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말 20세기 초 백두산에 대한 인식변화

        김재영 한국역사민속학회 2017 역사민속학 Vol.0 No.53

        The concept of Jojongsan(Ancestral Mountain) and Baekdudaegan about Mt. Baekdu has been strengthened through the Koryo and the Joseon Dynasties. The recognition about Mt. Baekdu was expressed with the reflection of the ancestral mountain formed from a view of a Layer of Land on a literary works written in the late Koryo by Fengshui Theory in the late Silla and the early Koryo and also expressed as the religion for national protection on the birth tale of Koryo Wang-geon and the Palseongdang record. The recognition of the ancestral mountain about Mt. Baekdu and its importance as the highest mountain of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recogniz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it has been excluded in the system of national rituals. During Mt. Baekdu Demarcation Stone installed the reign of King Sukjo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Mt. Baekdu was formally incorporated into the national rituals system. At the same time, the recognition of Jojong about Mt. Baekdu and the idea of Baekdudaegan were symbolized by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geography represented by the Sangyeongpyo of Shin Kyungjun and the idea of territory to the north organized geographical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t the time when the unity of the nation is required after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e birthplace of Dangun was verified as Mt. Baekdu by the national historians Shin Chaeho, Choi Namseon, etc. Logical basis were established that Mt. Baekdu was a symbol of the korean race’s origin as well as the nation’s numinous mountain. This process was a product of the desire of the period to establish the national identity. The birthplace of the Dangun, the progenitor of nation, Mt. Baekdu were formed the recognition of numinous mountain for a Jojong of our mountains. This was handed down not only to the writings of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nationalists but also to foreigners and missionaries who traveled to Korea, and It also appeared in the essaies of Min Taewon, Shim Cheonpung, Anh Jaehong, Choi Namseon, etc., who visited Mt. Baekdu. Since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e formation of recognition and the process of spread of Mt. Baekdu as the numinous mountain of the race had been released on the modern newspaper which was immense in influence for the formation of discussion of the nation. Articles on a sacred characters of Dangun and Mt. Baekdu and articles about the nationalistic Mt. Baekdu as a national identity were frequently written between 1910 and 1930. However, since the 1930s, readers were interested in modern news rather than nationalism articles. Modern newspaper had edited Mt. Baekdu’s tourism attractions, natural resources and forest development as modernization and development according to a political role of Japanese imperialism. This seems to be aimed at justify not only the acceptance of Mt. Baekdu, a spiritual mountain of the Korean people as a intermediation of imperialism but also the process of pursuing modernity through Japan. This duplicity of imperialistic recognition on Mt. Baekdu had been assumed a same aspect on production and supply of maps and compilation of geography education books. This study introduces how the Mt. Baekdu has been perceived through the historical situations and the stream of the times. As “The Invention of Tradition” of nationalism, the formation and spread of recognition about Mt. Baekdu has been elaborated for the identity establishment of a nationalists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s and requirements of each period. Many parts in our history have been symbolized along with Mt. Baekdu. However none of them were to be made ideological and sharp as that of the Mt Baekdu. Mt. Baekdu was nationalistically interpreted by the ancestral mountain, the national mountain, and the capitalistic modernity. 본 논고는 근대계몽기 이후 백두산이 ‘민족의 靈山’으로 인식되는 과정을 민족 개념과 민족주의의 영향을 받은 단군론, 근대성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래서 백두산의 조종관념과 영토의식을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의 문헌을 통해 살펴보고, 백두산을 ‘民族의 산’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근대 신문, 백두산답사기, 선교사들의 유람기, 잡지 등을 통해 재구하였다. 이는 민족의 정체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시대적 열망의 결과였다. 근대계몽기 이후 민족 담론 형성에 영향력이 컸던 근대 신문을 통해 백두산 인식 양상을 분석하였다. 1910년부터 1930년까지 단군과 백두산의 신성성 및 민족의 정체성으로서의 민족주의적인 백두산 인식에 관한 기사가 빈출하였다. 1930년대 이후는 관광자원, 천연자원, 삼림개발 등 일본 제국주의 정책을 자본주의 근대성의 명목으로 기사화한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백두산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근대 신문과 문인들의 활동 등을 통해 확산되었다. 본 연구는 백두산 인식이 역사적 상황과 시대적 흐름 속에 변화해 온 과정을 주목하였다. 집단의 기억 속에 공유된 상징은 공동체의 사회통합이나 소속감을 구축하기 위하여, 체계나 제도를 정당화하며 사회화나 가치체계 행위규범 주입으로 만들어져 왔다. 백두산에 대한 인식 형성과 확산을 ‘민중운동 속에서 실제로 보존되어 왔던 게 아니라, 기능적 전문가들에 의해 선택되고 쓰여지고 묘사되고 대중화되고 제도화되어 온’ “만들어진 傳統”이라는 시각으로 보았다. 본고는 백두산에 대한 인식 변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전통이 實體가 아니었을지 모르나 實在하였던 인식․상징․관념으로 우리 삶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연구한 데 의미가 있다.

      • KCI등재

        19세기 국제질서와 영국인의 백두산 등반 -영국인의 백두산 여행기를 중심으로-

        우명길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roaden the horizons of researches on Mt. Baekdu, by investigating the backgrounds and aspects of the British’s Mt. Baekdu climbing in the 19th century. Mt. Baekdu, the highest mountain 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mountain. It is the northernmost mountain that forms the border between Korea and China, along with the Yalu River to the west and the Tuman River to the east. It also has been worshipped as the birthplace of the Qing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Mt. Baekdu was not climbed only by Koreans, but also by Chinese, British, Russians and Japanese, who climbed Mt. Baekdu in different eras. Foreigners climbed Mt. Baekdu a total of 20 times, exceeding the 15 times that Koreans climbed Mt. Baekdu. Mt. Baekdu is the only mountain on the Korean Peninsula that has been climbed by foreigners more than once. In 1886, when Henry James and his party climbed Mt. Baekdu on their way to Manchuria, British people started climbing Mt. Baekdu. In 1889, Charles Campbell's team climbed Mt. Baekdu but failed, and in 1891, Goold Adams, a member of John Cavendish' team, succeed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Russians followed the British who competed in the Great Game to climb Mt. Baekdu, and in the 20th century, during the last five years of the Joseon Dynasty, the Japanese, who won the war against Russia, took the lead, ending the climbing of Mt. Baekdu by foreign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first Westerner to climb Mt. Baekdu by an Englishman was made possible thanks to the British policy to advance to the Far East and the British post-Alps movement. The Britain entered Far East Asia and explored Manchuria and Joseon. Just in time, British mountaineers got out of the Alps and focused on climbing high mountains on other continents, such as the Himalia, but military officers and civil servants who worked in India, China, and Joseon began climbing Mt. Baekdu. The British climb of Mt. Baekdu seems to have been done as a part of The Great Game between the Britain and the Russia over Asia. After winning the two Opium Wars, Britain paid attention to the Manchuria region and worked hard to collect geographical and industrial information. The fact that the British climbed Mt. Baekdu in the 19th centur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the first Western mountain climbing in Korea and the first modern mountaineering combined with academic exploration. They attempted to climb Mt. Baekdu three times and succeeded in reaching the summit twice. Each time, they carried measuring instruments such as barometers and thermometers, and measured time, distance, temperature, weather, altitude, latitude, and longitude at each destination, including Mt. Baekdu. The British perceived the Chinese and Koreans negatively, saying that they were lazy and dirty. Modern mountaineering initiated by the British was succeeded by Choi Namseon and others who climbed Mt. Baekdu in the 1920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본고는 19세기에 영국인들이 백두산을 등반한 배경과 양상을 구명해 백두산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데 목적이 있다. 백두산은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예부터 조종산(祖宗山)으로 인식되어 왔다. 백두산은 서쪽의 압록강 및 동쪽의 두만강과 더불어 한국과 중국의 국경선을 이루고 있는 최북방의 산이다. 조선의 조종산인 백두산은 청나라의 발상지로 숭앙받고 있다. 조선 후기에 들어 백두산은 조선인만 오른 것이 아니다. 청국인, 영국인, 러시아인과 일본인들이 연대를 달리하며 백두산을 올랐다. 외국인의 백두산 등반은 총 20회 실시되어 조선인의 백두산 등반 15회를 상회한다. 한반도에서 두 번 이상 외국인이 오른 산은 백두산이 유일하다. 1886년 헨리 제임스 일행이 만주 지역 여행길에 백두산을 등정하는 것으로써 영국인의 백두산 등반이 시작되었다. 1889년 찰스 캠벨이 백두산을 등반했으나 등정에 실패했고, 1891년 존 캐번디시 팀의 일원인 굿 애덤스가 등정에 성공했다. 19세기 종반에 들어 러시아인들은 그레이트 게임에서 경쟁한 영국인들을 이어 백두산을 등반했고, 20세기 들어 조선 왕조의 마지막 5년 동안은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인들이 주도하는 것으로써 조선 후기 외국인들의 백두산 등반은 종료되었다. 서구인 최초로 영국인이 백두산을 등반한 데는 영국의 극동 진출 정책과 영국인의 탈(脫) 알프스 운동에 힘입어 이루어졌다. 가장 먼저 산업혁명에 성공한 극동아시아에 진출하면서 만주와 조선 지역을 탐사했다. 때마침 영국의 산악인들은 알프스에서 벗어나 히말라야 등 다른 대륙의 고산 등반에 주력했는데 인도, 중국과 조선에 근무한 군 장교와 공무원들이 백두산 등반에 나섰다. 영국인의 백두산 등반은 영국과 러시아가 아시아를 두고 벌여온 그레이트 게임(The Great Game)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두 차례의 아편전쟁에서 승리한 영국은 만주 지역에 관심을 두고 지리정보와 산업정보 수집에 힘썼다. 19세기 영국인들이 백두산을 등반한 것이 의미를 갖는 것은 서구인 최초의 국내 산 등반으로, 학술탐사를 병행한 최초의 근대등산이라는 것이다. 영국인들은 3차례 백두산 등반을 시도해 두 차례 정상 등정에 성공했다. 그때마다 기압계와 온도계 등 측정 기구를 가지고 다니면서 백두산을 비롯한 여행지마다 시간, 거리, 기온, 날씨, 고도, 위도, 경도 등을 측정했다. 백두산 여행기에 나타난 청국인과 조선인들에 대한 영국인들의 인식은 게으르고 불결하다며 대체로 부정적이었다.

      • KCI등재

        백두산의 ‘민족 영산’으로의 표상화

        박찬승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5 No.-

        백두산은 오늘날 흔히 ‘민족의 영산’이라고 불리고 있다. 이러한 표현은 언제부터 등장한 것일까. 그리고 한국인들의 백두산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변해왔을까. 백두산은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주로 조선 산천의 조종산이라는 지리적 표상으로서 의미를 갖고 있었다. 이는 조선후기까지 이어졌으며, 조선후기에 백두산은 중국의 곤륜산과 대등한 명산으로서, 조선의 소중화 문화를 상징하는 존재로 받아들여지기도 했다. 또 1712년 백두산정계비를 세워지면서 백두산의 일부가 조선의 영토에 확실히 편입되었기 때문에, 비록 소수이지만 백두산에 관심을 갖고 이곳에 다녀오는 이들도 나타났다. 19세기 후반 들어 함경도의 주민들 가운데 두만강을 건너 간도지역으로 이주하는 이들이 늘어났다. 그리고 이들은 백두산정계비에 나오는 토문강은 두만강과 다른 강으로서 송화강의 한 지류라고 주장하였다. 대한제국 정부도 한때 그와 같은 인식을 갖고 청국과 국경 교섭에 나섰다. 그러나 1712년 정계비를 세울 당시 ‘토문강은 두만강과 같다’고 기록한 문서가 발견되면서 정부는 이와 같은 주장을 접을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청국과의 국경 분쟁 과정에서 지식인들의 백두산에 대한 관심은 그만큼 높아졌다. 그런 가운데 1908년 신채호가 대한매일신보에 연재한 「독사신론」에서 삼국유사의 단군 관련 기사에 나오는 태백산은 묘향산이 아니라 백두산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는 안정복의 『동사강목』에 근거한 것이었다. 하지만 그 근거가 확실한 것은 아니었다. 1909년 나철은 단군교(1년 뒤의 대종교)를 세우고 신채호의 설을 이어받아 ‘백두산=단군탄강지’론을 강력히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주장은 1910년대 대종교들 사이에서 널리 퍼졌고, 1920,30년대에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이를 더욱 확산시켰다. 두 신문사는 백두산 탐험단을 조직하고, 강연회, 전시회 등 각종 행사를 개최함으로써 ‘백두산=단군탄강지’론을 대중들 사이에 크게 확산시켰다. 그리고 이를 권덕규, 최남선 등이 학문적으로 뒷받침하려 노력했다. 그런 가운데 동아일보는 ‘백두산은 조선의 영산’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는데, 이는 당시 ‘富士山은 일본의 영산’이라는 담론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백두산은 이제 지리적 표상보다는 역사적 표상으로서의 의미를 더 갖게 되었다. 해방 이후 남한 사람들은 한동안 백두산을 갈 수 없었다. 그러다가 1980년대 중반 중국을 통해 백두산에 갈 수 있게 되었다. 이후 남한의 언론과 관광업계는 ‘백두산=민족의 영산’이라는 담론을 만들어냈다. 물론 이는 ‘백두산=민족탄강지’라는 담론을 더 추상화시킨 것이었다. 그리고 여기에 ‘백두산=민족 분단과 통일염원의 상징’이라는 이미지가 덧보태어졌다. 또 최근에는 한반도의 모든 산맥이 ‘백두대간’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주장이 확산되면서 백두산의 지리적 표상으로서의 의미도 다시 강조되고 있다. Mt. Baekdu is commonly called as a “national sacred mountain” today. When did this expression first come out? In addition, how has the people’s awareness of the mountain changed in Korea?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Mt. Baekdu was meaningful as a geographical symbol as an ancestral mountain of the national nature. And during the late Joseon, the mountain was often regarded as a valuable cultural symbol of Joseon, which is a great mountain equivalent to the Mt. Kunlun in China. Some parts of Mt. Baekdu were decidedly integrated into the territory of Joseon based on the demarcation stone established in 1712. Under the circumstances, there are people who climb Mt. Baekdu, albeit not many, with interests into the mountain. In the late 19th century, more people in Hamgyung-do moved to the Gando area across Tuman River. They argued that Tomun River specified in the demarcation stone of Mt.Baekdu was different from Tuman River and rather a branch of Songhua River. The government of the Great Han Empire once promoted the territorial negotiations with the Qing dynasty from the same perspective of the argument mentioned above. However, as the documents were discovered that recorded “Tomun River equals Tumen River” when establishing the demarcation stone in 1712, the government had to drop the argument. During the process of territorial disputes with the Qing dynasty, however, intellectuals developed more interests in Mt.baekdu. Meanwhile, in Doksasillon (a new guide to reading history) published serially by Shin Chae-ho in Daehan Maeil Shinbo in 1908, Shin argued that Mt. Taebaek in the Dangun-related article in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ree Kingdoms) referred to Mt. Baekdu rather than Mt. Myohyang. This was based on Dongsa Gangmok (a Korean history book) written by Ahn Jeong-bok. However, the ground was still not confirmed. In 1909, Na Chul created the religion of Dangun (religion of Daejong 1 year later) and strongly claimed the theory of “Mt. Baekdu=Birthplace of Dangun” inheriting the theory of Shin Chae-ho. Such argument was widespread in the religion of Daejong in the 1910 and more proliferated by Donga Ilbo and Chosun Ilbo in the 1920s to 30s. The two newspapers organized the expedition of Mt. Baekdu and held various events such as lectures and exhibitions which largely spread the theory of “Mt. Baekdu=Birthplace of Dangun” among the public. The intellectuals such as Kwon Duk-kyu and Choi Nam-sun also made efforts to support the theory in an academic way. Donga Ilbo used the expression of “Mt. Baekdu is the sacred mountain of Joseon”, which was influenced by the discourse of “Mt. Fuji is the sacred mountain of Japan”. Through the process, Mt. Baekdu has gained more significance as a historical symbol rather than a geographical symbol. After liberation, South Koreans had no access to Mt. Baekdu for a while. Then, from the mid 1980s, they were able to go to the mountain via China. Since then, South Korean media and tourism industry created the discourse of “Mt. Baekdu=National Sacred Mountain”. Of course, this was a more abstract version of the discourse of “Mt. Baekdu=National Birthplace”, which was added by the image of “Mt. Baekdu=Symbol of National Division and Wish for Unification”. Moreover, with the spread of the argument that all mountains of the Korean peninsula are linked to the “Baekdu-daegan”, the significance of Mt. Baekdu as a geographical symbol is being reemphasized.

      • KCI등재

        연변 조선족 시인들의 시에 나타난 백두산의 의미

        조대희(Cho, Dae-hee),이승하(Lee, Seung-ha) 한국비평문학회 2016 批評文學 Vol.- No.61

        연변 조선족 시인들의 시에는 백두산을 소재로 한 작품들이 적지 않다. 특히 오랜 냉전으로 인해 남북 간, 대한민국과 중국 조선족 동포사회 간 교류가 단절되었던 상황에서 민족의 성산으로 일컬어지는 백두산의 의미를 조선족 시인들의 시를 통해 되짚어보는 일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백두산과 관련한 여러 시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모성적 성지로서 천지가 지닌 이미지다. 화산 활동을 통해 생성된 천지는 북쪽으로는 송화강, 동쪽으로는 두만강, 그리고 서쪽으로는 압록강으로 이어진다. 역사적 수난기에 백두산에 오르거나 백두산을 그리워하는 행위는 천지가 곧 아픔을 정화하고 치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천지는 우리 민족이 터전으로 삼은 만주와 한반도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모성적 성지로서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해오고 있다. 다음으로 1880년대 대기근을 피해 고향을 떠난 조선족들이 겪은 이산의 아픔과 연변 정착 과정의 고통이 백두산을 통해 잘 나타나 있다. 이민족으로서 타국 타지에 정착하는 과정에 차별과 모욕을 견뎌온 조상들의 애환도 잘 드러난다. 고국이 일제에 강점된 후에는 독립군들이 백두산과 연변 지역에서 전개한 항일 투쟁과 고난 성취 과정 등이 나타나 있다. 이것은 백두산이 우리 민족의 살아있는 역사적 현장임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민족의 분단과 갈등의 현실을 마주하며 동질성 회복을 위한 구심체로서 백두산을 예찬하고 있다. 백두산의 지리적, 역사적 현장의 의미를 되새기면서 민족의 원형을 각성하고 신뢰 회복을 통해 통일을 이룩하기를 바라고 있다. 이를 통해 널리 인류의 평화와 번영의 길로 나아가기를 소망한다. 세 가지로 나누어본 백두산의 의미와 가치는 개별성을 넘어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백두산의 의미가 단순히 신화에 머무르지 않고 우리 민족의 역사적 현장에 늘 함께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분단된 조국의 현실에서 연변 조선족 시인들이 한민족의 정체성과 민족혼을 백두산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는 점은 민족동질성 회복을 위해 분단국가에 살아가는 시인의 사명을 되새겨보게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일련의 성과는 문학사적으로도 매우 가치가 있다. There are lots of poems about Mt Baekdu written by the ethnic poets living in Yanbian province, China. It is very significant to review the Mt Baekdu called the sacred place of all the Korean through the poems by the ethnic poets especially in Yanbian province in the condition of the separation and the severance of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South-North Korea and South Korea-Ethnic Korean living in China incurred by Cold War. In regard to Mt Baekdu, the following features come into sight. First of all, Chunji at the top of Mt Baekdu appears to be a maternal sacred place in the poems. Chunji which was created as the result of a volcanic activity is connected to Songhwua river to the north, Tumen river to the east, Yalu river to the west. Such an act of Climbing up or yearning for Mt Baekdu during the national and historical periods of ordeal shows that the Chunji has the functions for purifying and healing its torments soon after. Like aboves, Chunji that we (our ethnic group) used to set up a base for the nation is located not only in the middle of Manchuria and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functioning as a spiritual anchor and a maternal sacred place in the mind of poets. Second, the poetries regarding Mt Baekdu well describe the ethnic Koreans, living in Yanbian who had left their hometown escaping from the great famine in homeland in 1880, suffering lots of painful separations and the difficulties of settling in Yanbian province. They also show Joys, sorrows, discriminations and insults that our ancestors went through in the process of settling in a foreign country as emigrants. The anti-Japanese struggles and fights broken out in the area of Mt Baekdu and Yanbian province by Korean resistance guerrilla for their independence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hardship under Japanese imperialism appear vividly in the poems. It also shows that Mt Baekdu represents the vivid historical site and the background to all the Korean who lost their homeland. Lastly, the poetries praise Mt Baekdu as a centripetal point for recovering cultural homogeneity, facing the reality of separation, conflicts and discords of Homeland.The poetries wish the nation to be reunified through the process of awakening and arousing national consciousness by reminding the geographic and historic meanings of Mt Baekdu. The poets also hope that unified Korea contributes to the way of the peace and the prosperity for the whole world. The meanings and values of Mt Baekdu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are mutually and organically linked together beyond the individual characters. This is because Mt Baekdu remains not only as a myth but also accompanies in the historic place at all times with us. In spite of the national separation, the ethnic Korean poets in Yanbian province tried to present the national identity and the spirit through Mt Baekdu and which reminds the poets living in the separated country of recovering the national homogeneity.

      • KCI등재

        백두산의 “민족 영산”으로의 표상화

        박찬송 ( Chan Seung Park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5 No.-

        백두산은 오늘날 흔히 ``민족의 영산``이라고 불리고 있다. 이러한 표현은 언제부터 등장한 것일까. 그리고 한국인들의 백두산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변해왔을까. 백두산은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주로 조선 산천의 조종산이라는 지리적 표상으로서 의미를 갖고 있었다. 이는 조선후기까지 이어졌으며, 조선후기에 백두산은 중국의 곤륜산과 대등한 명산으로서, 조선의 소중화 문화를 상징하는 존재로 받아들여지기도 했다. 또 1712년 백두산정계비를 세워지면서 백두산의 일부가 조선의 영토에 확실히 편입되었기 때문에, 비록 소수이지만 백두산에 관심을 갖고 이곳에 다녀오는 이들도 나타났다. 19세기 후반 들어 함경도의 주민들 가운데 두만강을 건너 간도지역으로 이주하는 이들이 늘어났다. 그리고 이들은 백두산정계비에 나오는 토문강은 두만강과 다른 강으로서 송화강의 한 지류라고 주장하였다. 대한제국 정부도 한때 그와 같은 인식을 갖고 청국과 국경 교섭에 나섰다. 그러나 1712년 정계비를 세울 당시 ``토문강은 두만강과 같다``고 기록한 문서가 발견되면서 정부는 이와 같은 주장을 접을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청국과의 국경 분쟁 과정에서 지식인들의 백두산에 대한 관심은 그만큼 높아졌다. 그런 가운데 1908년 신채호가 대한매일신보에 연재한「독사신론」에서 삼국유사의 단군 관련 기사에 나오는 태백산은 묘향산이 아니라 백두산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는 안정복의 『동사강목』에 근거한 것이었다. 하지만 그 근거가 확실한 것은 아니었다. 1909년 나철은 단군교(1년 뒤의 대종교)를 세우고 신채호의 설을 이어받아 ``백두산=단군탄강지``론을 강력히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주장은 1910년대 대종교들 사이에서 널리 퍼졌고, 1920,30년대에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이를 더욱 확산시켰다. 두 신문사는 백두산 탐험단을 조직하고, 강연회, 전시회 등 각종 행사를 개최함으로써 ``백두산=단군탄강지``론을 대중들 사이에 크게 확산시켰다. 그리고 이를 권덕규, 최남선 등이 학문적으로 뒷받침하려 노력했다. 그런 가운데 동아일보는 ``백두산은 조선의 영산``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는데, 이는 당시 ``富士山은 일본의 영산``이라는 담론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백두산은 이제 지리적 표상보다는 역사적 표상으로서의 의미를 더 갖게 되었다. 해방 이후 남한 사람들은 한동안 백두산을 갈 수 없었다. 그러다가 1980년대 중반 중국을 통해 백두산에 갈 수 있게 되었다. 이후 남한의 언론과 관광업계는 ``백두산=민족의 영산``이라는 담론을 만들어냈다. 물론 이는 ``백두산=민족탄강지``라는 담론을 더 추상화시킨 것이었다. 그리고 여기에 ``백두산=민족 분단과 통일염원의 상징``이라는 이미지가 덧보태어졌다. 또 최근에는 한반도의 모든 산맥이 ``백두대간``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주장이 확산되면서 백두산의 지리적 표상으로서의 의미도 다시 강조되고 있다. Mt. Baekdu is commonly called as a “national sacred mountain” today. When did this expression first come out? In addition, how has the people`s awareness of the mountain changed in Korea? 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Mt. Baekdu was meaningful as a geographical symbol as an ancestral mountain of the national nature. And during the late Joseon, the mountain was often regarded as a valuable cultural symbol of Joseon, which is a great mountain equivalent to the Mt. Kunlun in China. Some parts of Mt. Baekdu were decidedly integrated into the territory of Joseon based on the demarcation stone established in 1712. Under the circumstances, there are people who climb Mt. Baekdu, albeit not many, with interests into the mountain. In the late 19th century, more people in Hamgyung-do moved to the Gando area across Tuman River. They argued that Tomun River specified in the demarcation stone of Mt.Baekdu was different from Tuman River and rather a branch of Songhua River. The government of the Great Han Empire once promoted the territorial negotiations with the Qing dynasty from the same perspective of the argument mentioned above. However, as the documents were discovered that recorded “Tomun River equals Tumen River” when establishing the demarcation stone in 1712, the government had to drop the argument. During the process of territorial disputes with the Qing dynasty, however, intellectuals developed more interests in Mt.baekdu. Meanwhile, in Doksasillon (a new guide to reading history) published serially by Shin Chae-ho in Daehan Maeil Shinbo in 1908, Shin argued that Mt. Taebaek in the Dangun-related article in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ree Kingdoms) referred to Mt. Baekdu rather than Mt. Myohyang. This was based on Dongsa Gangmok (a Korean history book) written by Ahn Jeong-bok. However, the ground was still not confirmed. In 1909, Na Chul created the religion of Dangun (religion of Daejong 1 year later) and strongly claimed the theory of “Mt. Baekdu=Birthplace of Dangun” inheriting the theory of Shin Chae-ho. Such argument was widespread in the religion of Daejong in the 1910 and more proliferated by Donga Ilbo and Chosun Ilbo in the 1920s to 30s. The two newspapers organized the expedition of Mt. Baekdu and held various events such as lectures and exhibitions which largely spread the theory of “Mt. Baekdu=Birthplace of Dangun” among the public. The intellectuals such as Kwon Duk-kyu and Choi Nam-sun also made efforts to support the theory in an academic way. Donga Ilbo used the expression of “Mt. Baekdu is the sacred mountain of Joseon”, which was influenced by the discourse of “Mt. Fuji is the sacred mountain of Japan”. Through the process, Mt. Baekdu has gained more significance as a historical symbol rather than a geographical symbol. After liberation, South Koreans had no access to Mt. Baekdu for a while. Then, from the mid 1980s, they were able to go to the mountain via China. Since then, South Korean media and tourism industry created the discourse of “Mt. Baekdu=National Sacred Mountain”. Of course, this was a more abstract version of the discourse of “Mt. Baekdu=National Birthplace”, which was added by the image of “Mt. Baekdu=Symbol of National Division and Wish for Unification”. Moreover, with the spread of the argument that all mountains of the Korean peninsula are linked to the “Baekdu-daegan”, the significance of Mt. Baekdu as a geographical symbol is being reemphasized. Mt. Baekdu is commonly called as a “national sacred mountain” today. When did this expression first come out? In addition, how has the people`s awareness of the mountain changed in Korea? 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Mt. Baekdu was meaningful as a geographical symbol as an ancestral mountain of the national nature. And during the late Joseon, the mountain was often regarded as a valuable cultural symbol of Joseon, which is a great mountain equivalent to the Mt. Kunlun in China. Some parts of Mt. Baekdu were decidedly integrated into the territory of Joseon based on the demarcation stone established in 1712. Under the circumstances, there are people who climb Mt. Baekdu, albeit not many, with interests into the mountain. In the late 19th century, more people in Hamgyung-do moved to the Gando area across Tuman River. They argued that Tomun River specified in the demarcation stone of Mt.Baekdu was different from Tuman River and rather a branch of Songhua River. The government of the Great Han Empire once promoted the territorial negotiations with the Qing dynasty from the same perspective of the argument mentioned above. However, as the documents were discovered that recorded “Tomun River equals Tumen River” when establishing the demarcation stone in 1712, the government had to drop the argument. During the process of territorial disputes with the Qing dynasty, however, intellectuals developed more interests in Mt.baekdu. Meanwhile, in Doksasillon (a new guide to reading history) published serially by Shin Chae-ho in Daehan Maeil Shinbo in 1908, Shin argued that Mt. Taebaek in the Dangun-related article in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ree Kingdoms) referred to Mt. Baekdu rather than Mt. Myohyang. This was based on Dongsa Gangmok (a Korean history book) written by Ahn Jeong-bok. However, the ground was still not confirmed. In 1909, Na Chul created the religion of Dangun (religion of Daejong 1 year later) and strongly claimed the theory of “Mt. Baekdu=Birthplace of Dangun” inheriting the theory of Shin Chae-ho. Such argument was widespread in the religion of Daejong in the 1910 and more proliferated by Donga Ilbo and Chosun Ilbo in the 1920s to 30s. The two newspapers organized the expedition of Mt. Baekdu and held various events such as lectures and exhibitions which largely spread the theory of “Mt. Baekdu=Birthplace of Dangun” among the public. The intellectuals such as Kwon Duk-kyu and Choi Nam-sun also made efforts to support the theory in an academic way. Donga Ilbo used the expression of “Mt. Baekdu is the sacred mountain of Joseon”, which was influenced by the discourse of “Mt. Fuji is the sacred mountain of Japan”. Through the process, Mt. Baekdu has gained more significance as a historical symbol rather than a geographical symbol. After liberation, South Koreans had no access to Mt. Baekdu for a while. Then, from the mid 1980s, they were able to go to the mountain via China. Since then, South Korean media and tourism industry created the discourse of “Mt. Baekdu=National Sacred Mountain”. Of course, this was a more abstract version of the discourse of “Mt. Baekdu=National Birthplace”, which was added by the image of “Mt. Baekdu=Symbol of National Division and Wish for Unification”. Moreover, with the spread of the argument that all mountains of the Korean peninsula are linked to the “Baekdu-daegan”, the significance of Mt. Baekdu as a geographical symbol is being reemphasized.

      • KCI등재

        18세기 北方 여행의 배경과 申光河의 白頭山 기행

        김동준 이화어문학회 2014 이화어문논집 Vol.32 No.-

        This paper studied change of traveling subject and its value, using as main materials Buk-yu-rok (a record of journey to north) and Baek-du-rok (a record to Mt. Baekdu), left by a writer Jintaek Shin Gwang-ha in the 18th century. In the introduction of this paper, I suggested that trip to Mt. Baekdu was a very rare case until the 18th century, that Shin Gwang-ha can be interpreted as a new type of man as a traveler in the century, and further that his trip to Mt. Baekdu can enlighten us true meaning of traveling. In the second chapter of this paper, I summarized political, social background of Shing Gwang-ha’s trip to Mt. Baekdu, appearance of a new type of man, and impression and memory of the then persons given by Shin Gwang-ha’s trip to Mt. Baekdu. The main points are that realizing ‘true play’ via traveling represented as trip to Mt. Baekdu, that national attention to northern territory was a social base supporting his traveling, and that an intellectual facing the border line of bureaucratic system could emerge as a new type of man. In the third chapter of this paper, I divided the change processes of traveling subject resulted from Shin Gwang-ha’s travel into the intellectual and emotional categories and examined them. For the examples generated from the intellectual category, I illuminated expansion of materials into the local topography and geography, specialties, and animals and plants, the informational description, the formation of political opinion through in-site survey, and the expansion of intellectual horizon. For the change generated from the emotional category, after reviewing changes in the form and contents of poetry (becoming long and narrative), I explained the special value of Shin Gwang-ha’s trip to Mt. Baekdu. The part where going to the ‘end’ of the northern border of Joseon Dynasty and climbing up to the ‘top’ of Mt. Baekdu, he went into ecstasy and fall into despair at the same time gave me a deep impression. This is that he shows us if we reach the apex of the ground, there is no place we can go further, by embodying it literally. Above all, he faced reality of extreme poverty in a town named Musan, where he visited first descending Mt. Baekdu. Thus, he experienced an ascensional trip reaching the peak of the ground and a descending trip towards the terrible bottom of the world at once. By leaving this polar opposite trip as poetry and prose, he testified the distance between the peak of the world and its bottom is never far. This can be his own feature that we can not find in the trips to Mt. Baekdu ever, and the unforgettable scene presenting metaphorically what is the true traveling. 본고는 18세기 문인 震澤 申光河가 남긴 「北遊錄」과 「白頭錄」을 주자료로 삼아 기행을 통한 여행 주체의 변화와 그것의 가치를 탐구한 것이다. 서론에서는 신광하의 백두산 기행이 18세기까지 매우 희귀한 사례였다는 점, 여행가로서의 신광하가 18세기의 새로운 인간형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 나아가 그의 백두산 기행이 여행의 진정한 의미를 일깨워줄 수 있음을 제기하였다. 본론 2장에서는 신광하의 백두산 기행을 둘러싼 정치사회적 배경과 새로운 인간형의 출현, 신광하의 백두산 기행이 당시의 인물들에게 남긴 인상과 기억을 개괄하였다. 여행을 통로로 삼은 ‘참된 노님’[眞遊]의 실현이 백두산 기행으로 나타났다는 것, 북방 영토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신광하의 여행을 뒷받침하는 사회적 기반이었다는 것, 관료체제의 경계선에 처한 지식인이 기행을 통해 새로운 인간형으로 떠오를 수 있었다는 것이 그 요지이다. 본론 3장에서는 신광하의 백두산 기행이 불러일으킨 여행 주체의 변화 과정을 지적인 범주와 감성적 범주로 나누어 살폈다. 지적 범주에서 생성된 변화의 예로서는 현지의 지형과 지리, 풍토와 민속, 특산물과 동식물에 대한 素材의 확장과 정보적 묘사, 현장 답사를 통한 정책적 견해의 형성과 지적 시야의 확충을 조명하였다. 이어 감성적 범주에서 발생한 변화로서 시의 형식과 내용에 나타난 변화[장편화, 서사화]를 검토한 다음, 신광하의 백두산 기행이 지닌 특별한 가치를 설명하였다. 조선의 북쪽 국경 그 ‘끝’으로 가서 백두산의 절정 그 ‘끝’에 올라 무한한 희열과 아득한 절망을 동시에 느끼는 대목은 매우 인상적이었다. 이는, 지상의 꼭짓점에 도달하면 더 이상 한 발도 더 나아갈 곳이 없게 된다는 逆說을 그가 문학적으로 형상화해서 보여준 것이다. 무엇보다 그는 백두산에서 하산하는 길에 들른 첫 번째 고을 茂山에서 극심한 기아에 처한 현실과 직면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예상치 않게 국토의 절정에 오르는 상승의 여행과 세상의 처참한 밑바닥으로 향하는 하강의 여행을 한꺼번에 경험하게 되었다. 그는 이 극과 극의 대조적 여행을 시문으로 남겨, 결과적으로는 세상의 가장 높은 절정과 가장 낮은 바닥이 결코 멀지 않음을 증언하였다. 이는 역대의 백두산 기행에서 찾을 수 없는 그만의 특색이자 진정한 여행이란 무엇인가를 은유적으로 제시한 잊지 못할 장면이라고 할 만하다.

      • KCI등재

        19세기 러시아의 조선 진출과 백두산 등반

        우명길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4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and the horizons of research on Mt. Baekdu by investigating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climbing Mt. Baekdu by Russians in the 19th century. Mt. Baekdu is the highest mountain in both the Korean Peninsula and Manchuria, and is also the source of the Yalu River, the Tuman River, and the Songhwa River. Most of the border connecting the Yalu River, Mt. Baekdu, and Tuman River borders China, but the border at the mouth of the Tuman River borders Russia. Russia's climbing Mt. Baekdu was carried out as part of the Great Game between Britain and Russia. Russia, which annexed the Maritime Province in 1860, took the policy of maintaining the status quo in Northeast Asia for a while, but from 1895 when the Sino-Japanese War ended to 1904 when it lost to Japan in the Russo-Japanese War, it actively pursued the Southern Policy to advance to Joseon and Manchuria. Russia's climbing Mt. Baekdu took place during this period. Britain, which won the two Opium Wars, strengthened Geomundo Island in 1885 to prevent Russia from entering the East Sea when Russia occupied Tsushima Island in 1861 and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Joseon in 1884. The first time Britain's climbing Mt. Baekdu was in 1886, a year after Geomundo Island was strengthened. After the Sino-Japanese War ended and Russia's intervention of the Tripartite Intervention was successful, Strelbitsky became the first Russian to climb Mt. Baekdu and travel to Manchuria in 1895. Strelbitsky, who saw the origin of the Tuman River on his way to climb Mt. Baekdu, went down to the crater and explored the Cheonji Lake, the highest in the world among Lake Caldella. Russia's massive ascent of Mt. Baekdu is directly related to the Joseon Dynasty's Agwanpacheon. Russia, which secured a patent for deforestation on the Yalu River from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sent a large-scale Zvegintsov exploration team to Joseon in 1898. Garin-Mikhailovsky, who joined the expedition, not only climbed Mt. Baekdu and explored the borderline from the Tuman River, through the Mt. Baekdu, and to the mouth of the Yalu River. Garin-Mikhailovsky confirmed the origins of three rivers: the Yalu River, the Tuman River, and the Songhua River which rise in Mt. Baekdu. The significance of the Russian's climbing to Mt. Baekdu is that they did not simply climb Mt. Baekdu, just like the British who climbed it years earlier, but also checked the origins of the three rivers and explored the borderline of Joseon at the mouth of the Tuman River, Mt. Baekdu, and the Yalu River. It seems that Russia wanted to clarify the border between the Joseon line and the Qing Dynasty in preparation for Joseon's dominance by Russia.

      • KCI등재

        국내 백두산 분화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및 향후 발전방향 제시

        박숭환 ( Sung Hwan Park ),이명진 ( Moung Jin Lee ),이전희 ( Jun Hee Lee ),이정호 ( Jong Ho Lee ),정형섭 ( Hyung Sub Jung ),( Yong Gyu Ryoo ),( Chang Wook Lee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환경정책연구 Vol.14 No.2

        현재까지 수행된 국내 백두산 관련 연구의 경향성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방향 정립에 근거자료를 제시하고 향후 연구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백두산 관련 연구 현황을 연구 문헌 인벤토리1)로 정리하였다. 1980년대부터 2014년까지 총 34년간의 225건의 백두산 연구 문헌 정보를 수집하여 연구 분야, 연구내용 및 방법등을 정리하여 문헌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인벤토리 기반으로 현재까지 개별 기관에서 진행된 국내 백두산 연구의 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백두산 관련 연구는 2010년 이전 69건, 2010년 이후 156건으로 2010년 들어활발히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백두산 분화 감시예측 연구가 54.7%로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또한, 백두산이라는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대한 연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GNSS 및 원격탐사 기반의 공간정보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에 따라 감시예측 분야 주무기관인 기상청 및 국립기상과학원의 연구보고서를 대상으로 연구방법, 활용자료를 중심으로 하는 공간정보 활용 문헌의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공간정보 활용 문헌의 인벤토리 분석결과 감시예측 관련연구가 81.6%를 차지하였으며, 공간정보자료 활용 연구가 54.7%로 나타났다. 그러나 백두산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20.1%에 그쳐 향후 실제 백두산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 중 백두산 분화와 관련된 공간정보를 직접적으로 활용 가능한 시스템이 구축이 된다면, 기존 백두산 관련 산재된 정보를 공동으로 활용하여 예상되는 연구비용 및 분석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향후 백두산 관련 연구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보다 효율적인 연구의 한 축을 차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gure out the research direction and information regarding Mt. Baekdu in Korea through analyses of the research field and trends. Firstly, we made inventory of journal papers, conference proceedings, and research reports published related to Mt. Baekdu. A total of 255 data, spanning the 34 years from the 1980s to the middle of 2014, were acquired and classified into categories according to the year, field, contents and study area. Results show that research on Mt. Baekdu has been performed more than twice since 2010 and study regarding prediction has been carried out in 54.7% cases.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geo-spatial inform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in order to study Mt. Baekdu. Secondly, we made and analyzed a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inventory of 234 detailed research contents in research reports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nd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NIMR). Statistics on categories show that research regarding prediction accounted for 81.6% of cases and the study of geo-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accounted for 54.7% of cases. However, the focus on studying the Mt. Baekdu region accounted for only 20.1% of cases. Thus, this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do research at Mt. Bakdu itself. If the directly available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is developed related to Mt. Baekdu, it will save research costs and analysis time. This study can be used to manage information about the research field of Mt. Baekdu by analysing inventory of research references and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inventories when the Mt. Baekdu area is the focus of future research.

      • KCI등재

        신자료를 통해 본 18세기 백두산(白頭山) 여행과 그 의미 ― 신광하(申光河)를 중심으로

        정우봉 ( Chung Woo-bo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100 No.-

        조선시대 백두산 산수유기 작품은 지금까지 대략 10여 편 정도 알려졌다. 이 논문에서는 그동안 학계에 알려지지 않았던 신자료 세 편을 새로이 발굴하였다. 우선 주목해야 할 작품은 震澤 申光河(1729~1796)의 『遊白頭山記』이다. 이 작품은 奇人型 인물로 전국의 산천을 여행하였던 震澤 申光河가 1783년에 쓴 것이다. 『震澤文集』 내 「北遊錄」과 「白頭錄」에 실린 한시를 위주로 연구가 진행되어 오던 것에서 벗어나 산문 형식으로 쓰여진 백두산 산수유기를 통해 보다 더 다양한 논의가 펼쳐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논문에서는 신광하 관련 신자료를 소개하고 새로 발굴한 『유백두산기』를 중심으로 작품에 투영된 백두산의 표상과 그 의미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앞으로 백두산 산수유기 신자료 발굴을 계기로 백두산 및 북방 지역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 백두산을 포함하여 조선시대 산수유기에 관한 연구 등이 보다 더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신광하의 작품 이외에 또 하나 주목할 자료가 洪重一(1700~?)의 『白頭山日記』이다. 현재 독립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는 洪重一의 『白頭山日記』는 1712년 백두산 정계비 설치 이후 백두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1740년에 창작된 것이다. 백두산 정계비 사건 이후 쓰여진 백두산 산수유기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이라는 점에서 백두산 정계비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작가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관한 인식의 추이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한편 金肇彦이 쓴 『白頭山記』 또한 학계에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데, 이 자료는 李圭景의 『五洲衍文長箋散稿』에 일부 인용되어 전한다. In this paper, I explored and showcased travel journals covering Mt. Baekdu in the 18th century. So far, about 10 types of travel journals covering Mt. Baekduhave been reported. The paper uncovered three new documents that were unknown to the academic world. It is written by three people, Namely Sin Gwang-ha, Hong Jung-il, Kim Jo-won. Among them, the paper intensively analyzed the travel journals of Shin Kwang-ha. Before analyzing the travel journal to Mt. Baekdu, I introduced new materials related to Shin Gwang-ha. These new materials will greatly benefit from Sin Gwang-ha’s research in the future. I analyzed the symbols of Mt. Baekdu, which appeared in the travel journal of Mt. Baekdu. For Sin Gwang-ha, the shape of Mt. Baekdu is the extensiveness and the origin. I believe that analyzing prototypes of wrting style in landscape essays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literature history of landscape essays in the late Choson dynasty. Also, I expect that this kind of approaching could play a role in creating another methodology to analyze landscape essays.

      • KCI등재

        백두산의 시가문학적 형상화

        김기영(Kim Ki-young) 어문연구학회 2020 어문연구 Vol.106 No.-

        예부터 백두산은 우리 민족의 성산으로 숭앙되어 왔다. 백두산 시가로는 9수의 백두산 시조와 1편의 기행가사 <백두산근행기>가 전해지고 있다. 백두산 시조는 내용 면에서 두 가지 양상을 보인다. 우선, 호기 표출 시조이다. 김종서의 <長白山에 旗를 ᄭᅩᆺ고∼>와 남이의 <長劒을 ᄲᅡ혀 들고∼>는 조선 건국 초기에 창작된 시조들로서 각기 국토 확장의 의지와 국태민안의 바람을 표출하였다. 강응환의 <昌城感古歌>는 중국에 빼앗긴 요동의 옛 땅을 회복코자 하는 의지를 드러낸다. 무명씨의 <白頭山 발노 박ᄎᆞ∼>는 영토 확장과 농업 경영을 주제로 하고 있다. 무명씨의 <白頭山을 올나 가셔∼>는 우리나라가 문명과 자유의 나라라는 것이며, 민족적 자존심을 드러낸다. 초장과 중장에 남이의 <북정가>를 수용하여 국토수호의 의지를 계승하고 종장에 작가 나름의 생각을 더한 세 작품도 있다. 이들 작품 가운데. 한 작품의 종장은 남이의 <북정가>를 독자/청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의도에서 마련한 내용으로 보인다. 나머지 두 작품의 종장에서는 화자의 중의성 측면에서 작품의 묘미를 느낄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연군 시조이다. <白頭山 놉히 안져∼>는 좋은 집이 만들어지기까지 함께 노력했던 죽은 임을 그리워하고 있다. <白頭山 놉흔 봉은∼>은 영원성을 노래하고 있다. 특히, 신하로서 임금에게 영원한 충성을 다짐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백두산근행기>는 작가 고단이 1995년 9월, 나이 74세 가을에 백두산을 구경하고 지은 기행가사 작품이다. 작품은 총 89행의 분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사의 율조를 구분하기 어려울 만큼, 사실적인 내용으로 산문화가 진행된 모습을 보인다. 작품은 3대단 7소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서사: 북경 도착, 이화원 구경, 2) 본사1: 연길시 구경, 3) 본사2: 천지 가는 길, 4) 본사3: 백두산 천지, 애국애족적 상념, 5) 본사4: 하산과 용정시 구경, 6) 본사5: 청산리 전투 소개와 유공자 추모, 7) 결사: 남북평화 기원’이 그것이다. 두운과 각운의 활용을 통한 율동미 구현이나 시각을 활용한 이미지 형상화가 주목되며, 각종 수사법이 단독 혹은 복합적으로 사용되어 표현미를 제고하고 있다. 수사법 가운데에서는 의태법의 활용이 인상적이다. 기원의 문체로 작품이 마무리된다. 백두산 시가의 현대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지리학적 접근을 통해 변경시조, 변경문학의 체계적 서술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이른바 ‘백두산 문학’의 총체적 접근에 기여할 것이다. 셋째, 역사의식 함양 및 민족문학 혹은 통일문학의 교육 자료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본다. 특히, <백두산근행기>의 경우, 여성가사 혹은 기행가사의 범위를 확대, 그문학사의 확장적 서술에 기여하고, 또 고단의 7편 기행가사의 종합적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Mt. Baekdu has been revered as a sacred mountain of Korean people since ancient times. Classic poetry of Mt. Baekdu was written at the time of visiting from the place of appointment, or during excursion (Baekdusan Sijo), or tour (<Baekdusan Geunhaenggi>). Baekdusan Sijo show two aspects in terms of content. First, there is Sijo that dealt with gallant spirit. Kim Jong-seo s <Planting a flag in Jangbaeksan~> and Nami’s <Holding a long sword~> were filled with manly spirit. Kang Eung-hwan s <Changsunggamgoga> is a representative border poem. It reveals his will to restore the old land of Yodong, which was taken away by China. Unknown poet’s <Stepping on Baekdusan∼> has territorial expansion and agricultural management as its theme. Another unknown poet’s <Climing Baekdusan∼> reveals that our country is a country of civilization and freedom, as well as national pride. There are also three works that inherited the will to protect the country by accepting Nami s <Bukjeongga> in the first and second chapters and added the poet s own thoughts to the closing chapter. The second is Yeongun Sijo. <Embraced in Baekdusan∼> is a work of longing for the dead lover who worked together until a good house was built. <The peak of Baekdusan∼> sings eternal loyalty. <Baekdusan Geunhaenggi> is a travel lyrics written by Godan in September 1995, when he visited Mt. Baekdu at the age of 74 years old. The work consists of 89 lines, and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rhythms of the lyrics, showing the progress towards prose. The work consists of three large and seven small parts. 1) Preamble: Arrival in Beijing, Ihwawon Tour, 2) Body 1: Touring Yeongil, 3) Body 2: Road to Cheonji, 4) Body 3: Cheonji of Baekdusan Mountain, Thoughts of Patriotism, 5) Body: Viewing Hassan and Yongjeong City, 6) Body 5: Introduction to the Battle of Cheongsan-ri and Remembrance of the Deceased, 7) Closing: Wishing for Inter-Korean Peace. In terms of expression, rhythmic beauty through the use of alliteration and rhyme or representation of images by using visualization draws attention, and the use of mimesis is impressive among rhetoric techniques. The modern meaning of the classic poetry of Mt. Baekdu is as follows. First, through cultural geography approach, it can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description of border Sijo and border literature. Second, it can contribute to the overall approach of the so-called Baekdusan literature. Third, I believe that it can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for the cultiva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literature or unification literatur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aekdusan Geunhaenggi>, I believe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extended description of the literary history by expanding the scope of the female or travel lyrics and to the comprehensive study of the seven line travel lyrics of God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