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진도아리랑 형성의 음악적 배경

        김혜정 한국국악학회 2004 한국음악연구 Vol.35 No.-

        The Jindo Arirang is a folk song formed in 20 century. Some parts of the music are originated from Sanagy taryung of a folk song of Namdo province. Other parts of the music are originated from Namdo Arirang under the influence of Milyang Arirang. Jinda Arirang is a interesting song in which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wo songs are put together. In this article we confirmed presence of Namdo Arirang which was the foundation of linda Arirang and looked into a few songs. Namdo Arirang is a good example to examine how singers from Chonnam province accepted and modified nationwide popular Arirang. Besides, through the diverse forms of Namdo Arirang, we can draw the conclusion that linda Arirang is not merely the creation of one person, Park Jong-ki but cooperated work of people, show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folk song. Although Jindo Arirang is new folksong, this song was voluntarily accepted by the regional singers. And Jindo Arirang became one of this regional musical culture in a relatively short time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xpressing diverse emotions. In addition, Jindo Arirang has been elevating its position that represents the region.

      • KCI등재

        진도아리랑의 기능적 전환과 문화예술적 의미

        나경수(Na, Kyungsoo)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3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4

        아리랑은 우리민족이 즐겨왔던 서정가요의 대표격이다. 그에 대한 학술적 관심은 크게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문화사적 관점에서 언제부터 아리랑이 불리기 시작했을까 하는 기원론적 의문, 둘째, 문화권적 관점에서 어디에서 아리랑이 불리고 불려왔는지에 대한 분포론적 의문, 셋째, 문화층적 관점에서 어떤 집단에 의해 아리랑이 불려왔는지에 대한 향유층적 의문. 이는 역사적, 지리적, 계층적 관심으로 요약될 수 있겠다. 아리랑은 생산집단인 민중들이 즐겨왔던 2단 구성의 시학적 구조를 보이 면서도, 후렴을 가졌다는 점에서 노동요로부터 기원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면서도 전국적인 분포를 보인다는 점에서 보편성을 가진다. 특히 진도아리랑은 호남지역의 논매기노래인 산아지타령으로부터 비롯되었다는 것은 명확한 사실이다. 진도아리랑은 정선아리랑과 더불어 한국 아리랑의 양대산맥을 이루고 있다. 정선아리랑이 강원도를 배경으로 한 메나리조로 불리면서 또한 일노래로 겸용되고 있는 것에 반해서 진도아리랑은 일노래에 기원을 두고 있지만, 이로부터 일탈했다는 점에서 다른 의미를 가진다. 즉 일노래인 산아지타령 중에서 앞소리는 그대로 사용하면서 후렴을 흥을 돋을 수 있는 형태로 변형시켜 유희요로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민요사적 의미를 한층 더하고 있는 것이다. Academic interests about Arirang are summarized into three. First, the question of original theory; From the view of cultural history, since when did people sing Arirang? Second, the question of distribution theory; From the view of cultural areas, where was Arirang sung at? Third, the question of the enjoyment class; From the view of the cultural class, which groups sing Arirang? These are summarized by historical, geographical and classical interests. Arirang represents a poetic composition of 2 degrees enjoyed by production groups and it could originate from work songs that it has a refrain. Especially it is clear that Jindo Arirang originated from Sanaji Taryung which is a song of weeding a rice paddy in Honam area. Jindo Arirang is a prominent song with Jeongseon Arirang in Korea Arirang. Jeongseon Arirang is sung in Menari-jo with a background of Gangwon and also used as work songs. In contrast, Jindo Arirang has a different meaning that it originated from work songs but deviated from that.

      • KCI등재

        『문학』 교과서 속 民謠의 女性像과 교수 ․ 학습의 문제

        김용기 한국구비문학회 2015 口碑文學硏究 Vol.0 No.40

        Ten folk songs are included in the 2007 revised literature textbooks of ‘Literature Ⅰ’ and ‘LiteratureⅡ’. Labor folk songs are in the majority and lyric folk songs and women folk songs are included partially in ‘LiteratureⅠ’. Elusive Taryeong followed in small numbers. In‘LiteratureⅡ’, seven lyric folk songs and three labor folk songs are mainly included as the learning contents. A few of women folk songs, Taryeong and Satiric ballads are contained as one part. Among these folk songs, there are <Milyang Arirang>, <Bettlenorae>, <Sizipsalinorae> and <Jungsun Arirang> as the works referring to the woman image in the body. The images of woman of three works except <Jungsun Arirang> are studied in this research. <Milyang Arirang> has the image of woman to show the norms and new value. The images of production and abundance are extracted in <Bettlenorae>. In <Sizipsialinorae>, we can find out the images of women that establish the relative self-awareness through experience. The folk song education leaves much to be desired to teach folk song’s attribute in consideration of the style of including folk song and the real image. Especially teaching and learning systemic design is not considered with female poetic speaker, her image and life. The folk song attribute as the oral tradition literature characteristic and strength should be educated. 2007 개정 문학 교과서 .문학Ⅰ.과 .문학Ⅱ. 본문에 수록된 민요는 10작품이다. 수록된 민요의 하위 갈래를 보면, .문학Ⅰ.에서는 노동 민요가 다수를 차지하고, 서정민요와 부요(婦謠), 그리고 성격을 규정하기 어려운 타령이 그 다음 순으로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 문학Ⅱ.에서는 서정민요가 7편으로 가장 많았고, 노동요가 3편, 그 다음으로 부요(婦謠)와타령, 풍자 민요가 수록되어 있다. 이들 민요 중에서 본문에 여성상이 나타나는 작품으로는 <밀양 아리랑>, <베틀 노래>, <시집살이 노래>, <정선 아리랑>이었다. 이 중에서 필자는 <정선 아리랑>을 제외한 나머지3작품의 여성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밀양 아리랑>에서는 규범과 신가치의 이중적 여성상을 엿볼 수 있었다. 그리고 <베틀 노래>에서는 생산과 풍요의 여성상을 추출할 수 있었다. <시집살이 노래>에서는 체험을 통한 상대적 자기 인식의 여성상을 엿볼 수 있었다.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민요의 수록 양상과 실제 나타나는 여성상의 모습을 고려해 볼때, 현행 문학 교과서 속 민요 교육은 아직 민요 본령의 속성을 교수.학습하는데 미흡한 점이 많다. 특히 여성 화자나 여성상, 여성의 삶과 관련한 체계적인 수업 설계는 별로 고려되지 않고 있다. 민요가 가지는 구비문학적 속성과 장점을 교육하여야 한다.

      • KCI등재

        텔레비전 역사드라마 <추노>의 ‘민요/랩’ 고찰-기층민중 ‘설화’와 ‘업복이’를 중심으로-

        윤석진 한국민요학회 2015 한국민요학 Vol.45 No.-

        This paper analyzed the dramatic functions of folk songs and rap music reflected in the common people’s narrations in order to extend the interpretable horiz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 on <Chuno>. The previous studies mainly focused on the protagonist who makes the main narrations but they could not deal with the narrative procedure that the common peoples make. Thus, this paper examined the dramatic functions of folk songs and rap musics which Seolhwa and Eopboki sang in the drama because folk songs and rap musics which have a different musical style from what we define “music” may express the equal relationship and the life of the freedom. As a result, this paper found that Seolhwa’s folk songs can work to pacify tough lives of Lee Daegil and his colleagues and encouraged them to work continuously. The folk songs which Seolhwa sang such as <Taepyengga>, <Milyang Arirang>, <Jinjunanbongga> perform the functions to express characters’ emotions or to convey the feelings that were expressed at the dramatic moment. The slaves’ resistance and struggle, mainly leaded by Eopboki, are well revealed in <Common people’s rebellion> which was one of theme songs in <Chuno>. <Common people’s rebellion> is included in the rap music which does not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but in the way that the theme of the rap music seeks the equal relationship and the life of the freedom, the rap music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Thus, using a rap song as a main theme song is a very interesting directing. 이 논문에서는 <추노>에 대한 선행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해석 지평을 확장하기 위해 기층민중 서사가 투영된 민요와 랩의 극적 기능을 분석하였다. 기존 논의는 주로 중심 서사를 이끌어가는 주인공에게 집중되어 기층민중 서사가 구현되는 과정을 제대로 다루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음악적 형식이 전혀 다른 민요와 랩이 평등한 인간관계와 자유로운 삶이라는 문제를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사당패 설화와 노비 업복이를 중심으로 민요와 랩의 극적 기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설화의 민요가 이대길과 추노패들의 고단한 삶을 위무하고 신명을 북돋는 기능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화가 부르는 민요 <태평가>, <밀양아리랑>, <진주난봉가>는 등장인물의 감정을 표현하거나 극적 상황의 정서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업복이를 중심으로 한 노비들의 저항과 투쟁의 과정은 <추노>의 주제곡 가운데 하나인 <민초의 난>에 압축되어 있다. <민초의 난>은 우리 전통음악과 거리가 먼 랩 장르에 속하지만, 주제적으로 평등한 인간관계와 자유로운 삶을 모색한 민요와 상통한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로운 음악 연출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나선창법으로 아리랑 노래 부르기의 기본 분석과 치유 효과

        유명옥 ( Myung Ok You ) 한국자연치유학회 2014 Journal of Naturopathy Vol.3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mouth or body when singing Bon Arirang, Haeju Arirang, Milyang Arirang, Gangwondo Arirang, and Jindo Arirang which are the 5 representative Arirang of Korea and their therapeutic effects. Bon Arirang is a simple and beautiful song to enhance the concentration and adjust oneself neatly calming down in Joongmori rhythm of Semachi Jangdan (3/4 beats). The circulation of Qi energy is initiated from tightening the belly to come down to the mouth and lower part of abdomen and then go up to the neck. Haeju Arirang is poetic in Semachi Jangdan. The Qi energy circulates from abdomen to anus, tailbone, mouth, and then back to the lower part of abdomen. It has therapeutic effects on the whole body. Milyang Arirang is lively and brave in Jeongja Sorijo (cheerful song) and Semachi Jangdan. It has therapeutic effects on the whole body through the neck, nasal cavity, and lower part of abdomen. Gangwondo Arirang has romantic mood and plain feeling of rural areas in Ulmori Jangdan. Its therapeutic effects include making the facial expression beautiful, strengthening neck and digestive system, activating thyroids, and improving the whole body. Qi energy circulates from face to neck, breast, abdomen, and lower part of abdomen. Jindo Arirang has heavy and respectful feelings. Its therapeutic effects include excreting wastes from the body from deep and long breathing from the lower part of abdomen. Qi energy circulates for a hundred times. It has therapeutic effects on the whole body. In conclusion, traditional Arirang is considered to have treatment effects of both mind and body by catalytic effects inducing various physical and mental changes with circulation of Qi energy throughout the body. It has important meaning as a natural therapy.

      • ‘아리랑’을 소재로 한 공연콘텐츠 개발방안 : 전남도립국악단을 중심으로

        김광희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3 콘텐츠 문화 Vol.3 No.-

        ‘아리랑’은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이다. ‘아리랑’은 기본적으로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를 포함한 후렴구와 가사로 이루어진 노래 군을 가리키며, 지역마다 독특한 ‘아리랑’이 전승된다. ‘아리랑’의 노랫말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단순하면서도 문학적인 가사와 음률 덕택에 즉석에서 지어 부르기, 따라 하기, 함께 부르기 등이 쉽다. ‘아리랑’은 인간 창의성, 표현의 자유 등을 존중한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아리랑’은 영화, 뮤지컬, 춤, 문학작품 등 다양한 예술분야의 주제로 활용되고 있다. ‘아리랑’은 이러한 연유로 2012년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본 연구는 ‘아리랑’의 가치와 특성을 알아보고 각 지역의 아리랑 콘텐츠 활용사례 및 정부의 지원정책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전남도립국악단’의 ‘아리랑’을 소재한 공연콘텐츠 개발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전남도립국악단’은 시설투자 보다는 ‘아리랑’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아리랑’ 활용 프로그램의 질적인 향상에 초점을 맞춰 나가야 한다. 공연콘텐츠 프로그램 개발 방안으로는 첫째 ‘아리랑’ 브랜드 개발, 둘째 ‘아리랑’ 공연프로그램 개발, 셋째 ‘아리랑’ 학술조사 및 아카이브 구축, 넷째 ‘아리랑’ 교육프로그램 마련, 마지막으로 남북이 공감할 수 있는 ‘아리랑’ 프로그램 개발을 제시하였다. 향후에는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실증적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의 ‘아리랑’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면서 많은 지원정책과 계획들이 쏟아지고 있다. 이 같은 계획이 국가적인 이벤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말의 성찬(盛饌) 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아리랑’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보급, 관계기관의 지속적인 지원과 국민적 관심이 끊이지 않도록 모두가 노력해야한다. "Arirang" is Korea’s one of the most well known traditional folk songs. It is a song that uses "Arirang, arirang, ara-ri-yo" in its chorus and lyrics. Depending on the different regions of Korea, each distinctive regional "Arirang" has been inherited down. The lyrics of "Arirang" deal with a variety of different subjects. Due to its simple and literary lyrics and melody, it is very easy to ad-lib the song, easy to sing after hearing it once, and also very easy to sing as a group. The characteristic of "Arirang" is that it respects the creativity and the freedom of expression of one individual. Moreover, "Arirang" is dealt and applied in various movies, musicals, dances, and literature pieces. For the above reasons, "Arirang" was registered a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2012. This report deals with the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Arirang." It will look at the practical usage examples of “Arirang” contents according to each region and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Through this, it is targeted to provide development methods for the ‘Jeollanamdo Provincial Gugakdan“ using “Arirang” as the performance content. “Jeollanamdo Provincial Gugakdan” must focus on developing “Arirang” related program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Arirang” applied programs rather than focusing on facility investment. For the development method of performance contents programs, the below have been provided. First, to develop a brand of “Arirang.” Second, to develop “Arirang” performance programs. Third, to establish an academic research and archives for “Arirang.” Fourth,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on “Arirang.” Last, to develop an “Arirang” program that can be well acknowledged by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the near future, a practical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through a more in-depth research. Many policies and support plans have come up after “Arirang” was registered a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UNESCO. In order for this plan to be successful and not be a rain in the parade that can often be seen in national events, there needs to be development-distribution of a lot of different programs using “Arirang.” Also, everyone has to work together so that the related agencies’ continuous support and public interest does not fade away.

      • KCI등재

        일제강점기 <밀양아리랑>의 유행 양상 연구

        정서은 민족음악학회 2022 음악과 민족 Vol.- No.64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의 문헌 자료 및 유성기음반, 경성방송국 방송목록 등 미디어에 등장하는 <밀양아리랑>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제강점기 <밀양아리랑>의 유행 요인 및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아직 명확히 드러나지 않은 <밀양아리랑>의 정체성도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시기별 <밀양아리랑>의 등장 순서는 유성기음반, 문헌 자료, 경성방송국 국악방송목록 순이며, 유성기음반 및 경성방송국 국악방송 등의 소리미디어에서 다른 지역아리랑에 비해 월등히 잦은 등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문헌 기록을 통해 확인한 결과 <밀양아리랑>은 유성기음반의 발매와는 별개로 1929년 이전부터 밀양지역이나 이외의 지역에서불리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밀양아리랑>이 소리미디어를 통해 대중화되기 이전부터 일반에 유행한 이유는 음악적인 특징에서 찾을 수 있는데, 도약해서 질러내는 특징적인 선율, 따라부르기 쉬운 선율 구성, 선율 및 리듬의 조화, 흥겨운 리듬감 등이다. 이러한 음악적 특징을 바탕으로<밀양아리랑>은 일반에 유행되고 있었고, 소리미디어를 통해서도 인기를 누리게 된다. 1930년대 이후 <밀양아리랑>은 소리미디어를 통해 대중화되는데, 다른 종류의 아리랑소리와 비교하여 가창자의 출신 배경이 다양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밀양아리랑>이 가진 대중적인 음악 요소로 인해 당대 유명예술인 출신의 가창자들에 의해 불릴 수 있게 되고, 이들의 섭외는 다시 <밀양아리랑>이 대중들에게 관심을 받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소리미디어에 나타나는 <밀양아리랑>의 악기 편성을 살펴본 결과, 1930년대 중반을 전후로 기존 국악기 편성에서 벗어나 서양식관현악단이나 선양악단의 반주가 등장한다. 1930년대 이후 기존 민요들이 쇠퇴하고 유행에서 밀리게 되는 상황 속에서 <밀양아리랑>은 새로운악기 편성과 조화를 이루어 대중음악 영역에서도 도태되지 않고 유행을유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감내게줄당기기의 놀이구성과 연행에 따른 변화 고찰

        서정매 한국민요학회 2020 한국민요학 Vol.59 No.-

        Gamnaegejuldanggigi(Gamnae-Crab-Tug-of-warpi) is a Sangwon play(Play on January 15) of Gamnae Village in Bubuk-myeon, Miryang-si, and it is a game to take a good place for crab catching in Gamnaecheon flowing in the center of the village. Gamnaegejuldanggigi consists of ①Dangsan-gut, ②Ottojishin-puri(Ritual for the 5-way Earth God) ③deotbaegi dance, ④Making side lines ④ Nongbali play ⑤ Take away good land ⑥ Tug-of-warp ⑦Pangut, and the folk songs used are Dangsan-gut, Ottojishin-puri, Sound when making a line, Miryang Arirang, Chingchingi etc. Six items of Korean tug-of-war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cluding pulling rope, were co-registered with UNESCO in 2015 along with Vietnam, Philippines and Cambodia. However, there has been no independent study of Gamnaegejuldanggigi. Therefore, the text revealed the composition of the play for the Gamnaegejuldanggigi designated as Gyeongnam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1983, and examin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folk songs used in the play. In addition, the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the play were considered, and the future direction for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prototype was suggested. This discussion will be a great help to illuminate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Gamnaegejuldanggigi(Gamnae-Crab-Tug-of-warpi). 감내게줄당기기는 밀양시 부북면 감내마을의 상원놀이로, 마을 중앙에 흐르는 감내천에서 참게잡이를 위한 좋은 터를 차지하려고 하는데서 비롯된 놀이이다. 감내게줄당기기는 ①당산굿, ②오방지신풀이, ③덧배기춤, ④젖줄드리기, ④농발이놀이 ⑤터 빼앗기 ⑥줄다리기 ⑦판굿으로 구성되며, 사용되는 민요로는 당산굿, 오토지신풀이, 줄꼬는 소리, 밀양아리랑, 칭칭이 등이 있다. 감내게줄당기기를 포함한 한국의 줄다리기 무형문화재 6종목은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와 함께 2015년에 유네스코에 공동 등재되었지만 감내게줄당기기에 대한 단독 연구는 아직 전무하다. 이에 본문에서는 1983년에 경남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감내게줄당기기의 놀이구성을 밝히고, 놀이에 사용된 장단 및 삽입된 민요의 음악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연행에 변화를 고찰하였고, 원형의 유지와 발전에 위한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밀양지역을 대표하는 민속놀이인 감내게줄당기기의 의미와 가치를 조명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