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GIScience Studies and Policies in Korea : Focus on Web GIS and National GIS

        Cha Yong Ku,Chulsue Hwang,Jinmu Choi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4

        본고에서는 한국의 지리학 관련 논문들에 대해 가장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웹 GIS와 국가 GIS 서비스라는 두 분야에 대한 연구동향 및 방향을 논의하였다. 한국의 웹 GIS는 현재 모바일 GIS로 진화하고 있는데, 휴대용 하드웨어, 무선 인터넷, GIS 수신기를 통합적으로 필요로 한다. 따라서 모바일 GIS의 새로운 방향은 스마트 폰을 이용하는 것으로 최근 다양한 모바일 엡과 웹이 개발되고 있다. 웹 2.0 기술과 함께 폭발적으로 증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국 정보는 인문지리정보시스템(HOGIS)을 개발하고 있으며, 여기서 온톨로지를 이용해 국토공간에 대한 시멘틱 검색이 가능하도록 개발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정부 차원에서 1995년부터 5년간 4차에 걸쳐 국가 GIS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4차 국가 GIS를 수행하고 있으며, 공간정보를 미래의 성장 동력으로 선정하여, 국가 녹색 공간정보 사회를 향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This article reviewed issues in Korean geographical journals: web GIS and National GIS. Web GIS in Korea is now evolving to mobile GIS, which requires portable hardware, wireless Internet, and GPS receiver. The new trend of mobile GIS is using a smart phone. Recently, a variety of studies for the mobile App and mobile Web in Korea has been developed. With explosive information on the Web 2.0, the Korean government has built the Human-Orien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HOGIS) in which Ontology was implemented for semantic query on the Web. On the government side, Korean government has produced various nationwide data through 4-phase NGIS project. Current NGIS (4th phase: 2011-2015) moves toward a Korean Green Geospatial Society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as a new growth engine for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모바일 GIS를 이용한 Point 및 Line형 데이터 갱신 방법에 관한 연구

        전재용(Jeon Jae Yong),조기성(Cho Gi Su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07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5 No.3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GIS는 유선 GIS에서 모바일 GIS로 발전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모바일 GIS를 통해 이동성, 현장성, 신속성, 적시성 등을 만족시키고 공간 및 속성자료를 현장에서 조사 및 확인, 입력 및 수정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적합하기 때문이다.<SUP>4)</SUP> 이와 같은 모바일 GIS의 이용은 도시 내 각종 시설물들에 대한 유지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일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시설물의 담당자가 좀 더 손쉽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각종 시설물을 유지관리 할 수 있도록 Point 및 Line형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Point형 데이터의 갱신방법으로는 임의법, 지거법, 이점법을 제시하였고, Line형 데이터의 갱신 방법으로는 임의법, 점-점 연결법, 점-선 연결법, 점-선 최소거리 연결법을 제시하였다. As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matures, GIS is being evolved from wire communication GIS to mobile GIS. This is due that mobile GIS satisfy mobility, field work, speed and time. Also, this is proper that mobile GIS accomplish investigation, confirmation, input and modification operations of spatial and attribute data at field. I think mobile GIS’s use is the best way. Because, Mobile GIS’s use can accomplish effectively the management of various kinds facilities in city. On this study, we consider diversified methods a person in charge can management point and line data with more easy and more effective method. The management methods of pint type data are free method, offset method two point method. The management methods of line type data are free method, point connection method, point and line connection method and the minimum distance connection method between point and line.

      • KCI등재

        GIS기반 GPS를 이용한 농작물 작황 조사 모바일 시스템 구축

        문영채 ( Young Chae Mun ),이홍로 ( Hong Ro Lee ) 한국지리정보학회 200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1 No.4

        최근 PDA, UMPC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와 GPS를 이용한 위치 추적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GPS를 이용한 좌표 변환 및 보정에 관한 연구와 GIS를 이용하여 Mobile GIS를 위한 클라이언트 개발, 모바일 기반 유적 지표조사 관제시스템 구현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현장의 농작물 중 벼의 생육 정보 및 생산 정보를 조사하고,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벼의 위치 정보를 수치지도 상에 보여 주고, 조사된 농작물 정보와 위치정보를 서버에 있는 DB에 저장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 개발된 시스템은 사용자의 권한별로 DB의 접근을 제한 할 수 있는 사용자관리 모듈, 작물 정보를 서버에 있는 DB에 저장 및 검색을 할 수 있는 작물관리 모듈, 수치지도 상에 사용자와 벼의 위치정보를 보여주는 맵 모듈, GPS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변환 하기위한 위치정보관리 모듈, GPS와 모바일 장치, 모바일 장치와 DB간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을 위한 통신 모듈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농작물 작황 조사 모바일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농작물의 생육 정보를 조사하고 관리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with the develop of the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using GPS and mobile device such as PDA and UMPC, it is used in various application fields that is coordinate transformation and compensation using GPS, is client development for Mobile GIS using GIS and is development of surface survey system for archaeological site based on mobile. In this paper, we develop the system that can investigate the growth information and production information of rice in crop of the field using mobile device, show position information of user and rice in digital map using GIS and save the investigated crop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in database in server. The system which is developed in this paper consists of modules that the user management module is able to restrict database approaches in authority by of the user, the crops management module is able to save and search crop information in database in server, the map module is able to show position information of user and crops in digital map,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is able to convert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from GPS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ble to send and receive data between GPS and mobile device and between mobile device and database. Finally, this paper shall contribute to efficient management and investigation of birth information of crop in field.

      • KCI등재

        모바일 GIS를 이용한 홍수 위험 경보 서비스 구현

        박종덕(Jong Duk Park),구자용(Cha Yong Ku) 대한지리학회 2011 대한지리학회지 Vol.46 No.6

        도시화와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홍수의 발생빈도와 피해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홍수 피해 저감 대책의 일환으로 집중호우가 발생할 때 침수위험지역에 있는 스마트폰에 위험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모바일 GIS 서비스를 구현하였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여, 모바일 환경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GIS 분석 기능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홍수 위험 경보와 같은 재해 분야에 모바일 GIS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모바일 GIS 서비스는 도시의 홍수 위험을 예방하는 효율적인 방재 대책이 될 수 있다. Partly due to the climate changes, flooding occurs more often than before. Particularly high urbanization causes more damages by flooding with unexpected downpours. Recent mobile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can help to reduce the damage by a natural disaster with quick alarming process. This research aimed to implement a flood warning GIS service system based on open source software and mobile hybrid application program with LBS. The developed system utilized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clients for smart phone users to get alerted to flooding immediately. This service system would be very useful in urban areas to reduce the flood damages.

      • KCI등재

        모바일 GIS를 활용한 지적측량 현장지원시스템의 개발 연구

        이주희(Lee, Ju Hee),홍성언(Hong, Sung Eon),김윤기(Kim, Yun Ki) 한국지적학회 2015 한국지적학회지 Vol.31 No.1

        최근 네트워크 환경과 IT기술의 고도화로 모바일 기기사용이 보편화되면서 공간정보와 관련한 다양한 분야에서 모바일 GIS 기술을 이용해 위치정보의 공유와 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적측량 현장에서도 디지털화된 전자평판측량 기술의 도입으로 측량방법의 발전을 가져왔다. 그러나 보다 현장 측량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모바일 환경을 활용할 수 있는 측량지원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적측량 현장에서 모바일 GIS 기술을 활용하여 현장에서 관측된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지적측량 현장지원시스템을 설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실제 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 제안한 시스템은 위성영상과 지적도 등의 공간정보를 바탕으로 실시간 위치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지적측량 업무의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의사결정도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recent popularization of mobile devices resulting from the advancement of network environments and IT technologies, positional information is being shared and provided using mobile GIS technologies in a variety fields relevant to spatial information. In the cadastral surveying industry, the introduction of digitized electronic plane table surveying technologies led to the advancement of surveying methods. However, for more efficient on-site surveying, an on-site cadastral surveying support system which can use a mobile environment needs to be developed. In this study, the on-site cadastral surveying support system that can share positional information observed on the site using mobile GIS technologies in real time was designed and developed. In addition, its efficiency was demonstrated through a field application. The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ble to be used as a decision-making tool that improves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cadastral surveying by sharing real-time positional information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satellite images, cadastral maps, etc.

      • KCI등재

        Mobile GIS기반 현장 피해조사시스템 개발

        조명흠(Cho Myeong Heum),최우정(Choi Woo Jung),조재웅(Cho Jae Woong) 한국지적정보학회 2012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4 No.1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하여 대규모의 자연재해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 중 특히, 태풍이나 국지성 집중호우 등에 의한 풍수해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가 발생하게 되면, 복구를 위하여 피해조사를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피해조사 방법은 현장에서 수기로 작성하여, 내업을 통해 피해정보를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에 입력하는 체계로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Mobile GIS를 도입하여 보다 효과적인 현장 피해조사를 위해 소방방재청의 자연재난조사 및 복구계획수립 지침의 피해조사 요령에 근거로 새로운 형태의 피해 조사시스템을 개발하고, 충청북도 제천시를 대상으로 주택, 농경지, 도로의 피해공종별에 대해 현장적용 하였다. 본 시스템은 UMPC(Ultra Mobile PC)를 이용한 사진촬영, GPS를 이용한 피해위치 및 Tracking/Mapping을 이용한 피해규모 산정, Navigation 지도와 연동된 기능을 제공하여 정확한 피해위치 및 피해액 산정을 제공한다. 또한 무선통신기술을 통해 현장정보를 실시간으로 국가재난관리시스템에 전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내업에서 재입력하는 업무가 생략되기 때문에 현행 피해조사와 비교하여 보다 신속한 피해 조사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Recently, large-scale natural disasters have frequently hit our life from extreme climate change. Especially flooding damages caused from summer typhoons and regional downpours have been increased. When this natural disaster occurs, the damage investigation is conducted for restoration. However, the current damage investigation is done by hand in the field. As investigated data is entered into NDMS(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a greate deal of time and manpower is required. In this study, a new type of disaster investigation system which is based on damage investigation method in natural disaster investigation and restoration plan guide of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was developed using mobile GIS for more effective damage investigation in the field, and it is applied at Jecheon-si in Chungcheongbuk-do with damage case of house, agricultural land and road. Since this system provides photograph using UMPC(Ultra Mobile PC), disaster location by GPS, calculation of scale using Tracking/Mapping, and the function connected location map of Navigation, the accurate information of damage location and cost can be estimated. Also, as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NDM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n real time by this system, reentrant processing of obtained data is skipped. So it is considered that more rapid disaster investigation is possible compared with the current investigation.

      • KCI등재후보

        모바일 GIS를 위한 벡터 데이터 경량화 기법

        윤근정,김혜영,전철민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6 No.2

        Providing services in a wireless environment with existing wired-based GIS solutions have many limitations such as slow communication, processing rates and screen size. This study suggested data optimization techniques in a mobile environment to overcome those limitations in four steps. In order to test the methods suggested in the study, experiments are conducted using Gangnam-gu as a test site. An existing GIS engine built in a wired environment was compared with the optimized GIS engine from the study in terms of performance in the same environment. They were also compared and analyzed in terms of response data size, number of requests processed per second, and average time to process a request. The results proved that the proposed engine shows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erformance compared with the wired GIS. 기존의 유선 환경기반의 GIS 솔루션으로 무선 환경에서 서비스를 하기에는 제한된 통신 속도, 처리 속도, 화면 사이즈 등의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한된 특성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모바일 환경에서의 벡터 데이터의 경량화 기법에 대하여 네 가지 단계로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강남구 지역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존의 유선 환경에서 구축되어진 GIS 엔진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을 적용한 경량화된 GIS 엔진을 동일한 환경에서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고 이에 따라 응답 데이터 크기, 초당 요청 처리 개수, 평균 요청 처리 시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량화가 적용된 GIS 엔진이 기존의 엔진과 비교하여 상당한 성능 향상이 있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UML을 이용한 GIS기반 새만금 DIPSDRM 공법 모바일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백정호 ( Jeong Ho Baek ),이홍로 ( Hong Ro Lee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6 No.1

        서해안의 해안선 일부에서는 1991년부터 현재까지 세계최대의 간척사업이 새만금(아리울)이란 이름으로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새만금 간척사업에는 땅을 높이기 위한 매립작업에 대규모 사업비가 사용된다. 개발 중인 새만금의 대규모 사업비를 줄이기 위해 매립 간척에 대한 여러 방법들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광범위한 범위의 매립 작업에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고 적용하기 위해 모바일 시스템과 연계한 연구들도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매립 작업에 효율적인 사업비 절감을 위한 공법을 이용하여 새만금에 적용하는 모바일 관리 시스템을 모바일 인터페이스 모듈과 데이터를 전송 및 저장하는 모듈인 데이터 서버 모듈 그리고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분석 서버 모듈로 나누어 개발한다. 또한 UML을 활용하여 사용자 및 시스템의 요구사항과 기능들의 상호작용 및 데이터의 흐름을 분석하여 시스템을 설계한다. 새만금 지역의 GIS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에서 각 현장에 있는 매립 상태 및 관련속성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모바일을 통한 새만금 기반 지리정보 서비스와 DIPSDRM(Dry Internal Project Site Digging Reclamation Method) 공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DIPSDRM 공법 기반 3차원 지리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관리시스템을 개발한다. The world largest land reclamation project in the name of Saemangeum(Ariul) from 1991 to the present has been implementing in a part of the west coast of Korea. In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the large-scale project cost is used for the landfill reclamation. A number of landfill reclamation methods have been studied in order to reduce the large-scale cost of the Saemangeum project under construction. There are many studies related to the on-site real-time monitoring with mobile systems for operating a wide range of landfill. In order to apply the work method for efficient cost-savings in the landfill operations to the Samangeum project, this paper develops a mobile management system that is composed of a mobile interface module, a data server module for data transmission and storage, and an analysis server module to analyze the input data and derive the results. The mobile system is designed by analysing user`s and system requirements, functional interactions, and data flow using unified modeling language(UML). The user interface is developed for the on-site real-time monitoring through the status and related attributes of land reclamation by using the digital maps of the Samangeum coverage via mobile devices. Finally, a mobile management system would be developed that can provide a 3D GIS service based on the Dry Internal Project Site Digging Reclamation Method(DIPSDRM).

      • 모바일 GIS에서의 개인화 서비스 시스템 설계

        박기호(Park KeyHo),정재곤(Jung JaeGon)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10

        개인화(personalization)는 고객이 원하거나 필요로 하는 정보를 규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결과물을 제공하여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고객 선호도에 따라 동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개인화 서비스는 웹의 대중화 이후에 무선 인터넷과 휴대폰으로 대표되는 모바일 기기의 급속한 확산으로 모바일 분야에서도 점차 중요해지면서 공간분석 결과물의 서비스에도 적용 가능한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으나 부동산 정보와 같이 수많은 정보와 복잡성을 가지는 분야에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적용된 경우는 거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 사용자를 위한 공간 정보의 개인화 서비스 방법으로 사용자 프로파일(profile) 정보를 이용한 공간분석 및 비동기적 알림(notification) 서비스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함으로써 개인별 선호 정보에 따른 공간 분석이 가능한지 검증하고, 생성된 결과물이 알림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효율적으로 전송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조건이 다양한 부동산 정보에 적용함으로써 원하는 조건에 따른 실제적인 개인별 맞춤 서비스가 가능한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을 이용하면 사용자 프로파일을 중심으로 공간 분석을 포함한 정보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캐쉬 모듈을 이용한 보다 빠른 서비스가 가능하다. Personalization is user oriented dynamic method based on user preferences for easy access to what users want to view or get. It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mobile domain with rapid growth of wireless Internet and mobile phone market after success of web based market and therefore, it can be applied to service of spatial analysis result. In this paper, spatial analysis using user profile and notification service methods are proposed as one of personalized spatial data service methods for mobile users. A service system for spatial analysis with user profile is designed to prove possibility of spatial analysis based on user preferences and notification service is also designedto show generated output can be sent to user’s mobile devices efficiently to make users informed of preferred information. Prototype system is implemented and it is applied to real estate data that has many selectable conditions by users.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user preferences can be applied to spatial data by using proposed system and it is efficient when cache module is used to shorten response time. Various user models for application domains and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need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 Mobile GIS를 위한 서버/클라이언트간의 시추 데이터 동기화에 관한 연구

        정창엽,박형동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2008 한국지구시스템 공학회지 Vol.45 No.1

        토목 프로젝트 진행 시, 프로젝트 관리자, 발주자, 현장 조사자 사이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다양한 현장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고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의사결정을 도출하기 위한 필수 요건으로써 전체 프로젝트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현장 조사자와 관리자 간의 상당한 시·공간적 단절이 존재하고 방대한 양의 자료들이 분산되어 관리되며, 이는 전체 프로젝트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동컴퓨터 환경의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 플랫폼에 맞게 독립적으로 개발된 응용 서비스를 이용하는 분산된 사용자간의 데이터 접근과 이동 데이터 서비스의 상호 호환을 통한 논리적 연결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XML 기반의 동기화 표준인 SyncML과 ATL/COM를 이용하여 프로젝트관리 시스템을 위한 Sync-Engine을 개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