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ATO 전략개념의 변화요인 고찰: 길핀의 국제체제 변화이론을 중심으로

        이강경,설현주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23 전략연구 Vol.30 No.2

        2022년 2월 24일 러시아 특별군사작전으로 개시된 우크라이나 전쟁이 최근 개전 500일을 넘기며 장기전 양상으로 전환되고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진영의 대규모 군사지원으로 우크라이나가 항전을 지속하는 가운데, 이번 전쟁은 탈냉전 이후 국제질서와 전쟁 패러다임을 구조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자유주의 국제질서가 심각하게 훼손된 상황에서 자유민주주의 진영과 권위주의 체제를 중심으로 대결구도를 재편했다. 또한 가치 중심의 네트워크는 진영 간 결속을 한층 강화시켰으며, 신냉전 질서를 구조화하고 있다. 러시아가 에너지와 식량자원을 무기화하면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가속화된 탈세계화(Deglobalization)의 기조가 더욱 심화하고, 글로벌 경제는 장기적인 침체의 늪으로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향후 우크라이나 전쟁이 세계대전 수준으로 확전되거나 러시아의 승리로 귀결될 경우 양안관계는 무력충돌로 비화될 가능성이 크다. 대만사태는 최근 7차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는 북한의 무모한 군사도발을 촉발하고, 한반도와 동북아를 분쟁지역화하는 발화점(Flash point)이 될 수 있어 향배가 주목된다. 따라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출구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이 시급한 상황이다. 한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는 1949년 창설 이후 전략개념을 통해 스스로의 정체성을 규정하며 냉전·탈냉전기를 통틀어 강력한 집단안보체제로서 존속해 왔다. NATO 전략개념은 미·소 냉전시기 공산주의 세력의 위협에 대응하고, 탈냉전기에는 테러리즘과 대량살상무기의 확산, 사이버전 등 새롭게 대두된 안보위협(Emerging security challenges)에 대응하기 위해 역할을 확대해 왔다. 최근 NATO의 핵심임무는 유럽과 대서양의 지역적 한계를 넘어 인도-태평양 지역까지 아우르는 포괄적·전지구적 차원으로 확대되고 있다. 2022년 신전략개념 채택과 2023년 새로운 방위계획(Regional plan) 수립은 글로벌 안보환경과 국제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능동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NATO의 전략적 대응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신냉전적 국제질서가 형성되고 있는 전환기적 상황 속에서 2022년 NATO 전략개념의 변화요인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길핀(Robert Gilpin)이 제시한 국제정치 변화의 3가지 핵심변수를 중심으로 NATO 전략개념 변화를 추동한 국제체제의 구조적 압력을 분석하였다. The Ukrainian war, which began as a special Russian military operation on February 24, 2022, has recently been turned into a long-term war, exceeding 500 days of war. While Ukraine continues to fight with large-scale military support from the U.S.-centered Western camp, the war is structurally changing the international order and war paradigm after the post-Cold War. The Russia-Ukraine war reorganized the confrontation structure centered on the liberal democratic camp and the authoritarian system at a time when the liberal international order was seriously damaged. In addition, value-oriented networks have further strengthened solidarity between camps and are structuring the new Cold War order. As Russia weaponizes energy and food resources, concerns are gradually becoming a reality that the trend of accelerated deglobalization after the COVID-19 pandemic may deepen and the global economy may fall into a swamp of long-term stagnation. In the future, if the Ukrainian war expands to the level of world war or results in Russia's victory, cross-strait relations are likely to turn into an armed conflict. The Taiwan crisis is drawing keen attention as it could trigger North Korea's reckless military provocation, which is preparing for its seventh nuclear test, and serve as a flashpoint to tur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into a conflict zone. Therefore,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efforts to resolve the Russia-Ukraine war peacefully and seek exit strategies are urgently needed. Meanwhile,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49,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 has been a strong collective security system throughout the Cold War and post-Cold War, defining its identity through strategic concepts. NATO's strategic concept has expanded its role to cope with the threat of communist forces during the U.S.-Soviet Cold War, and to cope with emerging security threats such as terrorism, the spread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cyber warfare. Recently, NATO's core mission has been expanding to a comprehensive and global level that extends beyond the regional limits of Europe and the Atlantic Ocean to the Indo-Pacific region. The adoption of a new strategic concept in 2022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Regional Plan in 2023 can be evaluated as NATO's strategic response to actively accept structural changes in the global security environment and international system.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actors that changed the concept of NATO strategy in 2022 were considered in a transitional situation in which the new Cold War international order was being formed after the Russia-Ukraine War. To this end, the structural pressure of the international system that drove the change in the concept of NATO strategy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three key variables of international political change proposed by Robert Gilpin.

      • 나토와 러시아 : 확대와 대응의 과정과 전략

        배규성 培材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06 自然科學論文集 Vol.17 No.1

        탈냉전기 새로운 안보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새로운 안보관계의 구축에 대한 NATO와 러시아의 전략과 대응은 정확하게 무엇이 안보의제를 구성해야만 하는가?, 새로운 정치·안보적 질서의 점증적 발전과 그러한 질서가 어떻게 보여야만 하는가? 어떤 기구(EU, WEU 또는 NATO)가 그 속에서 지도적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에 대한 NATO와 러시아의 서로 다른 경쟁적인 의견(비젼)들에 의해 결론 지워진다. NATO와 관련하여, 러시아의 외교정책은 NATO에 의해 수행된 역할에 대해 불평하면서도 인정하며, OSCE를 통해 추구되어 왔던 웅변적인 집단안보(collective security)와 세력균형적 현실주의 정치(balance-of-power realpolitik)간의 불편한 균형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NATO의 확대는 러시아의 위협으로부터 동맹의 보호, 동유럽으로의 안정의 확대, 유럽에 대한 미국의 개입심화라는 일반적인 설명이외에도 NATO는 반드시 유지되어야만 한다는 생각(ideas)의 힘에 의해 불가피해졌다. 결국 NATO의 확대와 안정의 확대가 서로 연관된 개념인 한; 서구 지도자들이 미래의 유럽이 과거의 유럽처럼 될 지도 모른다고 두려워하는 한; NATO 존속에 대한 어떤 대안적 정당화가 정의되거나 표명되지 않는 한; 여전히 대서양동맹의 외부에 존재하는 국가들에 대한 어떤 대안적 제도도 존재하지 않는 한; 이러한 조건들 하에서 NATO확대의 논의(discourse)와 관행(practice)은 계속될 것이다. 따라서 NATO와 러시아의 상호 역학관계는 협력과 갈등의 끝나지 않은 과정인 것이다. In response to the changes of the security environment and challenges of postcomminist Europe, the foreign policies and strategies of NATO and Russia depend on cempeting visions of what should be security agenda, what a new security order should look like and which institutions should play the leading role within it. As far as NATO is concerned, Russian foreign policy is shaped by an uneasy balance between the rhetoric of collective security - pursued through the OSCE, with a grudging acknowledgement of the role played by NATO - and balance-of-power realpolitik. Conventional explanations are simply not sufficient to explain why NATO has embarked upon a process of enlargement. These relate to the dangers of a Russian threat, the possibilities of spreading stability, and to the value of binding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urther into European security structures. To this must be added another explanation. NATO enlargement became inevitable because of the power of the idea that NATO must be preserved. As long as enlargement and spreading stability are connected concepts; as long as Western leaders fear that the Europe of the future might resemble the Europe of the past; as long as no alternative justification for NATO' continuation can be defined and articulated; and as long as there is no institutional alternative to NATO for those still outside the Allianc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discourse, and hence practice, of enlargement will continue. Thus NATO-Russia relation is a on-going process of cooperation and conflict.

      • KCI등재

        NATO 유럽 국가들의 PO(Peace Operation) 참여에 대한 함의

        조영광 한국유럽학회 2022 유럽연구 Vol.40 No.3

        NATO's European countries have participated in different types of PO, sometimes in individual national capacity and sometimes as members of NATO's member states. NATO's strategic concepts adopted several times from the end of the Cold War to 2010 contain the will to more actively resolve disputes and eliminate security threats by expanding the corresponding concepts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global security threats. To this end, in particular, not only military response to the threat force and the source of the threat, but also risk management through participation in PO(Peace Operation) and expansion of global partnerships is the key. Participation to the PO of European countries' of NATO implies that NATO shared its role for world peace as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it can be seen that it emerged as a product of the security dynamics between EU and NATO. And the form of PO implemented in an important phase of the conflict was the performance of a peace enforcement mission beyond the traditional PO, whi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unction as a military diplomatic and security means and military public diplomacy. Countries should not neglect to nurture foreign relations and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to ensure their national interests as much as possible, but effective alliance networks are needed to implement less costly security and foreign policy. In this respect, participation in the PO (especially in the Peace Enforcement Operation) is a very good means to promote the relationship with the allies while ensuring a just cause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to enforce peace for the sake of peace. In the future, PO will act and progress as an important means for peace and securit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 existence of a State party and international It will have a profound impact on the peace and security of society. NATO의 유럽 국가들은 때로는 개별 국가 자격으로, 또 때로는 NATO의 회원국의 일원으로 여러 유형의 PO에 참여해왔다. 냉전이 종식된 후부터 2010년까지 채택된 몇 차례의 NATO의 전략개념은 세계 안보위협요소의 증가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대응개념을 확대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분쟁 해결과 안보위협 요소 제거에 나서겠다는 의지가 담겨져 있다. 이를 위해 특히 위협세력과 위협의 근원에 대해 군사적 대응뿐 아니라 평화활동 참여와 글로벌 파트너십 확장을 통해 위기관리를 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NATO 유럽 국가들의 PO 참여의 함의는 NATO가 국제기구로서 세계평화를 위한 역할을 분담한 것이었으며, EU-NATO 간 안보 역학관계의 산물로 등장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분쟁의 중요 국면에서 시행된 PO의 형태는 전통적 PO를 넘어선 평화강제 임무 수행이었는데 이는 군사적 외교안보 수단과 군사적 공공외교로서의 기능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각국은 국익을 최대한 보장해 주도록 대외관계와 국제환경을 가꾸는 일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되는데 보다 비용이 덜 드는 안보외교정책을 구사하려면 효과적인 동맹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PO(특히 평화강제작전)의 참여는 평화를 위한 평화를 강제하는 것으로서 국제사회로부터의 정당한 명분 보장과 함께 동맹국과의 관계를 증진할 수 있는 아주 좋은 수단이다. 앞으로도 평화활동은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보를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하고 진보할 것이며, 평화강제는 미국이 주도하든 아니면 유럽의 NATO 국가가 주도하든 명분과 실리라는 복잡한 계산 하에서도 당사국의 존립, 그리고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보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것이다.

      • KCI등재

        프랑스의 NATO 복귀 이후 유럽안보질서: 변화와 쟁점

        이승근 한국유럽학회 2019 유럽연구 Vol.37 No.4

        In April 2009, France made a return to the NATO Integrated Military Command Structures. It took 43 years for France to return to NATO after its withdrawal in 1966. This decision is considered very meaningful for the future of the European Security Order.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in the early 1990s, France's return to NATO's military committee in 1995 was an interim process. In the meantime, France had tried to increase its politico-military position in Europe and strengthened its role as a traditional European power. France's return to NATO is an evidence of its self-confidence, and in spite of its return to NATO, France will maintain its liberal position inside of the NATO organs. As keeping the dual policy on NATO, France is likely to strengthen European allies’ role in NATO as it has resisted US leadership within NATO. In this respect, for the sake of European security, NATO will be strategically used and France will improve EU's own military power over NATO. In the long run, France will try to renewal NATO's military structure to broaden European allies’ position in the Trans-Atlantic Alliance. It is expected that after the Brexit of the United Kingdom, France leads the European security order through closer cooperation with Germany rather than the United Kingdom. 2009년 4월 프랑스가 NATO 군사기구에 대한 복귀를 단행하였다. 이는 1966년 탈퇴 후 43년 만에 이루어 진 것으로 유럽안보질서 재편을 앞두고 매우 의미 있는 결정으로 받아 드려지고 있다. 1990년대 초 유럽 냉전 종식 이후 1995년에 이루어진 프랑스의 NATO 군사위원회 복귀는 완전한 복귀를 앞 둔 중간 과정이었다 할 수 있다. 이후 프랑스는 유럽에서 자국의 안보위상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였고, 이러한 과정에서 전통적인 유럽강대국으로서의 역할 강화에 힘을 기우려 왔다. 2009년 프랑스의 NATO 복귀는 그만큼 자국의 자신감을 표출하고 있다는 증거이고, 군사기구 복귀에도 여러 단서조항을 달아 놓고 있어 NATO 내에서 어느 정도 발언권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는 점 또한 특이하다. 프랑스는 그동안 NATO에 대해 이중적인 정책을 구사하여 왔듯이 NATO 복귀 이후에도 미국의 리더십에 저항하는 가운데 유럽동맹국들이 NATO에서 역할을 강화하는 데 앞장설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프랑스는 유럽안보를 위해 우선적으로는 NATO를 전략적으로 이용하되 NATO 보다는 EU의 독자적인 군사력 향상을 위해 노력할 것이다. 또한, NATO의 군사구조가 유럽동맹국들의 입지를 더욱 넓히는 쪽으로 개편되도록 할 것이며, 영국의 브렉시트 이후 영국 보다는 독일과의 더욱 긴밀한 공조를 통해 유럽안보 질서를 주도해 나갈 것으로 분석된다.

      • KCI등재

        NATO의 신전략개념과 글로벌 파트너쉽

        온대원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2 EU연구 Vol.- No.31

        1990년대 초 냉전의 종료와 더불어 NATO는 안팎에서 그 존립근거와 동맹의 미래 역할에 대하여 제기된 강한 도전과 회의에도 불구하고 코소보 전쟁을비롯한 각종 분쟁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다양한 파트너쉽 프로그램의 도입과동유럽 지역으로의 대대적인 회원국 확대를 통해 유럽안보의 중심축 위상을 고수했다. 특히 9/11 이후 글로벌 대테러 전쟁에 본격적으로 참여하면서 아프가니스탄에서의 국제평화지원군(ISAF) 작전을 주도함으로써 유럽-북대서양의 지리적 경계를 뛰어넘어 다양한 안보이슈를 다루는 국제 안보레짐으로 발전해가고 있다. 본 논문은 탈냉전 시대 NATO의 존립과 발전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동맹의 발전방향을 분석한 후, 향후 NATO가 담당할 국제안보역할의 미래를 조망하고자 한다. 저자는 먼저 국가 간 협력과 제도에 대한 신현실주의와자유적제도주의의 이론을 바탕으로 탈냉전시대 NATO의 존립과 발전의 이론적근거를 검토할 것이다. 그와 더불어 지난 10여 년간 NATO의 미래를 둘러싸고치열하게 전개된 미국과 유럽 측 회원국 간의 치열한 논쟁과 그 결과로서 도출된 2010년 신전략개념을 고찰할 것이다. NATO의 신전략개념은 “글로벌NATO”를 통해 21세기 세계질서를 주도하려는 미국의 야심적인 비전과 그에대한 유럽 국가들의 우려와 반발, 그리고 현실적 제약요인 간 타협의 산물로 파악된다. 마지막 장에서는 글로벌 파트너쉽을 중심으로 글로벌 안보기구로서의NATO의 향후 발전 가능성을 고찰하고 그것이 한반도와 동아시아 안보에 갖는 함의를 도출할 것이다. With the end of the Cold War in the early 1990s, the NATO was put into a precarious situation with not so bright prospects of the alliance's survival and continuous development. The institution, however, successfully reinforced its leadership role in European security and carried out a series of major reform measures in order to better cope with the newly emerging global and regional security landscape. Since the mid- 1990s, NATO was engaged in numerous military and civilian-military exercises in many flash points in the world and completed three times of enlargement towards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The Organization strengthened partnership relations with a wide range of state actor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particular, the trend of strengthening its ties with the contact countries in East Asia within the framework of a global partnership represents an essential change in NATO's role in international security. This research will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e adoption of a new strategic concept and the development of a global partnership has affected the alliance's identity and the prospects of its enlargement and transformation in the coming future.

      • KCI등재

        나토와 러시아 : 확대와 대응의 과정과 전략

        배규성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06 한국시베리아연구 Vol.9 No.-

        탈냉전기 새로운 안보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새로운 안보관계의 구축에 대한 NATO와 러시아의 전략과 대응은 정확하게 무엇이 안보의제를 구성해야만 하는가?, 새로운 정치·안보적 질서의 점증적 발전과 그러한 질서가 어떻게 보여야만 하는가? 어떤 기구(EU, WEU 또는 NATO)가 그 속에서 지도적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에 대한 NATO와 러시아의 서로 다른 경쟁적인 의견(비젼)들에 의해 결론 지워진다. NATO와 관련하여, 러시아의 외교정책은 NATO에 의해 수행된 역할에 대해 불평하면서도 인정하며, OSCE를 통해 추구되어 왔던 웅변적인 집단안보(collective security)와 세력균형적 현실주의 정치(balance-of-power realpolitik)간의 불편한 균형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NATO의 확대는 러시아의 위협으로부터 동맹의 보호, 동유럽으로의 안정의 확대, 유럽에 대한 미국의 개입심화라는 일반적인 설명이외에도 NATO는 반드시 유지되어야만 한다는 생각(ideas)의 힘에 의해 불가피해졌다. 결국 NATO의 확대와 안정의 확대가 서로 연관된 개념인 한; 서구 지도자들이 미래의 유럽이 과거의 유럽처럼 될 지도 모른다고 두려워하는 한; NATO 존속에 대한 어떤 대안적 정당화가 정의되거나 표명되지 않는 한; 여전히 대서양동맹의 외부에 존재하는 국가들에 대한 어떤 대안적 제도도 존재하지 않는 한; 이러한 조건들 하에서 NATO확대의 논의(discourse)와 관행(practice)은 계속될 것이다. 따라서 NATO와 러시아의 상호 역학관계는 협력과 갈등의 끝나지 않은 과정인 것이다. In response to the changes of the security environment and challenges of postcomminist Europe, the foreign policies and strategies of NATO and Russia depend on cempeting visions of what should be security agenda, what a new security order should look like and which institutions should play the leading role within it. As far as NATO is concerned, Russian foreign policy is shaped by an uneasy balance between the rhetoric of collective security - pursued through the OSCE, with a grudging acknowledgement of the role played by NATO - and balance-of-power realpolitik. Conventional explanations are simply not sufficient to explain why NATO has embarked upon a process of enlargement. These relate to the dangers of a Russian threat, the possibilities of spreading stability, and to the value of binding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urther into European security structures. To this must be added another explanation. NATO enlargement became inevitable because of the power of the idea that NATO must be preserved. As long as enlargement and spreading stability are connected concepts; as long as Western leaders fear that the Europe of the future might resemble the Europe of the past; as long as no alternative justification for NATO' continuation can be defined and articulated; and as long as there is no institutional alternative to NATO for those still outside the Allianc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discourse, and hence practice, of enlargement will continue. Thus NATO-Russia relation is a on-going process of cooperation and conflict.

      • KCI등재

        프랑스의 NATO군 복귀, ‘프랑스 예외주의’의 종막?

        성일권 한국유럽학회 2009 유럽연구 Vol.27 No.3

        In the French policy's history, the Gaullism was a political ideology which meant an autonomous defense and an independent diplomatic line. France's withdrawal from NATO was a symbolic event which made Gaullism know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e recent return of France to NATO forces means the end of Gaullism.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Nicolas Sarkozy is an admirer of De Gaulle and that his political party, UMP's value is based on Gaullism, the return of France to NATO forces seems to be paradoxical. This must be interpreted in a politically complicated meaning. Why Sarkozy's right wing government decided the return to NATO forces? Does it mean really the end of “French exceptionalism”, so-called “De Gaullism”? As of August 2009 Frane has deployed 3,100 troops, 4th largest in the world, in International Security Assistance Force (ISAF),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s mission in Afghanistan. French forces take the responsibility upon the stabilization and reconstruction of Afghanistan area. But France has no strong representation in NATO's works. In fact, NATO has sought to be “global” in its geographic reach and in the development of non-member partner states that can assist in achieving an agreed mission: Korea, Japan, Australia, New Zealand. However, Paris has argued that NATO was European security organization, and must only operate in and near Europe This paper will respectively analyze France' return to NATO forces to the point of national position as well as international context. In addition, this paper will briefly discuss potential issues to be raised in Korean peninsula. by reviewing geopolitically Korea’s participation as NATO’s new member. 프랑스의 북대서양조약기구(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 재가입을 계기로 향후 NATO의 미래 뿐 아니라, 프랑스의 향후 역할이 더욱 관심을 끈다. 현대 프랑스 정치사에서 드골주의(De Gaullism)는 자주국방, 독자적 외교노선을 상징하는 정치이념이었고, 나토(NATO)로부터의 탈퇴는 드골주의를 국제사회에 알리는 상징적 사건이었다. 따라서 외견상, 프랑스의 최근 NATO 통합군 복귀는 드골주의의 종언(終焉)적 의미로 해석될만하다. 더욱이 드골의 열렬한 숭배자인 사르코지(Sarkozy)와 드골주의에 뿌리를 둔 집권 여당인 대중운동연합(UMP)이 NATO에 전면적으로 복귀한 것은 역설적이며 복합적인 정치적 의미로 해석될 수밖에 없다. 사르코지의 우파 정부는 왜 NATO통합군 복귀를 선택했을까? 과연 프랑스의 ‘예외주의’에 종지부를 찍고, 드골주의와 결별하는 걸까? 프랑스는 미국이 주도하는 아프가니스탄의 재건 및 안정화를 위해 NATO의 산하 기관인 국제치안유지군(ISAF)에 미국, 영국, 독일 다음으로 세계에서 4번째로 가장 많은 병력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프랑스의 NATO내 발언권은 기대만큼 높지 않은 실정이다. 반면, NATO 지도부는 미국과 영국의 주도아래 독일이 지원하는 동구권 국가들을 신규 회원국으로 받아들이는 한편, 지구반대편에 위치한 한국을 비롯한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아시아 국가들에게까지 회원국 자격을 부여하겠다는 복안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프랑스의 NATO군 재가입이 프랑스의 국내정치적 입장과 국제 정치적 입장에서 각각 어떤 의미를 갖는지 분석한다. 본 연구는 우리 정부가 아프가니스탄 전에 대한 참전을 통해 이미 NATO 통합군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상황에서 NATO에 대한 재인식과 성찰의 계기를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동유럽을 향한 NATO 동진 정책과 러시아:

        김철민(Chul-Mi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냉전 무대로 떠오르고 있는 동유럽을 둘러싼 NATO와 러시아 간 갈등 양상을 살펴보고, NATO 동진 정책의 최근 사례들을 소개하는 데 있다. 동유럽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NATO와 러시아 간의 갈등 관계를 설명하고자 한 본 연구는 오늘날 강대국들의 틈바구니 속에 선택을 강요 받거나 혹은 어느 한 쪽만을 선택해야만 하는 여러 중소 국가들의 전략적 고민과 대응을 선험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 2장에서는 동유럽으로의 확대에서 비롯된 NATO와 EU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의 발전에 대해 살펴보게 될 것이다. 제 3장에서는 NATO발전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논의를 바탕으로 NATO에게 있어 동유럽 확대의 전략적 의미와 그 가치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제 4장에서는 우크라이나 사태이후 NATO와 러시아 간 신(新)냉전 무대로 떠오르고 있는 동유럽의 의미를 살펴보고, 점차 가열되고 있는 NATO와 러시아 간 갈등과 충돌 현황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제 5장에서는 2016년에 일어난 최근 사례들을 중심으로 동유럽을 향해 현재 진행 중인 NATO의 동진정책 내용들을 분석하게 될 것이다. 특히 이 장에서는 최근 NATO 동진 정책의 대표적인 세 가지 사례들, 즉 몬테네그로의 NATO 가입, 루마니아 MD 기지 가동 그리고 폴란드와 발틱 3국에 대한 NATO 병력 파병 결의 등을 중심으로 그 파장과 의미를 설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NATO가 직면하고 있는 여러 사안들을 분석하고, 동유럽을 둘러싼 NATO와 러시아 간의 갈등에 대한 향후 전망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spects of conflict between the Russia and the NATO over the Eastern Europe which emerged as a stage of the ‘New Cold War’, having recently introduced the current statues and case studies of the NATO’s policy toward the Eastern Europe. The research effects of this study is to able to understand the strategic concerns and responses of many medium-small sized countries which have to choose or forced to choose between Powers. In chapter 2 of this study, I will introduce the development of a strategic partnership between the NATO and the EU which came from expansion policy into the Eastern Europe. In chapter 3, based on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discussion on the NATO’s development and expansion, I will analyze strategic meaning and value of expansion toward the Eastern Europe. In chapter 4, I will study the meaning of the Eastern Europe emerging as a main stage of the ‘New Cold War’ between the NATO and the Russia after the Ukraine Crisis. And also I will introduce the current status of conflict and conflict between the NATO and the Russia. In chapter 5, I will analyze the NATO’s policy toward the Eastern Europe focusing on the recent cases which happened in 2016. In particular, in this chapter I will describe the meaning and aftereffect of the NATO’s policy toward the Eastern Europe with three case studies: the Montenegro became a member of the NATO, the construction of the MD missile base in the Romania, and the NATO’s determination on the dispatch of troops to the Poland and the Baltic countries. Finally, in the conclusion I will analyze various issues of the NATO, and propose prospect and implication about the conflicts between the NATO and the Russia around the Eastern Europe

      • KCI등재

        6‧25전쟁이 NATO의 확대에 미친 영향 - 그리스와 터키를 중심으로 -

        정기혁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3 군사 Vol.- No.128

        본 연구는 6·25전쟁이 북대서양조약기구(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 이후 NATO)의 확대에 미친 영향은 무엇이었으며, 특히 그리스와 터키를 중심으로 NATO의 확대가 이루어진 과정을 연구한다. NATO는 1949년 4월 4일 소련의 팽창을 저지하기 위해 창설되었다. 6·25전쟁이 발발하자 NATO는 소련에 대하여 실질적인 위협을 느끼게 되었고 그에 따라 동맹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기존의 연구들 중에서는 6·25전쟁과 NATO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제기한 연구가 드물었다. 일부분 연관성이 언급되기는 하였으나, 당시 NATO의 인식변화의 배경으로서만 언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NATO의 창설부터 6·25전쟁 이후 NATO의 위협인식과 변화, 그리고 그리스와 터키의 6·25전쟁 참전 이후 NATO의 확대까지의 과정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당시 NATO의 전략문서와 이후 분석된 2차 사료들을 중점적으로 활용한다. NATO는 6·25전쟁을 계기로 동맹의 확대를 고려하면서 중동과 지중해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보다 더 동쪽으로의 확대를 위해 그리스와 터키의 회원국 가입을 고려하게 되었다. 그리스와 터키는 NATO에 가입하기 위한 정치적 의도로서 6·25전쟁에 참전하였고, 결론적으로 미국을 비롯한 NATO회원국들은 1952년에 두 국가가 가입하는데 동의함으로써 동맹의 1차 확대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6·25전쟁으로 인한 NATO의 확대를 연구하는 것은 현재 진행 중 인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을 이해하고, 그로 인해 약 7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강력하게 유지되고 있는 NATO동맹의 확대를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he Korean War on the expansion of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 and the process of NATO expansion, especially in Greece and Turkey. NATO was founded on April 4, 1949 to stop Soviet expansion.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NATO felt a real threat to the Soviet Union and needed to strengthen its alliance accordingly. Among the existing studies, there were rare studies directly rai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War and NATO. It was mentioned as part of the relationship, but only mentioned as the background of the recognition chang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from the creation of NATO to the perception and change of NATO's threats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expansion of NATO after Greece and Turkey'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To this end, NATO's strategic documents at the time and secondary sources analyzed later are mainly used. In the wake of the Korean War, NAT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Middle East and the Mediterranean Sea as it considered the expansion of the alliance, and considered the membership of Greece and Turkey for further eastward expansion. Greece and Turkey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with political intentions to join NATO, and in conclusion, NATO member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greed to join in 1952, resulting in the first expansion of the alliance. It is hoped that studying NATO's expansion due to the Korean War will help us understand the ongoing Ukraine-Russia war and thereby study the expansion of the NATO alliance, which remains strong even about 70 years later.

      • Relationship between Bulgaria and the Central-East European Countries in the 21th

        안성호(Ahn,Sung-ho)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3 동유럽발칸학 Vol.5 No.2

        구사회주의 체제에서 탈피한 후 불가리아는 다른 동구권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민주주의와 민주화, 시민사회, 인권, 경제민주주의, 시장경제를 적극 추진하면서 동구권국가들과 상호 보완적이고 협력적인 관계를 추진하고있다. 그리고 UN(United Nation), OECD(Organization Economic Cooperation Development), EU(European Union), WTO(World Trade Organization) 등에서 새로운 협력과 민주화실천의 경험을 갖추고 있는 다른 동구권국가들과 서방 선진국들이 불가리아에 대하여 민주주의를 잘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면 앞날의 전망은 매우 희망적이고 낙관적라고 볼 수 있다. 지난번NATO 19개국정상들이2002년11월22일프라하에서발틱3국,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등 7개국을 2004년 가입예정국으로 발표한 것도 불가리아에게는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사실상 미국과 서유럽국가들은 물론 한편으로 NATO의 확장과 영향력확대를 희망해왔다. 불가리아도그동안NATO가입을적극추진하여왔는데94년2월에는 평화를 위한 동반자관계(PfP)에 서명하고, NATO 기준에 따른 군개혁 및 NATO 와의 고위급 정치대화를 강화하였다. 전시에는 NATO군 보호에 전적으로 의지하며 NATO군의 해외작전에 참여한다는 내용의 군사정책 선언안을 채택하는 등 조속한 NATO나토 가입 심의를 위한 노력을 전개했었다. 또한 불가리아는 기본적으로 발칸 역내국간 배타적 동맹결성에 반대하고 선린 우호관계를 추구하며, 최근 역내국간 정치․안보협력 증진을 위한 남․동유럽국방장관 회의 및 외무장관 회의 등에 적극 참여 하고 있으며, 코소보 사태를 계기로 99년 8월 창설한 발칸지역 다국적 평화유지군에서도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다른한편EU의경우는발틱3국, 폴란드, 체코, 헝가리,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국가가 2004년 가입하게 되었으나 불가리아는 탈락하였다. 그동안 헝가리, 체코, 폴란드 등 동구권국가들은 EU정회원 가입을 위하여 ① 제반여건 충족, ② 상품의 EU시장 접근조건 개선,③ 경제개발에 필요한 자원획득 조건의 개선,④ 농업과 신규산업을 위한 시장보호, ⑤ EU준회원국 협정이행속도완화등의노력을기우려왔다. 그동안불가리아도서유럽국가와의 통합을 위하여 EU가입 등을 주요 외교정책 목표로 설정하여왔다. EU는 인권의 존중과 민주주의정치체제의 구현을 가입조건으로 명문화하였고 불가리아도 이를 극복하면서 EU가입을 희망하여온 거이 사실이다. 사실상 불가리아의 시장자본주의도입을 위해서는 EU가입이 중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기가입한 동구권국가들의 협력과 교훈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본다. EU 확대일정이순조롭게진행될경우2007년에는루마니아와불가리아가회원국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불가리아가EU가입을위해서는NATO 회원국가들은물론동구권 국가들과의 상호협력증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CEFTA, 비세그라드 (Visegrad)체제, 중구협력구상(CEI)등 불가리아가 참여하지 않고 있는 역내기구의회원국들과 적극적인협력관계를 추진해야한다. 그리고불가리아가 참여하고 있는 흑해경제협력기구(BSEC)를 적극 활용하여 수송, 에너지. 통신, 농업, 금융 및 환경협력 강화를 주도해야할 것이다. 불가리아의 EU가입을위해서우선정치․경제적처지가비슷한동구권국가들과의단합과협력이무엇보다중요하다. 불가리아가이미NATO에가입하였고그리고앞으로 EU가입을 추진하면서 외교, 정보, 통상, 군사안보 측면에서 국익을 취함과 동시에 동구권과의 협력관계를 더욱더 강화할 때 불가리아는 대외관계와 세계화전략이 한층 더 성공적으로 추진될 것이다. The main them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broad relationship between Bulgaria and Central-East European Countries(CEECs), focusing on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hip. I am going to discuss the new millennium vision and prosp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ulgaria and CEECs. Actually, CEECs have not only experienced economic reform even under the communist rule but also tried systemic change after the collapse of the communist regime. CEECs are important to Western European Countries(WECs) for the west european market. Their relationship has been closer and closer. The market share of EU in CEECs import market increased from in 1990s. WECs cannot consider that CEECs separated from the other part of Europe anymore with joining NATO & EU. I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various cultural exchanges as well as in the political, diplomatic and economic relationships with CEECs. There are many differences & similarity between Bulgaria and CEECs in Political, Economical and Geographical arena. Membership of EU will continue to produce posi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lgaria and CEECs. Problems of Bulgaria should be solved through this peaceful democratic process. Facing a New World order with EU and NATO, Bulgaria has to get international support from various areas in the world to enhance her international standing. Facing joining in EU & NATO, and a New World order, CEECs has to get international support from various areas in the world to enhance her international standing. EU & NATO has supported CEECs's globalization and CEECs's policy about it at UN and elsewhere. Furthermore, regarding Bulgaria as present and future partner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Bulgaria should make short and long term strategies from personal to cultural interchange as well as strengthen the trust in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CEE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