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인, ‘도시’를 만나다 ― 중국 현대 ‘都市詩’에 대한 試論

        이경하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1 中國現代文學 Vol.0 No.58

        The poets have been felt in the 1920s and 1930s that the city would introduce the new life style and this would naturally result in the new possibility for modern poems. However,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viewpoint the meanings of urban poems appeared in different ways. Thus in the study the definition and category of “urban poems” were re-established before the chinese urban poems in the 20th century would b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birth, progress and changes of the chinese modern poems were looked into through the poems which the Modern School Poets published from the 1920's to 1940's. Since the 1930's is considered as the era when the most ripe poets were published in the chinese modern literature, we analyzed the major poets being published on the magazine of 『The Modern』 which aroused fever of the urban poems to the chines poetical circles. The creation of urban poems were subsided during the Sino-Janpanese War, however, in the 1940's the new renaissance came with Jiuye Poets Group. In the urban poets of the Jiuye Poets Group criticism and satire of the reality were more important poetic matter rather than innocent inner side confession and lyricism related with the urban life, which the Modern School considered as more important poetic matter. Thus the innocent sense of urban poems are rare among their works. Because the numbers of urban poems are lack,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and urban sensitivity is left as later research topic in this study. In the future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urban images and sensitivity to the chinese modern poets will be looked into from the urban poems published throughout 20th century.

      • KCI등재

        사진을 소재로 한 한국 현대시의 양상과 의의 1

        김혜원(Kim, Hye-won)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진을 소재로 한 한국 현대시의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이러한 현국 현대시가 사진 매체와의 통섭적 사유를 통해 모색한 시적 의미와 문화적 가치를 확인하고 그 의의를 규명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진을 소재로 한 한국 현대시가 사진이라는 특정 재현 매체를 빌려 모색하고자 한 시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이들 현대시가 카메라와 사진 제작의 원리, 사진 이미지의 특성에 주목한 양상을 살펴보면서, 그것들이 사진 매체의 진보 과정, 사진 이미지의 의미화 과정과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어온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세계를 인식하는 이들 시인의 시선은 사진 매체나 사진 이미지를 바라보는 사진 이론가들의 시선과 일정한 유대 관계를 형성하면서, 사진의 정체성이나 존재 의의를 밝히려는 여러 사진 담론을 내재화한 시로 형상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카메라의 촬영 원리를 빌려 자신의 시론(詩論)을 펼친 손택수의 「바늘구멍 사진기」 , 사진 제작의 원리를 통해 자신의 예술관을 보여준 유 하의 「사진기 속의 우주」 , 가상 세계를 디지털 영상처럼 창조한 박강우의 「합성사진 혹은 더빙」 은 사진 매체에 주목하면서 카메라와 사진 제작의 원리를 빌려 자신의 시론이나 예술관을 펼친 시편들이었다. 또한 사진의 ‘노에마’와 동일한 인식으로 자아를 성찰한 김기택의 「옛날 사진 속에서 웃고 있는」 , ‘메멘토 모리’의 의식으로 죽음과 삶을 성찰한 유 하의 「사진 속엔 그녀가 살지 않는다」 , ‘푼크툼’의 힘으로 인간사의 상처와 고통을 확인한 최영철의 「가족사진」 은 사진 이미지의 특성과의 관련 속에서 삶에 대한 성찰을 드러낸 시편들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진을 소재로 한 한국 현대시가 사진 매체를 자신의 예술과 삶을 성찰하는 수단으로 삼아 새로운 시적 의미를 생산하고 시적 진실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개성적인 시 세계를 창조해 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았다. 또한 이러한 한국 현대시가 현대 예술을 사진 매체가 이끌게 된 매체 변동 상황과 매체 환경을 인식하고 문학예술과 사진 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통섭적 사유로 한국 현대문학의 지평을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았다. 나아가 한국 사진계의 창작과 연구가 주로 장르적 차원이나 미학적 층위의 예술 담론 속에서 진행되고 있는 데 비해, 오히려 이들 현대시가 예술 담론뿐 아니라 일상적 대중문화의 담론 속에서 사진 매체를 이해하고 수용하면서 특정예술 담론 영역을 문화 담론 영역으로 확대하였다는 점을 사진을 소재로 한 이들 한국 현대시가 갖는 더욱 중요한 의의로 파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poetic meaning and cultural value an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that Korean modern poems with photography as subject matters seek for with consilience thinking with photograph medium and to investigate its significance by studying the aspects of those Korean modern poems. So it analyzes the poetic meaning that Korean modern poems with photography as subject matters try to seek for adopting photography, a certain representation medium. In the process, it identifies that those modern poems have had a constant relationship with progress process of photo medium, signification process of photograph image, checking out the aspects that they have focused on principle of camera and photo production and property of photo image. Specially it identifies that those poets" gazes recognizing the world are textualized into poems in which lots of photograph discourses trying to reveal identity of photograph or significance of existence of photograph, building a bonding relationship consistently with the gazes of photo theorists looking at the photo medium or photograph image. In other words, Pinhole Camera of Son Taek-su who asserts his poetic theory using shooting principle of camera, 『Universe in Camera』 of Yu Ha who shows his view of art with principle of photo production and 『Composite Photos or Dubbing』 of Bak Gang-u who creates the virtual world as digital image are poems that show their own poetic theories or their own views of art using principle of camera and photo production, paying attention to the photo medium. Also 『Smiling in Old Picture』 of Kim Gi-taek who introspects himself with the same recognition as "noèma" of photo, 「She isn"t Living in a Picture」 of Yu Ha who introspects death and life with the concept of ‘memento mori’ and Family Picture of Choi Young-cheol who identifies injuries and suffering of human affairs with the power of "punctum" are poems that show introspection on life in the relationship with characteristics of photo image. Thus this research finds the significance in that Korean modern poems with photography as subject matters produce new poetic meaning, transfer the poetic truth effectively and manage to create characterful poetic world using photo medium to introspect art and lives of the poets. Also it finds the significance in that those Korean modern poems realize circumstances of media shift and media environments that photograph medium becomes to lead modern art, and extends horizon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through consilience thinking to obnubilate the boundary and interact between literary art and photograph art. Furthermore, Korean modern poems with photography as subject matters have more important meaning in that those modern poems extend a field of discourse on specific art into the field of culture discourse, understanding and accepting photograph medium in the discourse of ordinary popular culture as well as art discourse, on the contrary most writing and researches of Korean photography are being accomplished in art discourse in genre dimension and aesthetic hierarchy.

      • KCI등재

        시조 시인 너머의 김상옥

        이경수 민족어문학회 2020 어문논집 Vol.- No.89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Kim Sang-ok created modern Shijos, children’s poems, and modern poems together throughout the years of his creative activities. Putting a special focus on the fact that he published four collections of modern poems and two collections of children’s poems between his first collection of Shijos Chojeok(1947) and his second collection of Shijos 65 3-Line Poems(1973), the study demonstrated that his poetic experimentations with modern poems and children’s poems had close impacts on his renewal of modern Shijos. In his early years of creative activities, he made a distinction between his Shijos and modern poems by putting more efforts in rhymes for Shijos and images for modern poems. In addition to these form characteristics,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his thematic consciousness as he emphasized certain topics more for certain genres. As time passed, however, differences in his thematic consciousness among different genres disappeared gradually. It is understood as his attempt at organizing his poetic world holistically with diverse genres instead of regarding certain genres as a process or foothold to make an achievement in other genres. He kept his attitude of respecting differences among different genres to the end, but evaluations of his poetic products have been inclined toward his Shijo works despite this effort of his. In fact, he made resistance in many different forms against the bias of the poetical circles for modern Shijos, calling a Shijo a “3-line poem.” Tracing his steps, the study raised a need for new reflection on the research trends of the academic circles on the poet. Kim Sang-ok created Shijos, children's poems, and verses simultaneously by respecting differences among the genres and achieved certain results. His poetic move offers a chance of reflection to the poetical and academic circles today whose barriers are rising high against the creation and research of Shijos, children’s poems, and verses. 이 논문은 김상옥이 창작 활동 기간 전 시기에 걸쳐 현대시조, 동시, 현대시를 병행해 창작해 왔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특히 첫 시조집 『초적』(1947) 이후 두 번째 시조집 『삼행시육십오편』(1973)을 출간하기까지 그 사이에 현대시를 수록한 시집 네 권과 동시집 두 권을 출간했다는 사실에 주목해, 김상옥이 현대시조의 갱신에 이르는 길에 현대시 창작과 동시 창작이라는 시적 실험이 긴밀히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초기에는 시조는 운율에, 현대시는 이미지에 좀 더 공을 들이는 형식적 특성 외에도 각 장르별로 좀 더 주력한 주제의식에서도 차이가 나타났지만, 점차 주제의식에서의 차이가 지워져 나가는 특징을 보였다. 이는 특정 장르를 다른 장르의 성취에 이르기 위한 과정이나 발판 정도로 생각하지 않고 그가 다양한 장르로 자신의 시세계를 총체적으로 구성하고자 했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그는 각 장르의 차이에 대한 존중의 태도를 끝까지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김상옥의 시적 결과물에 대한 평가는 시조 시인으로서의 김상옥에 치우쳐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시조를 ‘삼행시’라고까지 부르며 현대시조를 향한 시단의 편견에 여러 가지 형태로 저항해 온 시인의 발자취를 생각해 보면 김상옥에 대한 학계의 연구 동향에는 새로운 성찰이 필요해 보인다. 장르 간 차이를 존중하며 시조, 동시, 시를 동시에 창작해 오면서 일정한 성과를 이룩한 김상옥의 시적 행보는 시조, 동시, 시를 창작하고 연구하는 시단과 학계의 장벽이 높아져 가고 있는 오늘날의 시단과 학계에 성찰의 자리를 마련해 주고 있다.

      • KCI등재

        한국 "근대 장시(長詩)"의 특징과 형성

        김종훈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7 民族文化硏究 Vol.46 No.-

        이 논문은 근대성과 관련하여 한국 장시(長詩)의 특징을 살펴본 뒤, "근대 장시(長詩)"의 형성 과정을 고찰한 글이다. "근대 장시"는 고대 서사시와 분량면에서 닮아 있으나 서사시의 내러티브 요소를 깨뜨린다는 점에서 그 특징을 달리한다. 내러티브가 사라지면서 인물보다는 화자, 행동보다는 사유, 고양되는 감정보다는 혼란스러운 감정, 인과적인 구성보다는 의식의 흐름이나 자유연상, 과거 시제보다는 현제 시제, 흐르는 시간보다는 압축된 시간, 조화로운 세계관이 아닌 갈등과 투쟁의 세계관이 강조되는데, 이와 같은 장시(長詩)의 특징들은 근대성의 특성을 반영한다. 한국 근대 장시는 불완전하게나 김기림의 「기상도」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이를 송욱의 「何如之鄕」이 이어 받았다. 김수영은 장시(長詩)를 쓰지는 않았지만 화자와 시간을 드러내는 방식에서, 황지우는 시어와 구절에서 장시의 특징을 명확히 했다. 20세기 말의 "근대 장시(長詩)"는 자유 연상에 의한 의식의 흐름 기법을 막았던 외부 현실을 괄호에 넣으며 확대된 자아와 균열된 자아의 모습을 보여주는 데 기여했다. 이를 배신호, 박정대, 장석원의 시가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character of Korea long poem relative to modernity and formation of korea modern long poem. Modern long poems are similar to epic's figures but are different from breaking the narrative that is epic's own. While the narrative is broken up, a speaker rather than a character, a thinking rather than a action, a feeling of confusion rather than a feeling of inflammation, a stream of consciousness and a free association rather than a causal connection, the present tense the struggle and conflict world view rather than an universe world view etc, these are emphasized in long poems and these reflect on modernity. Korea modern long poem started at Kim Ki-Rim's Ki-sang-do, Song Uk's Ha-ye-ji-byang succeed to this. Though he didn't write long poems, Kim Soo-Young button down the way of speaker and time in modern long poem. And Hwang Ji-Woo button down the way of words and a paragraphs in modern long poem. The modern long poems of 20th end contribute showing the model that erase the outside reality that bloc streaming of consciousness by a free association and show an enlarged and cracked ego. Bae Sin-Ho, Park Jung-dae, Jang Seock-Won's poems shows these characters.

      • KCI등재

        근대 전환기 심재 조긍섭의 杜⋅蘇詩 화운시

        김보경 동양고전학회 2014 東洋古典硏究 Vol.0 No.56

        This paper examined the poem world of Simjae(深齋) Cho Geung-seop(曺兢燮: 1873-1933) in the turning point of the modern era, focused on his Hwaunsi (和韻詩: Poems written by using the rhymes of other poets' poems). In his poems, there are lots of Hwaunsi on the poems of Tu Fu(杜甫) and Su Shi(蘇軾), especially. This makes him regarded as a medieval poet, engaged in Chinese poem creation in the most traditional method in the turbulent period. Looking at the Hawunsi(和韻詩) alone, Simjae's creative life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turnaround at around 40 years old. Before the age of 40, the poets in the Tang Dynasty and Song Dynasty and Ming Dynasty and Qing Dynasty and Korean figures like Lee Hwang(李滉), as well as Tu Fu and Su Shi were the subjects of his Hwanunsi. After the age of 40, some examples of writing poems using the rhymes of other poets' poems, especially Korean figures related to regions, are often found, reducing Hwaunsi on Tu Fu and Su Shi. Simjae called Tu Fu the integration of poets, talking about the integrity of poetic talent and his being highly proficient in mood and view. As reflecting such an awareness, the themes and moods and views are demonstrated diversely in Simjae's Hwaunsi. Although, he did not reveal his thinking about the poems of Su Shi, he seemed to love Su Shi's poems to some degree. The closeness to the original poems, the poems of Tu Fu a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Su Shi. Roughly speaking, Simjae tried to find his own individuality, intending to follow Tu Fu, but, he seemed to attempt to reveal his intention using Su Shi's poems, rather than trying to imitate. To carefully examine, Simjae wrote Hwaunsi, but he did not just imitate, but revealed the aesthetics of comparison and difference. In many cases, he made new meanings by implanting his intentions in the poems, while sharing the opportunity of creation, rather than bringing the theme and mood and view as they are. The Hwaunsi on Su Shi's poems reveal the closeness to the original poems relatively less. This can be the trace of an effort to make his own theme and individuality, not being dominated by the Hwaun(和韻: using the rhymes of other poets' poems) entirely, as he used the creative method having many restrictions. However, it is noted that the Hwaunsi on Tu Fu's poems was not written much, after the age of 40. Is this the reason why he realized literary reality that he could not cope with anymore with only his effort within the Hwaunsi? For example, he wrote four poems by borrowing Su Shi's Okjungsi(獄中詩: poem written in jail) rhymes and also wrote Gujung Japje(拘中雜題), in 1919, while he was detained. In these poems, his complex contemplation and emotion, not restricted by any poet's rhymes, are revealed diversely. Simjae's Hwaunsi testifies the reality, in which Chinese poetry's habitus existed and the impressive existence mode at the turning point of the modern era. Although, the creation of Hwaunsi reflects his disposition of liking the old things, it is judged that his psychology, resisting modern characters' change, affected to some degree in the hidden side. In this regard, Simaje's Hwaunsi encounters limitation on its own, however, it has significance in that some hidden facts were revealed in the modern Chinese poetry history, which was captured with attention under the name of novelty, eccentricity and modernity.

      • KCI등재

        현대시조 창작교육의 실천적 연구 : 사설시조를 중심으로

        이지엽 한국비평문학회 2012 批評文學 Vol.- No.45

        This study investigated creative writing education of modern Sijo focusing on Sasul-Sijo. As modern society becomes highly advanced and high-tech, human becomes smaller and isolated. To well express individuality and complicated mind of each individual, Pyeong sijo focusing on being closed has its limitation. Furthermore, to express complete human emotion with Sijo, more open structure is needed and modern Sasul-Sijo can make it possible. Accordingly, first of all, this study set basic form of Sasul‒Sijo for creation of modern Sasul-Sijo. Basic form should meet following conditions. 1) Basic form has the first line(初章), the middle line(中章), and the final line(終章). Each line has semantic structure. 2) Each line is composed of four phrases. Increased foot(音步) in phrase is mostly walk in even number. 3) First phrase of final line has three letters and second phrase has more than five letters. It is true that modern Sasul-Sijo is complicated in requirements for form differently from other genres but if existing various elements are used, one can easily approach creative writing. The most efficient method for creation of Sasul-Sijo is to reflect basic form of Sasul‒Sijo well, or to use characteristics of Sasul‒Sijo or genre which is most similar to Sasul‒Sijo among various genres of modern literature. First, case where basic form of Sasul‒Sijo is well reflected connects three lines of the first line, middle line, and final line with three stages composition among composition with fixed form in poetry creation. Second, Characteristics of Sasul‒Sijo can be used. This study gave attention on attribute of ‘weave (篇)’ meaning that speaking or writings are extended long by connecting meaning of ‘Sasul(辭說)’. This can be related to tone in poem. In this case, confessional story of poetic self has the most similar character. Accordingly, creative writing method through poem with story was suggested. Third, Among various genres in modern literature, prose poem is most similar to Sasul-Sijo. So, creative writing method through prose poem was suggested. When each line in Sasul‒Sijo is extended, its form is most similar to prose poem. But its structure of the sentence does not include simple expression. There are drop height of long·short·slow· hurried(長·短·緩·急) while it has ascending structure of repetition, enumeration, and climax. That is, it has dynamic structure. In short, this study has meaning in that several methods for creating modern Sasul‒Sijo were first suggested by methodologically approaching methods of using creatio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judged in method showing the most frequency in actual creation of Sasul-Sijo, creation based on story, and prose poem. By embodying parts which are hard to express in modern Sijo through modern Sasul‒Sijo, independence can be constructed-independence comes from that all the complicated and delicate human emotions can be included in traditional genre form which is Korean and only one in the world. Modern Sasul-Sijo not only gives mutual help with various sub‒genres of poem but also can play a major role as future poetics. 본 논문은 현대시조 창작교육을 사설시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현대사회는 날로 고도화, 첨단화되어 가고 있지만 인간은 더욱 왜소해지고, 고립화 되어가고 있다. 각 개인의 개성과 복잡한 심경을 잘 표현하기 위해서는 닫힘 중심의 평시조만으로는 불가능하게 된 것이다. 더욱이 시조로 완전한 인간의 감정을 다 표현하기 위해서는 좀 더 개방적인 구조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현대사설시조로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대시조는 제7차와 2009교육과정 개편과정에서도 현대시에 비하여 심한 홀대를 받았으며, 이러한 현상은 지금까지도 전혀 시정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더 심각한 것은 현대사설시조에 대한 창작이론이나 준거들이 마련되지 않아 일반인들은 물론 전문시조시인들까지도 쉽게 창작에 적응하기가 힘들고 마땅히 교육 자체도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 사설시조 창작을 위하여 아직까지 정립되지 않은 여러 견해들을 종합하여 사설시조 기본형을 설정하였다. 기본형은 다음의 조건을 충족해야한다. 1) 초장, 중장 종장 3장으로 나누어지며, 각 장(章)은 하나 이상의 의미 구조를 가진다. 2) 각 장은 4마디로 나누어진다. 마디에서 늘어나는 걸음(음보) 수는 대개 짝수 걸음이다. 3) 종장의 첫 마디는 3자로 고정되며, 둘째 마디는 5자 이상이다. 현대사설시조는 타 장르와는 달리 형식상의 요건이 까다로운 것이 사실이지만 기존의 여러 요소들을 활용하면 보다 쉽게 창작에 접근할 수 있다. 사설시조 창작의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사설시조 기본형을 잘 반영하거나 사설시조가 갖고 있는 특성, 혹은 현대문학의 여러 장르 중 사설시조와 가장 유사한 형태의 장르를 활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첫째 사설시조 기본형을 잘 반영한 경우로는 초장, 중장 종장의 3장과 시창작의 정형구성 중 삼단구성을 연결시키는 방법이다. 둘째 사설시조가 갖고 있는 특성을 활용할 수 있는데 ‘사설(辭說)’이 갖는 의미와 연결하여 말이나 글을 길게 늘어놓는 ‘엮음(篇)’의 속성에 주목하였다. 시에서 어조와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시적 자아의 고백적 이야기가 이와 가장 유사한 성격을 가지게 됨에 따라 이야기시를 통한 창작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현대문학의 여러 장르 중 사설시조와 가장 유사한 형태의 장르, 곧 산문시를 통한 창작 방법을 제시하였다. 사설시조는 각 장이 늘어날 경우 이를 형태로만 가늠해본다면 산문시와 가장 유사하지만 평이하게 서술해가는 문장 구조가 아니라 長·短·緩·急의 낙폭을 주면서 반복과 열거, 절정의 상승적 구조로 엮어가는 역동적인 구조를 지녔다고 볼 수 있다. 요컨대 이 논문에서는 사설시조 실제 창작에서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이는 방법으로 판단되는 구조의 특성을 활용한 창작, 이야기를 활용한 창작, 산문시를 활용하여 원용하는 방법을 방법론적으로 접근해보고 실제 학생들의 작품을 사설시조로 창작해봄으로써 현대사설시조 창작교육의 실천적 접근을 최초로 제시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할 것이다. 현대시조로서는 표현하기 힘든 부분을 현대사설시조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현대의 복잡 미묘한 인간의 모든 감정을 한국적이면서 세계 유일의 장르인 전통장르 형식으로도 담아낼 수 있다는 독립성을 견고하게 구축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시의 여러 하위 장르들과 상보적인 도움을 주면서 동시에 미래 시학으로도 주요역할을 감당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한중 현대시와 시조체시 및 가사체시

        최한선(Choi, han-sun) 동아인문학회 2015 동아인문학 Vol.33 No.-

        본고는 양식(mode)이라는 개념이 새로운 시가 장르의 출현에 관여한다는 파울러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 현대시의 형식 곧 현대시 장르 형성에 대하여 그 과정을 살펴보았다. 양식이란 기존의 역사적 장르가 그 시대적 소임을 다하면 문학사의 뒤편으로 사라진 것이 아니라, 장르 형성의 기저 자질로 잠복되어 있다가, 새로운 시 형식의 출현이 요구될 때, 그 형식 형성의 관여 자질이 되는 것을 일컫는다. 이글은 여러 양식의 결합, 충돌, 갈등, 조화, 변용 등에 의하여 새로운 장르(genre, 體裁)가 형성된다는 관점에서 한국과 중국의 현대시 형식을 살핀 것이다. 그 결과 중국은 서구시의 수용과 영향에 힘입어 오랜 전통과 역사를 지닌 근체시 등 비교적 규율을 중시하는 시형을 포기하고, 현대적 내용을 담아내는데 적합한 시 형식의 창안이라는 명분 아래, 규율이 완전 해제된, 자유로운 형식의 시, 곧 서구 시 형식을 수용하여 현대시를 창안하였는바, 이는 새로운 장르 형성과정에서 역사적 장르의 변용인 양식들의 역할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로서, 전통과 크게 멀어지는 결과를 낳았음을 살폈다. 이와는 달리 한국은 현대시 형식을 창안함에 있어 민요, 향가, 한시, 고려속요, 경기체가, 판소리, 시조, 가사 등 역사적 장르가 소임을 다하고 양식으로 전환된것들 가운데, 시조와 가사를 주도적 자질로 삼고 기타 여러 양식들을 결합하거나 수용 또는 변용하여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시 형식, 곧 현대시를 만들었다. 그렇게 만들어진 중국과 한국의 현대시는 중국의 경우 예전의 시 형식과는 완전히 멀어진 것이었지만, 한국의 현대시는 단아하고, 정제되며 함축적인 단형의 시형과 비교적 형식이 자유로우면서도 서술적이고 서사구조를 지니며 친절하고 설명적인 장형의 시형 곧 시조체 시형과 가사체 시형으로 크게 양분되는 시 형식으로 실현되었음을 밝혔다. This article is based on Alastair Fowler’s genre theory. Comply with his opinion Mode exert influence to create a new genre. Poem’s form mostly does not disappear but influence on a new poem style in post period. Historical genre has been transformed Mode and then take part in a basic element in new poem style. I have been looked into Korean-Chinese modern poem form. There is a great difference. Through untold ages, over millenary, Chinese poet emphasis on poetic form’s rule as it were classical Chinese verse. Chinese modern poem style is built up based on the western style poem form, for example sonnet etc. So producing good results is far away from traditional poem style. On the contrary to this, Korean modern poems accept various traditional poem form, Mode, produce modern poem style. Most Korean poets make a study through their traditional poem form, for example folk songs, Pansori, native songs, Goryeo dynasty folk songs, warrior songs etc. As a result, through those various traditional form’s - combination, conflict, strife, change, harmony- produces modern poem style. It creates two types of style. First one is Sijo style poem that is a relatively short form poem. And the other one is Gasa style poem that is a long poem form. The former stresses on implication, symbol and the latter based on narrative, plot etc.

      • KCI등재

        김춘수의 산문시 인식 연구 : 『한국 현대시 형태론』을 중심으로

        최석화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4

        김춘수는 무의미시 시론과 기나긴 무의미시 창작 이후, 무의미시에 대한 쉼표를 찍으며 본격적인 산문시 창작을 시도한다. 그의 산문시 시도는 『한국 현대시 형태론』에서 보여지는 산문시에 관한 인식이 기초하고 있다. 김춘수에게 있어 산문시는 정형시-자유시-산문시에 이르는 발전 단계의 과정에서 존재한다. 또한 산문시는 장르해체의 위기에서 문학의 원형으로 돌아가려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시 형태이다. 에즈라 파운드에 의한 시 발전 단계인 운율의 유무, 시각적 청각적 양상의 유무는 시의 본질론에 용해되며 현대시의 형태를 구분한다. 이에 따라 김춘수는 산문시가 자유시와 달리 ‘음율을 가지지 않는 줄글’로 되어 있고 ‘시각적 청각적 양상’을 보인다고 하였다. 이 기준에 의하면 산문시의 모범적인 예는 정지용이다. 이후 김춘수는 시의 내용을 거론하면서 산문시는 시의 내용이 ‘토의적’ 속성을 따른다고 하였다. 김구용의 산문시가 이에 해당하며 시의 토의적인 속성은 시와 산문이라는 장르의 위기에 놓인다. 그러나 이러한 위기는 창조문학과 토의문학이 서로 변증법적 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시의 형태를 만든다. 『한국 현대시 형태론』 에서 김춘수의 산문시에 관한 인식은 ‘음율이 없는 줄글을 가지고 시각적 청각적 양상을 가지며 내용적으로는 토의적인 속성’을 가진 것으로 요약된다. 이는 김춘수의 산문시에 대한 인식의 특징이기도 하지만 다양한 산문시의 형태를 포함하지는 못한다. 김춘수는 그의 중요한 시론인 무의미시 이후 본격적인 산문시의 창작을 시도하였으며 산문시의 창작에 관한 인식은 『한국 현대시 형태론』에 기초하고 있다. 이는 김춘수가 자신의 시론에 의해 시를 창작해나가는 과정과 유사하며 김춘수의 산문시에 관한 인식과 창작의 특징을 보여준다. After maintaining the poetics of meaningless poems and creating meaningless poems for a long time, Kim Chun-su put in a comma for meaningless poems and attempted to create prose poems in a full-fledged manner. His attempt of prose poems was based on the perception of prose poems presented in 『The Morphology of Korean Modern Poems』. His prose poems are placed in the course of such developmental stages as fixed form poems-free poems-prose poems. In addition, prose poems are a new poetic form appeared in the circumstance of returning to the prototype of literature at the crisis of genre dissolution. The fact that ‘whether or not there are rhythms and visual/auditory modalities’, namely Ezra Pound’s developmental stages of poetry, is dissolved into the discussion of poetic essentials, and classifies the form of modern poetry. In this vein, Kim Chun-su regarded prose poems as consisting of ‘prose of no rhythms’, different from free poems, and presenting ‘visual and auditory modalities’. According to this criterion, exemplary poet of prose poems is Jeong Ji-yong. Since then, Kim Chun-su argued that the contents of prose poems abided by ‘the disposition of discussion’. Kim Gu-yong’s prose poems are appropriate for this criterion and poetic disposition of discussion is placed in the crisis of genre between poetry and prose. However, this crisis provides an opportunity of inventing a new form of poetry through the dialectic process each other to creative literature and discussion literature. According to 『The Morphology of Korean Modern Poems』, Kim Chun-su’s perception of prose poems can be summarized into ‘having prose of no rhythms, having visual and auditory modalities and having discussion disposition in contents’. Although this is the characteristic of Kim Chun-su’s prose poems, it cannot include various forms of prose poems. After his important poetics of meaningless poems, Kim Chun-su attempted to create prose poems in a full-fledged manner and his perception of creating prose poems was based on 『The Morphology of Korean Modern Poems』. Since then, he maintained to create poetry that was similar to his poetics and presented his own unique perception and creative characteristic of prose poems.

      • KCI등재

        1980년대 모더니즘(Modernism) 시의 교육적 가능성 고찰 -황지우, 오규원을 중심으로-

        한미훈 ( Mi Hoon Ha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문학교육학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educational value in modernism poems written in the 1980’s. Due to the form of deconstruction of the 1980’s modernism poems, they have been hardly dealt with as the material of education for contemporary poems. Modernism poems have contributed to the diversity of contemporary poems while checking and cooperating with lyric poems. In particular, the 1980’s modernism poems can be evaluated to have added width and depth to Korean modernism poems confronting absurd reality aggressively and expressing freedom. For modernism poems in the 1980s be properly utilized in class requires aesthetic awareness, meticulous reading and creativity but it is very useful. They can be utiliz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 areas, including genre education, education on literary expressions, critical education and narrator education. In addition, education about the 1980 ’s modernism poems can play roles for teachers and learners to enhance the meaning of contemporary poetry education and reestablish the range of it and also can provide chances for learners to have a discerning eye as a reader and be equipped with genre flexibility.

      • KCI등재

        주요한의 상해시절 시와 이중적 글쓰기의 문제

        박경수(Park Kyung su)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8 No.-

        이 글은 주요한이 상해시절에 쓴 시의 특징과 전후 맥락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그동안 논의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한이 대한민국 상해임시정부의 기관지인『독립신문』에 발표한 시는'송아지'와'요(耀)'란 필명으로 발표한 시 7편이다. 그동안 주요한의 시로 보아 왔던'목신(牧神)'이나'밝참'등으로 발표한 시는 주요한의 시 작품으로 볼 수 없다. 둘째, 주요한이 상해에서 국내로 송고하여 발표한 시는 80편 이상이다. 그가 상해 호강대학에 입학한 이후 2년간은 작품 발표를 크게 줄였지만, 3학년 이후부터는 다시 활발하게 작품을 발표했다. 셋째, 주요한이 독립신문에 발표한 시는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매체의 성격에 맞추어 쓴'상황시'로 정치적 담론의 성격을 갖는다. 이들 시는 민족의식과 조국애를 구현하고 있지만, 웅변조의 설득적인 목소리에 의한 메시지 중심의 시이며, 격정에 의한 관념적인 시라는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시는 일본 유학시절에 일본어로 쓴 으로부터 이어진 것이며, 상해시절 이후에는 시 에서 다시 나타난다. 넷째, 주요한이 상해시절 국내로 송고하여 발표한 시는'상해체험 시'와'고향생각 시', 그리고'전통지향 시'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다섯째, 주요한의 '상해체험 시'는 시의 어조와 문체, 묘사적 특징이나 주제적 성향에서'독립신문 시'와 크게 달랐다.'상해체험 시'는 상해의 풍경을 관찰자적 입장에서 담담하게 묘사하되, 이국지향의 시선에 따라 시적 대상을 관능적으로 묘사하고 있는 탈정치적인 성향의 시였다. 이러한 묘사시는 일본 유학시절부터 모색된 것이다. 여섯째, 주요한의'고향생각 시'는 다시 두 범주로 구분하여 논의했다. 한 가지는 유년시절 고향에 대한 기억들을 되새기면서 유토피아로서의 고향의식을 나타내는 작품들이며, 다른 한 범주는 고향에 대한 향수의식을 조국애나 민족의식과 결부시키고 있는 작품들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상해시절 이후 시조나 민요시의'전통지향 시'와 만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Ju, Yohan's poems in Shanghai and its context of his front and rear poems. Consequences that have been debated are as follows. 1. Poems that are published in 『Doklipsinmun』(i. e. independent newspaper), the journal announced by provisional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include seven pieces which were printed in the name of'Songaji' and'Yo'. Those poems named'Mokshin' or'Bak-cham' which have been recognized as Ju, Yohan's, can not be considered as his real pieces. 2. Poems that have been submitted from Shanghai and then released in Korea include more than 80 pieces. Although he diminished his publishing activities for two years after he entered Hogang University in Shanghai, he vigorously started to announce his pieces right after he got into a junior in University. 3. Poems that are published in 『Doklipsinmun』, have a characteristic of occasional poetry which is written according to the feature of the media. Even though these poems implement national consciousness and patriotism, these poems are rather ideal and passionate which can be regarded as a limitation of the pieces that has the tone of persuasive oratory. These poems has been rooted from the piece called which was written by Japanese by himself, Ju Yohan, when he was a student in Japan. Also it appears again in the poem named . 4. Poems that have been submitted from Shanghai and then released in Korea can be categorized in three different groups,'Poems of Shanghai Experiences', 'Poems of Hometown consciousness', and'Tradition-orienting Poems'. 5. Ju, Yohan's poem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poems published in independent newspaper in the aspect of tone, style of writing, characteristics of description, and tendency of the theme. Poems that are sorted as experiences of Shanghai, describe the surroundings of Shanghai calmly in the spectator's point of view and also portray the object sensual and attractive according to the view of exoticism. His effort of seeking this kind of descriptive poems have been started after his time as an international student in Japan. 6. I reclassified Ju, Yohan's poems of 'Poems of Hometown consciousness in two different categories. First group include pieces showing hometown consciousness regarding utopia, which were extracted out from the childhood memories of the homeland. Second group contains pieces that associates nostalgia with patriotism or national consciousness. These poems encounter 'Tradition-orienting Poems' concluding 'Sijo' and poems which are based on folk songs, all of which were written after the Yohan's time of Shangha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