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메가이벤트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 메가이벤트 준비과정을 초점으로

        황인식(In-sik Hwang)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0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6 No.3

        새로운 영역과 의제까지의 확장되며 변화하고 있는 자원봉사활동의 패러다임 속 에서도 그 희소성 및 상징성 측면에서 여전히 주목받고 있는 것 중 하나가 올림픽, 전국체육대회와 같은 메가이벤트(mega-event) 자원봉사이다. 본 연구는 메가이벤트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메가이벤트가 진행되기 이전 준비과정에서 참여동기와 관리(교육훈련)가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의지에 한 영향력을 갖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자원봉사센터에서 ‘제 100회 전국체육대회 및 제39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준비과정에서 실시한 자원봉사자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참여동기 중 이타적 동기와 이기적 동기는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의지와 정적인 방향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가이벤트 진행과정 상의 관리(교육훈련) 중 사전교육 이해만족은 자원봉사 지속의지와 정적인 방향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메가이벤트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참여동기의 관점에서 보다 세심한 이해와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 이와 함께 메가이벤트 준비과정 상에서 관리(교육훈련)의 노력이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들의 지속의지를 제고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결과는 메가이벤트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에 대한 새로운 지식과 이해를 제공하고 이와 더불어 이들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 제고에 있어 필요한 새로운 지식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를 갖는다. 또한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를 통한 나눔문화 확산을 위해 메가이벤트 자원봉사의 준비과정을 어떻게 운영해 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In a paradigm shift in volunteering covering new areas and agendas, the thing to note is Mega-event volunteering, such as the Olympics and the National Sports Festival.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verify volunteers in Mega-event how motivation and management (training) impact the continuance will consist of Mega-event volunteering in the preparation process before the Mega Event is held. For the analysis, the Data of ‘the survey of volunteers in the 100th National Sports Festival and the 39th National Sports Festival for the Disabled’ was conducted by the Seoul Volunteer Center to prepare the ev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first, altruistic motivation and selfish motivation among the factor of volunteering motivation affect the continuance will consist of Mega-event volunteering positively. Second, the understanding of pre-education among management (training) in the mega-event proc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ntinuance will of Mega-event volunteer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volunteers in Mega-event’s volunteer need more careful understanding and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long with enhancing the continuance will of volunteers to participate in management (training) efforts in the Mega-event preparation process. This study’s results have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s new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bout volunteers in the Mega-event, and the new knowledge base needed to enhance their continuance will consist of volunteering.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practical knowledge on how to operate the preparation process for Mega-event volunteering to spread the philanthropic culture through the activation of volunteer activities.

      • KCI등재

        메가 이벤트 디자인에 나타난 문화 비교연구 : 한,중,일 엑스포를 중심으로

        권윤경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1

        · Research top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evelopment plan by comparing the design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centered on the mega event, Korea, China, and Japan Expo. · Research background: As the awareness of using mega-events as a means of national economic leap, regional development, and national unity is spreading, many countries are competing to attract mega-events. It is true that the results of visual design studies in Korea are incomplete. In the age of culture, research on the design of mega-events in the three Asian countries will have a cultural synergy effect and promote efficient differentiation and image enhancement.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Differences from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bove all else, has creativity and originality in that it is a research study that compares and converges the ‘mega-event design’ of the three Asian countries as a cultural industry. · Research method: Research method: Step 1: Conduct theoretical methodology and precedent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tep 2: After analyzing mega event design case study through internet data research, Step 3: Implementation method and strategy for quantitative analysis by design type Case analysis and 4th stage: mega-event design, expo strategy direction was established and a design plan was sought. ·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uture mega-event design development plan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attraction shift from nationalism to the center of the holding city. Second, the offline to online dualization strategy. Third, in mega event design, EIP is a clear cultural message and systemization as a visual design. In this way, future mega-event design development strategies were explored in this study.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not only the role of mega-event design through the realization of cultural identity, but also a design development plan in which abstract spiritual culture is expressed in visual language in formative terms, as the most effective content to inform the world of the identity of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and Korea. It will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xpression of cultural identity and the development of mega-event design. · 연구 주제: 본 연구는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엑스포를 개최한 한국, 중국, 일본 엑스포 디자인과 각국의 문화의 특징을 고찰하고 이벤트 디자인을 개최 도시/주제, 시각 이미지, 국가 전시관으로 유형화하여 분석함으로써 이벤트 디자인의 의미와 이벤트 디자인의 개발 사례를 살핌으로써 개발 방안을 제안하였다. · 연구 배경: 메가 이벤트를 국가 경제의 도약과 지역 발전, 그리고 국민통합 등의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많은 국가들이 메가 이벤트 유치에 경쟁적으로 뛰어 들고 있는 실정이지만, 현재 메가 이벤트(엑스포)에 대한 시각디자인 연구 결과는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문화의 시대에 본 아시아 삼국의 메가 이벤트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문화적 시너지 효과를 가지고 효율적인 차별화, 이미지 상승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 선행 연구와의 차이점: 아시아 삼국의 ‘메가 이벤트 디자인’을 문화산업으로서 차별화하여 일관되고 강력한 정체성으로 응집시키는 비교/융합 연구의 기초를 구축하여 전체를 통합하고 강화시키는 연구라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연구의 창의성과 독창성이 있다고 하겠다. · 연구방법: 1단계: 문헌 조사를 통해 이론적 방법론 및 선행 연구를 하고, 2단계: 인터넷 자료 조사로 메가 이벤트 디자인 사례 연구 분석 후, 3단계: 정량적 분석에 대한 추진방법과 전략 구사에서 디자인의 유형별 사례분석 그리고, 4단계: 메가 이벤트 디자인인 엑스포 전략 방향 정립을 하여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한, 중, 일 삼국에 나타난 공통점은 개최 도시 부분에서는 수도가 아닌 제2, 제3의 도시에서 개최하였고 해안(강)에 위치하여 경관을 갖추었으며, 시각 이미지 부분에서는 한자 문화와 조화론적 세계관, 자연 친화 사상이 공통 특징이었다. 국가 전시관에서도 유, 불, 도 3교의 정신 문화 기반으로 자연과의 상생과 의미론적 색채 관 등 상징성을 표현하였다. 각 국가의 특성과 함께 자연 친화 사상의 표현이라는 동아시아 삼국의 공통적 요소(사상)도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현재의 동아시아 삼국의 메가 이벤트 디자인을 살펴보는 시점에서, 공통점과 차별성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더욱 풍성하고 다채로운 문화 정체성이 담긴 디자인을 보여주어 ‘매력적인 문화 자산’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초 자료로 하여 향후의 후속 연구로서 문화를 디자인이라는 비 구술적 디자인 언어로 소통함으로써 정서적인 공감과 메시지를 전달하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콘텐츠화 방안을 더욱 심층적으로 모색해볼 수 있고, 여기에 더하여 한국의 문화 가치를 실체적으로 구현하여 이루어지는, 엑스포 디자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기록화를 위한 사례연구

        천호준 한국기록학회 2014 기록학연구 Vol.0 No.4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eveloped case of archivingon Mega Sport Event for searching effective method on a documentation ofMega Sport Event.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methodwas using about book, thesis and data of internet homepage for exploringthe stage on Mega Sports Event and case of Mega Sports Event recordmanagement. The field study was conducted about institute related toOlympic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 for analysing Mega Sports Eventrecord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Firstly, 2012London Organizing Committee of the Olympic Games’scase(The People’s Record Project) is useful to ex-ante event phase. Secondly,2000Sydney Organizing Committee of the Olympic Games’s case(OlympicGames Knowledge Management Project) is useful to event operation phase. Thirdly. LA84Foundation’s case(Olympic Oral History Project) is useful toex-post ev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hich came up with the study resultabove can be presented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assumed that three case for documentation about Mega Sports Event. Lastl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useful to Mega Sports Event recordmanagement institution. For the more, it will be conducted to study law of Mega Sport Event record management, humane and Material resource and method related torecord management of the Mega Sports Event organizing committee. 현대 사회에서 메가 스포츠이벤트는 한 지역이나 국가의 스포츠 역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키워드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 메가 스포츠이벤트를 효과적으로 기록화 하여 후대에 전달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1986년서울아시안게임을 시작으로 1988년서울올림픽대회 그리고 2002FIFA월드컵대회 등과 같은 메가 스포츠이벤트가 다수개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체육·스포츠 현장에서는 기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재로 이를 체계적으로 기록화 하여 후대에 전달하려는 방법론에 대한 논의는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최할 예정인 메가 스포츠이벤트를 효과적으로 기록화 할 수 있는 방법론을 탐색하기 위하여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진행 단계별로 기록화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진행단계를 이벤트이전단계, 운영단계 그리고 이후단계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단계별로 참고할 수 있는 기록화 사례를 선정하였다. 이후 문헌고찰을 통해서 각 단계별로 선정된 사업의 개요를 파악하였고, 이를토대로 현지 방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체적인 사업내용을 분석하였다. 각 단계별로 선정된 사례는 다음과 같다. 이벤트 이전단계는 국민의 기록(The People’s Record)사업, 운영단계는 올림픽대회지식관리(Olympic Game Knowledge Management)사업 그리고 이후단계는 올림픽 구술사(Olympic Oral History)사업이다. 이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의 기록 사례는다양한 계층의 경험을 포착하여 기록화 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이벤트 이전단계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올림픽대회 지식관리 사례는 대회운영을 위한 조직위원회의 업무 활동과 지식을 기록화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벤트 운영단계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셋째, 올림픽 구술사 사례는 이벤트의 전 단계에서 발생한 결락기록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벤트 이후단계에서 적용이가능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개최가 예정된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기록화에 일정한 역할을 할 것이며,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기록을 관리하고 있는 기관에서 기록관리 방법론을 마련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AHP를 활용한 메가 이벤트의 관람수요 영향요인 분석

        이충기(Lee, Choong-Ki),김남현(Kim, Nam-Hyun) 대한관광경영학회 2015 觀光硏究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메가 이벤트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계층분석적 의사결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방법을 활용하여 메가 이벤트 관람수요의 영향요인에 대한 의사결정 계층구조모형을 설정하고, 각 요인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메가 이벤트 및 축제분야의 학계, 공공부문, 그리고 업계 전문가 40명을 대상으로 AHP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또한, AHP 계층구조모형은 컨텐츠 및 프로그램, 가격요인, 홍보마케팅, 행사장 및 시설, 운영관리, 운영스태프 및 안내정보, 개최지역과의 협력을 포함한 총 7개의 대분류 영향요인과 26개의 하위요소로 구성되었다. AHP 분석결과, 메가 이벤트의 관람수요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대분류 요인은 콘텐츠 및 프로그램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가격요인, 홍보마케팅, 행사장 및 시설, 운영관리, 개최지역과의 협력, 운영스태프 및 안내정보의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 가중치를 고려한 메가 이벤트의 관람수요 영향요인으로는 전시콘텐츠의 매력성이 26개 하위요소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메가 이벤트의 성공적 개최 및 운영을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eterminants of demand for mega-events. To this end the study proposed a hierarchical structure for assessing determinants of mega-event demand by apply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Data were collected from 40 experts in the area of mega-events and festivals. AHP hierarchical structure consisted of seven main determinants with 26 components, which included contents and programs, price factor, promotion and marketing activities, event site and facilities, event management, staff and information, and partnership with host community. The results of AHP analysis indicate that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mega-event was contents and programs, followed by price factor, promotion and marketing activities, event site and facilities, event management, partnership with host community, and staff and information in that order. Attractiveness of exhibition contents was the most critical determinant of mega-event demand among 26 components. The findings will provide policy makers and mega-event managers with practical implications in preparing for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successful mega-events.

      • KCI등재

        메가이벤트가 개최지역과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

        김애란(Kim, Ae-Lan),임명재(Lim, Myoung-Jae),정강환(Jeong, Gang-Hoan)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6 觀光硏究論叢 Vol.28 No.1

        본 연구는 2012년 국내에서 개최된 여수엑스포를 중심으로 메가이벤트가 갖고 있는 효과를 알아보고, 이벤트가 갖고 있는 파급효과가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연구의 주요 목적을 선정하였다. 또한 연구에서는 메가이벤트가 갖고 있는 파급효과와 지역주민의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메가이벤트가 지역의 사회·문화, 경제, 물리적 환경에 긍·부정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토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도 사회·문화적인 요인, 지역경제 활성화 요인, 물리·환경적 요인, 부정적 요인, 관광개발 요인과 같은 5개의 차원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5개의 요인 중 사회·문화적 요인, 부정적 요인, 관광개발 요인이 개최지역인 여수시가 주변지역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를 통해 알아본 지속적인 추진의사의 경우도 개최지역이 주변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메가이벤트의 효과가 개최지와 주변지역에서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단서를 제공하여, 메가이벤트의 준비 및 운영단계에 실무적인 차원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메가이벤트의 효과와 관련된 연구가 개최지 중심으로 진행되어 메가이벤트가 갖고 있는 확산효과를 검토하는 부분의 한계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In this study, the spread effect of a mega event was approached theoretically through 2012 Yeosu World EXPO, and the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between the holding area and the surrounding area. The spread effect of a mega event and the local residents’ recognition of participation was also studied. Previous studies, a mega event was examined to have a various impacts on sociocultural, economical, both positive and negative physical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 five factors were verified: regional economic vitalization factors,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both negative and tourism development factors. Out of the five factors, Yeosu which was the holding area of the 2012 Yeosu World EXPO has higher impacts on sociocultural factors and its tourism development.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continuous pursuit of a mega event between the holding area and the neighboring area’ was proven as it appeared that the holding area had higher level of sustainable participation than the surrounding area. The results displayed through this study shows the fact that the effect of a mega event between the holding area and the neighboring can be different and can be applied not only in an academic perspective but also in a practical perspective to hold mega event. This study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only focused on the effects of mega event in hosting area improves the limitations of examining the diffusion effect as well.

      • KCI등재

        메가이벤트 개막식 퍼포먼스의 도상학적 분석 -영국과 한국의 올림픽 개막식을 중심으로-

        홍장선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2 No.-

        국가 차원에서 준비되는 대규모 이벤트인 메가이벤트는 세계인의 주목을 받는다. 메가이벤트 가운데서도 식전 행사인 개막식 퍼포먼스는 세팅된 국가의 이미지를 전 세계로 전달하는데 좋은 도구이자 수단으로 널리 사용된다. 개발도상국은 말할 필요도 없고, 선진국 역시 메가이벤트의 행사를 통해서 자국의 우수성을 알리고 있다. 역사나 문화 요소 가운데, 민족의 우수성을 한 번에 표출한 수 있는 스토리를 통해 거대 담론을 전달하는 매개적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의 국제적 메가이벤트 가운데에서, 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 개회식과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개회식을 대상으로 두 개의 올림픽 개막식에서 어떤 국가 이미지가 어떠한 방식으로 상징화 되었는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런던 올림픽 개막식과 평창 올림픽 개막식의 퍼포먼스를 대상으로, 이를 보려는 자와 전달하려는 자의 교차지점을 욕망의 충돌지점으로 인식하고, 두 욕망이 근대성의 스펙타클 측면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를 분석할 것이다. 메가이벤트 퍼포먼스는 일치하지 않는 두 욕망을 이어주는 통로를 모색하지만, 실제는 대상의 입장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해석을 진행하게 된다. 보여지는 것과 보려하는 것, 전달하려는 것과 전달되는 것은 주체의 타자화, 타자의 주체화와 같은 복잡한 현상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의 이해를 구하기 위해서, 미술사 연구방법인 파노프스키의 도상학을 통해 메가이벤트의 퍼포먼스 현상을 전(前)아이코노그래피 단계 - 아이코노그래피 단계 - 아이코놀로지 단계로 구분해 분석할 것이다. 메가이벤트의 스토리를 하나의 거시적인 이미지로 구성해서 파노프스키의 도상학을 통해 국가간, 민족간, 역사간, 문화 간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다. 각각의 영역에서 분석해 본 다각적인 해석을 통해 영국과 한국의 차이점에 대한 단계별 본질과 실질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The mega-event, a large-scale event prepared by the state, attracts the attention of the world. Among mega events, the opening ceremony performance, a pre-ceremony event, is widely used as a good tool and a means to convey the image of a leading nation around the world. Not to mention developing countries, developed countries are also promoting their own excellence through mega events. Among the elements of history and culture, the excellence of the people is used as a means of conveying a big message through contents that can express at once. The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national image was symbolized at the opening ceremonies of the two Olympics, with the opening ceremony of the 2012 London Summer Olympics and the opening ceremony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respectively, among the recent international mega events. As for performances at the opening ceremony of the London Olympics and the opening ceremony of the PyeongChang Olympics, the intersection of those who want to see and those who want to convey is perceived as a collision point of desire, and analyzes what the desire of the two means in terms of the spectacle of modernity. Mega event performance seeks a way to connect two different desires, but in reality it is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target. What is seen and what is being seen, what is being delivered and delivered, provides complex phenomena such as typography of the subject, and self-reliance of the batter. To analyze this phenomenon, we used the Iconography of Panofsky, a method of research in art history, and we will analyze the performance phenomena of mega events by dividing them into the Pre-Iconography stage - Iconography stage - Iconography stage. The story of the mega event is composed of one macro image, and the analysis between countries, peoples, histories, and cultures is carried out through Panofsky's Iconography. Through various interpretations analyzed in each area, this study examines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nature of the step-by-step differences between Britain and Korea.

      • KCI등재

        국제적 메가이벤트 유치전략의 쟁점과 정책적 함의

        김혜천 ( Hye Cheon Kim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地方行政硏究 Vol.26 No.2

        세계 각국의 정부와 도시들은 올림픽과 월드컵, 엑스포와 같은 국제적 규모의 메가이벤트 유치를 위해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메가이벤트 유치가 개최국과 도시에 다양한 유형의 편익과 지역발전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메가이벤트의 개최를 위해서는 엄청난 재정투자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개최후 사후 관리를 위한 재정적 부담 역시 감수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메가이벤트 유치의 주요 쟁점 사항에 대하여 연구자의 시각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기 개최된 메가이벤트에 대한 재평가를 통해 향후 메가이벤트 유치와 지역발전정책에의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메가이벤트의 개념과 유형적 특성을 논의하고, 이러한 개념과 유형적 틀 속에서 우리나라에서 개최되었거나 개최될 예정인 메가이벤트의 실태와 특성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그간 메가이벤트와 관련된 주요 쟁점 사항과 파급효과에 대하여 재평가하고, 이러한 논의와 평가를 바탕으로 국제적 메가이벤트를 활용한 지역발전전략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increasing number of nations and cities are bidding to host the mega-event such as Olympics Game, football World Cup, and EXPOs, expecting to have an opportunity for improving eonomic and social aspects of a city or region. But host city not only should make accumulated investment for staging the mega-event but also have diverse burdens such as negative impacts. Many studies has been done to estimate thes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from staging mega-event, especially the impact on economic returns and employment of host city. Among these studies, some reports overestimate these effects because of strong incentive to justify heavy national subsidi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reviewed and estimated major issues in bidding and staging these mega-events and proposed some policy implications on regional development polic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tried to make conceptual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mega-event and to classify the type of one. And reviewed the reports estimating the impacts of staging mega-event which hosted by Korean government. Finally some policy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has been suggested for local government and related institute expecting future bidding.

      • KCI등재

        메가스포츠이벤트 안전관리를 위한 민간경비 활용방안

        박영만(Park, Young-Man) 한국민간경비학회 2021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20 No.1

        우리나라는 1980년대 이후 국제화 및 첨단화를 통해 경제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예술·체육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 행사를 개최하였다. 다양한 국제행사 중 메가스포츠 이벤트는 대규모의 인력과 투자 비용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잠재적인 이익을 갖추고 있어 유치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현실이다.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전 세계인의 관심을 받는 메가스포츠 이벤트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서 안전을 확보하는 것은 필수불가결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과거에 진행되었던 메가스포츠 이벤트의 경우 경찰 및 군 등을 중심으로 하는 공경비를 통해 이루어져 왔지만, 최근에 진행되는 메가스포츠 이벤트의 경우 민간경비를 중심으로 안전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메가스포츠 이벤트의 안전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민간경비를 더욱더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다양한 사건·사고를 예방하고, 국제 행사에서의 범죄 및 테러 발생 등을 철저하게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메가스포츠 이벤트에서 민간경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를 통하여 안전관리 및 민간경비 전문가들과의 심층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안전관리 매뉴얼 구성과 체계화된 교육을 통해 부족한 전문성을 채운다면 민간경비의 역할이 확대될 뿐만 아니라 메가스포츠에서의 성공적인 안전관리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메가스포츠 이벤트에서 효율적인 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민간경비의 실질적인 활용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Since the 1980s, Korea has held international events in various fields such as art and sports as its economic scale has expanded through internationalization and advanced technology. Among various international events, the Mega Sports Event has potential benefits despite the large-scale manpower and investment costs. Securing safety is an indispensable factor for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successful hosting of the Mega Sports Event, which attracts the attention of people around the world. In the past, Mega sport events have been carried out through public security expenses centered on the police and the military. But, in the case of the recent Mega sport event, safety management is being carried out mainly on private security. Therefore, if private security is used more actively to strengthen the safety management capabilities of the Mega Sports Event, various incidents and accidents can be prevented and crimes and terrorism can be thoroughly managed at international events. Accordingly, in order to efficiently utilize private security at the Mega sports Event,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afety management and private security expert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it is intended to provide practical measures for the utilization of private security to establish an efficient safety management system at the Mega Sports Event.

      • KCI등재

        연구논문 : AHP를 활용한 메가 이벤트의 관람수요 영향요인 분석

        이충기 ( Choong Ki Lee ),김남현 ( Nam Hyun Kim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5 觀光硏究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메가 이벤트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계층분석적 의사결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방법을 활용하여 메가 이벤트 관람수요의 영향요인에 대한 의사결정 계층구조모형을 설정하고, 각 요인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메가 이벤트 및 축제분야의 학계, 공공부문, 그리고 업계 전문가 40명을 대상으로 AHP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또한, AHP 계층구조모형은 컨텐츠 및 프로그램, 가격요인, 홍보마케팅, 행사장 및 시설, 운영관리, 운영스태프 및 안내정보, 개최지역과의 협력을 포함한 총 7개의 대분류 영향요인과 26개의 하위요소로 구성되었다. AHP 분석결과, 메가 이벤트의 관람수요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대분류 요인은 콘텐츠 및 프로그램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가격요인, 홍보마케팅, 행사장 및 시설, 운영관리, 개최지역과의 협력, 운영스태프 및 안내정보의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 가중치를 고려한 메가 이벤트의 관람수요 영향요인으로는 전시콘텐츠의 매력성이 26개 하위요소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메가 이벤트의 성공적 개최 및 운영을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eterminants of demand for mega-events. To this end the study proposed a hierarchical structure for assessing determinants of mega-event demand by apply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Data were collected from 40 experts in the area of mega-events and festivals. AHP hierarchical structure consisted of seven main determinants with 26 components, which included contents and programs, price factor, promotion and marketing activities, event site and facilities, event management, staff and information, and partnership with host community. The results of AHP analysis indicate that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mega-event was contents and programs, followed by price factor, promotion and marketing activities, event site and facilities, event management, partnership with host community, and staff and information in that order. Attractiveness of exhibition contents was the most critical determinant of mega-event demand among 26 components. The findings will provide policy makers and mega-event managers with practical implications in preparing for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successful mega-events.

      • KCI등재

        스포츠메가이벤트와 경제효과:그 진실과 허구의 재구성

        정희준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08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1 No.1

        There has been firm belief in the economic effectiveness of sport mega events in regional development in South Korea, and now it seems that virtually every sports scientists as well as citizens believes that hosting sport events will bring bright future as well as economic success, foreign tourists and heightened brand image of hosting city. This led to a situation where a lot of cities in the nation are into the fierce bidding competition. However it is argued that this 'mega-event strategy' to compete for jobs and financial resources for regional development has proven to be a high risk one, and proven that the economic effects of sport mega events are either limited or not existing. Also these events are often labelled as successful at the cost of sacrifice of the poor and the less privileged. Bidding and hosting sport mega-events have common traits of ignoring democratic process of collecting public opinion, causing unbalanced regional developments, creating enormous debt to citizens, and giving wealth and political career to very few at the expense of many. New viewpoint and academic approach toward sports mega-events are in need. 올림픽과 같은 메가스포츠이벤트가 만들어내는 경제효과가 지역발전에 크게 기여한다는 믿음이 하나의 신화처럼 굳어지고 이러한 이벤트를 통해 해외투자를 유치하고 관광산업을 활성화시켜 도시의 브랜드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믿음이 확산되면서 최근 국내에는 지자체들 간 스포츠메가이벤트 유치 열풍이 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믿음은 일종의 환상에 불과하다. 지자체들은 엄밀히 말해 지역 (재)개발을 위한 재원의 마련을 위해 메가이벤트 전략을 채택하는데 사실 이 전략은 지역개발 방식으로는 가장 위험부담이 큰 정책이다. 일시적인 단기경기부양효과와 사회기반시설 확충 외의 경제적 효과는 대단히 제한적이거나 존재하지 않을 뿐 아니라 국고로부터 끌어 올 재원 이상의 재정적 부담을 지역주민에게 전가하고 많은 주민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며 지역 내 불균형발전을 야기한다. 또 지역사회에 미칠 다양하고도 심대한 사회경제적 문제를 도외시 한 채 이벤트 유치에 앞장서는 지역엘리트와 정치인들, 이에 동조하는 일부 학자들, 그리고 유치 결정과정의 비민주성 등의 문제는 외국의 경우보다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가이벤트 유치는 소비주의 탈근대사회에서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 간, 도시와 도시 간, 자본과 생태환경 간 이해관계가 얽힌 경연의 장이면서 저항의 공간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