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Ambitions and Regional Migration Supports

        K.C. Ho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4 TRaNS(Trans –Regional and –National Studies of Sou Vol.2 No.2

        Higher education in East Asia is at an important historical juncture where its flagship universities are locked in a race to internationalise. In this restructuring, international students become a critical element in university and national strategies, as a key resource to strengthen university research and to augment the skilled labour force of a country. This article examines the issue of student migration at three scales. First, an idea of the regional magnitude of student movements is determined by examining inbound and outbound movements of students moving out of their home countries to study abroad within Pacific Asia (East and Southeast Asia). Second, by using Singapore as a case study, the paper examines the role of state policy in the internationalisation of higher education. We see how state and university policies shape the new work of flagship universities. And third, by drilling down further and using a survey sample of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international students, the main body of the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the elements which attract students to Singapore, their adjustment process, and their plans after graduat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internationalisation of education brings about a powerful set of influences to the host society particularly when there are policies facilitating foreign students and their insertion into the host economy and society. Far from being a small temporary minority locked away in ivory towers, foreign students become the focus of policy, a talent that is sourced, a pillar supporting the economy, the hope of new marriage formation and the arrest the fertility decline, and an essential ingredient in the resultant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중국의 "두뇌 유출"에서 "두뇌 유입"으로의 도약: 중국의 유학생 유치 전략과 외국 유학생의 의사결정메커니즘

        이승은 ( Claire Seungeun Lee ) 현대중국학회 2013 現代中國硏究 Vol.14 No.2

        급속한 경제성장과 근대화를 경험한 중국은, 더 이상 자국 학생들을 해외에 유학을 보내는 것에만 관심을 쏟는 것이 아니라, 해외 유학생을 중국에 받아들이는 것에도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해외 유학생은 크게 비학위과정과 학위과정의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비학위과정 학생들은 대개 중국어 학습을 목적으로 중국에 유학을 오며, 학위과정 학생들은 학부에서 대학원과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과정에서 유학을 한다. 중국 정부 및 대학은 대학의 국제화를 추진해나가는 과정에서 유학생 유치 전략을 수립하며, 다양한 배경 및 국적을 지닌 학생들을 유인하는 정부 정책, 특히 장학금 정책의 차이가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맥락 하에서 중국유학을 경험한 학생들의 심층인터뷰를 토대로 중국에 유학을 결정하는 외국학생의 의사결정메커니즘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국제학생 이동``은 시간의 추이에 따라 유학 전·유학 중·유학 후의 세 단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유학을 결정하기까지로서 유학목적지국가의 이미지, 주위 추천, 유학목적 및 동기 등에 영향을 받는다. 두번째 단계는 유학을 하고 있는 시기로, 학습과 사회생활의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마지막 단계는 유학 과정을 마친 이후의 시기로, 유학생들은 자국의 상황, 유학과정, 목적 달성여부 등 전반적인 요소를 고려한 후, 유학국가에 남아있거나 고국으로 돌아가거나 제3국으로 재이주하는 등 이후 행보를 결정할 것이다. 중국으로 유입되는 유학생은 중국 고등교육의 국제화를 가늠하는 하나의 지표임과 동시에, 이들 개개인의 의사결정과정은 유학생들의 입장에서 중국 유학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준다. In order to explor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Chinese universitie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international students who choose China as their education destination. With China`s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China is not only a country that sends Chinese students to foreign countries to pursue their studies, but is also a country that attracts many foreign students. The types of international students who decide to come to China include both non-degree students and degree students. The former includes those who come to learn Chinese either for a short or long period; the latter includes those who pursue undergraduate or graduate degrees in China.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studied in China,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decision-making mechanisms of international students. The process of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consists of three phases: pre-study, the actual study period, and post-study. The first stage occurs before students decide to study abroad. This is largely affected by a country`s image and recommendations by peers. The second stage occurs when students are studying in the host country and is characterized by two aspects-living and studying. The final stage occurs when the students have completed their studies and are about to return home or make other choices. Based on this, this research explores international student migration from two perspectives. The first is that of the Chinese government and its strategy to internationalize higher education and receive foreign students. Recruiting international students to China is one step to internationalize Chinese universities. The second perspective is that of individuals choosing to study in China. The two perspectives from the government and individuals situate us to better understanding their decision-making mechanism.

      • KCI등재

        지방대학 대학원 외국인 유학생의 졸업 후 진로 결정과 주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도혜(Do Hye Kim),최희정(Hee Jung Choi)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21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1 No.4

        이 연구는 한국 지방대학 대학원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한 아시아 국가 출신 유학생의 졸업 후 진로에 관한 연구로 한국 체류, 본국 귀환, 제3국 이주의 선택지 가운데 어떤 선택을 하게 되는지, 그리고 이런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총 12명의 유학생과 진행한 심층 면담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이들의 진로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한국어 자본에 주목하고, 이들의 전공을 비롯한 학력자본, 출신국 배경 등이 한국어 능력과 교차하면서 진로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밝힌다. 예를 들어 한국어 숙련도를 갖춘 인문사회계 유학생들은 자신의 전공과 관련 없는 통번역 업무 등에 종사하게 되는 반면, 이공계 학생들은 전공 관련 취업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부족한 한국어 실력 때문에 한국에서의 취업과 정착이 쉽지 않고 영어 실력과 영미권 문화에의 친숙도가 높지 않은 이상 제3국으로의 재이주도 선택하기 어렵다. 이 연구를 통해 많은 국가들이 자국의 언어와 문화를 고등교육을 통해 습득한 유학생을 고급 인력으로 인지하여 우호적인 비자정책을 펼치고 있는 이때, 한국 정부의 이주이민정책에도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studies post-graduation plan/life of Asian graduate students in Korean provincial universities. It aims to reveal the important factors which affect post-graduation mobility. Drawing on the interviews with twelve students, we show that post-graduation mobility should be understood at the crossroad of language skills, academic capital such as major, and their country of origin. Student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end to have advanced Korean language skills, based on which they are likely to find jobs. On the other hand,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have more chances to find major-related jobs in Korea, but it is hard to settle down in Korea due to their lack of Korean language skills. In addition, re-migration to the third country is not an easy option unless they have enough linguistic and cultural knowledge needed. This research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to the Korean government, when many countries try to utilize international students as skilled migrants.

      • KCI등재

        지방대학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예측요인과 경로 연구 : 경상권 취업자와 수도권 취업자간 비교

        김문수,이교일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18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1 No.4

        This research study examined the prediction factors and vocational path research that influence the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 first job for non-urban area university students,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for vocational path between students seeking a job from the Gyeongsang area and students seeking a job from Seoul metropolitan areas. To conduct this research, the GOMS(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survey provided by the KEIS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as referenced. The data for 1,205 graduates from the Gyeongsang area was utili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impressions of corporations and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ir first job for non-urban area university students, levels of satisfaction for regional society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impressions of corporations and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ir first job for non-urban area university students, level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Third, while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impressions of corporations and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ir first job for Gyeongsang area university students, both levels of satisfaction for regional society and also level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both these factors were confirmed not to have a mediating effect for students in Seoul metropolitan areas.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impressions of corporations,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ir first job, levels of satisfaction for regional society, and level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for non-urban area university student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a method and system for developing human and intellectual resources for regional societies. This research also suggests the need for regional universities, the government and regional municipal organizations to develop programs that strengthen to ability for getting a job according to both the need to strengthen regional infrastructure an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본 연구는 지방대학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예측요인과 경로를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경상권 취업자와 수도권 취업자간 경로를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을 위해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를 주된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권 대학 졸업자인 1,205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방대학생이 가진 기업이미지와 첫 일자리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지역사회만족도는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방대학생이 가진 기업이미지와 첫 일자리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학교만족도는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상권취업자는 기업이미지와 첫 일자리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만족도와 학교만족도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도권 취업자는 이들 변수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방대학생의 기업이미지, 첫 일자리 만족도, 지역사회 만족도, 학교만족도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지역사회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지역사회 대학이 지역사회 인프라의 구축의 필요성과 학교의 지역특성에 맞는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고급인력의 인구이동패턴과 인적자원의 지역 불균형

        강은택(Kang, Eun-Taek),강정구(Kang, Jung-Ku),안아림(Ahn, Ah-Rim),마강래(Ma, Kang-Rae) 대한부동산학회 2016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4 No.2

        고급인력의 유입, 지원시설 및 상업시설 유치와 일자리 창출 등 대학은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학이 지역 경쟁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이 제대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졸업생들이 해당 지역에 머물며 생산 및 소비 등의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역 내에서 고용이 이루어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졸업생들이 해당 지역에서 머무르는 비중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는 대학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대학과 직장지 간의 이론적 ‘최소이동거리’와 ‘실제이동거리’를 비교함으로써, 대학과 산업의 일치도가 지역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실증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과통근(excess commuting) 분석 틀을 이용하여 최소이동거리와 실제이동거리를 계산하고 대학소재지와 직장지간의 불일치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비수도권에 비해 수도권에 취업기회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2004년에 비해 2009년 최소이동거리는 비슷한 반면 실제이동거리는 증가하였다. 이는 대학과 직장지의 불일치에 직장의 수가 아닌 다른 요인이 작용함을 시사한다. 셋째, 학력이 높을수록 대학과 산업의 일치성이 낮아지는 현상은 비수도권에서 특히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비수도권 지역의 인적자본 유출의 심각성과 지역 수준의 산・학・연 연계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It has generally been considered that accumulation of the highly educated has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economies. Over the past few decades, the Seoul Metropolitan Area(SMA) has enjoyed a relatively large brain gain while non-SMA regions has suffered brain dr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level of human capital retainment by measu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and the smallest possible migration distances of university graduates. The smallest possible average distances can be obtained by the linear programming that reassigns the locations of universities and jobs to minimize the total average migration costs to find the optimal migration flow. The main findings are that firstly, the amount of excess migration had increased between 2004 and 2009, indicating the growing mismatch between universities and work places. Secondly, higher excess migration rate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years of education among the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Lastly, the university graduates from the non-SMA region tend to have a higher excess migration rate than those from the SMA area.

      • KCI등재

        국내 아시아 출신 유학생-노동자의 이주 인프라에 의한 불안정성 경험과 불안계급화

        고민경,곽윤경 한국도시지리학회 2023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6 No.1

        International students temporarily moved to another country to study, and some of them are allowed to work in the areas and hours strictly restricted by the government in South Korea. The dual ident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working as irregular workers allows them to work legally under strict government regulations, but their work lies on a loose line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and they are more likely to fall into the trap of irregularity. Focusing on the migration infrastructure system that helps or hinders the movement and settlement of migrants, this study analyzes how the migration infrastructure produces their precarious experiences, which in turn leads to the precariatization.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18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Each dimension of the migration infrastructure, which consists of the government, universities, labor market, and ethnic network, works in concert with each other to produce irregular labor of international students working as irregular workers. As a result, international students and workers walk a fine line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rk, and by doing so, they are precariatized. 외국인 유학생은 공부를 하기 위해 타국으로 일시적으로 이주한 학생을 의미하지만, 우리사회에서 이들은정부가 제한한 분야와 시간에 한해서 노동을 할 수 있는 존재이다. 유학생이자 노동자인 이중 정체성을 가진 ‘유학생-노동자’들은 정부의 엄격한 규제 하에 합법적인 노동을 할 수 있으나, 이들의 노동은 합법과 비합법의 느슨한 경계에 놓여있어 비합법의 덫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 이 연구는 이주자의 이동과 정착을 도와주거나 방해하는 이주인프라 시스템에 착안하여 이주 인프라가 어떻게 이들의 불안정한 경험을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유학생-노동자들이 불안계급화 되는지를 분석하였다. 국내 4년제 대학에서 수학 중인 유학생 18명과의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여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부, 대학, 노동시장 및 에스닉 네트워크로 구성된 이주 인프라의 각 차원들이 서로 조응하면서 유학생-노동자의 비합법 노동을 만들어냈다. 그 결과 합법과 비합법의 아슬아슬한 경계 속에서 학업과 노동활동을 병행하는 유학생-노동자들은 불안정성을 경험하며 불안계급화 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