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상보험에서 영국 2015년 보험법의 시행상 문제점

        한창희(Han, Changhi)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32 No.3

        우리법원은 해상보험분야에서 영국의 법률과 실무를 특유하게 취급하고 있다. 해상보험계약의 내용을 이루는 영국의 선박보험약관, 적하보험약관에는 ‘이 보험은 영국의 법과 관습에 따른다’라는 이른바 영국법준거조항이 삽입되어 있고, 오래전부터 그 효력을 인정해오고 있다. 그 이유로는 해상보험의 목적인 선박 또는 적하가 고액(근래 새로 건조하는 컨테이너선이나 LPG운송선의 경우 1천억-2천억원)이어서 당사자를 규율하기 위해서는 정치한 실무와 풍부한 판례가 필수적인데, 이에 해당하는 것이 주로 1800년대 이래 전세계 바다를 지배해온 영국의 법률과 실무이다는 것이 들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해상보험분야에서 영국법의 개정은 우리의 실무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국법은 대륙법체계와 달리 판례법주의를 취하고 있고, 보험법에 관한 성문법은 1906년 해상보험법이 유일하였고, 이 법은 해상보험만이 아니라 일반보험에도 널리 적용되었다. 그러나 1906년 해상보험법에 대해서는 입법된지 100년이 지났고 지나치게 시대에 뒤졌기 때문에 세계의 학자와 실무자들이 개정을 주장하고, 영국에서도 영국법의 영향력의 약화의 방지차원에서도 그 개정이 논의되어 2015년 보험법이 제정되었다. 영국의 2015년 보험법은 공정한 제공의무, 워런티, 손해와 관련없는 조건의 효력, 사기적 보험금청구, 보험금 지급지체(2016년 기업법에 의하여 규정되어 2015년 보험법 제13A조에 포함되었다) 등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영국 2015년 보험법은 2016년 8월 12일부터, 2016년 기업법은 2017년 5월 4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2015년 보험법의 개정사항은 핵심쟁점이고 그 개정의 폭도 매우 방대할 뿐 아니라, 영국의 판결에 의한 확정을 기다리는 사항도 다수 존재한다. 영국의 2015년 보험법에 대한 이해가 매우 긴요하고, 학자들의 심층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Korean Supreme Court has given special position to the English law and practice in the area of marine insurance. The English governing clauses such as ‘This insurance is subject to English law and practice’ have inserted into English Hulls Clauses and Cargo Clauses, Korean Supreme Court has recognized the effectiveness of the English governing clauses. Korean scholars account for the reason why Korean Supreme Court has applied English law and practice in the matters of marine insurance as follows. The value of the ship and cargo as the subject of marine insurance usually is very high(the value of newly constructed container ships or LPG carrying tankers is at least 100 or 200 billion won), and so the exquisite practice and abundant cases law are required to regulate legal matters surrounding the contracting parties of marine insurance. English law and practice which have been globally applied is regarded as the sole source of law, because England had ruled all over the sea since 1800. Accordingly English revision of law in the area of marine insurance has the enormous impact on Korean marine insurance practice. The English legal system has taken case law doctrine compared to statutory system in continental legal system. The sole statute in the ares of insurance had been the Marine Insurance Act 1906, it has been applied not only in the area of marine insurance but also in other areas of insurance. But it has passed 100 years since the Marine Insurance Act 1906 was codified, and it was too far out-dated, and so global scholars and practitioners had maintained its revision. Finally English parliament codified the English Insurance Act 2015, and it was enforced from August 12, 2016. The English Insurance Act 2015 provides the matters regarding the duty of fair presentation, warranties, terms not relevant to the actual loss, fraudulent claims, late payment of claims which was inserted by the Enterprise Act 2016. The English Insurance Act 2015 provides core matters of insurance, its regulatory breadth is very wide, and certain provisions are unsettled until English Supreme Court’s final decision. The research of the English Insurance Act 2015 in the area of marine insurance is required, and the deep study of Korean scholars is expected.

      • KCI등재

        해상보험에 있어서 사기적 보험금 청구- 英·中·韓 법리의 비교 -

        이창재,YANG, Zhen 한국무역상무학회 2023 貿易商務硏究 Vol.99 No.-

        Recently, the United Kingdom has begun to reform its outdated rules for marine insurance, the Marine Insurance Act 1906. Based on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new legislation, the Insurance Act 2015, the UK's revised marine insurance legislation is taking a new turn, and fraudulent claims in marine insurance are no exce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mendments to the Insurance Act in relation to fraudulent claims in marine insurance in the United Kingdom and to consider the differences from the existing law. The fraudulent claims regime under the UK Insurance Act is set out in section 12. The legislation resolves som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regarding the liability of policyholders for fraudulent claims and the return of prepaid benefits or premiums. It is expected that more advanced theories on fraudulent claims in marine insurance will emerge in the future. The UK's legislation is likely to be of great help to Korean and Chinese marine insurance practitioners as well as to the legal system regarding marine insurance fraud. This paper starts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insurance fraud and examines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insurance fraud and the specific types of insurance fraud in marine insurance. It also compares and analyzes the relevant legal systems on fraudulent insurance claims in China and Korea, focusing on the UK, and draws implications for the Chinese and Korean legal systems by examining the section on fraudulent claims in the UK Insurance Act 2015. Unlike Korea, Chines Insurance Act has detailed regulations on fraudulent claims. Compared to the UK law, it is more detailed in that it even has regulations on overcharges. However, it can be criticized for not explicitly stipulating the insurer's right to terminate the insurance contract in case of overcharges. According to the UK's Revised Insurance Act, the insurer has an option in the event of a fraudulent claim by the insured, i.e., if the insurer gives notice of termination, the insurer can refuse to pay for damages incurred after the fraudulent act, but if the insurer does not choose to terminate the contract, the insurer will be obligated to pay for genuine damages. Considering the legislative direction of the English law, which emphasizes the insurer's right to choose regarding partially fraudulent insurance claims, it would be appropriate for the Chinese law to introduce the right to terminate the contract to the insurer as an explicit provision in order to establish reasonable treatment standards for overcharges.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legal system regarding insurance fraud is in dire need of improvement because it does not have clear regulations compared to the UK and China. In terms of future legislation, we believe that it is necessary to discuss various issu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n explicit provision on the duty of utmost good faith, the establishment of regulations on the refusal of insurance or compensation for damages by the insurer in relation to insurance fraud, whether to allow the avoidence of the insurance contract when insurance fraud is proved, and the handling of overcharges that have some fraudulent elements. Given the international nature of marine insurance, it is essential to improve and maintain a legal system that meets international standards. In this regard, it is worth noting the institutional changes witnessed in the United Kingdom, which has set the standard for global marine insurance legislation since the 19th century.

      • KCI등재

        영국의 개정 고지의무제도에 관한 연구

        한창희(Han, Changhi)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29 No.2

        영국보험법상 고지의무제도는 1766년 Carter v. Boehm사건에서 맨스필드경에 의하여 확립되어 살머스경이 주도한 1906년 영국해상보법 제정시 동법 제17조에서 제20조에 규정되었고, 동법이 2012년 소비자보험(고지의무)법과 2015년 보험법이 제정되기 이전에는 판례법주의국가인 영국에서는 보험에 관한 유일한 성문법이었기 때문에 이 규정들이 고지의무에 관하여 해상보험만이 아니라 일반보험에서도 주요한 법원(法源)으로 기능하여 왔다. 영국의 새로운 고지의무제도는 소비자보험과 비소비자보험으로 나누어 입법되었고, 비소비자보험에 관한 2015년 보험법은 2016년 8월 12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2012년 소비자보험(고지의무)법은 소비자보험은 자발적 고지의무를 폐지하고 질문에 대한 답변의무로 하고, 고지의무위반의 효과로서 비율적 보상원칙을 채용하는 등 획기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먼저 동법은 소비자보험에 대하여 “개인의 거래, 영업 또는 직업과 전적으로 또는 주로 무관한 목적아래 계약을 체결하는 소비자와 보험회사 사이에 체결되는 계약(동법 제1조)”이라고 하는데 우리 보험업법상의 일반보험계약자, 금융소비자보호기본법안의 금융소비자, 상법 제662조의 단서에서 기업보험을 의미하는 “해상보험, 재보험 기타 이와 유사한 보험”과 관련하여 유용한 해석기준이라고 판단된다. 동법상의 고지의무의 질문에 대한 답변의무화에 관해서는 우리상법 제651조에 영국을 비롯한 선진 보험국가가 대부분 채용한 점에 비추어 이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2015년 보험법상의 고지의무에 관한 개정과 관련해서는 그간 걸작이라고 칭송되었던 1906년 해상보험법에 대해 제정시 샬머스경이 참조한 2.000여개의 판례에 대해서도 정확한 입법화라고 할 수 없다고 하고, 앞으로 1906년법에서의 이탈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하는 비판에서 보다시피 그 파장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동법에서는 첫째, 1906년 해상보험법상의 고지의무를 공정한 제공의무로 변경하고, 둘째. 만일에 대비한 고지원칙(fall-back disclosure rule)이라 하여 중요한 사실을 고지하지 않아도 보험자가 추가질문하는데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여 경고하면 되도록 하였으며, 셋째, “피보험자는 자신의 조직이나 보험중개사, 대리인이 보유하든 피보험자가 이용가능한 정보를 조사하여 합리적으로 밝혀져야 하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규정하는 2015년 보험법 제4조 제6 • 7항에 의거 1906년 법 제19조 a항은 폐지되었으며, 넷째, 판례상의 유인의 원칙이 입법되었고, 넷째, 고지의무가 면제되는 사항 중 보험자가 알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사항에 대하여 인터넷자료 등 퍼브릭 도메인상의 정보에 관한 해석기준으로 “당해 활동영역에서 피보험자에게 당해 유형의 보험을 제공하는 보험자가 통상적인 영업과정에서 아는 것으로 기대되는 것은 보험자가 아는 것으로 추정된다(2015년 보험법 제5조 제3항)고 되었으며, 다섯째, 공정한 제공의무위반의 효과로서 비소비자보험과 같이 비율적 보상원칙이 채용되었고, 여섯째, 공정한 제공의무를 임의적 규정으로 하여 투명성요건을 충족하면 그 내용이나 효과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2015년 보험법상의 공정한 제공의무에 관해서는 해상보험분야에서 영국의 법률과 실무는 우리나라의 법원(法源)인 특수한 영역이므로 개정내용을 면밀히 살필 것이 요구된다. English disclosure duty was provided in the English Marine Insurance Act 1906 s. 17~19 which was led by Sir Chalmers. the English Marine Insurance Act 1906 s. 17~19 had been major source of law in the field of insurance until Consumer Insurance(Disclosure and Representations) Act 2012, Insurance Act 2015 has been enacted , because it was a sole Act regarding insurance law. Insurance Act 2015 has just been in force on 12 August 2016. Consumer Insurance(Disclosure and Representations) Act 2012 Section 2 abolishes the duty currently imposed on consumers to volunteer material facts, instead consumers must take reasonable care to answer insurers’ questions fully and accurately. Act 2012 makes less harsh the remedy for misrepresentation and non-disclosure. On careless misrepresentation, If the insurer would not have entered into the consumer insurance contract on any terms, the insurer may avoid the contract and refuse all claims, but must return the premiums paid(Schedule 1 General 5). And Act 2012 Section 1 (a) provides that insurance consumer means an individual who enters into the contract wholly or mainly. The writer thinks that this definition of insurance consumer is very useful to our research of law, because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Section 7 noticed by Korea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defines financial consumer, and Korea Insurance Business Act Section 2 defines insurance consumer, and Korea Commercial Code Section 662 enumerates the examples of non-insurance consumer. And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duty to volunteer material facts should be changed to the to answer insurers’ questions. Insurance Act 2015 revises the rules about marine insurance as follows. Firstly, The 2015 Act changes the disclosures duty the duty of fair representation. Secondly, it introduces a fall-back disclosure rule which operates where the insured fails to disclose every material circumstance but disclose sufficient to put the assured on notice that it needs to make further inquiries. Thirdly, the position with regard to insurance brokers as agents of the assured, has changed under the 2015 Act. Fourthly, the question of presumed knowledge of readily available internet information is codified in 2015 Act s. 5 (3). Fifthly, the remedy of avoidance of the English Marine Insurance Act 1906 is changed to proportionate remedies. The writer says that new scheme of fair representation duty under the 2015 Act needs to be carefully studied because, the English law and practice concerning maine insurance matters has been directly applied by Korea Supreme Court.

      • 最近韓國有關違反保證的判例動向

        박은경 ( Eun Gyoung Park ) 경성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경성법학 Vol.20 No.2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해상보험약관은 대부분이 영국의 런던보험자협회가 제정한 신협회약관이다. 이 약관에는 "이 보험은 영국의 법률과 관습에 따른다(This insurance is subject to English law and practice.)"는 영국법 준거조항이 명시되어 있으며, 우리 대법원은 1977년 이래로 이러한 영국법 준거조항의 유효성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해상보험계약의 보험자 보상책임여부와 관련된 분쟁의 해결에 있어서는 영국의 해상보험법(Marine Insurance Act. 1906: MIA. 1906)과 성문법의 개정을 대신하는 영국의 판례법 및 상관습이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실무적으로 영국의 법률과 관습에 대한 전문성의 확보가 요청되는 이유라 할 것이다 문제는 최근 10년간 해상보험사고와 관련한 분쟁에서, 신협회약관에 따라 보험계약을 체결한 국내 중소규모의 해운회사와 수산회사가 워런티조항 위반을 이유로 보험금 지급이 거절되는 경우가 빈발하고 있다는 점이다. 워런티조항은 우리 상법상 명문의 규정이 없고, MIA1906과 영문약관에 규정되어 있으며, 그 위반시의 효과가 보험자의 무조건적인 면책을 가져다는 주는 보험계약자에게 상당히 불이익한 조항이다. 관습적으로 영문약관에 따른 해상보험계약을 체결하고 있는 국내 소규모 해운·수산 회사들의 경우, 보험자에 준하는 전문성을 갖춘 지위에 있는 자가 아니므로, 우리 상법 제663조에 의한 법률의 후견적 보호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동조 단서조항에 의한 해상보험계약자로서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에 의한 보호가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 대법원에서 워런티조항이 보험자가 계약체결시 어떠한 내용으로도 창설할 수 있는 것으로, 인과관계의 불문, 보험자의 무조건적인 면책, 항변의 불가 등 보험계약자에게 붙이익하므로, 이러한 약관조항의 내용을 보험계약 체결 전에 보험계약자에게 설명하여야 한다는 취지의 판결을 하였다. 특히 해상보험약관의 영국법 준거조항은 보험계약의 효력에 관한 부분에서 인정되는 것이며, 보험계약의 성림과 관련하여서는 국내법에 따른 해석을 하여야한다는 판단도 동시에 하고 있다. 이는 결국 워런티조항에 대하여 보험계약체결시에 보험자가 계약자에게 약관설명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면, 당해 약관조항을 보험계약의 내용으로 주장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어, 국내 소형 해운회사등을 보호하는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지극히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이 글에서는 워런티 조항의 위반과 관련한 국내의 대표적인 최근 판례를 중심으로 분석적 연구를 통하여, 해상보험계약에 있어서도 보험자의 약관설명의무가 존재함을 명시한 판례의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analyse the theory of the warranty of marine insurance contract based upon the English law and to find the legal application to the Korean marine insurance law (practically, Commercial Code IV). Because of non-existence of relevant in the marine insurance section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KCC). But practically it is allowed to insert warranty clauses in a marine insurance policy, specially with Institute Clauses, which is concluded in the Korean marine insurance market. In Korea, there is very difficult legal issue between insurers and insured arising from warranty clauses of the marine insurance policy as well as warranty sections of marine Insurance Act, 1906(MIA 1906). Regardless no any provision in the KCC as mentioned above, as insurer would tend to insert so many expressed warranty clause in the marine insurance policy without any pre-notice or explanation for the insured. As result of this tendency many insured that are most of individuals or small and medium shipping companies including fishing companies would be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warranty and the regal effect resulting from its breach in the marine insurance contract. It is one of essential duties of insurer to give detailed explanation of all the articles and clauses of the contract before con tract concluded. In the case of disputes of legal issue in Korea, the Korea Supreme Court held that the warranty clauses w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English law and practice if it tis chosen as a governing rules unless there is no any friction against the Korean sovereignty. This thesis has preceeded to study on the domestic precedents in relation to the breach of warranty, And also on whether an insurer must explain the meaning of warranty clauses and the effect of breach of that warranty.

      • KCI등재

        해상보험상 위부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박영준 한국경영법률학회 2019 經營法律 Vol.29 No.2

        Insurance Contract Law is included in the Korean Commercial Code (KCC) as one of its five Chapters. Provisions regarding marine insurance is a part of insurance contract law Chapter. Article 663 is a compulsory provision in that an agreement which treats the insured less favorably than the provisions stipulated in the KCC becomes null and void. However, Art. 663 excludes marine insurance from the scope of the application. As a result, the marine insurance law provisions under the KCC function only as a default rule. Traditionally, marine insurance practice in Korea has been heavily influenced by the English law. Most of marine insurance contracts has an English governing law provision. Therefore, marine insurance law provisions in the KCC are not applicable to the most of marine insurance contracts in Korea. The writer tries to reform this kind of malfunction of marine insurance provisions in the KCC. One of the suggested idea is to make a part of marine insurance contract subject to mandatory application of Art. 663 only when the insured is not a person as an entity but a private person. Another idea is to revise provisions in the KCC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wordings in the marine insurance policy and standard terms. If the KCC maintains the same provisions as the standard terms in the marine insurance policy, the parties do not try to insert the same provision in the standard terms as the KCC, because marine insurance provisions in the KCC as a default rule will be automatically applicable to their insurance contract in case that there is no such agreement. The writer shows about 10 possible items for the improvements. 우리 해상보험실무상 영문해상보험증권과 약관이 사용되고 있고 이 약관과 보험증권상의 준거법조항에 의해 영국의 법률과 관습이 우리에게 직접 적용되고 있다. 선박보험의 경우엔 영국법이 당해 보험에 관한 모든 법률문제의 준거법이 되고 있고 적하보험의 경우엔 보험금청구에 대한 보상책임의 유무와 지급방법에 관한 사항에 대해 영국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해상보험법상 특유한 제도인 추정전손과 보험위부에 대한 영국 판례 및 법조항과 약관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영국과 한국 해상보험법상 추정전손과 보험위부에 대해 해석상 견해가 나뉘고 있는 쟁점사항들 -선박과 적하의 점유 박탈과 관련하여 상당한 기간 동안 회복할 가능성이 없는 상황에서 그 개시시점을 무엇으로 보느냐의 문제, MIA 제60조 제2항 제2호의 ‘future’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의 문제, 수선후 선박의 가액의 의미, 보험위부에 대한 보험자의 승인에 대한 법적 의미, 승인거절에 따른 추정전손 판단기준의 시점의 문제, 보험자가 승계하게 되는 권리의 범위 문제, 권리 이전의 시기 문제, 보험자가 승인을 하지 않고 보험의 목적에 대한 소유권을 승계하지 않은 경우 보험 목적에 대한 책임 귀속 문제점 및 우리 상법 제717조와 제718조 사이의 해석상 문제-를 포함하여 추정전손과 보험위부 전반에 대해 분석하였다.

      • KCI등재

        해상보험계약상 권리의 양도와 관련된 일부 쟁점의 고찰

        권성원 한국해법학회 2023 韓國海法學會誌 Vol.45 No.1

        Cargo insurance policy is frequently assigned to buyer in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depending upon its contract’ terms and condition. And the assignment of any rights from hull insurance contract inclusive of claims for insurance money plays an important role in ship finance for the purpose of provision of security to the lender. Korean Insurers use the marine insurance forms based on the Institute Clauses which were prepared by the Institute of London Underwriters and contain a governing law clause of English Law as the governing law over the insurance contracts. In such circumstances, the Act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provides English Law as the objective governing law for the assignment or provision of security of the rights under the marine insurance contracts. Given that, requirements under the relevant English law are to be satisfied for taking the legal effects of the aforementioned assignment or provision of security. On the other hand, the English law provides that there are three ways to assign any rights under Marine Insurance Policy to Assignee, that is to say, Assignment under the Marine Insurance Act 1906 s. 50, Assignment under the Law of Property Act 1925 s. 136, or Assignment in equity. Out of these, the Assignment under the MIA s.50 is characteristic in that the insurance policy can be validly assigned to the Assignee only in the case that the entire insurable interest is contemporaneously transferred to the same. The Assignment under the law of Property Act 1925, s.136 is very similar with Assignment of claims under the Korean Civil Act in its legal effect, however requirements for this assignmen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ssignment under the Korean civil act. The most distinguishable character of English law from Korean Law is Assignment in Equity that could take effect if both parties’ actual intention of assignment of the subject rights is confirmed and verified even in the case that the above two ways of assignment do not take effect on the ground of requirements of them not being satisfied. It is unique in this Jurisdiction that the equitable assignee must join the assignor to the proceedings or file the proceeding against the assignor and other insurer as Defendants. The international practice of assignment or provision of security of marine insurance policy is presumed to have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English law and it has been adopted by Korean entities, as the result of which Korean insurers and Financial Institutes deal with the subject assignment in the same manner as the international practice. For instance, Korean hull insurers provide a financial institute which gave a ship owner a loan for purchasing a vessel with Loss Payable Clause in the course of a ship finance.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how the Loss Payable Clause is classified or characterized with from the Korean Law perspective. Under the circumstance, if the Korean entities participating in the international trading of goods do not exactly understand what the English law is in respect of the aforementioned assignments, they might suffer from a variety of legal and financial risks as the result of the assignment being invalid and ineffective. Regardless of the foregoing, it seems that Korean practitioners and Scholars have not paid attention to that issue. With this in mind, this paper would take into in-depth considerations of various relevant issues including the principle of determination of governing law over the assignments of rights available from Marine Insurance contracts, the assignment under English law and other legal issues from Cargo insurance and Hull insurance in order to exactly understand the assignment under the English law. 국제물품매매에서는 적하보험증권의 양도가 빈번하고, 선박금융에서도 보험금청구권 등 선박보험계약에 따라 발생하는 권리의 양도 내지 질권 설정이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국내 보험자들은 영국법 준거조항을 둔 협회약관을 채택하여 적하보험계약이나 선박보험계약을 인수한다. 이 경우 국제사법의 규정에 따라 보험계약상 권리의 양도나 담보제공에 대해서 영국법이 객관적 준거법이 되므로, 그러한 양도의 요건과 효과는 영국법의 관련 규정이 적용되어야 한다. 영국법 하에서 해상보험계약상 권리의 양도는 영국해상보험법 제50조에 따른 보험증권의 양도, 1925년 재산법 제136조에 따른 양도, 형평법상의 양도의 3가지 방법으로 할 수 있다. 그중에서 영국해상보험법상의 양도는 전체 피보험이익의 이전과 함께 이루어지는 것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고, 1925년 재산법 제136조의 양도는 우리의 지명채권양도와 비슷하지만 법률요건에서 차이가 있다. 영국법의 특징은 앞의 보통법상의 양도가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효력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당사자의 양도에 관한 의사가 확인되는 경우 형평법상 양도로서의 효력을 인정한다는 데 있다. 형평법상의 양도는 소송으로 권리행사를 할 때에는 양도인을 참가시키거나 피고로 해야 한다는 점에서 매우 특이하다. 이렇게 영국법에 따라 정립된 양도 내지 담보제공의 실무를 우리나라에서도 그대로 수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업무 처리를 한다. 선박금융에서 외국의 실무와 동일하게 선박보험자가 보험금 지급에 관한 Loss Payable Clause를 대주인 금융기관에 제공하는 것이 단적인 예이다. 그렇지만 한국법적 관점에서 Loss Payable Clause의 법적 성질을 결정하기란 쉽지 않다. 국내의 실무계가 영국법에 따라 정립된 실무를 따르는 상황에서, 한국법과는 다른 영국법상의 양도에 관한 법리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다면 거래의 당사자들은 의도했던 양도의 효력이 발생하지 아니하여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법률상, 금전상의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위의 법적 쟁점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부족했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양도 및 담보설정에 대한 준거법 지정원칙, 영국법상 권리 양도의 제도, 적하보험이나 선박보험의 양도와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법적 쟁점 등을 정리함으로써, 영국법 하에서 해상보험계약상 권리의 양도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해상보험법 판례 회고와 시사점

        김인현(Kim In Hyeon) 한국보험법학회 2010 보험법연구 Vol.4 No.1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해상보험판례의 경향과 중요판례 5개에 대하여 소개하고 시사점을 제시한다. 우리나라 해상보험판례는 영국해상보험법을 해석적용하는 판례와 우리나라 상법 보험편의 해상보험규정을 해석 적용하는 판례로 대별될 수 있다. 우리 대법원은 해상보험계약에 사용된 영국준거법약관은 유효하다고 여러 차례 판시하고 있다(대판 1977.1.11., 71다2116; 대판 1991.5.14., 90다카25314). 대법원은 영국해상보험법의 내용을 아래와 같이 여러 차례 해석하고 있다. (i) 담보특약의 위반이 있으면 보험자는 자동적으로 보험계약상의 책임을 면한다(대판 1996.10.11., 94다 60332). (ii) 선박보험에서 기간보험의 경우에는 선주 등 피보험자가 사고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으면 보험자는 면책된다(대판 2002.6.28., 2000다21602). (iii) 영국법에서 제3자에 해당하는 피해자는 보험자와 보험계약관계가 없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보험자에게 보험금을 직접청구 할 수 없지만, 제3자법에 의하면 피보험자인 선주가 파산 등의 사유가 있는 경우에만 피해자는 보험자에게 직접청구를 할 수 있다(대판 2009.11.12., 2009다54553). 대법원이 우리 상법의 해상보험규정을 해석한 경우는 극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이는 해상보험규정은 제663조 단서가 적용되어 당사자들이 보험계약의 내용을 변경시킬 수 있어서 실무적으로 영국법을 준거법이 많이 사용되기 때문이기도 한다. 수협공제에 가입하는 소형 어선선주는 보험계약자불이익 변경의 원칙인 제663조 본문의 규정이 적용되고 실효약관은 무효가 됨을 대법원은 판시한다(대판 1996.12.20., 96다23818). 동 판결은 제663조 단서에서 해상보험을 모두 임의규정화한 한계를 극복하여 보험계약자를 보호할 수 있는 근거로서 활용할 수 있다. This article introduces Korean marine insurance law cases. Korean marine insurance law cases can be divided as those related to the English marine insurance law and those related to the Korean marine insurance law. In practice, most of Korean shipowners enter into marine insurance contract with English marine insurers or Korean marine insurers with the English governing law clause. The Korean Supreme Court (hereinafter KS Court) ruled that English law juris-diction clause was valid (KS Court case 1977.1.11. Docket No. 71da 2116). The KS Court addressed several legal issues in 1906 Marine Insur-ance Act when it dealt the cases involved in English marine insurance law. Warranties (KS Court case 1996.10.11. Docket No. 94da60332) and the privity of the insured(KS Court case 2002.6.28. Docket No. 2000 da21062) under 1906 MIA are such examples. First part of Art. 663 is a mandatory provisions which prohibits the insurer from derogating the minimum level of insurance content stipulated in the Korean Commercial Code. It is not applicable for the case of marine insurance. In the KS Court case 1996.12.20. Docket No. 96da23818, the KS Court regarded the fishery collective insurance as falling within the definition of the marine insurance. However, the KC Court rendered that the insured should be protected by first part of Art. 663 because the insured is in unfavored position in terms of bargaining power in the fishery collective insurance. The writer sug-gests that small vessel owners also be protected as the same way because they are in a weak position in bargaining power compared with the insurer.

      • KCI등재

        영국 해상보험법상 Warranty제도의 한국 상법상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김신영(Kim, Shin Young) 한국보험법학회 2021 보험법연구 Vol.15 No.1

        한국에서 상법 해상보험에 관한 부분은 사실상 거의 죽어있는 법이 되어 있는 실정이다. 실무상으로는 영국법이 통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상보험에 관한 상법 규정을 영국의 해상보험 관련법과 일치시키는 방향으로 개정하여 해상보험법제의 세계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실무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규범력 있는 해상보험법제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영국의 해상보험제도 중 특히 warranty에 관한 사항은 보험계약자가 보험자에 대하여 일정한 사항에 대하여 이행할 것을 약속하고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보험자가 보험금 지급의무를 면한다는 점에서 영국법상으로도 특유한 제도이므로, warranty에 관한 내용은 한국 해상보험법제 개정시 그 도입이 고려되어야 한다. 영국 해상법상 warranty제도는 보험계약자와 보험자의 이익을 균형 있게 고려하려는 노력 끝에 영국 2015년 보험법을 통해 warranty 위반의 치유가 인정되고, warranty 위반과 관련 없는 손해에 대해서는 보험자의 보험금 지급책임이 유지되는 등 warranty 위반의 효과가 합리적으로 개선되었다. 이러한 점은 warranty 도입을 위한 한국 상법 개정시에도 충분히 참고할만한 가치가 있다. 영국의 입법례를 바탕으로 warranty 도입을 위한 한국 상법 개정시에는 warranty 용어 및 정의, warranty 위반의 효과에 관한 사항, warranty 위반의 용인 가능 여부, warranty 위반의 치유 가능 사유, warranty 위반과 손해 사이의 인과관계 요부, warranty 설명의무를 부과해야 하는지 여부 등과 같은 쟁점들이 함께 고려가 되어야 한다. 2014년 법무부에서도 상법 해상보험 특별분과위원회를 구성하여 상법상 영국의 warranty제도를 도입하려는 시도를 하였지만, 안타깝게도 꽤 많은 논의의 진전이 이루어졌음에도 개정에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흐지부지된 상태이다. 지금이라도 위의 고려사항들을 바탕으로 2014년 법무부 개정안을 개선・발전시켜 warranty제도 도입에 관한 상법 개정을 완성시킴으로써 한국 상법의 해상보험에 관한 규정이 해상보험실무에도 활발히 활용될 수 있고, 나아가 국제경쟁력도 갖출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In Korea, the maritime insurance sector of commercial law is virtually malfunctional. This is because, in practice, English law is in common. Thus, by amending the provisions of the Commercial Act on Marine Insurance, it is necessary to legislate in a manner consistent with the law on marine insurance in the UK to promote globalization of marine insurance legislation while at the same time developing a normative marine insurance legislation that can be used in practice. The introduction of warranty should be considered in the revision of the Korean Marine Insurance Act, as the provisions of the English Marine Insurance System are specific to the English law in that the policyholder promises to implement certain matters for the insurer and, if not, the insurer avoids the obligation to pay the insurance. Under English maritime law, the warranty system has reasonably improved the effectiveness of warranty violations, including the treatment of warranty violations through the 2015 Insurance Act and the maintenance of the insurer s liability to pay insurance premiums for damages unrelated to warranty violations. This is well worth referring to when revising the Korean Commercial Law to introduce warranty. The revision of the Korean Commercial Law to introduce warranty based on the English law should consider issues such as warranty terms and definitions, matters concerning the effectiveness of warranty violations, whether warranty violations are acceptable, the curable reasons for warranty violations, and whether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warranty violations and damages should be imposed. In 2014, the Ministry of Justice also formed a special subcommittee on commercial marine insurance to introduce the Warranty under commercial law, but unfortunately, it has failed to reach a revision and failed to reach a revision, despite considerable progress in discussions. Based on the above considerations, the ministry should improve and develop the 2014 revision to the Commercial Act on the Introduction of the Warranty so that the regulations on marine insurance in Korea can be actively used in maritime insurance practices, and, in addition, hav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 KCI등재

        1906년 해상보험법상 고지의무의 변경에 관한 연구

        김찬영(Chan Young KIM) 한국무역상무학회 2016 貿易商務硏究 Vol.71 No.-

        In theUK, the legal principle for the duty of disclosure established inCarter v Boehmcasewas codified in theMarine Insurance Act 1906(“MIA”). The duty of disclosure under the MIA is the pre-contractual duty by the insured and therefore, the insured should disclose the every material circumstance that would influence a prudent insurer’s judgement. If the insured violates the duty of disclosure, the insurer is entitled to avoid the insurance contract, regardless of whether there was the deliberate or reckless breach, which is unfavorable to the insured. The LawCommission reviewed the duty of disclosure under the MIAin detail and provided the InsuranceAct 2015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interests of the insured. The InsuranceAct 2015(“Act”),while the basic legal structure of the duty of disclosure under the MIA still remains, amends it in respect of non-consumer insurance and furthermore, integrate the duty of disclosure and the duty not tomisrepresent into the duty of fair presentation of risk. And according to the Act, the insurer is required to more actively communicatewith the insured before entering the contractwith the result that, if the insured fails to disclose the material circumstance but provides the sufficient information to put the insurer on notice, the insurer should further inquire for the purpose of the insured’s revealing the material circumstance. In addition, the Act details the insured’s constructive knowledge of material circumstance by reviewing the current case lawand introduces a newsystem for the insurer’s proportionate remedy against the insured’s breach of the duty of fair presentation of risk.

      • KCI등재

        2015년 영국보험법상 고지의무제도에 대한 고찰

        이정원(Jung Won Lee) 한국해사법학회 2016 해사법연구 Vol.28 No.2

        보험계약상 고지의무제도는 그 내용과 피보험자 등에 대한 법률효과의 가혹성 등으로 인해 국내외적으로 많은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보험계약의 사행성과 보험계약체결의 전제가 되는 중요한 위험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고지의무는 보험계약의 최대선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주된 수단이라는 점도 부인할 수 없다. 이러한 고지의무의 의의에도 불구하고, 고지의무에 관한 우리 상법 규정은 국제적 추세에 뒤쳐진 것으로 평가된다. 최근 영국법개혁위원회는 2015년 영국보험법의 제정을 통해 그 동안 보험소비자보호의 관점에서 주된 비판의 대상이 되어 왔던 고지의무제도 및 워런티와 관련된 법리를 혁신하였다. 영국보험법은 해상보험을 포함한 비소비자보험계약상 고지의무와 관련한 주요 사항에 관해 구체적이고 명확한 규정을 함으로써, 향후 보험자 및 보험계약자 등에 대한 구체적 행위규범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고지의무위반의 효과로서 보험자의 보상의무를 기존의 ‘전부 아니면 전부’라는 것에서, 보험계약자의 주관적 요소에 따라 비율적 보상원리를 도입하여 차별화한 것은 우리 상법의 입법론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국보험법상 고지의무에 관한 개혁작업이 우리 해상보험뿐만 아니라 향후 상법보험편의 개정작업에 입법론적 좌표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duty of disclosure has long been criticized for its unduly harsh effects on the assured and disproportionately favorable results on the insurer. Even with such criticisms, the duty of disclose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prevention of fraud from the assured and for preventing the assured from making untrue statement when negotiating the insurance contract. Although there are several rules in the Korean Commercial Code(hereunder, 'KCC') on the duty of disclosure, however,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rules on the matter of the duty of disclose in the KCC are not up-to-dated compared to other nations laws. Meanwhile, the U.K. Law Commission reformed the principle of the duty of disclose which had been under criticism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Insurance Act, 2015. The Insurance Act 2015 is expected to do some critical roles for the performance of the duty of disclosure by giving concrete and clear instructions to the assured upon making contract. It is most impressive with the reform of the Insurance Act 2015, where the insured’s breach of the duty of fair presentation is deliberate or reckless, the insurer is entitled to avoid the contract and refuse all claims. In other cases, however, the insurer should have a more proportionate remedy based on what it would have done the presentation been fair. Since many countries have reformed their laws to be more insured-friendly, particularly in common law jurisdictions, the basis of marine insurance legislation for the duty of disclosure should be a milestone for the reform of the Korean Insurance law according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