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루마니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의 흑해 해양경계 사건

        이창위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0 법학논고 Vol.0 No.33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determined the single maritime boundary between the respective EEZs and continental shelves of Romania and Ukraine in a unanimous decision. The Court clarified its methodology for delimiting the EEZ/ continental shelf, following a three-stage process. First, it drew a provisional equidistance line between appropriate basepoints on the two coasts ; secondly, it confirmed whether this line required adjustment considering relevant circumstances; and finally, it verified that the line did not lead to an inequitable result in accordance with proportionality. The Judgment contains important interpretations of several articles in the 1982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notably Articles 74 and 83. Without rules on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in marine areas where the jurisdiction of coastal states overlaps, the legal and legitimate uses of these areas cannot be enjoyed effectively. In this sense, the international law of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is of central importance. There is no doubt that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play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the international law of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Hence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case law in this field. This commentary examines the maritime delimitation between Romania and Ukraine in the Black Sea before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After reviewing summary of the decision and the claims of both parties in the Romania/Ukraine case, this commentary addresses several principal issues: methodology of maritime delimitations as well as relevant circumstances, disproportion between lengths of coasts, enclosed nature of the Black Sea and the delimitations already effected in the region, conduct of the parties, security considerations of the Parties, and concluding remarks. As the significance of maritime delimitation in the enclosed or semi- enclosed seas ultimately lies in the establishment of a rational maritime order through the efficient allocation of jurisdiction or maritime resources, close examination of this case is of great help in the process of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in Northeast Asia. The s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r, like the Black sea, come under the provision on the enclosed or semi-enclosed sea in article 122 of the 1982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Any way, this case could be of great help for the preparation of maritime delimitation around the Korean peninsular. 국제사법재판소는 루마니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의 흑해 해양경계획정에 대한사건에서 대륙붕 및 배타적경제수역에 대한 단일 해양경계선을 만장일치의 판결에 의해 획정했다. 판결에 있어서 국제사법재판소는 대략 세 단계에 의한 해양경계선의 획정절차를 분명히 확인했다고 평가된다. 즉, 첫째, 양측 해안의 적절한 기점 사이의 잠정적 중간선을 긋고, 둘째 형평한 결과의 달성을 위해 관련 사정을 고려하여 이를 조정하며, 셋째, 비례성을 적용하여 현저한 불균형이 없는지확인하여 이를 마무리한다는 것이 그러한 것이라고 했다. 이 판결은 국제사법재판소의 유엔해양법협약의 관련 규정, 특히 배타적경제수역과 대륙붕의 경계획정에 대한 제74조와 제83조에 대한 중요한 해석에 대한 입장을 포함하는 의미 있는 판결이라 할 수 있다. 관련국 사이의 해양관할권이 충돌하거나 중복될 경우, 그러한 중첩수역에서의해양관할권 행사는 원활하게 행사되지 못한다. 따라서 해양경계획정에 대한 국제법의 역할이 중요하며, 특히 해양경계 문제에 대한 국제재판소의 역할이 주목받는 것이다. 흑해 해양경계획정에 대한 이번 사건은 그러한 점을 고려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루마니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의 해양경계획정 사건은 여러 가지로 우리나라의해양경계획정에 참고가 될 수 있다. 예컨대, 해양경계획정 절차에 대한 일반적경향의 확인, 잠정적 등거리선의 설정, 관련 해역의 설정 및 다양한 관련 사정의취급은 현실적으로 한반도 주변의 해양경계획정에 대하여 시사하는 바가 적지않다. 또한 세르팡 섬에 대한 기점 효과의 부인은 독도에 대한 처리와 관련하여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다만, 국제사법재판소가 유엔해양법협약 제121조3항의 해석에 대한 명시적인 언급을 회피한 것은 아쉬운 부분으로 남는다. 물론,세르팡 섬에 대한 영유권 문제가 제기되지 않고, 섬 주변 해역에 대한 처리 및기점 효과만을 다룬 점이 독도와 다르지만, 어쨌든 폐쇄해 내지 반폐쇄해로서동북아지역의 해역을 주목하면 이 사건은 많은 참고가 될 것이다.

      • KCI등재

        Implication of Dokdo Issue under the Korea-Japan Fisheries Agreement and Maritime BoundaryDelimitation in Northeast Asia

        Chang-Wee Lee(李昌偉) 대한국제법학회 2007 國際法學會論叢 Vol.52 No.2

        한중일 삼국은 동북아에서 배타적경제수역제도에 입각하여 새로운 어업질서를 구축하는 양자간 어업협정을 체결했다. 그러한 어업협정에 따라 동북아지역의 해역에 몇몇 중간수역/잠정수역이 설정되었다. 이는 삼개 연안국이 잠정적으로 해양경계획정에 대한 문제들을 유보했기 때문에 취해진 것이다. 이제 한중일 삼국 사이에 세 개의 양자간 어업협정이 존재하기 때문에 삼국은 어업협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하여 동북아에서 새로운 어업질서를 확립하고 미래의 해양경계획정에 대비해야 할 의무를 지게 되었다. 해양경계획정은 연안국들 사이의 해양관할권 배분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한 이유로 각 연안국은 자국에게 유리한 경계획정 기준을 주장함으로써 가능한 한 넓은 해역을 자국의 관할 하에 두려고 한다. 한중일 삼국의 입장도 그러한 경향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예컨대, 중국은 해안선의 길이와 해저의 형상과 같은 지리적 조건을 중시하는 형평의 원칙을 주장하고, 반면 일본은 중간선원칙을 강조하고 있다. 경계획정의 기본 원칙에 대한 각국의 상반되는 입장 외에, 동북아시아의 해양경계획정은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분쟁도서의 처리, 삼개국 중복주장수역의 처리 또는 기존의 대륙붕 경계와 새로운 경제수역 경계의 관계 설정 등과 같은 문제가 그러한 것들이다. 각 연안국의 입장이 착종할 때, 해양경계 문제를 짧은 기간 내에 합리적으로 해결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동북아시아에서 각 연안국들에게 해양경계획정이 갖는 기본적인 의미를 생각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동북아시아의 해역과 같은 반폐쇄해에서 해양경계획정의 중요성은 궁극적으로 해양관할권 및 해양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에 있다. 그런데, 그러한 해양질서의 수립이 구체적인 경계획정 없이 가능하다면, 모든 연안국에게 만족스러운 해결이 쉽지 않은 영유권 문제를 건드리면서 까지 굳이 해양에서 경계획정을 추구해야만 하는가라는 의문도 제기된다. 따라서 도서에 대한 영유권 문제를 우회적으로 해결하고 어떠한 형식이든 해양자원을 효율적으로 개발ㆍ이용할 수 있는 방안이 가능하다면, 현실적으로 그 보다 더 바람직한 대안의 모색은 쉽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Korea, Japan and China concluded bilateral fisheries agreements, establishing new fisheries order in Northeast Asia based on EEZ regime. According to those agreements, some intermediate zones or provisional measures zones were established in the overlapping zones in the seas of Northeast Asia. It was because three coastal States agreed to shelve delicate issues on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during transitional period. Now that three bilateral fisheries agreements are in effect among Korea, Japan, and China, each of the three states has the obligation of establishing a new fisheries system in Northeast Asia and preparing for future maritime delimitations through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se agreements. Maritime delimitation is crucial to the distribution of maritime jurisdiction among coastal states. For this reason, each coastal state attempts to place under its jurisdiction as broad a maritime zone as possible by asserting delimitation criteria that are advantageous to itself. The approaches adopted by Korea, Japan, and China toward maritime delimitation fall in line with this trend. China, for example, places weight on geographic conditions such as the coastline length or seabed configuration and thus calls for the equitable principles; Japan, on the other hand, emphasizes the equidistance principle. In addition to each state’s conflicting positions on the basic principles of maritime delimitation, delimitation in Northeast Asian waters entails a number of other pending issues. These include the treatment of disputed islands, the handling of the trijunction, or the area to which the three countries have common claims, and the deline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ing continental shelf boundaries and new EEZ boundaries. It is a formidable task to resolve delimitation issues rationally in a short period of time when each coastal state’s positions are entangled. At this juncture, it would be worth recalling the fundamental meaning of maritime delimitation per se to the coastal states in Northeast Asia. The significance of maritime delimitation in semi-enclosed seas, namely those of Northeast Asia, ultimately lies in the establishment of a rational maritime order through the efficient allocation of jurisdiction or maritime resources. The question that arises here is whether states must go as far as seeking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s at the risk of stirring up territorial controversies, which can never bring satisfactory outcomes to all the coastal states involved, if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sound maritime order without clear-cut delimitations. In short, realistically, it would be optimal for the states involved to come up with a means by which to efficiently exploit and utilize maritime resources while at the same time settling territorial disputes over islands in a roundabout way.

      • KCI등재

        중국 지방정부 간 해상경계 설정에 관한 법적 고찰

        김은환(Yin-Huan Jin),양희철(Hee-Cheol Yang) 한국해사법학회 2022 해사법연구 Vol.34 No.3

        중국은 1980년대부터 어업과 양식업, 해운업, 해양관광, 해양석유와 천연가스 개발 등 해양기반의 산업들이 급속하게 발전하였으며, 지방정부 간 해양이용과 개발을 둘러싼 갈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이는 해상에서의 지방정부 간 법정 경계선이 없고, 해상경계 설정에 관한 법적 근거가 부재한 것에서 기인한다. 앞으로도 해양수산, 해상풍력, 해양석유 및 천연가스 등 대규모 해양자원 개발의 수요가 증가하게 되는 추세에서 해상경계의 불확실함은 해상경계 분쟁을 지속적으로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중국정부는 해상경계 설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2002년 4월에 「해상경계관리방법(海域勘界管理办法)」과 「해상경계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海域勘界技术规程)」을 마련하여 지방정부 간 해상경계 설정을 위한 기본원칙, 절차, 고려사항, 분쟁처리 등 내용을 명문화하고 있으며, 같은 해 6월부터 성급 지방정부부터 단계적으로 해상경계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지방정부 간 해상경계 설정의 연혁과 추진현황을 살펴보고, 나아가 해상경계 설정의 원칙과 기준, 분쟁조정 등 법제도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의 지방자치단체 간 해상경계 설정의 근거 규정 마련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Since the 1980s, China has witnessed rapid progress in its ocean-based industries, including fisheries and aquaculture, shipping, tourism, and deep-water oil and natural gas. Conversely this progress has continuously caused disputes between local authorities over marine planning and development. This is mainly because there are no boundaries on adjacent sea between local governments, which should be delimited based on law. In anticipation of the large-scaled exploitation of marine resources such as wind energy, oil and natural gas, will be more likely to cause maritime boundary disputes. The Chinese governmen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maritime delimitation and introduced “Guidelines for Managing Maritime Boundaries” and a “Policy for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in April 2002. They clearly stipulate the basic principles, procedures, considerations and dispute settlement system for maritime delimitation. Since June of the same year the Provincial governments began to delimit the maritime boundary. This study introduces background and current status of the delimitation of maritime boundaries between Chinese local administrations. Furthermore, this research evaluates the legal grounds of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in China. At the end, this paper will put forth som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establish maritime boundaries for its local governments along with introducing laws on maritime delimitation.

      • KCI등재

        우리나라 해상경계 획정기준에 관한 기초 연구

        최윤수,김재명,김현수,박병문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0 No.2

        최근 국내 여러 지방자치단체들은 해양개발이 활성화됨에 따라 관할해역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인접 지방자치단체간 분쟁의 증가로 인하여 관할해역 구분의 기준이 되는 해상경계의 중요성이 급격히 부각되고 있다. 특히, 해상경계 획정기준의 부재는 인접 지방자치단체들 간 분쟁을 발생시킬 수 있는 요소를 많이 내포함에 따라서 해상경계 획정기준 마련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해상경계 획정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기 고시된 『해상경계확인을 위한 수로측량업무규정』을 조사‧분석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해상경계 획정의 개념을 수립하였고 둘째, 해상경계 획정기준의 범위와 내용 및 절차를 구체적으로 설정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지방자치단체들 간 해상경계 분쟁의 사전예방 및 사후 합법적 해결을 목적으로 해상경계조정위원회의 설치, 구성, 직무, 조정결과의 효력 등과 같은 해상경계 분쟁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Recently, local governments in Korea are promoting the rapid development of marine for delineating jurisdictional sea area. The importance of a maritime boundary has being emphasized, as jurisdictional sea area disputes among local governments have been increasing. The absence of the delineating standard of maritime boundary has become a source of contention between neighborhood local governments. So the delineating standard of maritime boundary in Korea will b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improvement plan for the scientific delimitation standard of maritime boundary by analyzing A hydrographic survey guideline for confirmation of maritime bound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e defined the concept of the delimitation standard of maritime boundary. Secondly, we set the boundary, factors and processes of the delineating standard of maritime boundary through classifying them in detail. Lastly, we suggested the makeup of a conflict adjustment committee for preventing jurisdictional sea area disputes among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해양주권 강화를 위한 해양경계획정에 관한 연구

        방호삼,윤영민 한국해양경찰학회 2019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9 No.2

        Today, States have endeavored to enhance maritime power and to secure and exercise maritime sovereignty. The importance of maritime dominance has increased with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developed States-centered. South Korea as a peninsula has special geo-political features but has not had enough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maritime-oriented initiative and the importance of the dominance of the seas. In the 21st Century of the new ocean era, the nationwide importance of using and ruling the seas cannot be emphasized enough. The exercise of maritime sovereignty can be made through the exercise of naval or maritime police power, which can be more clearly and strongly realized without legal and diplomatic burdens when maritime boundaries are clearly delimited. The clear maritime boundaries are necessary in order to consistently and stably exercise State jurisdiction over the seas. Thus we need to develop ways to break the situation of stalemate through consistent research on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This paper has discussed the task of Korea through reviewing the significance of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its related theories, and cases of maritime boundary disputes and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As our task, we need to continue to collect historical data related to maritime sovereignty, study the international legal logic, and establish firm maritime boundaries based on it to strengthen our maritime sovereignty. 오늘날 각국은 국가안보, 경제적 이익 등 국익을 추구하기 위해 해양력을 신장하거나 해양주권을 확보·행사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해양의 중요성은 제2차세계대전 이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국제사회에서 크게 부각되어 왔다. 우리나라는 반도국으로서 지정학적 특수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해양으로의 진출과 해양지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미흡했다. 21세기 신해양시대에 우리 주변 해양의 이용과 지배에 대한 국가적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해양에서의 주권 행사는 대체로 해군, 해양경찰 등 군과 국가기관의 행위로 이루어지며, 이는 해양 국경이 명확히 획정되었을 때 법적, 외교적 부담 없이 더욱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해양에 대한 국가관할권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행사하기 위해서라도 해양경계획정을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우리는해양경계획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주변국과의 교착 상황에 대한 실마리를풀어 나가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해양경계 획정의 의의 및 그 관련이론, 해양경계 분쟁 및 경계 획정 사례를 검토한 후 우리나라의 과제에 대해 짚어보았다.

      • KCI등재

        정책중심적 법학(Policy Oriented Jurisprudence)의 관점에서 본 경계획정과 독도에 대한 처리

        李昌偉(Chang-Wee Lee) 대한국제법학회 2005 國際法學會論叢 Vol.50 No.2

        국제사법재판소가 1969년의 북해대륙붕사건에서 등거리선 원칙의 관습법적 성격을 부인하고, 육지의 자연연장(natural prolongation)을 존중하는 관련사정을 고려하여 형평의 원칙을 적용하여 경계획정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시한 이후, 해양경계 문제는 등거리ㆍ중간선원칙을 지지하는 국가들과 형평의 원칙을 지지하는 국가들로 나뉘어져 다투어져왔다. 그리고 중재재판에 의한 1977년의 영불대륙붕 사건과 국제사법재판소의 이른바 1980년대 3대 경계획정사건(trilogy of cases), 즉, 1982년의 튀니지ㆍ리비아 대륙붕사건, 1984년의 메인만사건 그리고 1985년의 리비아ㆍ몰타대륙붕사건을 거치면서 해양경계획정 문제는 각국이 분쟁을 사법적 절차를 적용하여 해결한 대표적인 분야가 되어왔다. 따라서 그러한 사건들은 해양경계획정에 관한 이론적 연구 대상이 됨으로써 국제법의 발달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 이후 국제사법재판소에 회부된 해양경계획정에 관한 사건들은 북해대륙붕사건이나 1980년대의 3대 사건처럼 경계획정 원칙의 본질이나 그 적용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즉, 1985년 이후의 관련 사건들은 주로 영역 권원의 적용이나 기존 조약의 해설 문제 등에 중점을 두었을 뿐이다. 다만, 1993년 덴마크와 노르웨이 간의 그린랜드ㆍ얀마이엔 경계획정사건 정도가 예외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중재재판에 의한 해양경계획정사건의 경우도 사정은 다르지 않은데, 영불대륙붕 사건을 제외하고, 1981년 두바이ㆍ살자 경계획정사건, 1985년 기니ㆍ기니비소 경계획정사건, 1989년 기니비소ㆍ세네갈 경계획정사건, 1992년 캐나다ㆍ프랑스의 생피에르와 미크론 경계획정사건 등은 대부분 해양경계획정의 원칙이나 이론에 대한 깊은 연구나 검토가 가능한 케이스가 아니어서 상대적으로 학자들의 주목을 끌지 못하였다. 실제로 해양경계획정의 과정은 국가실행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어서 이상과 같은 수많은 케이스에 대한 학문적 검토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도 아니다. 따라서 경계획정 원칙이나 이론에 대한 분석 못지않게 실질적인 국가실행의 검토가 중시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동해의 경계획정에 있어서 최대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독도에 대한 현실적인 처리 문제를 검토하였다. 특히 영토의 귀속 문제가 아닌 경계획정 기점으로서 독도에 대한 처리에 논의의 중점을 두었다. 현실적인 독도의 처리 문제를 논하면서 특히 중점을 둔 접근방법은 맥두갈(Myres S. Mcdougal)의 정책중심적 법학(Policy Oriented Jurisprudence)이다. 주로 그와 그의 제자들로 이루어진 뉴헤이븐(New Haven)학파의 입장에 따라서 관련이론을 소개하고, 해결이 쉽지 않은 해양경계획정상 그러한 방법론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경계획정에 대한 이론이나 원칙 자체에 대한 분석보다는, 국가실행의 배경이 되는 정책과 규범으로서 국제법원칙의 조화 내지 정합성을 모색해보는 것이 어떤 면에서 더 필요한 연구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국가 간 교섭의 과정에서 국제법은 자국 정책의 대외적 타당성의 근거로 작용하기 때문에, 정책적 고려에 중점을 둔 맥두갈의 이론은 해양경계획정에 통상 수반되는 당사국들의 입장의 차이를 설명하고 또 그것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였다. Since 1969, when the judgment in the North Sea Continental Shelf Case was delivered, there have been many cases in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as well as in the arbitral tribunals, dealing with issues regarding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s including the 1977 Anglo-French Case, 1993 Denmark/Norway Case and the trilogy of cases: the 1982 Tunisia/Libya Case, the 1984 Gulf of Maine Case and the 1985 Libya/Malta Case. They provided much food for thought and formed the object of considerable academic scrutiny, attempting to develop general rules and principles to guide States in the drawing of boundaries which have been made in both the 1958 Geneva Conventions and the 1982 Law of the Sea Convention. However, it may be significant that there seem to be fewer cases which turn on the need to identify fundamental principles of delimitation and more which see the settlement of the maritime delimitation as a component of the resolution of a broader range of issue. In other words, maritime delimitation no longer resembles the theoreticians' playground that it was in the 1980s and it is not surprising to find that state practices are getting more important than ever in the process of maritime delimitations. By the way, it is 7 years since Korea and Japan concluded fisheries agreement, establishing new fisheries order in Northeast Asia around Korean peninsular based on Exclusive Economic Zone regime. According to the agreement, two intermediate zones/provisional measures zones were established in the overlapping zones in the seas of Northeast Asia. It was because the two coastal States agreed to shelve delicate issues on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during transitional period. Therefore, many agreements have yet to be reached on maritime boundaries between Korea and Japan. In negotiation about boundary delimitation on the East Sea between the two States, the most difficult issue to be agreed on would be the dispute over the ownership of Dok-do.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role of Dok-do and relevant issues in maritime delimitation both in state practices and in the viewpoint of Policy Oriented Jurisprudence were analyzed in this essay. In concrete terms, the meaning of boundary delimitation in Policy Oriented Jurisprudence, objectives and values in boundary delimitation, functional aspect of boundary delimitation, Dole-do as a base point, etc. were examined. As a conclusion, current status of Korea-Japan negotiation was explained and possible solutions over boundary issu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유엔해양법협약상 해양경계획정방법의 구체화에 관한 연구

        김임향 한국해사법학회 2019 해사법연구 Vol.31 No.2

        해양경계획정에 대한 국가들의 시도는 분쟁당사국 간의 합의, 국제재판소의 사법적 판결로써 일반적인 흐름을 형성해왔다. 이것은 법의 유권적 해석에 관 한 정형화된 절차 또는 기관이 확정되어 있는 국내법과는 달리 국제법에 있어서는 ICJ, ITLOS 또는 중재법원의 결정들이 국제법의 해석에 관한 한 가장 권 위적이고 결정적인 것으로서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국제재판소의 재판의 준칙이 되어야 할 유엔해양법협약(UNCLOS)의 관련 규정은 해양경계획정의 목적이 ‘형평한 해결’에 있다는 것만 밝히고 있을 뿐 그 방법이나 고려해야할 관련사정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해양경계획정문제는 아직까지 관련당사국들의 상이한 주장에 맡겨진 채 쉽게 해결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양경계획정의 각 사건은 독특한 혹은 독자적인 것으로서 ‘선례구속의 원칙(Doctrine of stare decisis)’이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 판례로부터 일반적인 법원칙을 도출해 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재판소가 자신의 선 판례를 존중하는 입장을 취하면서 후속 사건의 판단기준으로 인용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동안 축적되어온 국제 판례상의 해양경계획정원칙과 방법, 관련사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해양경계획정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 규칙을 도출하고 이러한 규칙에 따라 경계획정을 권고하는 방안을 검토해 나가는 것은 실익이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유엔해양법협약의 개정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국제 판례의 리스테이트먼트 작업을 통한 법적 정리 및 국제적 권고 수준의 가이드라인 제정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오늘날 해양권익의 확대에 따라 국가 간의 명확하고 신속한 경계획정이 우선적으로 요청된다는 점을 상기하면서, 국가들은 구체적인 해양경계획 정방법을 고안하는데 협력하여야 한다. Attempts to set the maritime boundaries of coastal states have formed a general stream through the agreement of the parties in dispute and the judgments of international courts. Because the decisions of ICJ, ITLOS, or the arbitral tribunal are accepted as the most authoritative and decisive as far as interpretation of international law. And this is different from the domestic law which has a formalized procedure or institution for the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of the law. However,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UNCLOS), which should be the proper law of the International Courts, only indicate that the purpose of maritime delimitation is the ‘equitable resolution’. Moreover, there is not provide specific criteria for the method or the relevant circumstances to be considered in the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For this reason, the issue of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has not been solved easily yet. And it is very difficult to derive general legal principles from these cases, because not only each case of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is unique or independent, and also international law deny the application of ‘Doctrine of stare decisis’. Nevertheless, it is noteworthy that the international courts have taken a position respecting their own precedents and cited them as criteria for subsequent cases. From this point of view,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various principles, methods and relevant circumstances identified in the international precedents may find general rules applicable to the maritime boundary dispute. it is judged to be beneficial to review the method of recommending boundary delimitation from this. However, the revision of the UNCLOS is very difficult in reality. For this reason, I would like to propose a method of establishing guidelines as the level of international recommendation through the organizing and restatement work of international precedents. First of all, today as maritime profits expand, clear and expeditious resolve in the maritime boundary case is priority. Keeping in mind this, all nations should cooperate in devising specific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methods.

      • KCI등재

        이어도 주변수역 자원 관리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향

        이용희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경희법학 Vol.44 No.3

        The Surrounding Area of Ieo-do is located in the maritime overlapping area between Korea and China. Although both countries adopted the Fisheries Agreement as an interim arrangement according to Arts. 74 and 83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UNCLOS), the area was included in the Zone Where Current Fishing Patterns are to be maintained and the conservation measures for the living resources in the area have been very poor. Furthermore, there is high possibility of transboundary oil and gas on the overlapped continental shelf between two countries. It is very difficult to resolve the problem of transboundary oil and gas in the process for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o analyse the international law concerning to the management on the overlapping area and to suggest some options for th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n the natural resources in the area as a interim arrangement before concluding the on-going negotiation for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The basic international law which regulate state’s activ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of Ieo-do would be the UNCLOS since Korea and China ratified the convention in 1996 and claimed the Exclusive Economic Zone in the same year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onvention, it imposed state parties of dispute an obligation of mutual restraint in order to prevent any activities that endanger or hinder the final delimitation. However, it should interpret that the obligation does not mean to prohibit any activities which would be conducted in the overlapping area but allow some activities which does not involve physical damage to the seabed or subsoil or to their natural resources. In the aspect to conserving the living resources in the surrounding area of Ieo-do, it seems that both countries have not implemented its obligations under Art. 61, Art. 62 and Art. 63 para. 1 as well as Art. 123. Therefore, it is urgent to implement scientific research for the conservation and optimal use of the living resources in the Zone Where Current Fishing Patterns are to be maintained and to negotiate to agree upon the measures necessary to co-ordinate and ensure th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the living resources including overexploited species and straddling stock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cientific research. Finally, to resolve the overlapping claims over the continental shelf surround to Ieo-do including the possibility of transboundary oil and gas, Korea ,first of all, should confirm whether the transboundary resources exist on the area or not. Following the confirmation, Korea should prepare the maritime delimitation strategies on the overlapping continental shelf in the area with considering the China’s practice on the issues with Japan and Vietnam. The Surrounding Area of Ieo-do is located in the maritime overlapping area between Korea and China. Although both countries adopted the Fisheries Agreement as an interim arrangement according to Arts. 74 and 83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UNCLOS), the area was included in the Zone Where Current Fishing Patterns are to be maintained and the conservation measures for the living resources in the area have been very poor. Furthermore, there is high possibility of transboundary oil and gas on the overlapped continental shelf between two countries. It is very difficult to resolve the problem of transboundary oil and gas in the process for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o analyse the international law concerning to the management on the overlapping area and to suggest some options for th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n the natural resources in the area as a interim arrangement before concluding the on-going negotiation for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The basic international law which regulate state’s activ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of Ieo-do would be the UNCLOS since Korea and China ratified the convention in 1996 and claimed the Exclusive Economic Zone in the same year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onvention, it imposed state parties of dispute an obligation of mutual restraint in order to prevent any activities that endanger or hinder the final delimitation. However, it should interpret that the obligation does not mean to prohibit any activities which would be conducted in the overlapping area but allow some activities which does not involve physical damage to the seabed or subsoil or to their natural resources. In the aspect to conserving the living resources in the surrounding area of Ieo-do, it seems that both countries have not implemented its obligations under Art. 61, Art. 62 and Art. 63 para. 1 as well as Art. 123. Therefore, it is urgent to implement scientific research for the conservation and optimal use of the living resources in the Zone Where Current Fishing Patterns are to be maintained and to negotiate to agree upon the measures necessary to co-ordinate and ensure th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the living resources including overexploited species and straddling stock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cientific research. Finally, to resolve the overlapping claims over the continental shelf surround to Ieo-do including the possibility of transboundary oil and gas, Korea ,first of all, should confirm whether the transboundary resources exist on the area or not. Following the confirmation, Korea should prepare the maritime delimitation strategies on the overlapping continental shelf in the area with considering the China’s practice on the issues with Japan and Vietnam.

      • KCI등재

        韓半島周辺水域における多者間漁業協定体制の導入問題

        이창위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서울법학 Vol.22 No.2

        As the coastal States' maritime jurisdiction has vastly been extended to the sea since the entry into force of the 1982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North East Asian maritime boundaries has become more significant than ever. However, the seas in North East Asia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areas for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Korea concluded bilateral fisheries agreements with Japan and China respectively, establishing new fisheries order in North East Asia based on EEZ regime. According to those agreements, several intermediate zones or provisional measures zones were established in the overlapping zones in the seas of North East Asia. It was because three coastal States agreed to shelve delicate issues on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during transitional period. Therefore, many agreements have yet to be reached on maritime boundaries among the coastal States in the region. Taking into account these backgrounds, relevant issues regarding establishment of multilateral fisheries agreement as well as bilateral fisheries agreements such as history of the agreements, impact to boundary delimitation, legal status of the intermediate zones and prospects for the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were examined in this article. 1982년 유엔해양법협약의 발효 이후 연안국들의 해양관할권은 더욱 해양 쪽으로 확대되었다. 동북아시아 각국의 상황도 이러한 경향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런데 이곳은 각국 사이의 거리가 대부분 400해리가 안 되기 때문에 해양경계획정이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여러 가지 이유로 해양경계획정에 대한 합의를 이루지 못한 각국은 잠정적인 어업협정을 체결하여 해양경계획정을 유보했다. 한국은 1998년과 2000년에 중일 양국과 각각 양자간 어업협정을 체결했으며, 중일 양국도 상호 어업협정을 체결했다. 이러한 어업협정으로 한중일 3국은 관할권 주장이 중복되는 곳을 중간수역 내지 잠정수역으로 처리하여 경계획정을 유보했다. 따라서 앞으로 이러한 잠정적인 어업협정 체제를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해양경계획정을 완성하는 것이 동북아 각국에게 중요한 과제이다. 그런데 동북아지역의 해양은 폐쇄해 내지 반폐쇄해에 해당되기 때문에 양자간 어업협정 체제의 유지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와 관련하여, 유엔해양법협약은 제123조에서 폐쇄해 내지 반폐쇄해에서의 각 연안국의 협력 의무를 명시하고 있다. 특히 해양생물자원의 관리, 보존, 탐사 및 이용을 위한 조정을 명시한 부분은 동북아 각국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동북아지역 어업협정 체제의 발전적 조정을 위한 방안으로서 다자간 어업협정의 도입 가능성을 기존 어업협정의 문제점과 함께 분석해보기로 한다.

      • KCI등재

        韓半島周辺水域における多者間漁業協定体制の導入問題

        李昌偉 ( Lee Chang Wee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서울법학 Vol.22 No.2

        1982년 유엔해양법협약의 발효 이후 연안국들의 해양관할권은 더욱 해양 쪽으로 확대되었다. 동북아시아 각국의 상황도 이러한 경향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런데 이곳은 각국 사이의 거리가 대부분 400해리가 안 되기 때문에 해양경계획정이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여러 가지 이유로 해양경계획정에 대한 합의를 이루지 못한 각국은 잠정적인 어업협정을 체결하여 해양경계획정을 유보했다. 한국은 1998년과 2000년에 중일 양국과 각각 양자간 어업협정을 체결했으며, 중일 양국도 상호 어업협정을 체결했다. 이러한 어업협정으로 한중일 3국은 관할권주장이 중복되는 곳을 중간수역 내지 잠정수역으로 처리하여 경계획정을 유보했다. 따라서 앞으로 이러한 잠정적인 어업협정 체제를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해양경계획정을 완성하는 것이 동북아 각국에게 중요한 과제이다. 그런데 동북아지역의 해양은 폐쇄해 내지 반폐쇄해에 해당되기 때문에 양자간 어업협정 체제의 유지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와 관련하여, 유엔해양법협약은 제123조에서 폐쇄해 내지 반폐쇄해에서의 각 연안국의 협력 의무를 명시하고 있다. 특히 해양생물자원의 관리, 보존, 탐사 및 이용을 위한 조정을 명시한 부분은 동북아 각국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동북아지역 어업협정 체제의 발전적 조정을 위한 방안으로서 다자간 어업협정의 도입 가능성을 기존 어업협정의 문제점과 함께 분석해보기로 한다. As the coastal States' maritime jurisdiction has vastly been extended to the sea since the entry into force of the 1982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North East Asian maritime boundaries has become more significant than ever. However, the seas in North East Asia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areas for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Korea concluded bilateral fisheries agreements with Japan and China respectively, establishing new fisheries order in North East Asia based on EEZ regime. According to those agreements, several intermediate zones or provisional measures zones were established in the overlapping zones in the seas of North East Asia. It was because three coastal States agreed to shelve delicate issues on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during transitional period. Therefore, many agreements have yet to be reached on maritime boundaries among the coastal States in the region. Taking into account these backgrounds, relevant issues regarding establishment of multilateral fisheries agreement as well as bilateral fisheries agreements such as history of the agreements, impact to boundary delimitation, legal status of the intermediate zones and prospects for the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were examined in this arti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