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제7장 9‧11 테러 이후 미국의 안보전략과 대북정책

        신원동 한국통일전략학회 2010 통일전략 Vol.10 No.1

        한반도가 직면한 냉엄한 현실은 남한은 미국과의 군사동맹관계를 기초로 반테러연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국가이고, 북한은 미국의 명시적이든 잠재적이든 확전 대상 목록에 올라 있는 국가라는 것이다. 이러한 극단적 불일치는 미국이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위협 제거를 테러와의 전쟁의 일환으로 규정하고, 정치·군사적 행동에 나설 경우 남북한 모두에게 엄청난 시련을 안겨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9·11 테러 이후 미국의 안보전략을 살펴보고, 9·11 테러를 계기로 부시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살펴봄으로써 한반도 평화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South Korea has been one of the participants in anti-terrorism which the US has led, while North Korea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enemies that the US would not hesitate to go to war against. This situation makes the Korean peninsula a very dangerous place. The extremely opposite position of the two Koreas may force both Seoul and Pyongyang to be cautious when the US attempts to mobilize military forces to deal with North Korea'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In this regard, the paper examines the US security strategy after September 11, especially the security policy of the Bush administration. In doing so, this paper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maintenance of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미,중관계의 변화 전망과 북한의 “자주적 생존 전략”의 미래

        김학성 ( Hak Sung Kim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3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1 No.1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은 내부적으로 경제난 극복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북한정권이 경제문제의 심각성을 알고 있음에도 그러한 선택을 한 것은 자주성을 토대로 생존의 길을 모색하려는 ``자주적 생존전략``에 기인한다. 이 전략의 핵심은 북한이 동북아지역에서 자신의 전략적 가치를 높임으로써 외부로부터의 경제지원을 비롯하여 안정적인 체제유지 및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략의 성공은 동북아지역에서 미국과 중국의 경쟁 및 세력균형 여부에 달려있기 때문에 북한은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통해 동북아 질서에 혼란을 초래하고 미?중 경쟁을 더욱 부추기려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탈냉전기 미?중 관계의 흐름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미?중 관계 변화를 ``수정 신 현실주의`` 시각에 입각하여 전망함으로써 자주적 생존전략의 미래를 예측한다. 요컨대 미?중간 경쟁구조가 조만간 종식되지는 않겠지만, 다자주의적 방식에 따른 경쟁이 예상되며, 나아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이라는 큰 목표가 포기되거나 후 순위로 밀려날 정도로 양국갈등이 심화될 가능성은 당분간 예상하기 어렵다. 따라서 북한의 자주적 생존전략은 결코 성공하기 쉽지 않으며, 오히려 내부적인 체제모순과 균열을 가속화시키는 결과들을 점차 낳게 될 것이다. North Korean regime is economically more and more in great trouble just because of its WMD program. Its option for the WMD, although the regime knows the seriousness of its economic difficulties, is due fundamentally to a strategy of independent survival, which pursues preserving North Korean system without any political influence of great powers. This strategy aims basically not only to contrive a stable system maintenance and development but to ensure an foreign economic aids through enhancing its strategic value in the Northeast Asia. Whether it will succeed or not depends on consistency of Sino-US rivalry and its balance of power in the Northeast Asia. Therefore, developing the WMD, North Korean regime is trying to cause regional disorder and to stir up the Sino-US rivalry. In this context this paper, recapitulating Sino-US relationship in the post-cold war era and speculating course of its changing relationship on the basis of the modified neorealist theory, attempts to predict the future of the North Korean strategy. Namely it is to say that the Sino-US rivalry will not end sooner or later, but they would compete more and more in multilateral way and furthermore their rivalry would not be so deepened that their existing consensus on preserving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could be abandoned. It is therefore very difficult for North Korean regime to attain its strategic goals. The regime will rather suffer from the systemic contradictions and social cleavage which are acceleratingly caused by the strategy.

      • KCI등재

        북한의 군사전략과 무기체계 변화

        지효근(Hyokeun Jee)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6 동서연구 Vol.18 No.2

        지금까지 북한의 군사전략에 대한 연구는 연구주제의 난해성과 자료의 제한성 때문에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그나마 이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는 연구 들조차 탈냉전 이후 북한의 변화된 군사전 략과 이에 근거한 무기체계 변화를 제대로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탈냉전기 이후 북한의 변화된 군사전략과 무기체계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한국의 정책적 대응방안을 제시한다. 냉전기 북한의 군사전략은 선제기습공격, 단기속전속결, 정규전과 비정규전의 배합 등으로 요약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무기체계 역시 질적인 개선과 함께 양적인 팽창을 통해 남한에 비해 압도적 군사적 우위를 달성했다. 그러나 1980년대 말 이후 냉전체제가 해체되면서 북한은 재래식 군사력의 질적 열세를 단숨에 극복하고 한국의 재래식 군사력 우위를 점하려는 노력을 상쇄할 수있는 대량살상무기체계의 개발과 이를 이용한 대량살상전략을 지향하고 있다. 또 군사 력의 전방배치와 장사정포의 집중배치로 공세적 위협전략을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북한의 군사전략은 탈 냉전기 북한의 경제적 곤란과 국제적 고립 상황 속에서 체제의 생존과 남한 통일이라는 국가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군사적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북한의 변화된 군사전략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은 북한사회의 근본적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대북 포용정책의 지속과 함께 이러한 정책을 지원할 수 있는 실질적 수단으로서 군사적 능력을 배가시켜 나가야 한다. 특히 한미동맹 강화를 통해 효과적인 대북억제력을 유지해야 한다. 아울러 북한의 대량살상무기체계 폐기를 위한 국제사회의 공감대를 이끌어내고 현재 진행 중인 6자회 담과 같은 국제사회와의 협력과 공조를 통해 북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외교적 능력의 향상 역시 꾀해야 할 것이다. Until now, the studies on North Korean military strategy have been not fully activated because of the difficulties of topic and the limits of data. Even though some try to analyze this issues, they fail to illu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military strategy and the weapon system that has changed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ing North Korean military strategy and weapon system and to present the policy option for South Korea to respond North Korea s changes. In the cold war era, North Korean military strategy can be characterized surgical strike, blitz tactics, and mixed warfare with regular and irregular one. To accomplish these military goal, North Korea expanded not only the quantity but also the quality of the military power. In the late of 1980s, however, North Korea began to lose military superiority against South Korea because of economic difficulties and international isolation. North Korea finally introduced new military strategy and weapon system relying on strategic weapon, such as nuke, chemical and biological weapons, and long range missiles to restore military superiority. North Korea ㄴ new strategy focused on mass destruction strategy and offensive threat strategy To come up with the changing North Korean military strategy, South Korea not only continues engagement policy to lead a fundamental social change of North Korea but also strengthens military capacity as an instrument for supporting engagement policy.Mostly, South Korea maintains deterrence capacity through the firm Korea-U.S. alliance. Finally, South Korea tries to promote diplomatic power to lead common sense for preventing proliferation of North Korea’s WMD and international multilateral cooperation such as the six party talks for peaceful resolution for North Korean issues.

      • KCI등재

        북한(北韓) 군사전략(軍事戰略)에 관한 연구 -핵개발 이후를 중심으로-

        박용환 ( Yong Hwan Park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10 북한학연구 Vol.6 No.1

        In 1950. South and North Koreas have maintained a state of cease-fire and are confronting each other militarily. Thus, we are exposed to dangerous North Korean military provocations that can occur anytime. After Kim Jong Il`s rise to power, North Korean struck fear into nations abroad through their nuclear tests and nuclear arms manufacturing in 2006 and 2009. The amount of nuclear arms North Korea possess is unknown but after their nuclear bomb test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ies no longer doubt that North Korea actually possesses them. Until now we have dealt with the nuclear issue only from a political point of view, but militarily we have handled the case negligibly in case of an attack. In preparation for further North Korean provocation, a military strategy bill, based on past behavior, has been introduced, Thus, this thesis explores how military strategy has changed and how we ought to prepare in this current state of North Korea possessing nuclear alms. It appears that the military strategies North Korea can use are asymmetric strategy, massive retaliation, offensive strategy, striking the heart strategy, and cyber attacks, ect. This paper illustrates the background on North Korean nuclear development, the military strategies that have changed accordingly, and our countermeasures.

      • KCI등재

        미국의 세계전략과 핵무기정책의 변화와 한반도

        조윤영(cho yun young) 21세기정치학회 2007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7 No.2

        This paper pursues to analyze changing U.S. nuclear policy in the 21st century and its policy toward the North Korea. Especially, it examines how American foreign policy against North Korea has influenc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 and South Korea. To analyze this question, it examines changing U.S global strategy focusing on Weapons of Mass Destruction since World War II. US global strategy under Bush administration can be described as counter-proliferation of WMD and ant-terrorism which are regarded as critical threat to its national security and allied countries as well. In this light, Bush administration hopes that North Korea's Kim Jong Il regime will voluntarily make a strategic decision to dismantle its nuclear development programs. through the six-party talks. However, North Korea strategy of muddling through that resists showing any real progress will slowly exhaust the patience of other participant states. This tactical approach of North Korea will provide the grounds for Unites States to gradually tighten the screws on North Korea.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will examine U.S. and North and South Korea's strategic position against issue of solving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 It also analyzes the changing relationship between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since early 1990s by arguing that South Korea needs to takes positive attitude to solve the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