the education needs were the design of the NCS-based curriculum, the assessment of the outcome of the NCS-based academic curriculum, needs analysis, the instructional design utilizing the NCS learning module, and the selection and execu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order.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is requested a more systematic study of teaching competencies of teachers due to the introduction of and is necessary to develop a teacher training programs considering educational needs.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활용기준 운영실태 분석 및 연계방안 연구

        김진실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19 직업과 자격 연구 Vol.8 No.2

        이 연구는 일-교육훈련-자격을 연계하기 위해 도입된 NCS의 활용기준 운영실태와 연계성을 분석하고, 연계 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NCS 활용기준이란 검정형 자격 출제기준, 과정평가형 자격 편성기준, 일학습병행제 인증기준, NCS 기반 훈련기준 및 2015 개정교육과정 전문교과Ⅱ군 실무교과를 의미한다. 세부 연구목표는 첫째, NCS 활용기준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둘째, NCS 활용기준의 운영실태 및 연계성을 분석하며, 셋째, NCS 활용기준 간 연계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연구, 내용분석, 개발연구 및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첫째, NCS 활용기준 실태를 분석한 결과, 검정형 자격 출제기준, 과정평가형 자격 편성기준, 일학습병행제 인증기준, NCS 기반 훈련기준 및 고교 실무교과에서 NCS 능력단위 등을 활용하여 연계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검정형 자격과 과정평가형 자격의 연계를 위해 검정형 자격 출제기준 개발 및 개정, 과정평가형 자격 편성기준 개발 및 개정, 출제기준과 편성기준 심사, 관련 서식 및 법령 등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셋째, 과정평가형 자격과 일학습병행제의 연계를 위해 과정평가형 자격 연계 일학습병행제 과정을 도입하여 과정평가형과 1:1로 매칭되는 일학습병행제를 우선 전환하고, 과정평가형과 1:多,로 매칭되는 일학습병행제에 대해서는 전환할 대상을 선별하는 기준을 수립하는 한편, 일학습병행제 인증기준 서식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분야 및 종목별로 각 활용기준 등의 연계성 분석 연구를 추진하여 향후 각 활용기준의 개정 과정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각 활용기준의 적용 종료기간 도래 또는 매년 공고 시 개정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일학습병행제와 과정평가형의 경우, 종목 분류체계, 내․외부평가, OJT 시간 인정 등에 대한 조정 방안 역시 고도화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al status and connectivity of the NCS application criteria that is used in qualification and education and training, and to draw out the connecting strategy. The NCS application criteria refer to the guidelines for making questions, the standard for course based qualification, work-learning certification standard, NCS-based training standard, and the guidelines for 2015 revised curriculum special course Ⅱ practice subjects. The detailed objectiv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 review the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NCS application standard, Second, the operational status and connectivity of the NCS application criteria is analyzed based on the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NCS application criteria. Third, connecting strategy between the NCS application criteria is analyz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literature study, contents analysis, development study and feasibility study were conduct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NCS application criteria, it is possible to connect with using NCS competency unit in guidelines for making questions, the standard for course based qualification, work-learning certification standard, NCS-based training standard, and the guidelines for 2015 revised curriculum special course Ⅱ practice subject. Second, in order to connect the diverse NCS application criteria, it was possible to draw up an improvement plan for examination, related forms and laws. Third, it was possible to introduce work-learning system that is based course based qualification and change the type of work-learning certification standard.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drawn from the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connecting analysis study of each application standard by job field and item and utilize it in the revision process of each application standard in the fu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amendment at the time of application termination of each application standard or announcement every year. Third, in the case of the work-learning certification standard and course based qualification, the study of the adjustment system for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item, the internal evaluation and the external evaluation, and the recognition of the OJT time is also required to be advanced.

      • KCI등재

        NCS 기반 신 직업자격 현황과 NCS에 대한 취업준비생의 인식 탐색

        강석주,전미애 한국기술교육학회 2015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ssist NCS with the execution of their new job qualification policy by analyzing jobseekers’idea on NCS and examining NCS-based new job qualification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of NCS-based job qualifications, there are 269 new qualifications completed as of December 31st, 2014, and 165 qualifications from 17 different fields in progress of development as of June 2015. Secondly, the jobseekers’responses to NCS’s new policy were such as “We are truly in need for it”, “It would be helpful for job seeking after graduation”, “It would help us develop practical abilities and get adjusted to work environments”, and “It’s such a great policy.” Thirdly, the jobseekers also commented that they would be interested in NCS-based new job qualifications and prepare for them. They have also looked up on information on NCS-based new job qualifications, and would like to take courses on them if provided by universities and other educational institutes. Overall, they responded positively to the new policy. Fourthly, the jobseekers suggested that in order for NCS to execute the new policy properly, it need to“take corporations’opinions for more serious”, “implement a reasonable evaluation system”, and “focus more on practical education over theory.” Also, they commented that NCS’s new policy would negate the previous need to acquire unnecessary credentials, which will make it more convenient for jobseekers. Based on this research, we came up with suggestions for NCS to execute the policy more efficiently and do further research on it. 이 연구는 NCS 기반 신 직업자격 현황을 살펴보고, NCS에 대한 취업준비생의 인식을 분석하여, NCS 정책의 효율적인 수행을 조력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NCS 관련 문헌자료와 NCS 홈페이지, 한국산업인력공단의 내부자료를 대상으로 NCS 기반 신 직업자격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지원자 편의표집(volunteer convenience sampling)의 방법으로 표집한 4명의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질적연구의 한 종류인 현상학적 연구(phenomenological study)방법을 사용하여 NCS에 대한 취업준비생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신 직업자격 현황을 살펴보면, 2014년 12월 31일까지 신 직업자격 설계가 완료된 내용은 7대 분야에서 269개 자격이며, 2015년 6월 현재 17대 분야에서 165개 신 직업자격 설계가 진행 중이다. 둘째, NCS 정책에 대해서 취업준비생들은‘취업준비생에게 NCS 기반 신 직업자격이 필요하다’,‘NCS 기반 신 직업자격이 진로에 도움이 된다’,‘NCS 기반 신 직업자격이 실무능력 및 현장적응에 도움이 된다’,‘NCS 기반 신 직업자격제도가 좋은 제도’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NCS 정책에 대한 취업준비생들의 태도를 살펴보면, NCS 기반 자격신설에 관심이 있고, NCS 기반 신 직업자격을 준비할 생각이 있으며, NCS 기반 신 직업자격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았고, NCS 기반 신 직업자격관련 과목이 대학이나 기타 교육기관에 설강되면 수강할 용의가 있고, NCS 기반 신 직업자격신설을 좋은 제도로 받아들일 의향이 있다고 하였다. 넷째, 취업준비생들은 NCS 의 올바른 정책집행을 위한 요소로‘기업의 의견을 중요하게 생각’,‘합리적인 평가방식’,‘이론보다는 실무중심의 교육과정’이라고 답하였다. 그리고, NCS 기반 자격과정이 본격적으로 실시되면, 기존에 개설되어 있는 자격증 중에서 취업준비생에게 필요 없는 자격증은 도태될 것이므로, 취업준비생의 자격증 취득에 있어서 부담이 줄어들 것이라는 의견을 개진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NCS 정책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NCS기반 게임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포대학교 게임콘텐츠과를 중심으로

        권용만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2

        Since the development of NCS-based curriculum in field of game education is not well studied, so we carried out research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game contents department of Kimpo University as the first study to link game education and NCS. In order to develop the NCS-based game education course, we analyzed the game industry environment and conducted a demand survey on the game industry officials to derive the vocational basic subjects required for game contents creation. In addition, we analyzed the types of manpower training by using on-site experts (SME). SME also designed the NCS curriculum by matching the manpower type comparing with NCS classification and capacity unit, analyzing the usefulness of each Capacity unit, and finally, by arranging each NCS and non-NCS subjects by semester. This research is meaningful as the first study linking NCS and game content creation, and it will be a reference for other education institutions planning game education course based on NCS. It also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researching game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CQI) as well as improvement methods for future game education courses. 2013년 이후 활성화되기 시작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체계가 전문대학 및 직업훈련기관을 중심으로 적극 도입되고 있는 가운데 게임분야는 이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므로 게임교육과 NCS를 연계하는 첫 연구로 김포대학교 게임콘텐츠과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NCS 기반의 게임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게임산업 환경을 분석하고 게임업계 관계자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실무에서 필요한 지식과 직업기초능력 과목을 도출하였으며, 게임직무별 현장전문가(SME)를 활용하여 인력양성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인력양성 유형에 적용할 NCS의 세분류 및 능력단위를 조사하고 각 능력단위의 유용성을 분석함으로써 NCS 교과목을 도출하였으며, NCS교과목과 비NCS교과목을 학습순위에 따라 학기별로 배치함으로써 김포대학교 게임콘텐츠과의 2년제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NCS와 게임콘텐츠제작 분야를 연결하는 마중물로서 의미가 있으며, NCS기반으로 게임교육과정을 계획하는 여타 교육기관의 참고가 됨은 물론 향후 게임교육과정에 대한 향상방안 및 게임교육 품질관리(CQI) 등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