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도 주별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

        신종협(Shin, Jong-Hyup),서대교(Seo, Dai-Gyo),조충제(Cho, Choong) 한국인도학회 2012 印度硏究 Vol.17 No.2

        인도의 주별 성장현황을 개괄적으로 살펴본 후 노동, 자본, 생산량 자료를 사용하여 주별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내순생산이 많은 주로는 마하라쉬트라, 우타르프라데시, 안드라프라데시 등을 들 수 있으며, 1인당 주내순생산이 높은 주로는 고아, 하리야나, 마하라쉬트라 등을 꼽을 수 있다. 1994년부터 2009년까지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구자라트, 고아, 하리야나, 마하라쉬트라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상의 결과들은 마하라쉬트라, 구자라트 등의 지역이 인도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효율성 분석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지역으로는 펀잡, 웨스트벵갈, 하리야나, 마하라쉬트라, 구자라트, 케랄라 등을 들 수 있다. 인구가 많은 우타르프라데시와 투자율이 높은 카르나타카는 산출량 대비 생산요소 투입량이 과다하여 낮은 효율성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인구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효율성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한 마하라쉬트라는 산출량이 투입요소를 훨씬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기록한 구자라트 역시 효율성 측면에서 합격점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생산성 분석에서는 마드야프라데시, 아삼, 우타르프라데시, 마하라쉬트라, 구자라트, 카르나타카, 케랄라, 타밀나두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 중 생산성이 높으면서 동시에 과거 15년 동안 생산성 하락을 경험하지 않은 지역으로 마하라쉬트라, 구자라트, 케랄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마하라쉬트라와 구자라트는 성장성, 효율성, 생산성 모두에서 합격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의 생산성 증가에는 효율성변화보다 기술변화가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인도의 경제상황이 나쁘다고 볼 수는 없지만 2000년 이후 인도의 효율성과 생산성 개선 속도가 둔화되고 있다는 사실은 인도 경제에 대한 체질개선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Product followed by Uttar Pradesh, Andhra Pradesh. Top 3 largest states in terms of Net State Domestic Product per Capita are Goa, Haryana, Maharashtra. During 1994-2006, Gujarat was the highest average annual growth rate state in India followed by Goa, Haryana, Maharashtr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aharashtra and Gujarat play a leading role in Indian economic growth. Punjab, West Bengal, Haryana, Maharashtra, Gujarat and Kerala have relatively higher efficiency scores. Uttar Pradesh that is a densely populated state and Karnataka that is a higher invested state perform inefficient because of ineffective input output ratio. On the other hand, Maharashtra and Gujarat showed relatively efficient performance. The states experiencing relatively high productivity growth are Madhya Pradesh, Assam, Uttar Pradesh, Maharashtra, Gujarat, Karnataka, Kerala and Tamil Nadu. Among these states, Maharashtra, Gujarat and Kerala experienced positive productivity growth for past 15 years, and at the same time they maintained higher productivity growth. Especially, Maharashtra and Gujarat performed best practice one in terms of growth, efficiency and productivity. We find that the technological change has a much more impact on productivity growth in India than the efficiency change. Although the circumstances of Indian economy is not very serious, the decline of the rate of increasing efficiency and productivity growth implies that Indian economy needs to improve.

      • KCI우수등재

        Technical Inefficiency Effects and Technological Change in Bangladesh Food Industry: A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Rana, Md. Masud,Baten, Md. Azizul,Rabman, Mezbahur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08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19 No.4

        This paper considers three different models with two functional forms, Cobb-Douglas and Translog, for the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of food manufacturing industry of Bangladesh over the period 1981-1982 to 1999-2000. The models are proposed by Battese and Coelli (1992, 1995) and Huang and Liu (1994). The technical efficiency, total factor productivity, technological change and technical efficiency change have been estimated in the frontier models. The results indicate that 41.47%, 59.30% and 70.98% of the potential output are being realized in this sector. The mean increments in total factor productivity are approximately 2%, 9% and 4% respectively.

      • KCI등재

        Technical Inefficiency Effects and Technological Change in Bangladesh Food Industry: A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Md. Masud Rana,Md. Azizul Baten,Mezbahur Rahman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8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19 No.4

        This paper considers three different models with two functional forms, Cobb-Douglas and Translog, for the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of food manufacturing industry of Bangladesh over the period 1981-1982 to 1999-2000. The models are proposed by Battese and Coelli (1992, 1995) and Huang and Liu (1994). The technical efficiency, total factor productivity, technological change and technical efficiency change have been estimated in the frontier models. The results indicate that 41.47%, 59.30% and 70.98% of the potential output are being realized in this sector. The mean increments in total factor productivity are approximately 2%, 9% and 4%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