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ourt's Criteria for Judging Research Misconduct and JRPE Goals

        HWANG, Hee-Joong 한국유통과학회 2020 연구윤리 Vol.1 No.1

        Purpose: Focusing on Supreme Court precedents, we intend to establish criteria for judging research misconduc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In addition, I would like to propose the criteria for judging research misconduct by the KODISA, which applies the court's standards well in practice, and guidelines for preventing research misconduc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fter classifying the case of research misconduct into six cases, the court's judgment and practical application will be reviewed. Results: First, research misconduct that has passed the disciplinary prescription can be punished. This is because the state of illegality continues to this day. Second, even if there were no punishment regulations at the time of research misconduct, it can be retroactively punished with the current punishment regulations. This is because research ethics is a universal and common standard and does not change. Third, if there is a fact that infringes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t is presumed unwritten intentions. Therefore, the act of taking and using the work of another person without permission or proper citation procedure, even if it is unintentional and for the public interest, is a research misconduct. Fourth, if there is an inappropriate citation notation, the intention of research misconduct is presumed. It is the judgment of the court that even if a quotation is marked, if it is incomplete, it is recognized as plagiarism. Fifth, if the author uses the work of another person without proper source indication, it is plagiarism even if the other person who owns the copyright agrees to it. The understanding or consent of some parties does not justify research misconduct in violation of public trust. Sixth, it is a research misconduct to create a new work without citations for one's previous work.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a citation, if the subsequent writing is not original, it is a research misconduct. Conclusions: Academia should clarify the scope of research misconduct by referring to the Research Ethics Regulations of KODISA, and deal with research results that lack the value as creative works similar to those of research misconduct.

      • KCI등재

        변호사의 사적 비행(私的 非行)에 대한 징계 - 정당화 논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오세혁 중앙법학회 2016 中央法學 Vol.18 No.4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외국에서도 변호사의 직무상 비행 뿐 아니라 직무 외 비행도 징계처분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순전히 사적 비행을 저지른 변호사에 대해서도 드물지 않게 징계처분이 내려진다. 그러나 변호사의 사적 비행에 대한 징계는 정당화가 필요하다. 제 아무리 사생활에서 변호사의 행동이 추악하고 혐오스럽고 불쾌하다고 할지라도 그 변호사에 대한 징계권은 정당하게 행사되어야 한다. 직무와 무관한 변호사의 사적 비행에 대한 징계는 어떤 근거로 정당화될 수 있는가? 흔히 그 정당화 근거로는 변호사의 사적 비행이 직무상 비행을 저지를 수 있는 변호사의 성향을 보여준다는 논거, 그리고 변호사의 사적 비행에 대해 징계하지 않으면 공중의 신뢰를 손상하여 변호사 전체의 평판을 떨어뜨린다는 논거가 제시된다. 여기에 공적 비행과 사적 비행을 구분짓기 어렵기 때문에 사적 비행도 징계되어야 한다는 논거도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변호사의 사적 비행에 대한 징계를 지지하는 이러한 논거들은 대부분 규범적인 근거가 의심스럽거나 실증적인 자료가 부족하다. 오히려 직무 내·외의 품위손상이라는 기준이 모호한 까닭에 징계권이 자의적으로 행사될 위험이 상존한다. 더욱이 우리나라에서는 변호사의 비행에 대하여 등록결격사유가 폭넓게 인정되기 때문에 심각한 사적 비행은 결과적으로 정직 내지 제명과 동일한 효과를 낳고 있다. 그 뿐 아니라 징계당국이 변호사의 직무와 밀접한 연관성이 없는 사적 죄악을 밝혀내는 데에 한정된 징계자원을 낭비하는 것이 과연 효율적인지도 의문이다. 아울러 변호사의 사적 비행에 대한 징계는 합리성, 공정성, 일사부재리, 나아가 시장원리나 의뢰인의 자율성 보장과 같은 현대 민주주의 법체계의 근본 원리들과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민주적 정당성도 결여되어 있다. 변호사도 변호사이기 전에 한 사람의 국민 내지 인간으로서 헌법에 보장된 기본권 내지 인권을 갖는다. 변호사는 변호사직을 수행함으로써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유지하고 행복을 추구할 수 있다. 더욱이 변호사는 공무원 신분인 법관이나 검사와 달리 공인(公人)으로서의 지위와 사인(私人)으로서의 지위를 겸유하고 있다. 이 점에서 변호사의 품위유지의무가 삶의 전 영역으로 무한정 확대될 수는 없으며 변호사의 모든 비행이 예외 없이 징계대상이 될 수는 없다. 변호사의 직무 외 비행 중 공적 비행은 심각한 비행인 경우에는 품위손상의무위반에 따른 징계사유에 해당될 여지가 있지만, 변호사의 직무와 무관한 사적 비행에 대한 징계는 정당화되기 어렵다. 따라서 입법론의 차원에서 변호사의 직무 외 품위손상행위는 징계사유에서 삭제하거나 적어도 변호사의 품위를 ‘심각하게’ 손상하는 직무 외 품위손상행위만 징계사유로 삼는 방향으로 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같은 맥락에서 해석론의 차원에서 징계당국은 변호사의 사적 비행을 가급적 징계사유로 삼아서는 안 되며, 변호사의 직무 외 비행을 징계하는 데에 있어서 한층 더 엄정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법조윤리(legal ethics)는 윤리가 아니다. 법조윤리는 그 명칭과 달리 일차적으로 법의 문제이다. 물론 변호사의 품위유지의무는 다분히 윤리적 성격을 띠고 있다. 하지만 품위유지의무는 변호사법에서 변호사의 의무로 규정됨으로써 법적 성격을 획득한다. 그리고 품위 ... In most countri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Korea, lawyers are responsible for the non-professional misconduct as well as professional misconduct. The discipline for lawyers’ purely private misconduct is not uncommon. But the discipline for misconduct in private affairs requires justification. No matter how wicked, sleazy, and unpleasant the misconduct may be, disciplinary authorities should exercise their power legitimately. How can it be justified to discipline for private misconduct outside of professional practice? The main arguments are as follows: A lawyer’s private misconduct reflects his character that he will commit a professional misconduct in the future; A lawyer’s private misconduct reduces the trust of the public by harming the reputation of lawyers; A private misconduct of lawyer needs to be sanctioned because it is not easy to separate the private misconduct from the public misconduct. But the arguments for disciplining for lawyer’s private misconduct do not make sense because they rest on doubtful normative assertions or poor data quality. On the contrary, the arguments against disciplining for lawyer’s private misconduct are reasonable: There is a continuing risk of arbitrary exercise of disciplinary power; In the case of a severe private misconduct, the revocation of registration of a lawyer has the same effect as if he were suspended or disbarred; It is dubious that the disciplinary authorities make effective use of limited disciplinary resources in order to investigate private sins; Discipline for lawyer’s private misconduct lacks democratic legitimacy because it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modern democratic legal system e.g. rationality, fairness, double jeopardy, market functioning, client’s autonomy. A lawyer as a human and a citizen has human rights and fundamental rights. Lawyers keep their human dignity and pursue happiness in the performance of their practice. In this vein, the duty of dignity maintenance do not influence every sphere of their lives. Among the non-professional misconduct, a severe public misconduct can be discipline on the ground of violation of duty of dignity maintenance. But lawyer’s private misconduct outside of professional practice can not be justified. The provision of the discipline for non-professional misconduct should be abolished or partially revised from the perspective of de lege ferenda. In the same vein, disciplinary authorities should refrain from discipling lawyer for private misconduct. Ironically legal ethics is not ethics. Legal ethics is about the law, not morality or justice. Lawyer’s duty of dignity maintenance has a rather ethical character. But the duty acquires a legal character by legislating it as a duty of lawyer in the Attorneys-at-Law Act. So, the discipline for lawyer’s private misconduct needs to be dealt with not from the ethical point of view, but instead from the legal point of view. A lawyer can not be sanctioned for the simple reason that the lawyer’s conduct is unethical or immoral. Legal ethics may be a ethics, but that is only a professional ethics.

      • KCI등재

        변호사의 품위유지의무와 직무 외 비행

        박선아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34 No.4

        The Attorneys-at-Law Act defines “the cases in which a lawyer does an act that damages dignity as a lawyer, no matter whether it is intra-professional or extra-professional” as causes for disciplinary action. By this, the causes of disciplinary action on lawyers expand from the conduct related to the duties to “private misconduct” or “non-professional misconduct (extra-professional misconduct).” It cannot but be judged by the sound social norm in concrete cases, concerning what the lawyer’s dignity is, and what action has impaired the lawyer’s dignity.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Court, “dignity as a lawyer” refers to “the personality that suffers nothing by comparison to perform the duty of the legal profession as a lawyer that has missions of the defense of the basic human rights and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and it judged that it does not violate the principle of clarity since lawyers can understand the meaning, rationally. However, concerning how the lawyer’s dignity has been damaged through extra-professional misconduct,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whether it is the moral standard of the ambiguous concept of “dignity” or not.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status of disciplinary action on extra-professional misconduct by the Korean Bar Association through the cases of disciplinary action on the violation of the dignity maintenance duty of lawyers from 2006 through 2014, especially, the statistics of extra-professional misconduct and discus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disciplinary action on extra-professional misconduct. Disciplinary action on lawyers’ misconduct should be treated by legal logic from the angle of the law, not from the angle of ethics. Cases should be taken as causes for disciplinary action, only if its relevance with public interest and impact on job performance have been proven, instead of all extra-professional misconduct. In addition, in terms of the freedom to occupation, like the exercise of the state’s rights to punish, the rights to punish the lawyers should also be exercised to the minimum.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start serious and courageous consideration of the disciplinary action on the lawyers’ extra-professional misconduct, reflecting the reality they encounter and not abandoning the jurists’ social responsibility. 변호사법은 직무의 내외를 막론하고 변호사로서의 품위를 손상하는 행위를 한 경우를 징계사유로 규정하고 있다. 이로써 변호사의 징계사유는 변호사의 직무관련한 행위 외에도 ‘사적 비행(private misconduct)’ 이나 직무 외 비행(non-professional․misconduct, extra- professional misconduct)’까지 확장되고 있음이 명확하다. 변호사의 품위란 무엇인지, 어떤 행위가 변호사의 품위를 손상하였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 사건에서 건전한 사회통념에 의하여 판단할 수 밖 에 없다. 헌법재판소는 ‘변호사로서의 품위’란 기본적 인권의 옹호와 사회정의 실현을 사명으로 하는 법률 전문직인 변호사로서 그 직책을 맡아 수행해 나가기에 손색이 없는 인품’을 의미하며, 변호사는 그 의미를 합리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명확성원칙에 위배되지 아니한다고 판시하였다. 그러나 직무 외 비행을 통하여 변호사의 품위가 어떻게 손상되었는지에 대하여 ‘품위’라는 모호한 개념을 도입하여 막연히 도덕적인 잣대를 들이대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서 돌아볼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2006년부터 2014년까지의 품위유지의무 위반 징계사례, 특히 직무 외 비행에 대한 통계를 통하여 직무외 비행에 대한 대한변호사협회의 징계의 현황을 살펴보고, 직무 외 비행에 대한 징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변호사의 비행에 대한 징계는 윤리가 아닌 법의 관점에서, 법의 논리로 다루어져야 한다. 직무 외 비행을 모두 징계사유로 삼을 것이 아니라 공익과의 관련성과 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입증된 경우에만 징계사유로 삼아야 한다. 또한 직업의 자유라는 측면에서 국가의 형벌권 행사와 마찬가지로 변호사에 대한 징계권 행사 역시 최소한으로 행사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제 변호사가 직면하는 현실을 반영하면서도 법률가의 사회적 책임을 방기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호사의 직무 외 비행에 대한 징계에 대하여 진지하고 용기있는 검토를 시작해야 한다.

      • KCI등재

        공기업 임직원의 의무와 책임에관한 연구 - 한국토지주택공사 임직원의 비위행위 및 근절대책을 중심으로-

        이진효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법학논총 Vol.35 No.3

        Because of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hereinafter referred to as “LH”) situation, the Korea government have been pushed ahead with eradication countermeasures for misconduct of officers and staff of public corporations since March 2021. By the way, most of the eradication countermeasures for misconduct have been to strengthen the duty to prohibit the use of nonpublic information and the responsibility for it. Thus the eradication countermeasures for misconduct are focused on preventing, detecting, and punishing speculation in real estate by officers and staff of public corporations and recovering profits obtained through such misconduct. So, although the internal control system to eradicate misconduct has been strengthened, misconduct other than speculation in real estate continues to this day,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LH members. The Korean government has identified the cause of the LH situation as organizational problems in LH, and is promoting an organizational reorganization of LH to solve this problem. Considering this progress, it is very worrisome that the officers and staff have lost awareness of ethical management. Therefore, I think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effectiveness of eradication countermeasures for misconduct, which are designed to strengthen the duties and responsibilities of officers and staff of LH. In this study, the cause of the LH situation and eradication countermeasures for misconduct ar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corporations and the duties and responsibilities of officers and staff, and the effectiveness of eradication countermeasures for misconduct are discussed. AS a result, (ⅰ) The expansion of the subject of the obligation to prohibit the use of nonpublic information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penalty have considered to be temporarily effectiveness in that no additional misconduct was detected after the LH situation. (ⅱ) To eradication of other misconduct, it has proposed to amendment of the new penalty provision that allows officers and staff to be held accountable when they violate the rights of the people intentionally or through gross negligence or fail to remedy the infringed rights of the people. (ⅲ) It emphasized the need for motivation to voluntarily control misconduct as well as strengthen regulations on duties and responsibilities of officers and staff of public corporations. In conclusion, as a eradication countermeasures for misconduct about officers and staff of public corporations I think that it is most desirable to enable officers and staff to suppress misconduct by themselves. But I believe that various policies can be eradicated only when various policies are promoted, such as strengthening the duties of officers and staff for misconduct and holding them accountable accordingly, so that officers and staff give up misconduct with a reasonable choice. LH 사태를 계기로 2021년 3월부터 공기업 임직원에 대한 비위행위 근절대책이 추진되고 있다. 그런데 그 대책은 대부분 미공개정보 이용행위 금지의무와 그에 대한 책임을 강화함으로써 공직자의 부동산 투기를 예방ㆍ적발ㆍ처벌하고, 나아가 이러한 비위행위로 취득한 이익을 환수하는 것에 치중되어 있다. 그래서인지 비위행위 근절을 위한 내부통제제도가 강화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LH에서는 구성원의 지위고하를 불문하고 부동산 투기 이외의 비위행위가 여전히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LH 사태의 원인을 LH의 조직적인 문제로 규명하였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LH의 조직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진행 과정을 고려할 때, LH의 구성원들이 윤리경영에 대한 경각심을 상실했다는 것은 매우 우려스러운 일이다. 따라서 LH 임직원의 의무ㆍ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편중되어 마련된 비위행위 근절대책의 실효성에 대하여 논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가 발표한 LH 사태의 원인과 비위행위 근절대책을 중심으로 하여, 공기업의 특성과 그에 따른 임직원의 의무ㆍ책임 및 공기업 임직원에 대한 비위행위 근절대책의 실효성에 관하여 논하고 그 개선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로써 (ⅰ) 미공개정보 이용행위 금지의무 적용대상자의 확대와 벌칙 강화는 LH 사태 이후 추가적인 비위행위가 적발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잠정적으로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ⅱ) 그 밖의 비위행위는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으므로 최소한 임직원이 고의ㆍ중과실에 의하여 국민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침해된 국민의 권리를 구제하지 않았을 경우 벌칙규정을 신설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ⅲ) 임직원의 의무ㆍ책임에 대한 규제의 강화뿐만 아니라 자발적으로 비위행위를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동기부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공기업 임직원의 비위행위 근절대책으로는 임직원 스스로가 비위행위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차선책으로 임직원의 비위행위에 대한 의무를 강화하고, 그에 따르는 무거운 책임을 추궁함으로써 임직원이 합리적인 선택으로 비위행위를 포기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어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

        연구부정행위 검증에 관한 공법적 검토 - 동료심사(Peer Review)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중심으로 -

        김남곤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24 생명윤리정책연구 Vol.17 No.2

        연구부정행위는 학문의 자율성과 진실성을 훼손하고 학문 분야에 대한 사회적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심각한 문제이다. 연구부정행위를 검증하는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는 동료심사는 학문의자유를 보장하기 위해 국가의 개입이 최소화되고 이를 통해 학문 분야의 자율적인 상호통제로서구현되었으나 연구부정행위의 특성과 부정적인 영향력을 고려하면 객관성과 공정성이 충분하지않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관점에서 동료심사의 한계를 인식하고 학문의 자유와 조화를 이루는 동시에 연구부정행위 검증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실효적으로 담보할 수 있는 대안으로 ‘법률지식 기반의 연구부정행위 검증 절차 전문가 양성과 활성화’를 제안한다. 법률지식 기반의 연구부정행위검증 절차 전문가는 연구부정행위의 조사 절차와 판단 기준에 대해 법적인 관점에서 판단하고, 절차적 정당성(due process)을 확보하는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로스쿨 제도 도입 이후 등장한 다양한 학문을 겸비한 법조인, 기존에 활동 중인 특정 학문 분야 연구윤리 전문가등을 대상으로 연구부정행위 검증 절차 보완에 필요한 교육과 훈련을 제공하고, 그들의 신분과권한을 보장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정비해야 한다. Research misconduct is a serious problem that damages the autonomy and truthfulness of academia and lowers the social trust in academic fields. Peer review, which is used as a method to verify research misconduct, has been implemented as a self-regulation of academic fields by minimizing the intervention of the state to ensure academic freedom. However, it has been criticized that peer review is not sufficient in terms of objectivity and fairnes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gative impacts of research misconduct. This study recognizes the limitations of peer review and proposes ‘the training and activation of research misconduct verification procedures experts based on legal mind’ as an alternative that can effectively guarantee the objectivity and fairness of research misconduct verification while harmonizing with academic freedom. Research misconduct verification procedures experts based on legal mind can evaluate the investigation procedures and judgment criteria of research misconduct from a legal perspective and secure the procedural justice. To this end, interdisciplinary lawyers who have emerg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law school system, as well as existing research ethics experts in specific disciplines, should be provided with the necessary education and training to supplement the research misconduct verification process, and relevant regulations should be revised to ensure their status and authority.

      • KCI등재

        표절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비난가능성

        정진근 한국경영법률학회 2009 經營法律 Vol.19 No.4

        The definition of Plagiarism is the theft of others' idea, processes, result or record without the permission. On the other hand, social recognition for the plagiarism include the self plagiarism, redundant publication/duplicate publication and research misconduct as research fabrication and research falsification for the definition of plagiarism. Among these types of plagiarisms, copyright infringement brings about legal issues and many cases by courts can lead the solution of settlement of disputes. But problems on self plagiarism, redundant publication/duplicate publication and research misconduct as research fabrication and research falsification can not be settled under the present legal system. This is the why many social debates are continuing in the public. However, self plagiarism, redundant publication/duplicate publication and research misconduct as research fabrication and research falsification are considered as the very same ethical plagiarism or the inappropriate behavior. Scholars will agree that we can blame for these new types of plagiarism. This is the social mutual consent, I think so. None the less, we should recognize that we could not agree that all new types of research misconduct should be punished because some area of new types of research misconduct is allowed for advance of culture or culture diffusion. So, We must set standards and a criterion on the area to be accused of cheating for new types of research misconduct. Also, the way of sanction for research misconduct can be advised by several ways, but most efficient way to prevent the research misconduct is the institutional autonomy. However, local regulation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we should present the guidelines the common criteria for all types of plagiarism and research misconduct.

      • KCI등재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규제 및 법정책 연구

        이준석(Lee June-S),김옥주(Kim Ock-Joo) 한국생명윤리학회 2006 생명윤리 Vol.7 No.1

        This paper examines regulations and policies on research misconduct, focusing on the Office of Research Integrity (ORI) under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DHHS) USA. After decades of dealing with research misconduct, U.S. DHHS established the ORI as a governmental branch office to oversee research integrity in biomedical researches supported by the U.S. Public Health Services (PHS). The ORI set a formal procedure when a research misconduct has been reported by a whistleblower, and also provides standard procedures to investigate misconduct at the research institutional level. Such transparent system for handling misconduct as ORI system promote accountable conduct of research. By reviewing three notable cases of scientific misconduct in the United States (Jan Hendrik Schoen‘s case in 2002, Xiaowu Li's and Eric T. Poehlman's case in 2005), the authors how ORI deals with research misconduct. Even before Hwang's scandal, Korean society had experienced a series of research misconduct allegations, even if their scale was not as big as Hwang's. Finally, analyzing Dr. Hwang Woo-Suk's case as a call for building a system to prevent research misconduct, the authors maintain that ORI-like institutions are urgently needed in Korea.

      • KCI등재

        学术不端论文检测机制法律问题研究

        江本海(JIANG-BENHAI),朴尙植(PARK, SANG-SIK)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國際去來와 法 Vol.- No.28

        In recent years, academic misconduct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has once again come to the publics attention, and the number of infringement disputes caused by academic misconduct in practice has been on the rise year by year. This article try to the perspective of intellectual property law as a breakthrough point, combined with the concrete and the data visualization analysis, hot, hot cases in recent years and the social public opinion gives reasonable definition to the academic misconduct at present stage, to clarify the legal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misconduct and copyright infringement, analyze the existing in the current college misconduct paper detection mechanism inherent defects. At the end of this paper, the author combined practice and legal philosophy theory on the legal issues caused by some thoughts. Our country should further optimize the academic misconduct detection system. The similarity detection data of paper is the important evidence rather than the only basis for the identification of academic misconduct. It is necessary not only to strengthen the supervision of the providers and users of academic results testing, but also to strictly enforce the obligation of the publishers to review the results of academic papers. The public, especially college students, experts and scholars, should realize the value behind the results of intellectual labor. It is of great legal and social significance to strictly regulate academic misconduct.

      • KCI등재

        성, 권력 그리고 정의 : 목회자 성적 탈선 문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분석과 대책

        신원하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5 기독교사회윤리 Vol.31 No.-

        이 논문은 목회자의 성 탈선에 해 기독교 윤리학으로 분석하고 이어 방책과 응책을 제시한다. 목회자의 성과 성에 한 두 상반된 견해가 교회 사를 통해 흘러내려오고 있고 수도사 성 제를 더 우월한 것으로 보는 사제 독신주의가 엘리티즘과 합류하여 로마 카톨릭 교회의 한 지류로 내려오고 있지만, 성경은 성을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창조되었고 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인간이 존재하는 방식으로 기능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나아 나님을 알아가는 것과 도 계있음을 말한다. 논문은 이 입장을 성경 근거와 신학 해석을 통해 제 시한다. 이어 이 논문은 목회자의 성 에지와 욕구가 억리고 결핍되면 성 탈선 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지하면서 교회 사역에서 일어나는 목회자의 성 탈선 의 엄연한 실을 직시하고 목회자 성 탈선의 다양한 유형과 탈선하는 목회자 의 유형을 크게 세 가지로 분석한다: 약탈자, 방랑자, 그리고 연인. 각각의 유형을 분석하고 구체인 를 설명한다. 이어서 탈선을 낳는데 가장 핵심으로 작용 하는 원인으로서 목회사역의 구조와 개인 요인을 지고 살펴본다. 무엇보다 이 논문의 핵심인 분석 내용은 목회자의 성 탈선의 근본인 성격을 규명하는 것인데, 논문은 목회자의 탈선의 성격은 성직에 내재된 권력을 악용하는 것이고 교인과 목회자 간에 기되고 유지되어야 하는 신뢰의 계를 배신하는 것으로 악한다. 이것은 목사와 교인을 묶고 있는 탁된 신뢰를 배신 함으로 결국 공동체의 신뢰구조를 가게 해서 흔들고 와해시키는 한 악임을 분석한다. 이어 후반부에서 논문은 이 괴 악에서 교회 공동체와 목회자를 보호하기 한 방책으로 성 탈선의 경고하는 사인을 담은 ‘경고 체계’와 아울 러 방을 한 ‘지원 체계’를 마련하여 가동해아 할 것임을 주장하고 그것의 구 체쩍 내용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성 탈선이 일어났을 때 교회는 반드시 응보 정의와 회복 정의가 구되도록 이 사건을 공으로 다루고 피해자에 한 한 로와 보상이 이지도록 해야 함을 강조한다. 즉 목회자의 성 탈선을 정의의 측면에서 바라보고 공으로 다루도록 해야 하고, 이것을 공정하게 처벌 할 수 있는 교회법의 정립과 성윤리 강령을 교단들이 속히 제정할 것을 재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nature of sexual misconduct by clergy and to present a proposal for its prevention and appropriate response to cases of misconduct. Throughout church history, there have been two main theological views on clergy sexuality and its relation to spirituality. While one affirms it positively, the other does not; while one rejects the elevation of celibacy, the other does not. However, the Bible clearly says that God created humankind as male and female according to God’s image. Both man and woman are sexual beings. The Hebrew Scripture understands the human being as a psychosomatic unity. The spirit and the body are closely interrelated. It means that the human being exists as an embodied person. If spirit has to do with body, spiritualty has to do with bodily life. Spiritual life is not separated from bodily life at all. It means sexuality is an integral part of spirituality: the more a clergyman is filled with wholesome sexual energy, the deeper he experiences spiritual fullness. Conversely, the less a pastor is sexually satisfied, the greater the temptation is to slip into sexual misconduct. In reality, sexual misconduct by pastors in the ministry is quite prevalent. According to analyses, there are three major types of sexual offenders: the predator, the wanderer, and the lover, respectively. The cor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nature of sexual misconduct by clergy. The paper defines it in terms of abuse of clerical power. It is characterized as betrayal of trust between pastor and congregant, which eventually shakes trust-based community. Then, this paper proposes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of clerical sexual misconduct. It puts an emphasis o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warning system of some kind in order to determine what levels of attraction and intimacy are unacceptable, by which pastors can be alerted and refrain from dangerous intimacy. Finally, the paper suggests what the Church should do in order to carry out justice after a case of sexual misconduct has occurred. The Church is called to make the case public and to take preferential care of the victimized. Finally, the Church ought to prepare an ethical code regarding clerical sexuality and laws in order for her to carry out ecclesiastically sanctioned punishment and rehabilitation.

      • KCI등재

        부모의 학대방임과 청소년의 비행

        배화옥(Bae, Hwa ok),이민화(Lee, Min Hwa)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34 No.1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청소년의 비행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와 학대방임과 비행 사이에 공격성이 매개하는지를 규명하여 학대방임, 공격성, 비행의 관계성을 정립하는 것이다. 청소년 비행은 오프라인 비행과 온라인 비행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가 활용한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이 생산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1패널 2차년도 자료이며, 연구모형의 변인에 결측치가 없는 중학교 2학년 669명을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구조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부모의 방임과 학대는 청소년의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대가 방임보다 청소년의 비행에 영향을 더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방임학대와 청소년의 비행 사이에 공격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매개효과를 분해하였을 때, 공격성은 방임과 오프라인 비행 간에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경로에는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whether parental abuse and neglect predict adolescent misconduct,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role of aggression between parental abuse and neglect and adolescent misconduct.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Korea Child and Youth Panel Study and selected 669 middle school youths who responded to every questions of abuse and neglect, aggression, and misconduct as study group.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data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ling. Study findings show that parental abuse and neglect significantly predicted offline misconduct and online misconduct of adolescents. Further, aggress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abuse and neglect and offline misconduct as well as online misconduct of adolescents. Research and practic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