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에서의 歷史主義 受容 : 특집기획논문 : 李基白 韓國史學硏究의 礎石

        盧鏞弼(Noh, Yongpil) 한국사학사학회 2011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3

        이기백은 한국사 연구를 진행해 나가면서, 베른하임ㆍ크로체의 사학사 및 헤겔ㆍ랑케ㆍ마이네케 등의 역사이론서들을 읽고 영향을 받았다. 이들의 저서들을 이기백이 일본유학 시절에 흥미롭게 읽은 이후 내내 소장하고 있으면서 틈틈이 참고하였을 뿐만이 아니라, 자신의 일부 논문에서 직접 인용하기도 하였음은 물론, 특히 베른하임의 국역본 『역사학입문』의 경우에는 역사학도들에게 읽기를 즐겨 권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역사주의를 적극 수용했을 뿐만 아니라 초석으로 삼음으로써 한국사학을 발전시킨 대표적인 역사학자의 하나로서 이기백을 최우선으로 꼽아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이기백은 어떠한 역사이론일지라도 적극 수용하여 그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고 여겼는데, 이러한 그의 지론은 일본 와세다대학 유학시절에 공부하기 시작하여 지니게 된 역사주의를 위시한 여러 역사이론에 대한 지식과, 그 자신이 간단없이 역사를 연구하면서 지속적으로 해온 깊은 통찰의 산물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그 결과 헤켈과 마이네케의 역사 해석을 종합하여, 그는 역사 자체가 발전하는 것이며, 그 발전과정의 사실들을 시대적 상황 속에서 상대적으로 평가해야 한다는 생각을 지니고 있었다. 결국 그의 한국사 발전 사관에는 헤겔의 역사철학에 나타난 발전 사관과 마이네케의 상대적 평가 사관의 영향이 융합되어 깃들었음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고 하겠다. 하지만 그는 역사주의의 이론을 수용해서 극력 연구함으로써 한국사학을 발전시켰으되, 학자들에 의해 가지각색으로 쓰이고 있으므로 사용을 피하는 게 좋겠다는 의견을 경청하여 학술용어로서는 ‘역사주의’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이 역시 참으로 이기백, 과연 그다운 역사연구 및 서술방식의 일단이었다고 하겠다. Conducting a study of Korean history, Ki-beak Lee read Bernheim and Croce’s books of history of historical studies and Hegel, Ranke and Meinecke’s books of historical theories etc. and was affected by them. Ki-beak Lee not only referred to their books from time to time owning them all the time after reading them interestingly while studying in Japan, but also cited them directly in some of his articles.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ernheim’s Introduction to historical studies translated in Korean he also recommended students studying history to read it. Therefore, in my view it is so natural to regard Ki-beak Lee as one of the typical historians who developed Korean history by laying the foundation stone of historicism as well as accepting it actively. He thought that the foundation had to be laid by accepting it aggressively whatever historical theory it is. It needs hardly to be said that this philosophy of his is a product of his knowledge of a variety of historical theories including historicism which he came to know starting to study it while learning in Waseda University, Japan, and of deep insights which he could obtain keeping studying history for himself. As a result, putting together Hegel and Meinecke’s interpretation of history, he thought that history in itself develops, and facts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should be evaluated relatively in situations of the times. Ultimately, it is unquestionable that in his view of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the influences of a view of developing history reflected in Hegel’s historical philosophy and Meinecke’s view of history of relative evaluation are mixed. However, he developed Korean history by intensively studying theories of historicism accepting them but he never employed ‘historicism’ for a scientific term listening to an opinion that it would be better to avoid using it as it was used by scholars in diverse way.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lso Ki-beak Lee’s own unique way of historical research and narrative style.

      • KCI등재

        역사의식과 국가이성

        양승태(YANG Seung-Tae) 한국정치학회 2014 한국정치학회보 Vol.48 No.1

        이 논문은 최근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역사학계의 국사교과서 및 한국 근·현대사 해석 논쟁에 대해서 정치철학 차원에서 진단하기 위한 작업의 서설로서, 마이네케(Meinecke)의 기념비적 업적을 통해 정초된 국가이성 개념에 대한 개념사적 검토를 기초로 한국 근·현대사의 기본 흐름과 관련된 역사의식 문제를 논의함이 목적이다. 그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1)주자학적 국가이성이 근대화 추구의 새로운 국가이성으로 변혁되지 못했기 때문에 조선시대 후기에 사회·경제적 차원에서 나타난 근대화의 맹아들이 국가 전체 차원에서 발아 및 개화되지 못했다. 2)그러한 상황이 초래한 총체적인 부패구조와 통치능력의 쇠락이 국권피탈의 근본원인이다. 3)부패하고 무능한 조선조에 대한 반감과 미래의 국가생활에 대한 체계적인 비전의 결여가 일제강점기에 적극적인 민족의식 및 국가의식의 고양을 저해하였으며, 그 결과가 친일문제의 근원이다. 4)근·현대사의 해석과 관련된 역사의식의 쟁점은 바로 일제강점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그러한 근본원인에 대한 반성적 역사의식의 빈곤이다. 즉 그러한 근본원인에 대한 철저한 정신사 및 지성사적 반성의 부재가 현재까지 이어지는 국가이성의 빈곤 및 국가정체성 위기의 근본 원인이다. “This paper is a preliminary attempt at a diagnosis in political philosophy of the recent debate on Korea?s historical scholarship regarding the nature of Korea?s modernazation. The main perspective underlying the diagnosis is summed up in the concept of ‘reason of state’ which gained its conceptual foundation through Meinecke? s seminal work. After providing a brief overview of this idea?s conceptual nature and history, the paper proceeds to interpret the main current of modern Korean history in terms of its historical development. The interpretation focuses upon such issues as the political role of Neo-Confucianism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the funct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modernization of Korea, the political existence of the pro-Japanese group, and the nature of the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processes after independence. The interpretative discussions on these issues have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main problem of the Korean people?s historical consciousness lies in the poverty of reflective historical thinking through which the historical developments and their backgrounds are examined and understood in historical totality or in the world-historical context, and that such poverty of reflective historical thinking is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poverty of reason of state as well as of the present state identity crisis in Korea.”

      • KCI등재

        혼종성의 미학 -토마스 마이네케의 『바다색』 연구

        정항균 ( Hang Kyun Jeong )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012 독일어문화권연구 Vol.21 No.-

        Im Roman Hellblau kreuzen sich der elitare Diskurs um nationale, ethnische und sexuelle Identitat und der Popdiskurs. Die Grenze zwischen hoher Kultur und Popkultur wird bei Meinecke vollig verwischt. Diese Grenzverwischung bzw.-uberschreitung deutet schon seine Poetik der Hybriditat an. In diesem Werk steht vor allem der ethnische Diskurs im Mittelpunkt. Einerseits werden Juden und Schwarze als Opfer der Geschichte betrachtet. Andererseits erscheint jedoch das Streben nach judischer und schwarzer Identitat obsolet, denn sie besitzt keine Substanz, sondern entpuppt sich als eine bloße Konstruktion. Meinecke versucht zu zeigen, wie der ``weiße Neger``, besonders der Jude, zur Entstehung und Entwicklung der sogenannten schwarzen amerikanischen Musik beigetragen hat. Hierbei finden sich auch Typen wie der ``weiße Neger`` und der ``schwarze Jude``. Die konventionell zugewiesene nationale und ethnische Identitat verliert ihre Gultigkeit, und stattdessen prasentiert sich eine hybride Identitat. Im Hinblick auf den Popdiskurs konzentriert sich der Roman auf Kleidung und Musik. In Meineckes Hellblau stellt die Kleidung kein Symbol der spatkapitalistischen Konsumgesellschaft dar. Vielmehr fungiert sie als Signifikant, der ethnische bzw. sexuelle Identitat oder Selbstinszenierung zur Schau stellt. Die Technomusik entsteht zwar in Deutschland, aber sie entwickelt sich in der amerikanischen Stadt Detroit und beeinflusst umgekehrt die europaische Popmusik. Daher ist die Technomusik omniprasent, so wie die Diaspora der Juden oder der Schwarzen. Auf der Rezeptionsebene fragt der Raver nicht danach, welche Hautfarbe die Sanger bzw. die Musiker der gespielten Technomusik haben. Im Kontext des ethnischen Diskurses dient die Technomusik vor allem dazu, die Asthetik der Hybriditat zu entfalten. Meineckes Roman Hellblau hat wie Technomusik keinen Anfang und kein Ende. Ihm fehlen auch Spannungsbogen und Klimax. An die Stelle der Abfolge von Ereignissen und der stringenten Handlung tritt eine Fulle von verschiedenen Diskursen. Die verschiedenenen Diskurse werden assoziativ miteinander vernetzt und prinzipiell unendlich entfaltet. Dadurch ist die Grenze zwischen elitaren und popularen Diskursen aufgehoben, so dass die fur Meineckes Roman charakteristische hybride Popliteratur entsteht.

      • KCI우수등재

        나치 시간 레짐과 ‘역사주의의 위기’ -알프레드 로젠베르크의 경우-

        김학이 한국서양사학회 2023 西洋史論 Vol.- No.159

        이 글에서 필자는 19세기 말에 시작되어 1920/30년대까지 지속된 시간성의 위기에대한 반응 및 대응을 통하여 역사적 시간이 발휘하는 힘을 질문했다. 구체적으로는 1차 대전에서 정점에 이른 균열된 시간성에 에른스트 트뢸치, 프리드리히 마이네케, 알프레드 로젠베르크가 어떻게 대응했는지 분석했다. 세 사람 모두 1차 대전에서 정점에 오른 시간성의 단절을 그 시기를 훨씬 뛰어넘는 긴 시간단위에 통합시키려 했다. 트뢸치는 근대 초 개신교가 정립한 “개인의 자유”를 2차 산업혁명의 현실과 합치시키는 ‘유럽 문화사’를 기획했다. 나치 이데올로그 로젠베르크의시간성은 서양 중세와 나치 독일이 마주보는 시간성이었다. 그는 북방 인종의 영혼이 “자기 자신에게 돌아”와 “신과 하나가 되”는 “재탄생”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그러나 “자기 자신”의 내용이 결여된 상태에서 발화된 그 순환적 시간성은‘나치 기본개념들’을 둘러싼 담론 투쟁에 맹렬한 역동성을 불어넣는 한편 유대인“사탄”에 대한 공격적 행동력으로 귀결되었다. 마이네케는 그런 나치가 독재 권력을 장악한 1936년에 ‘헤아릴 수 없이 깊은’ 개인의 자유와 공감의 문화사를 설파했다. 이를 주장하기 위해 그는 프랑스혁명기의 괴테로 돌아갔고, 거기서 도출한 개인과 자유의 가치를 나치 독일에 제시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19세기 부르주아적인 그 시간성은 균열적 시간성을 대면하고 있던 1930년대 독일에서 별반 호소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더욱이 마이네케는 괴테를 통하여 니체 혹은 생철학과 연결되었는데, 로젠베르크 역시 니체의 도덕의 계보학을 흉내 내고 있었다. 그 상호텍스트적인 효과로 인하여 마이네케는 의도와 달리 나치즘을 강화하고 있었다. In this article, I ask questions what the historical time is, through responses to the crisis of temporality that began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continued until the 1920s/30s. Specifically, he asked how Ernst Troeltsch, Friedrich Meinecke, and Alfred Rosenberg responded to the fractured temporality that culminated in the First World War. All of them interpreted the First World War as the break in temporality and proposed a solution to the crisis of value, called relativism. All three sought to integrate the break in temporality into a longer term that went far beyond that period. Troeltsch designed a “European Cultural History” that reconciled the “individual freedom” with the reality of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The Nazi ideologue Rosenberg asked the German to try a “rebirth” in which the racial soul of the Nordic would “become one with God.” Lacking the content of that “self,” his solution was to channel his aggressive “power of action” at the Jewish “Satan.” In 1936, Meinecke preached a cultural history of “immeasurably deep” individual freedom and love for others. Oddly enough, both Meinecke and Rosenberg appropriated Nietzsche’s philosophy of life. Due to the effect of the discourse, Meinecke may have inadvertently strengthened Nazism.

      • KCI등재

        탈경계와 공감각주의 -마이네케의 『음악』에 나타난 감각담론 분석

        정항균 ( Hang Kyun Jeong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3 獨逸文學 Vol.127 No.-

        쥐스킨트는 『향수 Das Parfum』에서 탁월한 후각의 소유자인 그르누이라는인물을 내세워 시각중심적인 근대사회를 비판한다. 이 소설은 장르의 경계를뛰어넘고 상호텍스트성을 창작기법으로 활용하며 포스트모더니즘의 탈경계적인 정신을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감각담론의 차원에서 볼 때, 이 소설이 근대의 주도적인 감각인 시각의 전횡을 비판하는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지만, 시각과 후각의 대립구도를 고수하며 감각들 간의 탈경계적인 측면을 도외시하고있는 것도 사실이다. In seinen Romanen uberschreitet Meinecke oft die Grenze zwischen literarischen Texten und theoretischen Diskursen und vermischt die beiden miteinander. Die Grenze zwischen Musik und Literatur wird fur ihn durchlassig, nicht nur weil er sowohl als Schriftsteller als auch als DJ arbeitet,sondern auch weil er die musikalischen Elemente zu seiner Schreibweise umfunktioniert. Diese Grenzuberschreitung lasst sich auch im Diskurs der Sinne in seinem Roman Musik feststellen.

      • KCI등재

        우리시대 역사주의란 무엇인가 : 특집기획논문

        김기봉(Kim, Gi-bong) 한국사학사학회 2011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3

        역사주의란 세계의 탈주술화가 일어난 근대에서 생겨난 세계관이자 역사인식 방법론이다. 역사주의가 근대에서 탄생하는 맥락은 “모든 것은 변화한다. 변화하는 것은 역사다. 고로 모든 것은 역사다.”의 삼단논법으로 정리할 수 있다. 변화하는 것은 역사고, 역사란 변화한 것의 총체라는 생각이 모든 것을 역사성을 통해 해명될 수 있다고 믿는 역사주의가 성립하는 근대의 조건이다. 역사성을 어떻게 파악하느냐에 따라 역사주의는 역사개성 주의와 역사법칙주의의 두 유형으로 나눠진다. 20세기를 ‘극단의 시대’로 만든 대표적인 두 이데올로기인 나치즘과 공산주의는 이 두 유형의 역사주의가 낳은 역사의 비극이다. 전자가 저지른 홀로코스트가 계몽주의 보편적 이성에서 벗어난 독일적 인종주의를 옹호하는 역사개성주의가 빚어낸 문명의 파국이라면, 후자의 소련 강제수용소와 중국의 문화혁명은 마르크스주의라는 역사법칙주의에 의거해서 기도한 유토피아 사회공학이 초래한 재난이다. 그렇다면 인류가 역사의 진보라는 명분을 갖고 자행한 문명의 파국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반역사주의의 길을 모색해야 하는가? 이한구는 칼 포퍼의 포괄법칙모형에 입각해서 반역사주의 길을 제시했다. 반역사주의는 역사학의 해석학적 전통과의 단절을 통해 설명과학으로서 역사학의 정체성을 재정립하려는 시도다. 실제로 1970년대 독일 역사학계에서 일어난 역사주의에서 역사적 사회과학으로의 역사학 패러다임 전환은 이 같은 역사학의 정체성 변화를 추구한 사학사적 사례다. 역사적 사회과학은 이론, 모델, 또는 베버의 이상형과 같은 포괄법칙으로 역사학을 하나의 설명과학으로 만들고자 했다. 이에 대항해서 1980년 중반에 나타난 미시사나 신문화사는 “이야기체 역사의 부활”을 주창하여 역사학을 다시 해석과학으로 재정립하고자 했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고전적 역사주의를 탈근대적으로 변형시키는 신역사주의라는 새로운 사조가 등장했다. Historicism is a world view and a methodology of history, which is borne with the modern demythologization. The whole context of the birth of historicism can be summarized with a syllogism, i.e. “everything changes. What changes is history, therefore everything is history.” The modern condition of historicism which believes that everything can be explicated by historicity lies in the idea that what changes is history and history is the totality of what changes. Depending on how to understand historicity, historicism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i.e. historical individualism and historical determinism. Nazism and communism, two representative ideologies which turned the 20th century into an age of extremes, are the historical tragedies produced by these two types of historicism. The Holocaust is a civilizational catastrophe, which was caused by the historical individualism advocating the German racism deviated from the universal reason of the Enlightenment. In contrast, the Soviet Gulag and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were catastrophes caused by a utopian social engineering which was based upon historical determinismof Marxism. Should we look for a way of anti-historicism in order to prevent further civilizational catastrophe humanity could inflict on himself in the name of historical progress? Based upon the covering law model of Karl Popper, Lee Hangu presented a way of anti-historicism. Anti-historicism is a trial to re-establish the identity of history as an explanatory science through breaking it off its hermeneutic tradition. In fact, the paradigm shift from historicism to historical social science by the German historians of the 1970s was a historiographical example which pursued to change the identity of history as science. Historical social science tried to turn history into an explanatory science using the covering laws like theory, model, ideal type of Max Weber. Against historical social science, micro-history or new cultural history in the mid of the 1980s tried to re-establish history as a hermeneutic science, advocating “the revival of the narrative.” This process gave birth to a new trend of New historicism which transformed the classic historicism in the postmodern sen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