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바일 메신저 앱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학습자의 동기, 참여, 지각된 가치, 만족도,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대학 강의를 중심으로

        정한호 ( Han Ho Jeo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 앱을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대학생의 동기, 참여, 지각된 가치, 만족도 등이 강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메신저 앱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대학생의 강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도출하고 각 변인들(동기, 참여, 지각된 가치, 만족감, 충성도) 간의 관계성에 대한 최적의 모형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용적 동기, 사회적 동기, 유희적 동기 등 세 가지 동기유형을 외생변인,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를 매개변인, 기능적 참여, 정서적 참여, 공감적 참여 등 세 가지 참여 유형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대학 강의에 대한 충성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으며 모바일 메신저 앱을 활용하여 오프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대학생 398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모형의 적합도 검증 및 강의 충성도에 미치는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AMO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오프라인 대학 강의에서 활용되는 모바일 메신저 앱에 대한 학생들의 충성도를 예측할 수 있는 최종모형을 제시하였다. 최종모형을 통해, 만족도, 실용적 동기, 기능적 참여 등이 강의 충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회적 동기, 유희적 동기, 정서적 참여, 공감적 참여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용적 동기와 충성도는 직.간접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오프라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대학 강의 수강을 위한 모바일 메신저 앱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motivation, engagement,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n students’ loyalty to use mobile messenger apps for their learning use. To examine the impac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riables related to students’ loyalty to to use mobile messenger apps. And, we proposed an optimum model for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such as motivation, engagement,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loyalty. In this study, utilitarian motivation, social motivation, and hedonic motivation were adopted as exogenous variables.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were adopted as exogenous variables. Also, functional engagement, emotional engagement, and communal engagement were adopted as moderating variables, and students’ loyalty to their online courses was adopt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taking mobile messenger apps based off-line courses. 398 students(male 187, female 211) participated and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Amos 20.0 was used for data analysis. From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we proposed a ultimate model to predict the students’ loyalty to continue using mobile messenger apps for learning within off-line courses. The findings showed that satisfaction, utilitarian motivation, and functional engagement were found to positively affect the students’ loyalty and yet, no significant influence was discovered from the social motivation, hedonic motivation, emotional engagement, or communal engagement. Especially, directly or indirectly, there was high relationship between utilitarian motivation and students’ loyalty. This study produced additional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the use of mobile messenger apps for educational purpose in university courses.

      • KCI등재

        Evaluation of Safeness and Functionality in Applied Technologies for Mobile Messengers

        Gyu-Sang Cho(조규상)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1 No.8

        Recently, KakaoTalk users seek secure messengers with fears of ‘possible’ censorship over a mobile messenger. Instead German messenger “Telegram” is gaining popularity in South Korea. Are the known as secure messengers actually secure? In this paper, we evaluate secure mobile messengers in terms of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We establish the fourteen criteria to evaluate the functionality of messenger apps including communication encryption in transit, the possibility of leakage of decrypted messages via server, an encryption algorithm, a key exchange algorithm, an ephemeral message application, etc. Line, Telegram, Snapchat, WhatsApp, Wickr, Facebook Messenger and KakaoTalk, which have many worldwide and domestic users, are to be targeted. Wickr is ranked at the top of the evaluation, followed by Telegram and Line but KakaoTalk and Snapchat are ranked at the bottom of the evaluation list.

      • KCI등재

        中國和韓國的移動卽時通訊軟件比較硏究 -以kakaotalka和微信爲中心-

        장가예 ( Jia Yi Zhang ),이창욱 ( Chang Wook L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4 No.-

        인터넷 산업의 빠른 성장세는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의 보급과 다양화를 만들어나가고 있으며 사용자의접근성을 넓혀가고 있다. 이러한 발전의 대표적인 것이 일상 생활과 긴밀한 관계가 있는 모바일 메신저가대표적이다. 사용자는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 텍스트, 음성메시지, 이미지, 동영상 등 정보를 실시간하게 소통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모바일 메신저의 대표적인 앱이 한국의 카카오톡과 중국의 위채트의 비교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한국과 중국의 다른 문화 배경, 관습 등의 영향에 의한 다양한 사용 습관과 방법을 디자인을 비교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It is a typical representative of this development is that a close relationship with Mobile Messenger everyday life. The user is communicating text, voice messages, images, videos, and information in real time through mobile messenger. In this paper, a representative of the mobile messenger app to study compares the We-Chat and Kakao Talk between Korea and China. The cultural background of two countries, it studies the usability of various designs used by various habits due to the effect of such practices.

      • KCI등재

        메신저 기반의 모바일 챗봇 서비스 사용자 경험 평가 - 구글(Allo)과 페이스북(M messenger)을 중심으로 -

        강희주,김승인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9

        본 연구는 해외에서 대표적으로 인식되는 메신저 기반의 어시스턴트 챗봇 서비스인 구글(Allo)과 페이스북 M을 대상으로 사용성 경험 평가를 하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챗봇 서비스의 사용성을 개선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문헌연구를 하여 인공지능(AI) 챗봇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챗봇의 특성 및 국내 메신저 기반 어시스턴트 챗봇 서비스의 현황 및 전망을 정리 및 분석하였다. 사용자 평가를 실기하기 위해 피터 모빌의 허니콤 모델을 재구성하여 사용자들에게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개선 사항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사용자가 챗봇의 기능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요소들을 사용해야 한다. 둘째, 사용성에 방해가 되는 챗봇의 질문을 개선해야 한다. 셋째, 사용자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답변 정확도를 높여야 한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사용자들과 챗봇의 사용성 평가가 지속해서 이루어진다면, 해당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와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roject has been conducted to improve the usability of Chatbot Services such as Google(Allo) and Facebook M(Messenger. Based on the evalua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solutions to improve the usability of domestic Chatbot services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ir development. It provides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AI Chatbot service and the feature of Chatbot service through literature search. Furthermore, we summarized the current standing and the prospect of domestic messenger-based assistant Chatbot services. For conducting user evaluation, Peter Morville’s honeycomb model is applied to in-depth user interviews. The followings are elements that could be amended to improve the service. The service should be incorporated by intuitive elements for users’ understanding its functions and eliminate any elements that interfere with usability. The accuracy should be increased to improve the user satisfaction. This research will provide the future guidelines to improve the usability of Chabot services through continuous evaluation by users.

      • KCI등재

        카카오톡 대화의 음운적 특징과 음운변이형의 화용적 기능에 대한 연구

        홍미주(Hong Miju) 한글학회 2020 한글 Vol.- No.329

        본고의 목적은 모바일 메신저 앱인 카카오톡 대화의 음운적 특징을 살펴보고, 음운변이형이 화용적 기능을 함을 논의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 지역 여성 화자들로 구성된 카카오톡 대화방의 대화에서 나타나는 음운적 특징을 관찰하고, 음운변이형이 강조의 의미를 전달하고 공손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논하였다. 카카오톡 대화의 음운적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카카오톡 대화는 실제 구어의 발음을 반영하고 있다. 자음과 관련된 음운변이보다 모음과 관련된 음운변이가 우세하다. 모음과 관련된 음운변이는 조사, 어미 등의 형식형태소에서 빈번히 실현된다. 실제 구어의 발음을 많이 반영하고 있지만 용언 어간, 체언 형태의 자음을 바꾸는 변이는 잘 일어나지 않는다. 자음 및 모음 첨가, 모음 교체 등의 음운변이형이 담화상 강조 및 공손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 연구는 현재 화자들의 의사소통 행위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모바일을 통한 의사소통, 그 중에서도 카카오톡을 통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관찰되는 언어에 초점을 두었다. 일반적으로 어휘나 문법 차원에서 공손성 실현을 다루어 왔으나, 이 연구를 통해 음운변이형도 공손성을 표현하는 요소가 될 수 있음을 논의한 데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honological variation in KakaoTalk conversations and discusses the pragmatic functions of such variations. KakaoTalk is a mobile messaging app. KakaoTalk chats of female speakers from Daegu were examined into in order to identify phonological variants. Phonological variations found in the chats denoted emphasis and were used as a politeness strategy.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akaoTalk conversations were as follows. Actual spoken pronunciation was reflected in the written messages. There were more phonological variations related to vowels than to consonants. Phonological variations related to vowels frequently occurred in formal morphemes, such as particles and verb endings. While spoken pronunciation was strongly reflected, consonant variation in verb stems and nominal forms rarely occurred. Phonological variations, including consonant or vowel addition and vowel gradation, performed the functions of emphasis and politeness in discourse. This study focused on mobile communication, which accounts for a large part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s of today’s speakers, specifically the language as observed in the communication context of KakaoTalk. Unlike face-to-face conversations, text conversations cannot make use of non-verbal or paralinguistic expressions. As a means of compensation, KakaoTalk users have exploited a number of phonological variants to convey their intentions accurately and to create a more intimate atmosphere. While the realization of politeness has been generally approached in terms of vocabulary and grammar, the present paper suggests that phonological variation can also constitute a way of marking politeness.

      • KCI등재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비교 연구 - 카카오톡과 위챗의 인터페이스 시각요소를 중심으로

        시양멍린,김혜경 한국영상학회 2017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5 No.6

        사람과 정보, 기계의 상호작용이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요구사항도점차 복잡해지고 있다. 성공적인 디자인은 반드시 사람의 감성적 니즈를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기본적인 심미성과 개인별 가치관을 고려해야 할 뿐만 아니라 생리, 심리, 환경과 같이 사람에게 영향을미치는 여러 가지 영향 요소도 고려해야 한다. 인간 중심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어플리케이션의 중요한성공 요인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와 항공 서비스 등의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선행 연구를 기초로 한국과 중국에서 가장 사용자가 많은 두 종류의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분석하여 인터페이스 요소의 차이를 분석한것이다. 이를 위해 그 대상을 한국의 카카오톡과 중국의 위챗으로 선정하여 인터페이스 구성 기본 요소인 정보 디자인, 시각 디자인, 인터랙션 디자인 요소를 비교하였다. 두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기본적인 유저인터페이스 디자인은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색상과 메뉴의 구조적인 면에 큰 차이가 있었다. 인터랙션디자인 요소에 있어서도 두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는 어느 정도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실증적인 연구를 위해 양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레이아웃, 도표, 색상, 타이포그래피로 대표되는 네 개 시각요소에대한 느낌과 사용의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전망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요소에 있어 한국과 중국에서 사용자가 가장 많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의 사용행태를 이해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한국과 중국에 진출하려고 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업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urrently in our modern society, we are in a knowledge economics age. Therefore, people have begun to pursue personal development and to undertake activities which appeal to emotions after their physical demands are met. Accordingly, people's emotional demands must be considered in designs. Human emotions are not only linked to the form of aesthetics and a sense of value but are also embodied through deep investigations of the effects of physiology, psychology and environments to in fact realize human-centered principles. The humanized design of the interface for cell phone applications has not only been limited to changes of themes but now takes into consideration man-machine interactions. These humanized interfaces are increasingly becoming a key means of measuring a competitive advantage. This article discusses the UI of two mobile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s, one that is most popular and the other most utilized in China and Korea, in an effort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pplication software systems between the two countries. With regard to the application interface, we compare the information design elements, visual design elements and interaction design elements and conduct a deep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ayouts, icons, colors and words as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At the same time, we endeavor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ystems regarding the UI design, special functions and the habits of typical users through illustrations, comparisons, document research and a questionnaire. Finally, we help an application software development corporation to find new breakthrough points and design directions so as to design interfaces that correspond to Korean and Chinese users.

      • 모바일 메신저 앱의 이용 동기와 품질요인이 몰입·사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유로(Lu Liu),이종호(Jong Ho Lee) 한국경영교육학회 2014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6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사람들의 커뮤니케이션 현상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그중에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는 모바일 시장의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는 분야 중 하나가 되었다. 한국에 대표하는 메신저 앱인 카카오톡과 중국에 대표하는 대형 메신저 앱인 웨이신은 수많은 메신저 앱 중에서 거대한 성공이 얻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이론의 관점에서 한국과중국의 모바일 메신저 앱을 연구하되 그 이용동기(주관적 규범, 자기노출, 즐거움)와 품질요인(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디자인 품질)을 몰입, 사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검정하고 카카오톡과 웨이신 중심으로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실증분석 결과, 주관적 규범과 즐거움, 정보품질은 한국과 중국의 사용자 집단에서 모두 몰입, 사용자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노출, 시스템 품질은 한국의 사용자 집단에서는 몰입, 사용자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에 중국의 사용자 집단에서는 사용자 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자인 품질은 한국 사용자 집단에서는 몰입, 사용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에 중국 사용자 집단에서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 사용자 집단 모두 모바일 메신저 앱의 몰입은 사용자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바일 메신저 앱의 몰입, 사용자의 만족도는 모두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Under this background, this paper establishes a new model based on the previous model. In my model, the motivation factors which is composed of subjective norm, self-disclosure, enjoyment, and quality factors which is composed of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design quality are independent variables, the flow and user satisfaction are the mediator, and the loyalty is the dependent variable.The target population in this paper is the Mobile Messenger Application users in China and South Korea. The subjective norm, enjoyment and information quality both Korean group and Chinese group have significant effect on flow and user satisfaction. The self-disclosure and system quality have significant effect on flow and user satisfaction in the Korean group; in contrast, they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flow and user satisfaction in the Chinese group. The design quality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flow and user satisfaction in the Korean group; in contrast, it has significant effect on flow and user satisfaction in the Chinese group. The flow both Korean group and Chinese group has significant effect on user satisfaction; the flow and user satisfaction both Korean group and Chinese group have significant effect on loyalty.

      • KCI등재

        다중 메타데이터 기반 JPEG 이미지 파일 출처 식별: 모바일 메신저 앱 16종을 대상으로

        김민수,김준호,박정흠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2023 디지털 포렌식 연구 Vol.17 No.4

        With the proliferation of smartphones, the use of social media fo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users is increasing. In particular,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s for real-time communication are widely used among social media. However, crimes such as image manipulation, leakage of confidential information, and sharing of pornography are also occurring through these applications. Since investigations require identifying the source of these illegally shared multimedia file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source of transmitted images through various social media. However, existing studies detect image sources by signatureizing image metadata, so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detect even if the metadata changes slightly. In addition, existing studies that classify images using machine learning had relatively low classification accuracy by using a small type of metadata or only a DCT coefficient as a feature and using a single model. In this paper, a method is proposed to classify the source application of an image by extracting the metadata of an image transmitted from an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and training the extracted metadata with a machine learning model.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16 applications, and it was shown that the source application could be classified with an accuracy of 98% or higher. If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s used in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s, it can help identify sources for illegally shared multimedia files through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s to understand the circumstances of events or form detailed timelines. 스마트폰 보급의 확대로 사용자들 간의 의사소통이나 정보 교류를 위한 소셜 미디어의 사용률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소셜 미디어 중 실시간 소통을 위한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조작된 이미지 공유, 기밀 유출, 음란물 공유 등과 같은 범죄도 일어나고 있다. 수사 시 이러한 불법 공유된 멀티미디어 파일의 출처를 식별해야 하므로, 다양한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된 이미지의 출처를 식별하는 연구가 많이 행해졌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이미지 메타데이터를 시그니처화하여 이미지 출처를 탐지하기 때문에 메타데이터가 조금만 변하더라도 탐지가 어렵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또한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이미지를 분류하는 기존 연구들은 적은 종류의 메타데이터나 DCT 계수만을 특징으로 하여 단일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분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송된 이미지의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메타데이터를 머신러닝 모델에 학습시켜 이미지의 출처 애플리케이션을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총 16개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98% 이상의 정확도로 출처 애플리케이션을 분류 가능함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디지털포렌식 수사 시 활용한다면,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불법 공유된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출처를 식별하여 사건의 경위를 파악하거나 상세한 타임라인을 구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