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in the Acceptance of Mobile SNS Based on UTAUT Model

        Yong Guo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Smart Home Vol.9 No.1

        With the proliferation of Mobile SNS, understanding users’ acceptance behavior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for researchers and service providers. Relevant studies have focused on the acceptance of SNS, little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nder’s moderating effects of Mobile SNS. This paper incorporates perceived enjoyment with UTAUT theory as research base model and investigate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users in the acceptance of Mobile SNS. Data collected from 359 respondents in China is analyzed.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gender moderates the effects of Social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and Facilitating Conditions on Use Behavior.

      • KCI등재

        초등학생의 공감, 친사회성 및 방어행동의 관계에서 또래지위의 조절된 매개효과와 성차

        권지웅(Kwon Ji-Woong),박종효(Park Jong-Hyo) 한국인간발달학회 2020 人間發達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공감과 방어행동 간의 관계에서 친사회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이러한 매개효과가 또래지위를 통해 조절되는지, 더 나아가 또래지위의 조절효과가 성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클래스넷 4차년도 자료로서, 초등학교 41학교, 54학급, 총 1,2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로 측정한 공감과 또래지명으로 측정한 친사회성, 또래지위(선호, 인기), 방어행동 변인을 사용하였다, 친사회성의 매개효과와 또래지위의 조절효과, 그리고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 차이 등은 SPSS-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 친사회성, 또래지위, 방어행동의 성차를 확인하였다. 둘째, 공감과 방어행동의 관계에서 친사회성은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공감과 방어행동 간의 관계에서 확인된 친사회성의 매개효과는 또래지위에 의해 조절되었다. 이는 공감과 친사회성이 높은 학생들이 또래지위가 높은 경우, 낮은 경우 보다 방어행동이 유의하게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또래지위의 조절효과는 성별에 따라 달라졌는데,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또래지위가 높을 때 공감이 친사회성을 거쳐 방어행동으로 이어지는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에서 친사회성을 강화하는 인성교육을 실시할 때 성차도 함께 고려한다면 또래괴롭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ro-social trai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defending behavior; and to examine if this mediating effect is moderated through peer status; and whether it varies depending on gender. The fourth wave of Class-Net data was used to target a total of 1,208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pathy was measured by self-reports, and pro-social traits, peer status (preference, popularity) and defending behavior were measured by peer nomina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pro-social traits, the moderating effects of peer status, and the difference in the moderating effect by gender were analyzed using SPSS-mac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empathy, pro-social traits, peer status and defending behavior. Second, pro-social trait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defending behavior.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pro-social trai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defending behavior was regulated by peer status. This means that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empathy and pro-social traits show higher rates of defensive behavior than those with lower levels of empathy and pro-social traits. Fourth, there was a gender gap in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status. For female students, a higher peer status had a greater impact on empathy, leading to pro-social traits and defend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s will be helpful when implementing character-building education to enhance pro-social traits so as to prevent peer bullying at schools.

      • KCI등재

        예비 생물교사의 개인 심리적 특성이 식물 분류학 수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흥태 한국생물교육학회 2023 생물교육 Vol.51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biology teachers’ interest in the activities in plant taxonomy classes, plant identification knowledge, satisfaction with the classes, and teaching efficacy of plants. In particular, the effects of their interest in plants, experiences of plants, and personality on the outcome variables assessed after the class including plant identification knowledge, class satisfaction, teaching efficacy, and activity interest were explored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mong the class activities, they showed higher interest in direct observation of plants, making of plant specimens, and a group plant quiz competition. Their plant identification knowledge after the class did not differ in gender and was best explained by their plant affinity regardless of gender. Gender moderated the impacts of plant affinity, indirect experiences of nature and extroversion, and conscientiousness on the outcome expectancy, the self- efficacy, and the plant identification knowledge, respectively; the impacts were strengthened in female. Also, higher correlations of females were show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lant affinity, and the class satisfaction and the class activity interest, nature experiences, and the teaching efficacy and the class satisfaction, indicating that the effects of plant interest and nature experiences on the outcome of plant taxonomy can be moderated by gend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guidelines for consideration of gender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plant interest, experiences of plants, and personality to improve plant taxonomy class.

      • KCI등재

        자원봉사자의 동기부여(자기지향적 동기, 타인지향적 동기)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 간에 친사회적 행동과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주순란(Joo Soon Ran),구본용(Khu Bon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자원봉사자의 동기부여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문헌 고찰을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자의 동기부여(자기지향적 동기, 타인지향적 동기)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더욱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친사회적 행동을 선정하였고, 그 관계가 성별의 조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검증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경기도를 중심으로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자 총 66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PROCESS macro 모형검증을 시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자원봉사자의 동기부여(자기지향적 동기, 타인지향적 동기)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간에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자원봉사자의 타인지향적 동기와 친사회적 행동,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간에 성별(남자, 여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성별(남자)의 조절효과를 보면, 자원봉사자의 타인지향적 동기가 친사회적 행동으로 가는 직접 영향을 조절하여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남자)의 조절 수준이 높아질수록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서서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별(여자)의 조절효과를 보면, 자원봉사자의 타인지향적 동기가 친사회적 행동으로 가는 직접 영향을 조절하여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여자)의 조절 수준이 높아질수록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서서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연구에 주는 의의와 실제 자원봉사 현장에서 성별에 맞는 친사회적 행동 및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Volunteer 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ith volunteering,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volunteering. selected pro-social behavior as a factor that further increases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and test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model to determine whether the relationship can vary depending on gender control. Methods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those who had volunteer experience in Gyeonggi-do, and data from a total of 661 respondents were collected. For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model verification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prosocial behavior was significant between motivation (self-oriented motive, other oriented motive) and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and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Second, other oriented motive and prosocial behavior, volunteer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male, female) was significant among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Looking at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male), the effect on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by regulating the direct influence of other-oriented motives toward pro-social behavior showed that as the control level of gender (male) increased,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gradually decreased. appeared to be 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female), the effect on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by controlling the direct influence of other-oriented motives toward pro-social behavior was found to gradually decrease as the control level of gender (female) increased. appeared to increas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the study and way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pro-social behaviors and volunteer activities according to gender in actual volunteer work were discussed.

      • KCI등재

        조직공정성과 조직구성원 성과 사이의 관계에 대한 성별과 통제위치의 조절효과

        이도화,이종법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0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7 No.2

        Although organizational justice has been actively studied, there has been a dearth of concern regarding whether the response to organizational justice would be similar regardless of traits of affected individuals. A few previous studies have delved into the role of gender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utcome variables. However, there is nearly no empirical study which considered other trait variable as a moderator. Thus, this study selected gender and locus of control as moderators and tested moderator hypotheses in order to more accurate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utcome variable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upon a total of 300 employees from 16 companies and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215 usable sample show the followings:First of all,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 highe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lower turnover intention. Second, gender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turnover intention. Third, locus of control was also found to have moderating effect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fact that this study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locus of control is considered meaningful, since there has been lack of studies on this issue.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have been presented in the conclusion. 조직공정성은 최근 국내외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조직공정성에 대한 반응이 모든 조직구성원의 특성에 관계없이 동일할 것인지에 대한 관심은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소수의 선행연구에서 조직공정성이 결과변수에 미치는 영향은 조직구성원의 성별에 따라 다를 것이라는 조절효과 가설을 검증한 바 있으나, 그 외 다른 변수를 조절변수로 검토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조직공정성과 결과변수 사이의 관계를 더욱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조직구성원의 성별과 통제위치를 조절변수로 채택하여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총 16개 회사와 기관의 근로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회수된 설문지 215부에 대해 계층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공정성 지각이 높을수록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위가 높고, 이직의도는 낮았다. 둘째, 성별은 조직공정성-직무만족과 조직공정성-이직의도 사이의 관계에 대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제위치는 조직공정성-조직몰입 관계에 있어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가 선행연구가 부족한 조직공정성의 영향에 대한 성별과 통제위치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것은 학문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논의를 결론부분에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 폭력피해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및 친구관계의 조절효과: 성별에 따른 두 대립가설의 검증

        전신현 한국피해자학회 2018 被害者學硏究 Vol.26 No.3

        이 연구는 청소년의 폭력피해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에 있어 부모관계와 친구관계의 조절작용을 살펴보며 그러한 조절효과가 남녀 청소년에게 얼마나 차별적인지의 성별 차이를 다룬다. 그러한 부모관계와 친구관계의 조절효과는 폭력피해의 우울에의 작용을 감소시키는 완충작용과 그 반대로 오히려 우울을 증가시키는 촉진작용의 서로 상반되는 작용이 가능한데 남녀에 따라 어떻게 다를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를 사용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우선 폭력피해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더 큰 것을 제시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관심을 갖는 주제의 분석결과로 폭력피해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관계와 친구관계의 조절효과는 성별 차이를 제시했는데, 여성의 경우는 폭력피해와 친구관계의 상호작용효과가 부(-)적으로 작용했고, 남성의 경우는 폭력피해와 부모관계의 상호작용효과가 정(+)적으로 작용한 것을 제시했다. 이 결과는 폭력피해에서 여성의 경우는 친구관계가 완충역할을 하는 것으로, 남성의 경우는 부모관계가 촉진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제시하는 것으로, 여성의 경우 피해시 친구관계가 좋을 경우 우울이 감소하지만, 남성의 경우 피해시 부모와의 관계가 좋을 때 오히려 더 우울의 경향이 높음을 제시한다. 이 결과의 정책적 함의를 논의한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moderating effect of relations with parents and peers between violence victimization and depression is different across male and female student. This study tests two contrasting buffering or promoting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peers across gender. That is, this study tests whether the effect of violence victimization on depression may be buffered or promoted by high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peers and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Using Korea Child and Youth Panel Study Data, it is found that effect of violence victimization on depression is larger on female than on male. In addition, results show tha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moderating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peers between victimization and depression. It is revealed that for male, the interaction effect of victimization and parent-relationship on depression is significantly positive, while for female, the interaction effect of victimization and peer-relationship on depression is significantly negative. Those results show that when they are victimized from bullying, high parent-relationship is promoting depression in male and, while high peer-relationship is buffering depression in female. The policy implication of those results is discussed.

      • KCI등재

        ‘젠더화된(Gendered)’ 행복

        주혜진(Chu, Hyejin) 한국여성학회 2017 한국여성학 Vol.33 No.2

        이 연구는 행복의 젠더 특수성에 주목한다. 여성과 남성의 행복이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는 가정에 기반하고 있으며, 행복을 결정하는 대표적 조건인 소득 외에 어떠한 것들이 행복의 젠더 특수성을 구성하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배우자가 있으면서 일하는 1,114명의 대전시민을 대상으로 집단별 차이, 행복과 독립변인들 간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과 ‘성역할 태도와의 상호작용항’을 추가한 회귀분석 및 단순기울기 검증을 통해 발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복 정도의 젠더 차이는 없었고, 남성이나 여성 모두 행복을 견인하는 요인들은 같았다. 건강을 위해 비용을 충분히 지출하고, 여가를 즐기며, 폭넓은 사회적 관계를 가지고 있고, 가족들과 교류를 활발히 하는 사람들이 행복했다. 둘째, 성역할 태도는 성별 변인과 상호작용하여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를 강하게 가지는 여성이 더 행복할 것으로 예측됐다. 셋째, 전통적 성역할 태도는 여성의 행복감 상승에 크게 영향을 미쳤던 변인인 ‘의지할 수 있는 지인의 충분함’의 영향력을 억제했고, ‘범죄피해 불안감’의 부정적 효과를 강화했다. 단순 기울기 검증 결과, 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강하게 가진 여성들은 불안감이 커지면 행복감도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체제정당화이론에 따르면, 여성들이 현재 젠더 불평등한 사회에 살고 있음을 반증한다. 또한, 행복하기 위해 필요했던 태도가 나를 행복하게 만들 수 있는 행위들을 위축시키고 더욱 불안하게 만들어 결국 불행해진다는 여성의 모순적인 현실을 드러낸다.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first to examine the happiness profile of the economically active citizens living in Daejeon with partners and gender differences in happiness, utilizing different aspects of life. This study mostly investigates the correlations of socio-demographic and other factors with happiness and, where (or when) possible, their independent and causal effect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gender role attitude’ and its interactions with other factors as a moderator. Results reveals that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happiness. Regardless of gender, people are more likely to be happy when they are satisfied with leisure time, family relations, health expenditure and social networking. However,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is highly correlated with positive effect of increasing happiness especially for women. This study finds that happiness is moderated by the degree of ‘gender role attitude’ for women.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moderates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ing and anxiety about crimes. Simple slopes analysis reveals that there is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networking, anxiety about crimes and happiness for women. Ironically and sadly, there is the endorsement of justifications of gender inequality is inversely related to happiness. The central argument is that the strategy for being happy hinders women from understanding properly the nature of oppression.

      • KCI등재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대학생의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효과

        최인선 ( Insun Choi ),주은지 ( Eunjee Jo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의 주목적은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257명이며 SPSS 22.0와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홉 가지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중 계획 다시 생각하기, 자기비난, 타인비난, 파국화는 마음챙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하위요인들에서 성별 조절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즉, 남학생은 계획 다시 생각하기에서, 그리고 여학생은 자기비난, 타인비난에서 마음챙김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마음챙김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남학생과 여학생에 따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중 어떤 전략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파악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담장면에서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상담개입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시사하는 바이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mindfulness of college student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The subjects were 257 college students and SPSS 22.0 and AMOS 23.0 program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main result indicated that among nin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refocus on planning, self-blaming, other-blaming and catastrophizing were influencing on mindfulness. It was prov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moderating effect on these subfactors by gender. In other words, focus on planning is found to be greater in the effect on mindfulness in male students than female. Self-blaming and other-blaming had negative effect on mindfulness for female students than male.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what kind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uld be used to enhance mindfulness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lso, this study stress the need and importance of counseling intervention according to gender.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한부모가 된 이후에 경험하는 생활변화의 어려움이 가구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

        장시온,김빛나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연구 Vol.61 No.3

        Today, Korean family forms are diversifi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d the value of family life and family perception are facing changes, and the number of single-parent families is continuously increasing in moder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 of difficulty in life change experienced by single parent householder on depression based on James and Gilliland's Crisis Theory. Also it intended to verify how the Moderating effect appea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iculties in life change and depression according to the householder's gender. Therefore, it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SPSS 26.0 program based on the response data of 2,500 single parent householders who participated in the 『2018 Single Parent Family Survey』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s a result, bigger difficulty in life change experienced after becoming a single parent makes higher depression of householder, moderating effect of gender was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iculty in life change and depression and female’s depression was higher then male’s depression, life change factors causing householder's depression was different by gender. Based on the results, it suggested ①to develop service for mental health improvement of single parent householders and distribute social member bond reinforcement interchange program, ②to expand the support policies category by analysing the life change actual conditions and consider gender differences when supporting policies, ③to reorganize administrative system to ease the eligibility criteria for beneficiaries and reduce stigma to improve single parent householder's policy accessibility and effectiveness.

      • KCI등재

        취약성 자기애와 특성분노의 관계에서 성별과자기제시동기의 조절된 조절효과

        이선민,이주영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The Moderated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Self-present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Between Vulnerable Narcissism and Trait AngerSeonmin Lee & Jooyoung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f self-present motivation and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ulnerable narcissism and trait anger. For this purpose, 431 college students completed Pathological Narcissism, State-Trait Anger,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through onlin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vulnerable narcissism, self-present motivation, and trait anger. Second, there was not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self-present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ulnerable narcissism and trait anger.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present motivation between vulnerable narcissism and trait anger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gender. This study suggests that gender-sensitive therapeutic interventions are required for high levels of anger that are easily experienced by people with high vulnerable narcissism. Especially for females, self-presentation motiv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therapeutic target to decrease their trait anger. Key Words: Vulnerable Narcissism, Trait Anger, Self-present Motivation, Gender, Moderated Moderation Effect 취약성 자기애와 특성분노의 관계에서 성별과자기제시동기의 조절된 조절효과이 선 민**ㆍ이 주 영***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취약성 자기애가 특성분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연구 참여자는 대학생 431명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을 활용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취약성 자기애와 특성분노 및 자기제시동기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취약성 자기애와 특성분노의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특성분노에 대한 취약성 자기애와 자기제시동기의 조절효과는 성별에 의해 유의하게 조절되었다. 결론 및 제언: 취약성 자기애 성향이 강한 사람들이 쉽게 경험하게 되는 높은 수준의 분노에 대해 성별에 따라 서로 다른 치료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특히 여성은 특성분노에 대해 자기제시동기가 치료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핵심어: 취약성 자기애, 특성분노, 자기제시동기, 성별, 조절된 조절효과 □ 접수일: 2022년 10월 29일, 수정일: 2022년 11월 24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이 논문은 주저자의 2020년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을 일부 발췌・수정한 것임. ** 주저자, 동덕여자대학교 아동·심리학과 석사(First Author, Master, Dongduk Women’s Univ., Email: lsunmiiin@gmail.com)*** 교신저자, 동덕여자대학교 아동·심리학과 부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ongduk Women’s Univ., Email: jylee7694@dongduk.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