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산茶山 상복제도喪服制度에 대한 복식사적 고찰 ─ 『상례사전喪禮四箋』, 『상복상喪服商』을 중심으로

        차서연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1 다산학 Vol.- No.38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forms of mourning clothes that Tasan reinterpreted in the chapter titled “Sangboksang” in his Sangraesajeon. The mourning cloth for men Tasan suggested, called Byeonbok, was what he re-interpreted from the “Sabok” chapter in Jurye, which states “people wear Byeonbok during bad occasions,” and he wrote that Jobok and Jebok in contemporary Joseon are, in principle, same with Byeonbok in the past. This new principle means that the basic form of mourning cloth is following that of Byeonbok so that unnecessary is such an additional statement on which aspect of the mourning cloth can be the same with Byeonbok. There could be three implications of Tasan’s suggestion for mourning clothes, which he derived from his reference to the thirteen ancient books and Garye, not from the twofold annotations. First, he wanted to raise the status of mourning clothes. Jobok and Jebok he suggested as proper forms for mourning were what people had used to wear as ritual clothes for good occasions. By allowing the clothes for bad occasions to be the same with those for good occasions, he intended to raise the status of mourning clothes. He also argued this by mentioning certain elements of Simui hoping that the mourning clothes would stop being simply functional for mourning rituals but have equal status with other attires that Confucian scholars deemed important. Second, he emphasized the standardization of mourning clothes and their practicality. He suggested standard sizes of the clothes, which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earer’s body. It was enable everybody to wear a standardized cloth no matter how large or small one’s body is so that everybody could participate in the funeral rites with proper clothes. The mourning clothes Tasan suggested were also practical since they were, for him, not only the finest clothes people could wear during the funeral but the everyday clothes they could wear in daily routines. Lastly, his suggestion was also to increase the performability of the funeral rites. His re-interpretation of ancient mourning clothes as those corresponding to the contemporary clothes in Joseon, such as Jobok, Jebok, and Simui, was to encourage people’s actual performances of the rituals not only by making the mourning clothes easy to produce but also by removing people’s repulsion to the rites. Tasan seems to have tried to reproduce the original mourning costumes which did not deviate from the spirit of old rites, but ref lected the situations of the contemporary Joseon society by critically investigating notes of Uirye , and Yegi, the books describing ancient rites, and by following the method of Garye which constituted ritual procedures by considering contemporary conditions. 본 연구는 『상례사전喪禮四箋』, 「상복상喪服商」을 중심으로 다산茶山 이 재해석한 상복喪服의 형태와 관점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산이 제시한 남자 상복의 원칙은 『주례周禮』, 「사복司服」에 “무릇 흉사凶 事에는 변복弁服을 입는다.”라는 기록을 근거로 상복喪服이 변복弁服이고, 옛날 변복弁服이 조선의 조복朝服과 제복祭服이라는 것이다. 이 원칙의 의미는 말 그대로 상복의 기본적인 형태는 변복과 같다는 것이고, 상복 가운데 변복과 같은 요소에 대해 별도로 언급하는 것은 필요하지않다는 또 다른 원칙을 파생시킨다. 다산은 이 원칙 아래 십삼경十三經을 중심으로 『가례家禮』와 조선의시속까지 참작해서 상복의 형태를 논증하였는데, 그 특징과 함의含意는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 번째는 상복의 위상을 높이려고 하였다. 다산이 제시한 상복은 조선의 조복과 제복의 형태로, 길례吉禮에 조복과 제복을 착용하듯 흉례凶禮에 조복과 제복의 제도에 따른 상복을 입는다는것이다. 조복과 제복에 조응하는 것으로 보는 다산의 제안은 상복의 위상을 높이려는 의도이다. 심의深衣의 요소도 적극 활용하여 논증하였는데, 이는 상복을 단순히 슬픔을 표상하는 복식만이 아닌 유학자들에게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옷과 동등한 위상을 갖는 복식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바람이 담겨 있다. 두 번째로 상복 제도를 표준화하고 실용적인 부분을 강조하였다. 다산은 상복의 표준 치수를 제시하고 이를 기준으로 사람의 몸집에 따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실용적인 부분을 강조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상복이 최고의 예복禮服임과 동시에 상례 기간 동안 실제로 입고 생활하는 일상복이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상례의 수행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조복과 제복, 심의의 형태로 상복을 해석한이면에는 조선 사람들에게 익숙한 형태를 제시하려는 의도가 반영된것이다. 조선 사람들에게 익숙한 형태라면 제작에 어려움이 없을 뿐 아니라 상례에 대한 거부감도 줄일 수 있어 상례의 수행 가능성을 높이게된다. 다산은 고례古禮인 『의례儀禮』와 『예기禮記』의 주소注疏에 대한 비판적 고증을 통해 상복의 원형을 재현하고 『가례家禮』가 시의時宜를 반영하여 예제를 구성했던 방식을 계승・극복함으로써 古禮의 정신에 어긋나지 않으면서도 조선의 시의를 반영한 상복을 만들어 입을 수 있도록노력한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성재(性齋) 허전(許傳)의 상복(喪服) 연구

        차서연 ( Cha Seo-yeon ) 한국실학학회 2021 한국실학연구 Vol.- No.41

        본 논문은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이의 애통한 심정을 표상하는 복식인 喪服에 대한 性齋 許傳의 해석을 고찰한 것이다. 성재는 옛 복식의 제도 중 후세까지 전해진 것은 深衣와 상복이고, 두 옷은 上衣와 下裳의 분리 여부만이 다를 뿐 전체적인 제도는 같다고 전제한다. 상복의 제도를 규정한 『儀禮』 「喪服」과 심의의 제도를 규정한 『禮記』 「玉藻」와 「深衣」는 상호 보완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었다는 성재의 해석적 입장은 그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古禮를 기준으로 상복의 제도를 복원한 성재는 이를 그대로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고례를 그대로 따르기 힘들 경우 『家禮』의 규정을 선택적으로 활용하고, 고례에 위배되지 않는 선에서 당시 조선에서 행해지던 시속을 적극 반영하였다. 구하기 어려운 재료는 대체품을 사용하도록 제시하면서, 무엇보다도 애통해하는 마음의 표상이라는 상복의 정신을 강조하면서 형편에 맞추어 검소하게 마련할 것을 강조한다. 성재가 고례와 『가례』 그리고 조선의 시속까지 반영하여 상복의 형태를 논증하되 절검까지 고려하여 시행하도록 제안한 것은 상복의 의례적인 상징성과 실제적인 기능성을 회복해 상례의 수행 가능성을 높이려는 목적이 내포되어 있다. 그는 상복이 가장 오래된 유교적 복식의 하나이고 애통한 심정을 표상하는 의례복이며 상례를 치르는 오랜 기간 실제로 입고 생활하는 일상복이라는 의미를 동시에 가진 복식으로 판단한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Seongjae Heojeon(性齋許傳)’s interpretation of mourning as a dress code representing grief-stricken sorrow of a man who lost his loved one. Seongjae presupposes that the old clothing systems passed down to posterity are Simui(深衣) and mourning, which have the same overall design with only a difference in separation of top (上衣) from bottoms (下裳). Seongjae’s interpretative position is that ‘Sangbok(喪服)’ in Uirye(儀禮) defining mourning clothes system and ‘Okjo(玉藻)’ and ‘Simui (深衣)’ in Yegi (禮記) defining Simui system are complementary. Seongjae, who restored the mourning clothes system based on Old Manners (古禮) did not insist that this must be enforced as it was. He utilized the regulations in the Garye(家禮) selectively if it was difficult to follow the Old Manners and actively reflected the customs of Joseon Dynasty as long as it’s not against the Old Manners. He stressed the spirituality of mourning as a manifestation of grieving heart and suggested to prepare the costume frugally depending the circumstances, recommending to use alternative items if there were materials difficult to obtain. Seongjae’s proposal to enforce the mourning clothes system by considering the Old Manners, Garye, and customs of Joseon Dynasty, shape of mourning dress up to frugality contains purpose to improve the practice of funeral rites by recovering the ceremonial symbolism and practical functionality of mourning. It’s because mourning is one of the longest Confucian dresses and a dress code that simultaneously implies both a ceremonial costume representing grief-stricken heart and an everyday dress that is worn actually for a long time while holding a funeral rite.

      • KCI등재

        조선의 국가 전례서(典禮書)에 규정된 상복(喪服) 제도와 변천

        차서연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3 泰東古典硏究 Vol.51 No.-

        This study examines the evolution and form of the mourning clothes system for men and women, as articulated in the “Gugjoolyeui (國朝五禮儀)” etc, the book on the national rituals of Joseon. The Joseon royal family, in contrast to China, pursued a three-year mourning period and established a mourning attire system akin to that of ordinary households. While Chinese national ritual texts vaguely address mourning rites due to the perception of codifying such rites as disloyalty, the Joseon royal family established a mourning attire system grounded in “Galye” (家禮; Family Rituals). The design and diagrams of men's mourning clothes largely adhere to “Galye.” However, in instances where the primary and supplementary annotations of “Galye” diverge, the practice tends to follow the supplementary annotations. The diagrams also draw from “Galyedo” (家禮圖; Illustrations of Family Rituals), but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Joseon are discernible. Women's mourning attire was later enhanced with its forms and diagrams, again using “Galye” as the benchmark. Subsequent national ritual texts were augmented with contents from Chinese ritual books such as “Lyegijibseol” (禮記集說; Collected Explanations of the Book of Rites) and “Galyeuijeol” (家禮儀節; Ritual Sections of Family Rituals), as well as Kim Jangsaeng's “Galyejiblam” (家禮輯覽; Collected Views on Family Rituals), “Sanglyebiyo” (喪禮備要; Essentials of Mourning Rites), and “Uilyemunhae” (疑禮問解; Questions and Answers on Doubtful Rituals). Therefore, mourning attire, being identical in system and form for both the royal family and ordinary households, was used as the only ceremonial dress that transcended class distinctions in Joseon. 본 논문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등 조선의 국가 전례서를 중심으로 남자와 부인의 상복(喪服) 제도의 연원과 형태 변화를 고찰한 것이다. 조선 왕실은 중국과 다르게 삼년상을 지향하여, 사가와 같은 상복 제도를 확립하였다. 중국의 국가 전례서는 상례를 명문화하는 것을 불충(不忠)으로 여겨 상복에 대한 규정도 명확하지 않지만, 조선 왕실은 『가례(家禮)』에 근거한 상복 제도를 수립한다. 남자 상복의 형태와 도설은 대체로 『가례』를 따르지만, 본주(本註)와 부주(附註)가 다를 경우 부주를 따르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는 부주가 근거한 『의례(儀禮)』와 『예기(禮記)』 등의 고례(古禮)로 『가례』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것이다. 도설도 대체로 「가례도(家禮圖)」에 근거하지만, 조선만의 특징이 나타나기도 한다. 부인의 상복은 『국조오례의』에 목록만 나열하다가 『국조속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에서 형태와 도설이 추가되는데, 이때도 『가례』가 기준이다. 『가례』가 시속을 반영하여 부인 상복을 제정한 방식을 따라 조선의 국가 전례서도 부인의 상복을 제정하였다.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등 후기의 국가 전례서는 『예기집설(禮記集說)』과 『가례의절(家禮儀節)』 등의 중국 예서와 김장생(金長生)의 『가레집람(家禮輯覽)』, 『상례비요(喪禮備要)』, 『의례문해(疑禮問解)』 등의 내용이 추가되면서 보완된다. 조선의 국가 전례서에 기록된 상복 제도는 『가례』의 규정을 토대로 조선의 상황을 고려하면서 왕실과 사가가 서로 보완적으로 진전되어 신분의 차이가 없는 유일한 의례복으로 사용되었다.

      • KCI등재

        광주광역시 장례식장의 여자 상복(喪服) 착용 실태와 상복 디자인 개발

        김은정,윤은영 남도민속학회 2013 남도민속연구 Vol.27 No.-

        Mourning clothes are ceremonial garments worn by the family and relatives of the dead. Mourning clothes are worn as a courtesy to the dead and they also tell people that the person wearing it is in mourning. However, in modern times, not only the traditional funeral rites and period but also traditional mourning clothes have been changed and simplified.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sizes, materials, and colors of women’s mourning clothes sold or rented at funeral homes in Gwangju. This study found that at least women’s mourning clothes are still hanbok. And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esigned 3 types of mourning clothes in colors ranging from white to pale yellow by applying traditional mourning cloth elements and using light materials for summer. This study was done to inherit and develop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 in the face of gradual disappearance of traditional mourning clothes. In other words, we need to show that traditional Korean culture can be inherited and developed further instead of letting it disappear by finding ways to inherit the spirit and meaning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while modifying it to suit the changing time. 상복(喪服)은 사람이 죽었을 때 함께 살아온 가족이나 친지 등 산 사람이 입는 의례복(儀禮服)이다. 그래서 산 사람이 죽은 사람을 떠나보내면서 예를 갖추어 입는 옷이 상복이며, 보는 사람들에게는 상(喪) 당했음을 알리는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대화의 과정에 우리의 전통상례 기간과 절차는 물론 전통복식인 상복까지도 생략되고 간소화되는 등 많은 변화 과정을 겪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정형화되어버린 남자상복을 제외하고 현행 광주지역 장례식장에서 착용되는 여자상복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장례식장에서 대여되거나 판매되는 상복을 형태 및 치수, 소재, 색상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 실태 조사를 통하여 그나마 여자상복이 한복의 형태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현재 여자상복의 형태에 전통적인 요소를 적절하게 응용하고, 소재는 여름용으로 면이나 린넨처럼 얇은 소재를 사용하며, 색상은 흰색에서 옅은 노란색에 이르기까지 전통상복의 색상을 반영하는 디자인 3가지를 개발하였다. 이는 전통 사례복식 중의 하나인 상복이 점차 사라지고 변화되는 가운데 전통의 의미를 계승 발전시키고자 시도되었다.

      • KCI등재

        광주광역시 장례식장의 여자 상복(喪服) 착용 실태와 상복 디자인 개발

        김은정 ( Eun Jung Kim ),윤은영 ( Eun Young Yoon ) 남도민속학회 2013 남도민속연구 Vol.27 No.-

        상복(喪服)은 사람이 죽었을 때 함께 살아온 가족이나 친지 등 산 사람이 입는 의례복(儀禮服)이다. 그래서 산 사람이 죽은 사람을 떠나보내면서 예를 갖추어 입는 옷이 상복이며, 보는 사람들에게는 상(喪) 당했음을 알리는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대화의 과정에 우리의 전통상례 기간과 절차는 물론 전통복식인 상복까지도 생략되고 간소화되는등 많은 변화 과정을 겪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정형화되어버린 남자상복을 제외하고 현행 광주지역 장례식장에서 착용되는 여자상복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장례식장에서 대여되거나 판매되는 상복을 형태 및 치수, 소재, 색상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 실태 조사를 통하여 그나마 여자상복이 한복의 형태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현재 여자상복의 형태에 전통적인 요소를 적절하게 응용하고, 소재는 여름용으로 면이나 린넨처럼 얇은 소재를 사용하며, 색상은 흰색에서 옅은 노란색에 이르기까지 전통상복의 색상을 반영하는 디자인 3가지를 개발하였다. 이는 전통 사례복식 중의 하나인 상복이 점차 사라지고 변화되는 가운데 전통의 의미를 계승 발전시키고자 시도되었다. Mourning clothes are ceremonial garments worn by the family and relatives of the dead. Mourning clothes are worn as a courtesy to the dead and they also tell people that the person wearing it is in mourning. However, in modern times, not only the traditional funeral rites and period but also traditional mourning clothes have been changed and simplified.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sizes, materials, and colors of women’s mourning clothes sold or rented at funeral homes in Gwangju. This study found that at least women’s mourning clothes are still hanbok. And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esigned 3 types of mourning clothes in colors ranging from white to pale yellow by applying traditional mourning cloth elements and using light materials for summer. This study was done to inherit and develop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 in the face of gradual disappearance of traditional mourning clothes. In other words, we need to show that traditional Korean culture can be inherited and developed further instead of letting it disappear by finding ways to inherit the spirit and meaning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while modifying it to suit the changing time.

      • KCI등재

        지증왕·법흥왕대 왕실 상장례 변화와 그 의미 -지증왕대 상복법 제정·반행(頒行) 문제를 중심으로-

        박초롱 ( Park Chorong ) 한국사상사학회 2019 韓國思想史學 Vol.0 No.62

        이 글에서는 지증왕대 제정·반포된 상복법(喪服法)을 중심으로 지증왕과 법흥왕대 일어난 신라 왕실의 상장례 변화상을 정리하고 그 의미를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6세기 중반 이후 채록되었을 것으로 파악하는 『수서』 신라전의 내용과 지증왕 3년의 순장 금지령을 토대로 지증왕 5년 반포된 상복법에는 국왕상에 대한 상복규정이 포함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이를 동시기 중국·일본의 황제·천황 사망시 복상(服喪) 사례와 비교하고, 『삼국사기』에 단편적으로 남아 있는 신라 국왕의 사망 당시 복상과 관련된 기록을 면밀히 살폈다. 그 결과 상복법에서 규정한 국왕상의 복상 기간과 상복 착용의 대상 등 구체적인 내용을 추정해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지증왕과 법흥왕대 일어난 상장례 변화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상복법과 함께 순장의 금지, 시법(諡法)의 시행, 왕릉의 입지 및 묘제(墓制) 변화가 일어났는데, 특히 보수적인 묘제가 50~60년 사이 급격히 변화한 것은 국가적 차원의 강제적 조치로 파악된다. 이러한 일련의 변화는 동시기 신궁 설치 및 국왕 즉위의례로의 정립과정 등을 생각하면 왕실 상장례 및 제례의 정비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증왕과 법흥왕대 일어난 신라 왕실의 상장례 변화가 갖는 의미를 생각해보았다. 지증왕대 최초로 주군제(州郡制)가 실시되고, 신라라는 국호가 확정된 것은 경주 중심의 소국 사로(斯盧)가 아니라 피복속지역 전체를 아우르는 통일적 국가 신라의 운영을 지향하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상복법을 전국에 반포해 국왕상에 복상토록한 것은 기존에 차별해왔던 피복속지역을 포함한 ‘신라국’의 ‘국왕’으로서의 성격을 표면화한 것이다. 상복법 제정과 반포가 지증왕 4년 신라 국호의 확정과 마립간에서 ‘신라국왕’으로 존호 개정이 일어난 직후 처음으로 단행된 조치라는 점은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한다. 한편 율령 반포와 짝을 이루어 국가의례 정비가 일어났으며 유교식 상장례의 영향 아래에서도 신라적 전통이 유지된 것은 이후 신라의 예제(禮制) 운용과 관련해 주목할만한 사항이라고 보았다. This article summarizes changes in the Silla royal family’s mourning and funeral rituals by focusing on the Mourning Law, which was established and promulgated during the reigns of King Chijung and King Beopheung, and discusses what these changes meant. Based on records in Part Silla in Suseo, which were believed to be written after the mid-6th century, and a ban on sacrificial burial in the 3rd year of King Chijung, thisauthor viewed that the Mourning Law promulgated in the 5th year of King Chijung would have included rules on mourning clothes for a king’s funeral. Thus, this author compared the above with mourning clothes worn for the death of a tennoorhuangdi (emperor) in Japan and China during the same period and closely examined records about mourning clothes for a king’s death in Silla, which remained fragmentally in the Samguk sagi. Based on the results, this author conjectured specific requirements set forth in the Mourning Law such as the period of wearing mourning clothes for a king’s funeral and for whom to wear mourning clothes. Next, this article looked into changing patterns in mourning and funeral rituals during the reigns of King Chijung and King Beopheung. Along with the Mourning Law, different changes occurred such as a ban on sacrificial burial, posthumous naming, and a royal tomb’s location and gravesite rituals. In particular, mandatory measures introduced at the national level seem to have drastically changed the tomb style, which tended to be conservative, in just 50 to 60 years. Considering the establishment of Singung and its development into an enthronement ceremony in the same period, it was identified that a series of such changes would have originated from the reorganization of the royal family’s mourning and funeral rituals and ancestral services. Finally, this author thought about the meaning of these changes in the Silla royal family’s mourning and funeral rituals, which took place during the reigns of King Chijung and King Beopheung. The fact that the Ju-Gun system was implemented for the first time and Silla became the country’s official name during the reign of King Chijung demonstrates that the country aimed for not Saro as a small country centered on Gyeongju but Silla as a unified country that covers conquered and subjugated regions. Promulgating the Mourning Law nationwide and requiring people to mourning clothes for a king’s funeral during this process embodies the characteristics of ‘King of Silla’ integrating the conquered and subjugated regions, which used to be discriminated against. Meanwhile, it is worth noting the fact that national rituals were also reorganized coinciding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law and Silla traditions were maintained despite the influence of Confucian mourning and funeral rituals in terms of how Silla operated its ritual system.

      • KCI등재

        동ㆍ서양 상복에 표현된 색채상징 연구 - 흰색과 검정색을 중심으로 -

        김주희,채금석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4

        상복은 상중에 있는 상제나 복인이 입는 예복으로 엄숙하게 갖추어 입는 것은 인간의 생명에 대한 존엄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삶과 죽음의 갈림길에서 죽은 사람을 예로써 보내기 위한 산 사람들의 예의 표현방법이다. 상복이나 수의(壽衣)는 민족이나 문화, 지역에 따라 표현 색상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상복 색상의경우 유럽을 비롯한 서구 문화권은 검은색, 아시아 중심의 동양 문화권은 흰색으로 양분화 하여 나타나는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상복의 모습을 당연시하게 볼 수 있으나, 생과 사에 대한 각 문화권의 내재된 상징적의미를 색채를 통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흰색과 검정색은 인간의 생과 사를 표현하는 원초적인 색상으로동양의 상복에서는 흰색으로, 서양의 상복에서는 검정색으로 나타난다. 동양과 서양의 사상체계와 죽음의의미를 살펴보았을 때, 동양은 삶과 죽음, 영혼과 육체를 하나의 동일선상에서 보는 일원론적 관점으로 우주적 생명과 연관되는 순환적 양태를 보인다. 반면 서양은 영혼과 육체를 분리하는 이원론적 관점으로 죽음이후를 신앙의 문제로 여기거나, 인간이 죽음을 극복하는 순간에 맞추어 사고한다. 동·서양의 사상체계와 죽음의 의미를 살펴보면 동양 상복에서의 흰색은 물질 이상의 것, 순수함과 깨끗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죽음을대하는 긍정적인 자세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으며 죽음을 생의 끝으로 보지 않고 또 다른 생명의 시작으로여겨 태양빛과 같은 흰색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서양 상복에서의 검은색은 죽음 이후의 정의할 수 없는미지의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으로 극한 슬픔과 부정성을 표출한다. 또한 16세기 이후 변화한 검은색 상복은살아 있는 자, 남아 있는 자를 위한 색으로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colors expressed in mourning clothes appear different according to ethnicity, culture or region, but the colors of the mourning clothes seem to be polarized, in other words, black in the Western sphere of culture, including Europe and white in the Eastern sphere of culture centered on Asia. Judging from the system of ideology and the meaning of death in the East and West, the East has the perspective of monism that looks at life and death, soul and body at the same level, which shows a cyclic aspect related to a cosmic life. In contrast, the West has the perspective of dualism that separates soul and body, which considers a life after death a matter of faith or thinks, focusing on the moment when man overcomes the death. White in Eastern mourning means purity and cleanliness more than the material, which shows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death. In addition, regarding the death not as the end of life, but as the beginning of another life, it symbolizes white like sunlight. Black in the Western mourning clothes expresses the unknown fear that cannot be defined after the death and extreme sorrow and negativity by a terror. In addition, black mourning clothes changed since the 16th century have turned into the color for the living, the ones who are left.

      • KCI등재

        『儀禮』의 喪服五等禮制

        공병석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5

        본고는 <의례(儀禮)>를 통하여 선진유가의 상복예제, 즉 오복복식(五服服飾)과 상기(喪期), 및 그 인문적 의의를 논하였다. 고대의 상례는 주로 상(喪), 장(葬), 제(祭) 세 부분을 그 대표적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상」은 살아있는 자가 상기 동안의 행위규범을 규정하는 것, 즉 상복제도를 말 한다. 이것은 상례의 핵심내용이다. 「장」은 망자가 받을 대우를 규정하는 것으로서 대체로 장식(葬式)제도와 묘식(墓式)제도로 나눌 수 있다. 「제」는 상기 동안에 살아있는 자와 망자를 연계해주는 매개의식을 규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 동안의 제사(상기가 끝난 후의 제사는 오례(五禮) 중 길례(吉禮) 범주에 속하므로 여기서는 상제(喪祭)를 말한다.)를 말 한다. 이 세 부분 중 특히 「상」은 상례의 핵심내용이다. 상복(喪服)이란 망자를 애도하기 위해 입는 특별한 의복과 관 등의 복식을 말한다. 즉 상복제도는 살아있는 자와 망자의 친소(親疎)와 원근(遠近)의 혈연관계에 따라 제정된 일련의 엄격한 상장등급제도로서 친족관계를 대체로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러므로 상복제도 역시 다섯 등급으로 나누는데 이를 「오복(五服)」이라 칭한다. 이것은 중국고대 신분등급제도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선진유가 상례의 중요한 구성성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선진유가의 <의례>를 통해 상복의 다섯 가지 등급예제를 분별하여 논 하였다. This research discusses the manners and systems of funeral garments in the pre-Qin Dynasty, more specifically, five types of funeral garments, period of mourning, and humanistic significance. The funeral rites of ancient times mainly consisted of mourning(상喪), burial(장葬), and the memorial ceremony( 제祭). Generally, mourning indicates the system of funeral garments, which regulates people’s behavioral norms during the mourning period. This is the purpose of funeral manners. The burial describes the way the deceased are treated, and includes the burial and decoration of tombs. Memorial ceremonies regulate the association of living persons with the deceased during the funeral period. Referred to here are memorial ceremonies during the mourning period, as post-mourning ceremonies belong to the category of fortunate ceremonies. Mourning especially is the key aspect of these three aspects. Funeral garments refer to various types of clothing that should be worn when mourning the dead. They comprise a series of clothing in a strict ranking system based on the blood relationship between the dead and living.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groups; thus, they are referred to as five funeral garments (오복五服). We may consider them the miniature version of the ancient Chinese social status system, and they are significant parts of funeral rites in the pre-Qin Dynasty. Therefore, in this paper, five manners and systems of funeral garments specified in “Eulye (儀禮)" are discussed in detail.

      • KCI등재

        지증왕대 喪服法과 律令

        홍승우 역사교육학회 2020 역사교육논집 Vol.74 No.-

        The mourning clothing law of Silla Dynasty which was enacted and enforced in 504 was a part of the Yul-Ryeong(Law system). Previous studies mainl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ves reflected on grade of mourning clothes. Or they simply thought it was a Confucian ritual. So they couldn't understood the law itself.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the Silla’s law itself through comparative studies with the laws of ancient China and Japan.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e content of mourning clothing law of Silla was several grades of mourning clothes devided by the length of time a person wears at funerals. And the highest grade among them was wearing mourning clothes for one year at the funeral of the King, parents, wife and son. When referring to ancient Japanese law, the type of mourning clothes would not had been included. And when looking at the last will of King Munmu in 681, it was found that the mourning clothing law was not limited to classifying the grade of mourning clothes at family funerals, and that it also contained provision about the government officials should have shortened the mourning period and returned to official duties at King’s funeral. And it was also used as the criterion for deciding how much vacation to give for government officials. In conclusion, the mourning clothing law of Silla was just not designed to provide for regulations on mourning clothes and kinship relations, but was intened to establish a system of state governance. Therefor the form and nature of the Silla’s Yul-Ryeong can be clearly seen through this law.

      • KCI등재

        당대(唐代) 복제담론(服制談論)과 변례(變禮)

        김용천(KIM Yong-cheun)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1 泰東古典硏究 Vol.47 No.-

        본 논문은 ①형수와 시동생 사이의 복제 제정 논의, ②외삼촌과 조카 사이의 복제 개정 논의, ③외친복의 확대와 이에 대한 고례파의 비판 등을 중심으로 당대에 일어났던 복제 담론을 분석한 것이다. 논자들에 따라 구체적인 논거의 차이는 있지만, 이 시대에는 ‘정(情)’과 ‘친(親)’의 관념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제복(制服)의 원칙으로서 ‘정’이나 ‘친’을 강조하는 관점은 이 시대만의 특별한 것은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감정을 예제(禮制)에 반영하고자 했던 위진 시대정신의 연장이며, 위의 세 가지 복제 담론 역시 위진 시대에 이미 크게 쟁론되었던 논제들이다. 그럼에도 당대 전 시기에 걸쳐 또다시 복제(服制) 상에서 유사한 논제의 쟁론이 지속되었던 것은, 『정관례』·『현경례』·『개원례』 등 국가 전례서(典禮書)의 등장·율령 체제의 완비와 관계가 있다. 위진 시대의 복제 담론은 그것이 반드시 제도화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당대에 이르면 상복 규정에 관한 담론의 결정은 예전(禮典)에 의해서 제도화되고, 또 당령(唐令)에 의해서 법률적 뒷받침을 받게 됨으로써 행례의 강제성과 안정성을 담보하게 된다. 하지만 황제의 의지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는 당령과 예전의 속성상 그것은 불안정성의 다른 측면이기도 했다. 이러한 불안정성으로 인해 「상복」편의 동일한 규정에 대한 유사한 담론이 되풀이되기도 했지만, 「상복」편의 규정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변례(變禮)를 만들어가는 과정과 실태를, 여기서 생생히 엿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about analyzing the discourses of the mourning dress system in the period of the Tang Dynasty. It centers around ①debating on establishing the mourning dress system between sister-in-law and brother-in-law ②debating on revising the mourning dress system between uncle and nephew ③the expansion of waiqinfu(外親服) and the faction of guli(古禮) criticizing for it. Depending on debaters, there are differences of grounds for the discourses; mainly, it seems that the notions of qing(情) and qin(親) markedly appeared in the period. It was not unique to this period that qing(情) and qin(親) were emphasized as the principle of establishing the mourning dress system. They were the extension of the spirit of the Wei-Jin(魏晉) period that were cultivated in a pedantic atmosphere and tried to reflect the sentiment of warm-heartedness and fidelity in Ritual Systems(禮制); the three discourses mentioned were also highly contentious subjects. The reason why the same subjects on the mourning dress system became contentious over the whole period of Tang Dynasty was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national Jeonrye-seo(典禮書) such as Chen-guan-li(貞觀禮), Xian-qing-li(顯慶禮), and Kai-yuan-li(開元禮) and the completion of Yullyong(律令). In the Wei-Jin(魏晉) period, the discourses of the mourning dress system had not necessarily led to institutionalization. In the period of Tang Dynasty, however, Rite Procedures(儀節) which was organized in national Jeonrye-seo(典禮書) reflected the regulations of Tangryeong(唐令); for example, in the year of 658, during the ruling of Emperor Kao-tsung(高宗) of Tang, when Xian-qing-li(顯慶禮) was compiled, it was mentioned “taking Ling(令) and Shi(式) into account.” Also, the decision on the discourses for rituals was stipulated as an institution in Jeonrye-seo(典禮書), and Tangry eong(唐令) was also revised as based on the stipulations. Specifically, about the mourning dress system, the discourse of reinterpretation to the stipulations in Sangfu(喪服) was incorporated into Jeonrye-seo(典禮書) as being an institution. Also, it made the regulations of Tangryeong(唐令) be revised. Thus, the decision on the discourses for the stipulations of mourning dress in the period of Tang Dynasty was institutionalized, and it was legally supported by Tangryeong(唐令); thereby, the practice of rituals(行禮) was bindingly and stably assured. Nevertheless, institutional and legal support by yejeon(禮典) and Tangryeong(唐令) was still insecure, because Tangryeong(唐令) and 예전 could be modified Emperor s decision. Although the insecurity caused the reiteration of the discourses about the stipulations in Sangfu(喪服), the reinterpretation of the stipulations in Sangfu(喪服) helps understand the process and actual situation of making byŏllye(變禮).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